KR100401164B1 -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 Google Patents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164B1
KR100401164B1 KR10-2001-0056044A KR20010056044A KR100401164B1 KR 100401164 B1 KR100401164 B1 KR 100401164B1 KR 20010056044 A KR20010056044 A KR 20010056044A KR 100401164 B1 KR100401164 B1 KR 10040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inner ring
ring
hold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251A (ko
Inventor
이시다다쿠야
히라카와노부히토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67Coupling to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796Puller or pusher means, contained force multiplying operator
    • Y10T29/53826Arbor-type press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796Puller or pusher means, contained force multiplying operator
    • Y10T29/53848Puller or pusher means, contained force multiplying operator having screw operator
    • Y10T29/53857Central screw, work-engagers around screw
    • Y10T29/53878Tubular or tube segment forms work-enga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에 이너링을 수지제 관재에 비틀림변형을 가하는 일 없이 압입할 수 있으며, 또 수지제 관재의 관직경에 따른 수종 사이즈의 이너링도 1개지그로 공용할 수 있는 이너링압입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지그보디(1)의 압입작용레버지지부(3)에 압입작용레버(19)를 전진, 후퇴조작 자유롭게 끼워통함지지하고,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압입되는 이너링(23)을 홀딩하는 링홀더(20)는 압입작용레버(19)의 선단부에 홀더블록(26)을 통하여 공전 자유롭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공전 자유로운 링홀더(20)는 이너링(23)을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비틀림을 가하는 일 없이 압입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한 링홀더(20)는 수종 사이즈의 이너링(23)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JIG FOR PRESS FITTING INNER RING TO PIPE MADE OF RESIN}
본 발명은 반도체제조나 의료·의약품제조, 식품가공, 화학공업 등의 제조공정에서 취급되는 고순도액이나 초순수를 수송하는 수지제 관재를 관이음매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 그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와 관이음매의 사이의 시일성을 높이고, 또 수지제 관재의 빠짐방지를 꾀하기 위해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의 내주에 슬리브상의 이너링을 압입하는데, 이 압입시에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수지제 관이음매의 한 예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95-20471호). 이 도 14에 나타내는 수지제 관이음매는 각각이 불소수지 등의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음매본체(50)와, 슬리브상의 이너링(23)과, 유니온너트(푸쉬링)(51)를 구비한다. 그 이음매본체(50)는 그 축방향의 일단부에 받침구(52)를 형성하고, 이 받침구(52)의 안쪽에 1차시일부(53)를 이음매본체(50)의 축선(C)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그 받침구(52)의 입구에 2차시일부(54)를 상기 축선(C)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받침구(52)의 외주에 숫나사(55)를 형성하고 있다. 이너링(23)은 그 축방향의 내단부에 이음매본체(50)의 받침구(52)에 끼워맞춤 가능한 외경을 갖는 끼워맞춤부(56)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축방향의외단측에 단면산형의 팽창돌출부(57)를 형성하고 있으며,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내에 상기 끼워맞춤부(56)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상태로 압입함으로써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직경확대시켜서 상기 끼워맞춤부(56)의 단부에 이음매본체(50)의 1차시일부(53)에 맞닿는 내단시일부(58)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팽창돌출부(57)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받침구(52)의 2차시일부(54)에 맞닿는 외주시일면(59)을 형성하고 있다. 유니온너트(51)는 이음매본체(55)에 나사식으로 맞추어지는 암나사(6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수지제 관이음매에 의해 수지제 관재(14)를 접속하는 데는, 상기 이너링(23)을 압입한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이음매본체(50)의 받침구(5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해당 수지제 관재(14)의 외주에 미리 헐겁게 끼워져 있는 유니온너트(51)의 암나사(60)를 이음매본체(50)의 숫나사(55)에 나사식으로 맞추어서 체결함으로써 이너링(23)을 축방향으로부터 밀어누르고, 해당 이너링(23)의 내단시일부(58) 및 외주시일면(59)을 이음매본체(50)의 받침구(52)의 1차시일부(53) 및 2차시일부(54)에 각각 맞닿게 하여 시일성(밀봉력)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슬리브(23)를 압입하는 지그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82-33983호나 특허 공개공보99-156750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것이 있다.
실용신안 공고공보82-33983호에 개시되는 이너링압입지그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대(61)의 전단측에 설치한 관재홀딩부(62)에 아우터링(63)을 세트하는 동시에,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아우터링(63)에 끼워통하게 하여 수평으로 홀딩하는 한편, 지그대(61)의 후단측에 설치한 암나사부(64)에 나사막대(65)를 전진, 후퇴조작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맞춘다. 나사막대(65)의 선단에는
밀음부재(66)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밀음부재(66)를 이너링(67)의 구멍내에 끼워맞춘다. 이렇게 하여 핸들(68)에 의해서 나사막대(65)를 회전시켜서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의 내주에 이너링(67)이, 외주에 아우터링(63)이 각각 압입고정된다는 것이다.
특허 공개공보99-156750호에 개시되는 이너링압입지그는 도 16의 (a)에 해당 지그의 측면도를, (b)에 이너링압입종료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보디(70)의 전단측에 설치한 관재홀딩부(71)에 아우터링(72)을 세트하는 동시에,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아우터링(72)에 끼워통하게 하여 수평으로 홀딩하는 한편, 지그보디(70)의 후단측에 설치한 암나사부(73)에 나사막대(77)를 전진, 후퇴조작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맞춘다. 나사막대(77)의 선단부에는 볼조인트(78)를 설치하고, 이 볼조인트(78)에 핀홀딩부재(79)를 부착하고 있다. 그 핀홀딩부재(79)에 밀어넣음핀(80)을 홀딩하고, 이 밀어넣음핀(80)에 이너링(81)을 끼워통한다. 이렇게 하여 핸들(82)에 의해서 나사막대(77)를 회전시켜서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의 내주에 이너링(81)이, 외주에 아우터링(72)이 각각 압입고정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도 15에 나타내는 이너링압입지그에서는 나사막대(65)의 선단의 밀음부재(66)가 이너링(67)의 구멍내에 끼워맞추어져 있으면 이너링(67)의 압입시에 이너링(67)이 나사막대(65)와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수지제 관재(14)에 비틀림변형이 가해진다는 불합리한 사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이너링압입지그에서는 핀홀딩부재(79)와 밀어넣음핀(80)이 상대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너링(81)의 압입시에 수지제 관재(14)에 비틀림변형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이너링(67, 81)은 대상의 수지제 관재(14)의 관직경사이즈에 따라서 구경이 다른 각종 사이즈의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도 15에 나타내는 이너링압입지그에서는 이너링(67)을 홀딩하는 밀음부재(66)가 나사막대(65)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떼낼 수 없고, 또 도 16에 나타내는 이너링압입지그도 이너링(81)을 홀딩하는 밀어넣음핀(80)을 나사막대(77)의 선단부로부터 떼낼 수 없다. 따라서 어느 쪽의 이너링압입지그에 있어서도, 대상의 수지제 관재(14)의 관직경사이즈가 다를 때마다 각각의 관직경에 따른 구경의 이너링(67, 81)을 구비한 수종의 이너링압입지그를 준비해 둘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에 이너링을 수지제 관재에 비틀림변형을 가하는 일 없이 압입할 수 있으며, 또 수종 사이즈의 이너링도 1개지그로 공용할 수 있는 이너링압입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너링을 홀딩하는 링홀더의 착탈조작의 간이화를 꾀할 수 있는 이너링압입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방지의 목적으로 수지제 관재내로의 혼입이 적극 꺼려지는 마모가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이너링압입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은,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에 슬리브상의 이너링을 압입하기 위한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이며, 지그보디(1)의 전후방향의 전단측에 상기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수평으로 고정홀딩하는 관재홀딩부(2)가, 그 후단측에 압입작용레버지지부(3)가 서로 대향하도록 비치되어 있으며, 전단에 이너링(23)을 끼우고 빼기 가능하게 홀딩할 수 있는 링홀딩축부(20a)를 갖는 링홀더(20)를 구비한 압입작용레버(19)가 상기 압입작용레버지지부(3)에 전진, 후퇴조작 자유롭게 끼워통함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링홀더(20)가 상기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에 축심 주위로 공전 자유롭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너링압입지그에 따르면, 관재홀딩부에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를 홀딩고정하고, 링홀더에 이너링을 홀딩한 후에 압입작용레버를 전진조작하면 이너링을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에 압입할 수 있다.
링홀더는 압입작용레버의 전단에 축심 주위로 공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압입 후에 수지제 관재내의 이너링으로부터 링홀더를 빼낼 때에 수지제 관재에 비틀림변형을 가하는 일 없이 빼낼 수 있다. 링홀더는 압입작용레버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링홀더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 지그 하나를 각종 구경의 이너링의 압입에 공용할 수 있다.
상기 링홀더(20)를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에 공전 자유롭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면중앙부에 암나사구멍부(29)를 설치하고, 링홀더(20)의 후단면중앙부로부터 결합축부(20b)를 후방으로 돌출설치하며, 외주에 숫나사(24a)를 설치한 통부(24)와, 이 통부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25)를 갖는 홀더블록(26)이 상기 결합축부(20b)에 공전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으로 끼워통해지는 동시에, 상기 통부(24)의 숫나사(24a)가 상기 암나사구멍부(29)에 비틀어넣음결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이너링압입지그에 따르면, 압입작용레버의 암나사구멍부에 대하여 홀더블록을 암숫나사의 나사식맞춤을 통하여 체결하거나 느슨하게 한다는 간단한 조작으로 링홀더를 압입작용레버에 대하여 간단히 착탈할 수 있다. 또 링홀더는 이것의 결합축부가 홀더블록의 축방향으로 긴 통부에 끼워통해짐으로써 심흔들림 없이 안정되고 공전 자유롭게 캔틸레버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기 링홀더(20)의 후단면과 상기 홀더블록(26)의 플랜지부(25)의 사이에 저마찰수지제 와셔(27)를 개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링홀더를 원활하게 공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제 관재내로의 혼입이 오염방지의 목적으로 적극 꺼려지는 마모가루가 링홀더의 후단면과 홀더블록의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기 링홀더(20) 및 홀더블록(26) 중 적어도 한쪽을 저마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링홀더를 원활하게 공전시킬 수 있으며, 또 링홀더의 결합축부의 외주면과 홀더블록의 통부의 내주면의 사이에서 마찰가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이너링압입지그를 반절개상태로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2는 동 이너링압입지그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A-A선단면도.
도 4는 동 이너링압입지그의 관재홀딩부에 수지제 관재를 완전히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동 이너링압입지그의 압입작용레버의 전단부 및 링홀더를 반절개상태로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6은 동 이너링압입지그를 이너링압입개시상태로 나타내는 일부노치종단측면도.
도 7은 동 이너링압입지그를 이너링압입종료상태로 나타내는 일부노치종단측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이너링압입지그를 반절개상태로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9는 동 이너링압입지그의 압입작용레버의 전단부 및 링홀더를 반절개상태로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10은 동 이너링압입지그의 압입작용레버의 전단부를 이너링압입개시상태로 나타내는 반절개종단측면도.
도 11은 동 이너링압입지그의 압입작용레버의 전단부를 이너링압입종료상태로 나타내는 반절개종단측면도.
도 12는 이너링압입지그의 압입작용레버지지부측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13은 이너링압입지그의 압입작용레버지지부측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수지제 관이음매의 한 예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도 15는 종래예의 이너링압입지그의 측면도.
도 16은 다른 종래예의 이너링압입지그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이너링압입지그의 측면도, (b)는 이너링압입종료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그보디 2: 관재홀딩부
3: 압입작용레버지지부 14: 수지제 관재
19: 압입작용레버 20: 링홀더
20a: 링홀딩축부 20b: 결합축부
23: 이너링 24: 통부
24a: 통부의 숫나사 25: 플랜지부
26: 홀더블록 27: 저마찰수지제 와셔
28: 스냅링 29: 암나사구멍부
29a: 암나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의 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이너링압입지그는 금속제의 지그보디(1)의 전후방향의 전단측에 관재홀딩부(2)를, 전후방향의 후단측에 압입작용레버지지부(3)를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관재홀딩부(2)는 고정클램프(2a) 및 가동클램프(2b)로 이루어지는 반가르기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2a)는 지그보디(1)의 전후방향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반원형의 클램프홈(4a)을 갖고 있다. 가동클램프(2b)는 반원형의 클램프홈(4b)을 갖고 있으며, 이 가동클램프(2b)의 일측부는 고정클램프(2a)의 일측부에, 상하 양단이 각각 고정클램프(2a) 및 가동클램프(2a)에 핀(5, 6)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원추형접합된 힌지부재(7)를 갖고 원추형지지연결되어 있다. 가동클램프(2b)는 고정클램프(2a)에 대하여 도 2에 실선상태로 나타내는 닫힘자세와, 동일 도면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열림자세에 걸쳐서 힌지부재(7) 주위로 자세전환 자유롭다. 클램프홈(4a, 4b)에는 러버시트 등에 의한 마찰재(8a, 8b)를 붙이고 있다.
또 가동클램프(2b)의 타측부에는 선단에 훅부(9a)를 갖는 록체(9)의 기단부(9b)를 지지축(10) 주위로 상하회전운동 자유롭게 원추형접합하고 있다. 한편 고정클램프(2a)의 타측부에는 선단에 문손잡이(11)를 갖는 짧은 조작레버(12)가 이것의 기단부(12b)를 고정클램프(2a)에 가로로 걸친 편심캠축(13)의 중도부에 일체적으로 삽입결합함으로써 해당 편심캠축(13) 주위에 상하회전운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2a)의 클램프홈(4a)상에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전후방향을 따르는 수평자세로 얹어서 가동클램프(2b)를 서로 닫히고, 록체(9)를 이것의 선단의 훅부(9a)가 편심캠축(13)상에 조작레버(12)의 기단부(12b)와 나란히 형성한 편심캠부(15)의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늘어뜨린 후에 조작레버(12)를 편심캠축(13) 주위로 아랫방향(P)으로 회전운동조작하면 편심캠축(13)이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그 편심캠축(13)과 일체의 편심캠부(15)가 동행회전운동한다. 이 편심캠부(15)의 아랫쪽회전운동에 동반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캠부(15)가 록체(9)의 훅부(9a)에 걸어맞추어져서 해당 록체(9)를 서서히 아랫쪽으로 단단히 조여 가고, 이에 따라 가동클램프(2b)가 닫힘자세, 즉 수지제 관재(14)를 체결고정하는 상태로 록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작레버(12)를 도 4에 나타내는 록상태로부터 윗쪽으로 회전운동조작하면 편심캠부(15)가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록체(9)의 훅부(9a)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록체(9)를 윗쪽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며, 이 록체(9)의 윗쪽회전운동에 의해 가동클램프(2b)가 고정클램프(2a)로부터 윗쪽으로 열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작용레버지지부(3)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성형되어 각나사(Square thread) 등으로 이루어지는 암나사(3a)를 갖고 이루어지고, 이 압입작용레버지지부(3)는 지그보디(1)의 전후방향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링부(16)의 내부에 끼워맞추어져서 스프링핀(17)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압입작용레버지지부(3)에는 그 암나사(3a)에 나사식으로 맞추어지는 숫나사(19a)를 갖는 압입작용레버(19)가 전후방향을 따르는 수평자세로 나사식맞춤끼워통함되어 있다.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에는 링홀더(20)가 구비되고, 압입작용레버(19)의 후단에는 유저(有底)통상 또는 원판상(도시예에서는 유저통상)의 그립(21)이 볼트(22)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홀더(20)는 불소수지 등의 저마찰재료로 성형되고, 이너링(23)을 삽입홀딩할 수 있는 플랜지부착의 링홀딩축부(20a)와, 이 링홀딩축부(20a)의 후단면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설치한 결합축부(20b)를 갖고 이루어진다. 이 링홀더(20)는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부에 공전 자유롭게 연결된다. 그를 위해 홀더블록(26)을 준비한다. 홀더블록(26)은 불소수지 등의 저마찰재료로 성형되고, 외주에 숫나사(24a)를 갖는 통부(24)와, 이 통부(24)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25)를 갖고 이루어진다. 이 홀더블록(26)은 링홀더(20)의 결합축부(20b)에 불소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마찰수지제 와셔(27)를 통하여 공전 자유롭게 끼워통해지는 동시에, 홀더블록(26)의 통부(24)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결합축부(20b)의 후단부에 스냅링(28)을 끼워서 링홀더(20)를 홀더블록(26)으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부착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면중앙부에 설치한 암나사구멍부(29)의 암나사(29a)에 홀더블록(26)의 통부(24)의 숫나사(24a)를 비틀어넣어서 체결한다. 이에 따라 홀더블록(26)이 압입작용지례(19)의 전단에 일체적으로 나사결합되는 동시에, 링홀더(20)가 압입작용레버(19)에 대하여 공전 자유롭게 연결된다. 또 홀더블록(26)의 플랜지부(25)를 잡아서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홀더블록(26)을 링홀더(20)마다 압입작용레버(19)로부터 떼낼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이너링압입지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하여 이너링(23)을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압입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링(23)을 링홀더(20)의 링홀딩축부(20a)에 끼워맞춤홀딩하는 동시에,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관재홀딩부(2)에 홀딩고정한 후에 그립(21)을 잡아서 압입작용레버(19)를 회전조작하여 전진이동시킨다. 압입작용레버(19)의 전진이동에 의해 이너링(23)이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압입되어 간다. 그 때 링홀더(20)는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부의 홀더블록(26)내에서 공전 자유롭기 때문에 이 링홀더(20)상의 이너링(23)은 압입작용레버(19)의 회전을 받는 일 없이 직진하고, 따라서 이너링(23)에 의해 수지제 관재(14)에 비틀림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링(23)의 끼워맞춤부(46)의 전단이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의 단말이 맞닿는 소정 깊이에까지 압입한 시점에서 압입작용레버(19)의 회전조작을 정지하여 압입을 종료한다.
압입종료 후는 그립(21)에 의해 압입작용레버(19)를 역회전조작시켜서 원래의 위치에까지 후퇴시키면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내에 압입일체화되어 있는 이너링(23)으로부터 링홀더(20)를 빼낼 수 있다.
올바른 빼냄순서는 이와 같이 압입작용레버(19)를 후퇴조작시킴으로써 수지제 관재(14)내의 이너링(23)으로부터 링홀더(20)를 빼내는 것인데, 작업자에 따라서 그 조작순서를 잘못하여 압입작용레버(19)를 후퇴시키지 않고 전진상태인 채로 하여 관재홀딩부(2)로부터 수지제 관재(14)를 떼내는 동시에, 수지제 관재(14)를 억지로 회전력을 가하면서 잡아당겨서 링홀더(20)로부터 빼내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도 링홀더(20)는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부의 홀더블록(26)내에서 공전하여 수지제 관재(14)와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수지제 관재(14)에 비틀림변형을 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너링(23)의 압입시에 수지제 관재(14)의 축심과 이너링(23)의 축심이 가능한 한 합치한 상태에서 압입되는 것이 요망되는 것에서 이너링(23)의 내주면과 링홀더(20)의 외주면은 그 사이에 적극 틈이 없는 치수, 즉 대략 동일직경으로 설정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이너링(23)의 압입에 동반하여 링홀더(20)의 외주면에 이너링(23)의 내주면이 강하게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이너링(23)으로부터 링홀더(20)를 강한 힘으로 빼내지 않으면 안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링홀더(20)는 홀더블록(26)에 대하여 스냅링(28)을 통해서 빠짐방지상태로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링홀더(20)가 홀더블록(26)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일이 없어서 이너링(23)으로부터 링홀더(20)를 빼내는 작업성이 우수하다.
대상의 수지제 관재(14)의 관직경이 다른 경우, 그 직경에 맞는 구경의 이너링(23)을 이용하게 된다. 이 경우는 상기와 같이 홀더블록(26)의 플랜지부(25)를 잡아서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홀더블록(26)을 링홀더(20)마다 압입작용레버(19)로부터 떼내고, 소망 구경의 이너링(23) 및 이것을 홀딩하는 데 적합한 링홀더(20)와 교환하면 좋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지그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이너링(23) 및 링홀더(20)를 교환하기만 하면 그 이외의 관재홀딩부(2) 및 압입작용레버지지부(3)를 구비한 지그보디(1), 압입작용레버(19) 및 홀더블록(26) 등 지그의 대부분을 공용할 수 있다.
반도체나 액정 등의 약액공급라인에서 사용되는 이음매류는 오염미소분말의 혼입을 꺼린다. 그 때문에 링홀더(20)는 저마찰수지제 와셔(27)를 통하여 공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너링의 압입작업이 반복하여 실시되어도 링홀더(20)와 홀더블록(26)의 사이에서 마모가루가 발생하는 것을 적극 억제할 수 있다. 또 링홀더(20)와 홀더블록(26)의 양쪽 또는 어느 쪽인가 한쪽을 불소수지 등의 저마찰재료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블록(26)의 내주면과 링홀더(20)의 결합축부(20b)의 외주면의 사이에서의 마모가루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도 8∼도 11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이너링압입지그를 일부 노치상태로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며, 이 이너링압입지그에서는 이너링(23)의 내경이 수지제 관재(14)의 내경보다도 커지는 치수오차가 있는 경우에 이너링(23)을 수지제 관재(14)에 압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직경확대링부재(30)를 병용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확대링부재(30)는 전단부(30a)의 외경이 이너링(23)의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후단부(30b)의 외경이 전단부(30a)의 외경과 동일직경으로 직경축소하는 직경축소상태(도 9 참조)와 전단부(30a)의 외경보다도 크게 직경확대하는 직경확대상태(도 10 참조)에 걸쳐서 탄성확대축소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직경확대링부재(30)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 성형되고, 탄성확대축소변형 가능하게 형성하는 수단으로서직경확대링부재(30)의 둘레벽부의 전후중간부위로부터 복수개의 노치부(31)를 후단에 도달하기까지 형성하고 있다. 한편 링홀더(20)의 링홀딩축부(20a)의 전단에 해당 링홀딩축부(20a)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의 소직경축부(20c)를 테이퍼상의 계단부(20d)를 통하여 연속상으로 형성한다.
이 소직경축부(20c)에 대하여 직경확대링부재(30)가 전진위치와 후퇴위치의 2위치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통해지고, 후단부(30b)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진위치에서 직경축소상태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퇴위치에서 직경확대상태로 각각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경확대링부재(30)의 내주면에 돌기부(32)를 설치하는 한편, 소직경축부(20c)의 외주면에 전진위치정지용의 제 1 홈부(33)와 후퇴위치정지용의 제 2 홈부(34)를 전후에 배치하여 각각 원주방향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제 1 홈부(33)와 제 2 홈부(34)의 사이에 낮은 산형의 돌출부(3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직경확대링부재(3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2)를 제 1 홈부(33)에 걸어맞추는 전진위치에서 후단부(30b)가 노치부(31)를 닫아서 직경축소상태로 변형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32)가 돌출부(35)를 넘어서 제 2 홈부(34)에 걸어맞추어지는 후퇴위치에까지 이동하면 직경확대링부재(30)의 후단부(30b)가 계단부(20d)를 넘어서 링홀딩축부(20a)상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직경확대링부재(30)는 노치부(31)를 열어서 전후방향중간부위로부터 후단부(30b)에 도달함에 따라서 점차 크게 나팔상으로 직경확대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직경확대링부재(30)를 병용하는 점 및 그 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링홀더(20)의 형상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의 이너링압입지그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재, 동일요소에 동일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이너링압입지그를 이용하여 이너링(23)을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압입하는 요령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홀더(20)의 소직경축부(20c)상의 직경확대링부재(30)를 전진위치에 정지홀딩시켜서 그 후단부(30b)를 직경축소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링홀딩축부(20a)에 이너링(23)을 끼워맞춤홀딩한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확대링부재(30)를 후퇴위치에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직경확대링부재(30)를, 노치부(31)를 열어서 후단부(30b)를 직경확대상태로 하여 정지홀딩한다.
이어서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관재홀딩부(2)에 홀딩고정한 후에 그립(21)을 잡아서 압입작용레버(19)를 회전조작하여 전진이동시킨다. 압입작용레버(19)의 전진이동에 의해 직경확대링부재(30)가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진입하여 해당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직경확대하고, 이 직경확대되는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이너링(23)이 압입되어 간다. 따라서 이너링(23)의 외경이 수지제 관재(14)의 내경보다도 커지는 치수오차가 있는 경우도 직경확대링부재(30)에 의한 수지제 관재(14)의 직경확대작용 및 수지제 관재(14)의 이너링(23)으로의 유도작용을 통하여 이너링(23)을 수지제 관재(14)에 스무드하게 압입할 수 있다. 또 압입 전에 미리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를 가열연화하고나서 이너링(23)을 압입한다는 사전가열법을 채택하지 않아도 상온에서의 작업으로 이너링(23)을 압입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압입 후 가열온도가 내려가기까지 관이음매에 접속할 수 없어서 총 작업시간이 길게 걸린다는 사전가열법을 채용하는 경우의 결점은 해소되고, 압입 후 곧바로라도 관이음매에 접속할 수 있어서 총 작업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도 있다.
이너링(23)의 끼워맞춤부(46)의 전단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의 단말이 맞닿는 소정 깊이에까지 압입한 시점에서 압입작용레버(19)의 회전조작을 정지하여 압입을 종료한다. 압입종료 후는 압입작용레버(19)를 역회전시켜서 원래의 위치에까지 후퇴시킴으로써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내에 압입고정되어 있는 이너링(23)의 전단부에서 직경확대링부재(30)가 원래의 전진위치에까지 되밀어지고, 직경확대링부재(30)는 링홀더(20)와 함께 이너링(23)으로부터 빼내어진다.
본 발명은 압입작용레버(19)를 전진, 후퇴조작시킬 때에 각 실시예와 같이 압입작용레버(19)에 숫나사(19a)를 설치하고, 압입작용레버(19)의 후단부에 설치한 그립(21)을 잡아서 조작하는 그립방식에 대신하여 도 12나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방식으로 압입작용레버(19)를 전진, 후퇴조작시키는 타입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레버방식에서는 지그보디(1)의 압입작용레버지지부(3)를 기어박스상으로 형성하고, 이 압입작용레버지지부(3)에 피니언(36)을 내장하는 동시에, 해당 피니언(36)을 축(37) 주위로 회전조작하는 압입조작레버(38)를 전후요동 자유롭게 구비한다. 한편 압입작용레버지지부(3)에 랙(39)을 갖는 압입작용레버(19)를 랙(39)과 피니언(36)이 맞물리도록 끼워통한다.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부에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링(23)을 홀딩하는 링홀더(20)가 공전 자유롭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런 때는 압입조작레버(38)를 전방요동시키면 압입작용레버(19)가 피니언(36)과 랙(39)의 맞물림을 통하여 전진하고, 이 전진동작에 의해 링홀더(20)의 전단에 홀딩된 이너링(23)이 지그보디(1)의 관재홀딩부(2)에 홀딩고정된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압입하는 것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똑같다. 압입 후는 압입조작레버(38)를 후방요동시키면 압입작용레버(19)가 피니언(36) 및 랙(39)을 통하여 후퇴하고, 이 후퇴동작에 의해 링홀더(20)가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압입고정된 이너링(23)으로부터 빼내어지는 것도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똑같다.
도 13에 나타내는 레버방식에서는 지그보디(1)의 압입작용레버지지부(3)를 전후방향으로 긴 통상으로 형성하고, 이 압입작용레버지지부(3)에 압입작용레버(19)를 전후이동 자유롭게 끼워통하는 동시에, 압입작용레버지지부(3)의 일측면에 홈(40)을 전후방향으로 개구한다. 한편 한쌍의 압입조작레버(41, 42)를 원추지지핀(40)을 갖고 X상으로 교차하도록 결합하고, 한쪽의 압입조작레버(41)의 요동기단부를 압입작용레버지지부(3)의 일측면상에 핀(44)으로 원추형접합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압입조작레버(42)의 요동기단부와 압입작용레버(19)를 홈(40)내를 미끄러지는 연결핀(45)으로 연결한다. 그런 때는 한쌍의 압입조작레버(41, 42)를 서로 근접하도록 닫음으로써 압입작용레버(19)를 전진조작시킬 수 있으며, 한쌍의 압입조작레버(41, 42)를 서로 이간하도록 엶으로써 압입작용레버(19)를 후퇴조작시킬 수 있다. 압입작용레버(19)의 전진동작에 의해 압입작용레버(19)의 전단부에 공전 자유롭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홀더(20)에 홀딩되는 이너링(23)이 지그보디(1)의 관재홀딩부(2)에 홀딩고정되는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압입하는 것, 압입작용레버(19)의 후퇴동작에 의해 링홀더(20)가 수지제 관재(14)의 일단부에 압입고정된 이너링(23)으로부터 빼내어지는 것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똑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홀더는 압입작용레버의 전단에 축심 주위로 공전 자유롭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에, 이너링을 수지제 관재에 비틀림을 가하는 일 없이 압입할 수 있으며, 또 1개지그로 구경이 다른 수종 사이즈의 이너링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 압입작용레버의 전단면중앙부에 암나사구멍부를 설치하고, 외주에 숫나사를 갖는 통부와 플랜지부를 갖는 홀더블록을, 링홀더의 후단면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설치한 결합축부에 공전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으로 끼워통하는 동시에, 상기 통부의 숫나사를 상기 암나사구멍부에 비틀어넣음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링홀더는 압입작용레버의 전단으로부터 홀더블록을 통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착탈할 수 있다. 또 링홀더는 이것의 결합축부가 홀더블록의 축방향으로 긴 통부에 끼워통해짐으로써 심흔들림 없이 안정되고 공전 자유롭게 캔틸레버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압입작용레버의 전단에 대하여 링홀더를 공전 자유롭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간단히 부착할 수 있어서 맞붙임성에도 뛰어나다.
또한 링홀더의 후단면과 홀더블록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저마찰수지제 와셔를 개재시킴으로써 링홀더를 원활하게 공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링홀더의 후단면과 홀더블록의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마모가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링홀더 및 홀더블록 중 적어도 한쪽을 저마찰재료로 형성하면 링홀더를 원활하게 공전시킬 수 있으며, 또 링홀더의 결합축부의 외주면과 홀더블록의 통부의 내주면의 사이에서의 마모가루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4)

  1.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에 슬리브상의 이너링을 압입하기 위한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에 있어서,
    지그보디의 전후방향의 전단측에 상기 수지제 관재의 일단부를 수평으로 고정홀딩하는 관재홀딩부가, 그 후단측에 압입작용레버지지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비치되어 있으며,
    전단에 이너링을 끼우고 빼기 가능하게 홀딩할 수 있는 링홀딩축부를 갖는 링홀더를 구비한 압입작용레버가 상기 압입작용레버지지부에 전진, 후퇴조작 자유롭게 끼워통함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링홀더가 상기 압입작용레버의 전단에 축심 주위로 공전 자유롭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작용레버의 전단면중앙부에 암나사구멍부를 설치하고, 상기 링홀더의 후단면중앙부로부터 결합축부를 후방으로 돌출설치하며, 외주에 숫나사를 설치한 통부와, 이 통부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부를 갖는 홀더블록이 상기 링홀더의 결합축부에 공전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으로 끼워통해지는 동시에, 상기 통부의 숫나사가 상기 암나사구멍부에 비틀어넣음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홀더의 후단면과 상기 홀더블록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저마찰수지제 와셔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홀더 및 홀더블록 중 적어도 한쪽이 저마찰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KR10-2001-0056044A 2000-10-16 2001-09-12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KR100401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15228 2000-10-16
JP2000315228A JP3567125B2 (ja) 2000-10-16 2000-10-16 樹脂製管材へのインナーリング圧入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251A KR20020030251A (ko) 2002-04-24
KR100401164B1 true KR100401164B1 (ko) 2003-10-10

Family

ID=1879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44A KR100401164B1 (ko) 2000-10-16 2001-09-12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50119B2 (ko)
EP (1) EP1199138A3 (ko)
JP (1) JP3567125B2 (ko)
KR (1) KR100401164B1 (ko)
TW (1) TW494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2085B1 (en) * 2002-02-12 2008-01-29 Joel Kent Benson Portable hose fitting inserter
US7665718B1 (en) * 2002-02-12 2010-02-23 Joel Kent Benson Hose fitting inserter
US6658711B1 (en) * 2002-02-12 2003-12-09 Joel Kent Benson Hose fitting insertion apparatus
DE202005003450U1 (de) * 2005-03-04 2005-05-19 Klann-Spezial-Werkzeugbau-Gmbh Vorrichtung zum Aus-und Einpressen eines rückseitig geschlossenen Radlagers
US7648122B2 (en) * 2005-08-22 2010-01-19 Labor Saving Systems, Ltd. Line retrieval system and method
US7421768B2 (en) * 2005-08-23 2008-09-09 Chun-Pao Chiang Fuel hose line installation apparatus
US7114229B1 (en) * 2006-01-13 2006-10-03 Shimano Inc. Tube insert installing tool
US7979980B2 (en) * 2007-07-11 2011-07-19 Emerson Electric Co. Tool for powered pressing of cable connectors
US8595928B2 (en) 2007-09-10 2013-12-03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Method for installing a coaxial cable connector onto a cable
US8516696B2 (en) 2007-09-10 2013-08-27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Hydraulic compression tool for installing a coaxi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10819077B2 (en) 2007-09-10 2020-10-27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Compression tool with biasing member
US7908741B2 (en) * 2007-09-10 2011-03-22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Hydraulic compression tool for installing a coaxial cable connector
US8661656B2 (en) 2007-09-10 2014-03-04 John Mezzallingua Associates, LLC Hydraulic compression tool for installing a coaxi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7921549B2 (en) * 2007-09-10 2011-04-12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Tool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nnector to a coaxial cable
ES1066290Y (es) * 2007-09-14 2008-04-01 Ros Ricardo Padilla "aparato para el acoplamiento de un racor en la embocadura de un extremo libre de un conducto tubular".
NO328494B1 (no) * 2007-09-21 2010-03-01 Fmc Kongsberg Subsea As Isolert rorkobling
JP5073628B2 (ja) * 2008-09-25 2012-11-14 三洋機工株式会社 リテーナ・コッタ組付装置及び方法
US8590129B2 (en) * 2011-06-16 2013-11-26 Noel E. Garces Temporary beveled clamping surface casing alignment tool (CAT)
CN102284924A (zh) * 2011-08-12 2011-12-21 汪洲 铝塑管件离合器
GB201120239D0 (en) * 2011-11-23 2012-01-04 Airbus Operations Ltd Aircraft tool
JP5688049B2 (ja) * 2012-05-30 2015-03-25 Ckd株式会社 接続用工具
JP5887422B2 (ja) * 2012-10-30 2016-03-16 Ckd株式会社 流体制御機器マニホールド、マニホールド組立方法、接続用工具
TWI573948B (zh) * 2013-03-13 2017-03-11 Toyox Kk Fixed structure
CN104552146A (zh) * 2014-12-30 2015-04-29 建新赵氏集团有限公司 一种胶管隔离环安装装置
DE102015209821B4 (de) 2015-05-28 2022-08-25 Novopress Gmbh Pressen Und Presswerkzeuge & Co. Kg Verbind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pressen eines Rohrendes mit einem Schiebefitting durch Axialverschiebung, sowie Press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Press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derartigen Verbindungsvorrichtung
US11518114B2 (en) 2019-06-07 2022-12-06 Fit-Lin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ssemble a high purity liquid distribution system
JP7368003B2 (ja) 2021-11-10 2023-10-24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配管接続用挟持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8867A (en) * 1932-03-08 For- inserting couplings in flexible hose
US1094978A (en) * 1913-06-09 1914-04-28 Sherman Mfg Co H B Machin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hose-couplings.
US1393789A (en) * 1920-04-17 1921-10-18 Kellenberger Leonhard Mandrel-press
US2336262A (en) * 1940-10-07 1943-12-07 Krasberg Rudolf Pressing mechanism
US3157112A (en) * 1963-07-03 1964-11-17 John A Truhon Stroke limit means for hand presses
US3858298A (en) * 1972-01-07 1975-01-07 Moore & Co Samuel Swaging apparatus
JPS5733983A (en) 1980-08-05 1982-02-24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Master-slave type servo manipulator
US4785517A (en) * 1987-03-24 1988-11-22 Kabushiki Kaisha Flowell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ipe joint portions
US4835851A (en) * 1988-03-01 1989-06-06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Clamp apparatus for tubular members
FR2654798B1 (fr) * 1989-11-21 1992-02-14 Gaz De France Outil pour la mise en place d'un embout a une extremite d'un tube.
GB2247295B (en) * 1990-08-20 1994-03-09 British Gas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components
DE9102575U1 (ko) * 1991-03-05 1991-05-23 Hewing Gmbh, 4434 Ochtrup, De
EP0530413B1 (en) * 1991-09-03 1995-05-10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Insertion apparatus for pressing a ring into a pipe
JPH0720471A (ja) 1993-06-30 1995-01-24 Kyocera Corp 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5367756A (en) * 1993-12-07 1994-11-29 R. W. Lyall & Company, Inc. Gas meter riser transition field completion tool
JPH11156750A (ja) 1997-11-28 1999-06-15 Washington Hotel Corporation 可撓性ホースへの接続用金具の取付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67125B2 (ja) 2004-09-22
JP2002120165A (ja) 2002-04-23
EP1199138A2 (en) 2002-04-24
EP1199138A3 (en) 2003-09-10
US20020042979A1 (en) 2002-04-18
KR20020030251A (ko) 2002-04-24
TW494200B (en) 2002-07-11
US6550119B2 (en) 200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164B1 (ko) 수지제 관재로의 이너링압입지그
US8303295B2 (en) Expansion tool device for pliers or machine for producing sockets at the ends of pipes made out of plastic or composite material
US6675679B2 (en) Internal gripping pipe wrench
US8037904B2 (en) Anchor mount
JP6468678B2 (ja) 医療用接続構造
KR20010024669A (ko) 작업공구
JP6099800B1 (ja) 管継手構造
JP4580948B2 (ja) 管材クランプ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7972093B2 (en) One-way clutch and a clamping structure for a handled tool using the same
JP3028230B1 (ja) 樹脂製管継手のインナリング圧入治具
US3855882A (en) Bleed wrench
JP2002508493A (ja) 圧力媒体導管の連結装置
GB2457758A (en) Nut Wrench with Extension Member
JP3182690B2 (ja) 樹脂製管材へのインナーリング圧入治具
JPH01234686A (ja) 管継手
US3952394A (en) Valve core extraction tool
JP4216672B2 (ja) ストップリング及びストップリングを備えた流体機器
JP7145091B2 (ja) 接続用工具
DE10056253A1 (de) Reinigungsvorrichtung für Getränkeleitungen
JP2009115153A (ja) チューブ継手の施工治具、および施工方法
JPH0533921U (ja) フレアリング工具
RU11129U1 (ru) Гаечный трещеточный ключ
JP3940112B2 (ja) 管継手
RU11130U1 (ru) Гаечный трещеточный ключ
JP2001170802A (ja) Nc旋盤の主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