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079B1 -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079B1
KR100401079B1 KR10-2000-0067497A KR20000067497A KR100401079B1 KR 100401079 B1 KR100401079 B1 KR 100401079B1 KR 20000067497 A KR20000067497 A KR 20000067497A KR 100401079 B1 KR100401079 B1 KR 10040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hift lever
lever
coupling groove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538A (ko
Inventor
허춘영
Original Assignee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0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팁트로닉 타입(TIPTRONIC TYPE)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프트레버(SHIFT LEVER)(2)의 돌기(30) 및 이와는 베이스 브라켓(BASE BRACKET)(16)의 결합홈(32)을 사이에 두고 있는 잉게이징 레버 (ENGAGING LEVER)(4)의 잠금핀(34)으로 구성하여 오토매틱 모드전환시 돌기(30)가 잠금핀(34)을 눌러 결합홈(32)으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메뉴얼 모드전환시에는 잠금핀(34)이 스프링(36)의 탄발력으로 결합홈(32)에 결합되어 정위치 유지하도록 하고, 시프트레버(2)하부에 고정형성되는 섹터 로케이터(SECTOR LOCATOR)(38)에는 가이드(42)를 통하여 베어링 스핀들(8)에 탄력설치되는 롤러(44)가 구름 접촉토록 하여 모드전환시 상기 롤러(44)가 섹터 로케이터(38)를 옮겨 다니면서 절도감이 부여되게 하며, 메뉴얼 게이트(64)입구에 위치하고 인장스프링(50)과 간격유지용 돌부(52)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가위형 아암(54)(56)과 상기 아암(54) (56)외측에 부설되는 스위치(58)(60)로 메뉴얼모드 스위치(M-MODE S/W)(6)를 구성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오작동없이 유연한 작동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Mode transferring device for tiptronic type ca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메뉴얼 모드를 갖는 팁트로닉 타입(TIPTRONIC TYPE)의 자동차 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는 외국에서는 물론 국내 자동차업계에서도 고급차종에만 적용하고 있는 기술로서, 엑셀페달의 조작없이도 정속주행 및 정속주행상태에서 감,가속이 가능한 편리한 기능을 갖게 되나, 오토매틱 모드(AUTOMATIC MODE) 또는 메뉴얼 모드(MANUAL MODE)전환을 위한 모드전환장치를 살펴보면, 모드전환시 시프트레버(SHIFT LEVER)와 잉게이징 레버(ENGAGING LEVER)의 결합 또는 분리시 오작동 우려가 있고, 시프트레버의 절도감을 얻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절도감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작동이 유연하지 못하며, 메뉴얼 모드에서 전기적 신호를 얻기 위한 스위치 구조가 복잡하고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
도 9는 종래 발명에서 모드전환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로서, 시프트레버 (100)의 메뉴얼 모드 전환시 잉게이징 레버(102)가 갖는 판스프링(104)이 베이스브라켓(106)이 갖는 결합홈에 결합되어 오토매틱 모드전환전까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오토매틱 전환시에는 시프트레버(100)의 좌우 연결편 사이에 잉게이징 레벼(102)의 결합편이 결합되어 일체감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시프트레버(100)가 갖는 돌기(108)가 판스프링(104)을 움직여서 걸림홈(110)로부터 이탈되게 한 구조이나, 판스프링(104)은 걸림홈과의 접촉이 매끄럽지 못해 걸림홈(110)과의 결합 또는 분리과정에서 그 측벽과 접촉할 경우 노이즈가 발생되고 심할 경우 결합이 불가능하여 오작동이 발생된다.
또한 도 10은 종래 발명에서 모드전환시 시프트레버의 절도감을 얻기 위한 일부단면구성도로서, 시프트레버(100)의 일측에 돌출되게 연결형성되는 걸림핀 (112)이 베어링 스핀들(114)에 핀으로 연결되고 또 스프링(116)이 스포팅하는 섹터로케이터(SECTOR LOCATOR)(118)의 돌기부를 사이에 두고 걸림홈을 옮겨 다니면서 절도감을 얻도록 하고 있으나, 조립시 걸림핀(112)을 리벳팅하거나 강제압입하여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까다롭고 이 과정에서 걸림핀의 변형이나 섹터 로케이터(118)의표면거칠기 등으로 인하여 작동시 절도감이 떨어지고 유연한 작동을 기대할 수가 없으며, 걸림핀(112)과 섹터 로케이터(118)는 시프트레버(100)로부터 벗어나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므로 공간활용율과 설계자유도가 낮아지게 된다.
도 11은 종래 발명에서 메뉴얼 모드의 스위치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성도로서, 시프트레버(100)의 메뉴얼모드 전환시 이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각각 돌기부를 갖는 볼트(120)(122)를 스프링(124)(126)에 의해 복원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볼트의 돌기부에 스위치(128)(130)의 작동간이 접촉토록 하여 시프트레버의 업 또는 다운 시프팅시 해당스위치를 작동시켜 주도록 한 것이나, 이 역시 조립시 볼트(120) (122)와 스프링(124)(126)를 차례로 끼워서 시프트레버(100)를 중심으로 등간격을 갖도록 스토퍼(132)(134)로 고절설치해 주어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까다롭고 또 스위치(128)(130)의 작동간은 볼트(120)(122)의 돌기부와의 사이에 큰 유격을 확보해 줄 수가 없어 메뉴얼 모드전환시 시프트레버(100)가 갖는 유격으로 볼트(120)(122)사이에 정위치로 진입하지 않게 되면 스위치(128)(130)를 오작동시키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모드전환시 노이즈 및 오작동 우려가 없고 또 절도감을 얻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할 뿐 아니라 유연한 작동감과 높은 절도감을 얻을 수가 있으며, 메뉴얼모드에서의 스위치 구조가 간단하고 오작동 우려가 없는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 있다.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는 시프트레버의 모드전환시 잉게이징레버가 갖는 잠금핀이 스프링에 의해 시프트레버의 돌기 사이에 갖는 베이스브라켓의 결합홈과 결합되거나 또는 시프트레버의 돌기에 의해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오토매틱 모드전환시까지 잉게이징레버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시프트레버와 이를 연결하는 베어링 스핀들 사이에는 시프트레버에 고정되는 섹터 로케이터와 베어링 스핀들에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는 가이드를 결합수단으로 하는 롤러를 갖도록 하여 상기 롤러가 섹터로케이터의 돌부를 사이에 두고 있는 결합홈을 옮겨 다니면서 절도감을 얻도록 하며, 메뉴얼모드 스위치부는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되고 또 간격유지용 돌부에 의해 벌어져 있는 가위형 아암과 상기 아암 외측에 부설되는 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발명을 일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을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 : 본 발명 시프트레버의 오토매틱 모드전환시의 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시프트레버의 메뉴얼모드전환시의 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일부정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시프트레버의 단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 메뉴얼모드스위치의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 메뉴얼모드스위치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9 : 종래 발명의 오토매틱 모드전환시의 단면구성도.
도 10 : 종래 발명에서 절도감을 얻기 위한 부분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11 : 종래 발명의 메뉴얼모드에서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시프트레버(SHIFT LEVER) (4)--잉케이징 레버(ENGAGING LEVER)
(6)--메뉴얼모드스위치(M-MODE S/W) (8)--베어링 스핀들
(10)--메뉴얼 컨텍터 스위치(M-CONTACT S/W)
(12)--연결편 (14)--결합편
(16)--베이스 브라켓 (18)--디텐트 스프링(DETENT SPRING)
(20)--글로브(GROOVER) (22)(36)(40)--스프링
(24)--버턴 (26)--로드
(28)--디텐트핀(DETENT-PIN) (30)--돌기
(32)--결합홈 (34)--잠금핀
(38)--섹터 로케이터(SECTOR LOCATOR)
(42)--가이드 (44)--롤러
(48)--핀볼트 (50)--인장스프링
(52)--돌부 (54)(56)--아암
(58)(60)--스위치 (62)--셀렉터 게이트(SELECT GATE)
(64)--메뉴얼 게이트(MANUAL GATE) (66)--완충링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 팁트로닉 타입(TIPTORNIC TYPE)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는 시프트레버(SHIFT LEVER)(2)의 오토매틱 전환시까지 잉게이징레버(ENGAGING LEVER)(4)의 정위치를 유지하는 오작동방지부와, 모드전환시 절도감을 얻기 위한 모드전환부와, 메뉴얼모드(MANUAL MODE)에서 업(UP) 또는 다운시프팅(DOWN SHIFTING)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메뉴얼모드 스위치(MANUAL MODE S/W)(6)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시프트레버의 모드전환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로서, 시프트레버(2)는 베어링 스핀들(8)에 이와 직각된 방향으로 회전가능케 연결하여 메뉴얼모드 전환시 멀티컨텍터 스위치(M-CONTACT S/W)(10)를 온(ON)시키고, 오토매틱모드(AUTOMATIC MODE) 전환시에는 그 일측 전후의 연결편(12) 사이에 잉게이징 레버(4)의 결합편(14)이 결합되어 오토매틱 케이블의 스트록(STROKE)을 형성한다.
또한 오토매틱 시프팅시 베이스 브라켓(16)의 디텐트 스프링(DETENT SPRING)(18)이 갖는 롤러는 상기 잉게이징 레버(4)가 갖는 글로브(GROOVE)(20)를 옮겨 다니면서 변속을 위한 절도감을 형성하며, 스프링(22)이 스포팅하고 손잡이의 버턴(24)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로드(26)의 핀(28)이 베이스 브라켓(16)의 걸림홈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선택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시프트레버(2)의 오토매틱 모드전환시 상기 시프트레버(2)가 갖는 돌기(30)와 마주하는 잉게이징 레버(4)에는 베이스 브라켓(16)의 결합홈(32)을 사이에 두고 머리부를 갖는 잠금핀(34)을 스프링(36)으로 탄력있게 연결설치한다.
상기 잠금핀(34)은 메뉴얼모드 전환시 시프트레버(2)의 돌기(30)로부터 자유로워지면 그 머리부는 베이스 브라켓(16)의 결합홈(32)에 결합되고, 오토매틱 모드 전환시에는 돌기(30)에 의한 후퇴로 결합홈(3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상기 결합홈(32)은 오토매틱 시프팅 방향으로 잠금핀(34)의 머리부 직경보다 작은 개방부를 갖도록 하여 오토매틱 시프팅시 잠금핀(34)을 누르고 있는 시프트레버(2)의 돌기 (30)가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잠금핀(34)의 머리부나 베이스 브라켓(16)의 결합홈(32)은 가급적 경사지게 형성하여 결합시 경사면의 안내로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시프트레버의 단면구성도로서, 시프트레버(2)의 로드(26) 하부에는 섹터 로케이터(SECTOR LOCATOR)(38)를 고정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베어링 스핀들(8)에는 스프링(40)이 스포팅하고 또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42)를 결합수단으로 하는 롤러(44)를 설치하여 상기 롤러(44)가 섹터 로케이터(38)와 구름접촉토록 한다.
다만 상기에 있어, 섹터 로케이터(38)는 시프트레버(2)의 모드전환시 롤러(44)가 돌부를 사이에 두고 있는 좌우걸림홈을 옮겨 다니면서 절도감을 얻도록 한 구조이면 만족하나, 공간확보를 위하여 로드(26)의 안내 및 상기 로드(26)를 스포팅하는 스프링(22)의 지지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메뉴얼모드에서의 메뉴얼모드스위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로서, 메뉴얼모드스위치(6)는 가위형으로서 핀볼트(48)로 결합되고 또 연장부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50)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돌출형성된 돌부(52)에 의해 상시 적정간격 유지하는 두개의 아암(54)(56)과, 상기 아암(54)(56) 외측에 부설되는 스위치 (58)(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오토매틱 모드에서의 시프트레버(2)는 그 일측 전후에 갖는 연결편(12) 사이에 잉게이징레버(4)가 갖는 결합편(14)이 결합되어 오토매틱 시프팅방향으로 일체감을 갖게 되며, 이와 동시에 그 하부에 갖는 돌기(30)가 잠금핀(34)을 눌러서 그 머리부가 베이스 브라켓(16)의 결합홈(32)으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이때 잠금핀(34)을 누르고 있는 돌기(30)는 시프트레버(2)가 오토매틱모드에 머물고 있는 동안 누름이 지속되며, 오토매틱 시프팅 시에는 상기 돌기(30)는 결합홈(32)이 갖는 개방부를 통하여 잠금핀의 누름상태에서 간섭없이 드나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뉴얼모드에서의 시프트레버(2)는 도 4에서와 같이 시프트레버(2)가 오토매틱 게이트(6)로부터 셀렉터 게이트(62)를 통하여 메뉴얼 게이트(64)에 진입하게 되면 베어링 스핀들(8)로부터의 경사각에 의해 잉게이징 레버(4)의 잠금핀 (34)은 돌기(30)로부터 자유로워져 스프링(36)의 탄발력으로 복귀하게 되며, 복귀시 그 머리부는 베이스 브라켓(16)의 결합홈(32) 내에 진입하게 되므로 잉게이징 레버(4)는 오토매틱 시프팅방향으로는 움직임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모드 전환시 시프트레버(2)는 도 6에서와 같이 오토매틱 모드에서 베어링 스핀들(8)이 갖는 롤러(44)가 시프트레버(2)의 섹터 로케이터(38)를 구성하는 돌부(52)를 일측에 두고 타측 걸림홈과 걸림이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시프트레버 (2)를 메뉴얼모드로 전환시켜 주게 되면 상기 시프트레버(2)는 연결핀을 축으로 회전하고 또 롤러(44)는 섹터 로케이터(38)의 돌부를 타고 넘어 일측 걸림홈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롤러(44)가 돌부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절도감을 얻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절도감을 얻기 위한 섹터 로케이터(38)와 가이드(42) 및 롤러(44)는 시프트레버(2)와 베어링 스핀들(8)의 연결부 내에 위치하게 되는 바, 별도의 설치공간을 요하지 않는다.
한편 시프트레버(2)의 메뉴얼모드 전환시 상기 시프트레버(2)는 완충링(66)을 갖는 부분이 돌부(52)에 의해 적정간격을 유지하는 메뉴얼모드 스위치(6)의 가위형 아암(54)(56) 사이에 진입함과 동시에 메뉴얼 컨텍터 스위치(10)를 온(ON)시키게 된다.
이러한 메뉴얼 모드 상태에서 업(UP) 또는 다운(DOWN) 시프팅시에는 도 8에서와 같이 해당방향의 아암(54)은 핀볼트(48)를 축으로 회전하여 인장스프링(50)이 늘어나게 되고, 이때 회전된 아암은 해당방향에 부설된 스위치(58)의 작동간을 작동시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시프팅 해제시에는 인장스프링(50)에 의해 중립으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 전환장치에 따르면, 모드전환시 잉게이징레버(4)에 설치된 잠금핀(34)이 베이스 브라켓(16)의 결합홈(32)과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한 구조로서, 잠금핀(34)의 작동시 노이즈나 오작동 우려가 전혀 없고 절도감을 얻기 위한 구조는 시프트레버(2)가 갖는 섹터 로케이터(38)와 베어링 스핀들(8)이 갖는 가이드(42) 및 롤러(44)로 구성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치 않아 공간활용률과 설계자유도가 높고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과정에서의 변형우려가 없고 롤러(44)에 의한 매끄러운 구름접촉으로 인하여 작동이 유연하고 높은 절도감을 얻을 수가 있으며, 메뉴얼 모드에서의 메뉴얼모드 스위치(6)는 인장스프링(50)이 탄력지지하는 아암(54)(56)과 스위치(58)(60)로 구성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메뉴얼모드 전환시 오작동을 방지해 줄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잉게이징레버(4)는 시프트레버(2)의 오토매틱 전환시까지 정위치를 유지하고 모드전환시 절도감을 갖게 되며 메뉴얼 모드에서 시프트레버 (2)의 업.다운 시프팅시 해당스위치를 작동시켜 전기적 신호를 얻도록 한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 전환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브라켓(16)이 갖는 결합홈(32)을 사이에 두고 시프트레버(2)가 갖는 돌기(30)와 잉게이징레버 (4)에 탄력설치되는 잠금핀(34)이 마주하도록 하여 잠금핀(34)이 자체 반발력으로 결합홈(32)에 결합되면 잉게이징레버(4)를 지지하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되고, 시프트레버(2)의 돌기(30)가 결합홈(32)에 진입하여 잠금핀(34)이 결합홈(32)으로부터 이탈하게되면 오토매틱모드로 전환되게 하며, 시프트레버(2)가 갖는 섹터로케이터 (38)는 베어링스핀들(8)에 탄력설치되는 롤러(44)와의 구름접촉으로 절도감을 갖도록 하고, 메뉴얼게이트(64) 입구에 연결부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50)과 간격유지용 돌부(52)에 의해 일정간격 유지하는 가위형 아암(54)(56)과 아암(54)(56) 외측에 부설되는 스위치(58)(60)로 메뉴얼모드스위치(6)를 구성하여서 된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변속기용 모드 전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0-0067497A 2000-11-14 2000-11-14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 KR10040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497A KR100401079B1 (ko) 2000-11-14 2000-11-14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497A KR100401079B1 (ko) 2000-11-14 2000-11-14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538A KR20020037538A (ko) 2002-05-22
KR100401079B1 true KR100401079B1 (ko) 2003-10-10

Family

ID=1969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497A KR100401079B1 (ko) 2000-11-14 2000-11-14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716B1 (ko) * 2002-01-02 2004-12-08 삼립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팁트로닉 타입 변속레버장치
US9169918B2 (en) 2011-07-29 2015-10-27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control shift leve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44B1 (ko) * 2004-06-21 2006-12-05 동원산업 주식회사 수동기능을 갖는 자동변속기의 오토레버및 스위치구동장치
KR101459957B1 (ko) 2013-10-11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9322A (en) * 1994-06-02 1996-04-23 Chrysler Corporatio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791197A (en) * 1996-07-24 1998-08-1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Automatic transmission shifter with manual shift mode
JPH11321368A (ja) * 1998-05-20 1999-11-24 Nissan Motor Co Ltd 変速操作装置
KR20000023364A (ko) * 1998-09-26 2000-04-25 주르겐 헤르만 스프링용 카운터 베어링
KR20010061163A (ko) * 1999-12-28 2001-07-07 이계안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 쉬프트 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9322A (en) * 1994-06-02 1996-04-23 Chrysler Corporatio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791197A (en) * 1996-07-24 1998-08-1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Automatic transmission shifter with manual shift mode
JPH11321368A (ja) * 1998-05-20 1999-11-24 Nissan Motor Co Ltd 変速操作装置
KR20000023364A (ko) * 1998-09-26 2000-04-25 주르겐 헤르만 스프링용 카운터 베어링
KR20010061163A (ko) * 1999-12-28 2001-07-07 이계안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 쉬프트 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716B1 (ko) * 2002-01-02 2004-12-08 삼립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팁트로닉 타입 변속레버장치
US9169918B2 (en) 2011-07-29 2015-10-27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control shift lev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538A (ko)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121B1 (ko)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KR101394678B1 (ko) 변속 레버 복귀 방식 작동 장치
US3766342A (en) Switch responsive to brake pedal movement
EP1074767A1 (en) An operation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6536299B2 (en) Shift switch-actuating mechanism for dual mode shift lever unit
KR100401079B1 (ko) 팁트로닉 타입의 자동차 자동변속기용 모드전환장치
CA1160266A (en) Vehicle turn signal switch actuator
US20050160859A1 (en) Device to switch over a mechanical shifting means
US3287513A (en) Roller detent mechanism for control apparatus
KR20060103225A (ko) 회로 유닛 장치
EP0556911B1 (en) Mechanical locking for contactor banks
KR20020052282A (ko) 자동차의 자동변속레버 시프트 록 및 키 인터록 캠역전방지장치
KR10043998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JP3683626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970001804B1 (ko) 자동변속기의 파킹해제용 스위치장치
JP2584270Y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ロック装置
KR200199620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후진 램프 스위치
KR100241377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크랭크 레버 로킹장치
JPH1122822A (ja) 順次操作式変速機用のシフト装置
KR100213167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 변속감 구조
KR100283322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US5914469A (en) Steering column switch
KR960003198Y1 (ko) 위치변환을 위한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 조작장치
KR100440351B1 (ko) 칼럼at용시프트레버장치의시프트록기구
JP2938137B2 (ja) 車両用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操作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