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724B1 - 클램프펄스발생회로 - Google Patents

클램프펄스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724B1
KR100398724B1 KR1019960000350A KR19960000350A KR100398724B1 KR 100398724 B1 KR100398724 B1 KR 100398724B1 KR 1019960000350 A KR1019960000350 A KR 1019960000350A KR 19960000350 A KR19960000350 A KR 19960000350A KR 100398724 B1 KR100398724 B1 KR 100398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transistor
circuit
input
sy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639A (ko
Inventor
세이찌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04N5/18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 H04N5/185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for the black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외부의 동기펄스가 입력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동기결정회로와,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독점OR회로, 절환스위치, 펄스폭 검출회로와, 동기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된 외부동기펄스의 전방에지 및 후방에지에서 클램프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회로와를 포함하는 클램프펄스발생회로로서, 이는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될 때에는 선택스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출력하고,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외부동기펄스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선택하고 출력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본 발명은 클램프펄스발생회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영상신호내의 휘도신호의 페디스틀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클램프펄스를 발생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DC성분은 전기용량의 커플링증폭회로에서 손실되고 컬러화상의 컬러가 영상신호 처리회로에서 제대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페디스틀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기 위하여 휘도신호의 페디스틀레벨이 클램프펄스에 의해 클램프되는 페디스틀클램프가 전기용량의 커플링에 의해 손실되는 DC성분을 재생하기 위해 수행된다.
페디스틀 클램프에 사용되는 클램프펄스를 생성하는 회로가 일반적으로 수평 동기펄스보다 약간 지연된 타이밍에서 펄스를 발생하도록 적용되어 왔다.
상술한 구조의 클램프펄스 발생회로를 사용하는 페디스틀 클램프회로에서는 페디스틀레벨이 제 1도에 도시된 영상신호(1)의 수평 공백기간(2)에서 백포치(back porch)(6)에 클램프되어 있다. 이는 클램프펄스가 수평 동기펄스 보다도 늦은 타이밍에서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컴퓨터디스플레이 등의 분야에서는 해상도의 증가에 따라 수평 주파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수평 주파수가 증가하면 백포치부분(6)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클램프펄스의 펄스폭은 좁아야 한다.
따라서 클램프펄스 발생회로에서 클램프펄스의 파형을 무디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출력단계에서의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져야 하기 때문에 클램프펄스의 펄스폭이 좁아지면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반면에 클램프펄스의 무뎌진 파형이 페디스틀 클램프회로에 입력되었을 때는 정확한 페디스틀레벨이 홀드될 수 없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페디스틀 클램프가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동기펄스에 대해 클램프펄스를 발생할 시에 원하는 펄스폭을 갖는 클램프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클램프펄스 발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클램프펄스 발생회로는 외부동기펄스를 입력하기 위한 동기 입력단자와,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동기 결정수단과,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영상입력단자와, 영상신호의 입력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한 영상결정수단과, 동기결정수단의 결정결과가 입력되는 외부동기펄스가존재한다고 나타내면 외부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시키고 영상결정수단의 결정결과가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존재한다고 나타내면 상기 동기결정수단의 결정결과에는 상관없이 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크램프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발생수단과, 펄스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클램프펄스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클램프펄스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펄스 발생회로에서는, 외부동기펄스가 동기 입력단자에 입력될 때는 동기결정수단이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었다고 결정한다. 그다음, 펄스발생수단은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었다는 결정결과를 수신하면 외부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시킨다. 반면에 영상결정수단은 영상입력단자에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다고 결정한다. 그다음 펄스생성수단은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다는 결정결과가 수신되면 영상신호중의 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시킨다.
특별한 경우로서는 외부동기펄스와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또한 펄스발생수단은 영상결정수단이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다고 결정함에 따라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과 다른 목적들과 효용 장점등이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수반하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들어 컴퓨터디스플레이에 적용된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컴퓨터디스플레이는 외부접속단자로서 R(적색), C(녹색), B(파랑)의 각 채널을 갖추고 있고, 동기펄스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종류의 패턴이 있다.
모드 (1) : 외부 수평동기펄스 및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
모드 (2) : 외부 복합동기펄스 및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
모드 (3) : 외부 수평동기펄스
모드 (4) : 외부 복합동기펄스
모드 (5) :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
상기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란 G채널에만 동기신호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말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클램프펄스 발생회로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면에서, 외부 수평동기펄스(H) 또는 수평동기펄스 및 수직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외부 복합동기펄스(CS)중 하나가 AC결합융콘덴서(12)를 거쳐 동기입력단자(11)에 외부동기펄스로서 입력된다. 또한 수평동기펄스와 수직동기펄스와 같은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복합 영상신호가 AC결합용콘덴서(14)를 경유하여 영상입력단자(13)에 입력된다. 복합 영상신호로서 상기의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가 입력된다. 동기입력단자(11)에 입력되는 외부 수평동기펄스(H)나 외부 복합동기펄스(CP)는 동기 분리회로(15)로 인가되고, 여기서 소정의 슬라이싱(slicing)레벨을 가지게 함으로써 동기신호를 분리한다. 동기 분리회로(15)에서 분리된 수평동기펄스는 극성결정회로(16)를 거쳐 동기결정회로(17)로 인가되고 또한 독점OR회로(18)나 절환스위치(19) 중 한쪽으로 입력된다.
콘덴서(21)가 그라운드에서 외부접속단자(20)를 통하여 극성결정회로(16)에 접속되어 있다. 극성결정회로(16)는 수평동기펄스의 극성이 양성인지 음성인지를 결정하고 음의 극성펄스를 양의 극성펄스로서 출력한다. 콘덴서(23)는 그라운드에서 외부접속단자(22)를 통하여 동기결정회로(17)에 접속되어 있다. 동기결정회로(17)는 콘덴서(23)로 피크홀드(peak hold)회로를 합성함으로써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었을 때는 "H"레벨을,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는 "L"레벨의 결정결과를 출력한다. 이 결정결과는 절환스위치(19, 24)의 전환제어신호가 된다.
반면에 영상입력단자(13)에 입력된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는 동기분리회로(25로 인가된다. 동기분리회로(25)는 소정의 슬라이싱레벨을 가짐으로써 동기신호를 분리한다. 동기분리회로(25)에 의해 분리된 수평동기펄스는 독점OR회로(18)나 절환스위치(19)의 다른 한쪽으로 입력된다. 독점OR회로(18)의 출력은 절환스위치(24)의 일측의 입력이 된다. 절환스위치(24)는 다른측 입력으로서 그라운드(GND)레벨을 수신한다. 절환스위치(19, 24)는 동기결정회로(17)의 결정출력에 의해 제어된다.
즉, 동기결정회로(17)가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된다"고 결정하면, 절환스위치(19)는 동기분리회로(15)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펄스를 선택하고 절환스위치(24)는 독점OR회로(18)의 출력을 각각 선택한다. 그리고 동기결정회로(17)가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절환스위치(19)는 동기분리회로(25)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펄스를 선택하고 절환스위치(24)는 그라운드레벨을 각각 선택한다. 절환스위치(19)의 선택출력은 펄스발생회로(26) 및 HD발생회로(27)로 인가된다. 절환스위치(24)의 선택출력은 펄스폭 검출회로(28)로 인가된다.
수평동기펄스가 입력될때, 펄스발생회로(26)는 그들의 전방에지에 소정의 펄스폭을 가지는 클램프펄스와 후방에지에 소정의 펄스폭을 가지는 클램프펄스를 발생한다. 이의 구체적인 회로구조는 후에 설명될 것이다. 이들 두 클램프 펄스들은 절환스위치(29)의 두 입력이 된다. 절환스위치(29)는 저항기(R)를 거쳐 공급되는 펄스폭검출회로(28)의 검출 출력에 따라 클램프펄스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제어신호가 제어입력단자(3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될 때, 그것은 펄스폭검출회로(28)의 검출 출력과는 무관하게 제어신호가 "H"레벨에 있을 때는 수평동기펄스와 전방에지에 있는 클램프펄스를 선택도록 하고, "L"레벨일 때는 후방에지에 있는 클램프펄스를 선택하도록 한다.
수평공백구간과 수평동기구간 사이의 차이는 그 차이가 가장 좁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약 600 ns이기 때문에, 펄스폭검출회로(28)는 입력펄스의 펄스폭이 구간들의 차에 해당하는 시간보다 넓은 때는 "H"레벨 검출출력을 그 보다 좁을 때는 "L"레벨 출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환스위치(29)에 의해 선택된 클램프펄스는 버퍼(31)를 경유하여 CPL출력단자(32)로부터 밖으로 인출된다. 반면에 HD발생회로(27)는 입력 수평동기펄스에 의거해서 HD펄스를 발생한다. HD펄스는 HD출력단자(33)로부터 밖으로 인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독점OR회로(18)와, 절환스위치(24)와, 펄스폭 검출회로(28)가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결정수단을 구성한다.
영상결정수단의 회로의 작동에 대한 설명이 제 3도에 도시된 각 입력패턴의 파형도를 기초로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상술의 동기입력모드(3), (4)의 경우에는 동기펄스를 갖지 않는 그린영상신호와 외부 수평동기펄스(H) 또는 외부 복합 동기펄스(CS)가 컴퓨터 디스플레이어에 입력된다.
이 경우, 제 3도에서 패턴①로 나타난 바와같이, 영상입력의 수평공백구간내의 신호와 수평동기펄스가 독점OR회로(18)의 두 입력들이 되고, 이들 두 입력들의 논리는 수평공백구간과 수평동기구간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불일치한다. 따라서, 이들 섹션의 차에 해당하는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신호가 독점OR회로(18)로부터 출력되고 절환스위치(24)를 통하여 펄스폭검출회로(28)에 입력된다. 이 입력펄스의 펄스폭은 상기의 이유에서 600 ns 보다 크다. 따라서 펄스폭검출회로(28)는 외부동기펄스와 함께 입력되는 그린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H"레벨 검출출력을 발생한다.
그다음 모드(1), (2)의 경우는,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와, 외부 수평동기펄스(H)나 외부 복합 동기펄스(CS)중 하나가 모두 입력된다. 이 경우, 제 3도에 패턴②로 도시된 바와같이, 독점OR회로(18)의 두 입력은 모두 수평 동기펄스이고 두 입력들의 논리는 완전히 서로 일치하고 따라서 독점OR회로(18)로부터 "L"레벨신호가 출력되고 절환스위치(24)를 거쳐서 펄스폭검출회로(28)에 입력된다. 이때, 펄스폭은 제로이다. 따라서 펄스폭검출회로(28)는 외부동기펄스와 함께 입력된 그린 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L"레벨 검출출력을 발생한다.
모드 (5)에서,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만이 입력되기 때문에, 제 3도에 패턴③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독점OR회로(18)의 두 입력들의 논리는 수평동기구간에서 불일치하고, 독점OR회로(]8)는 "H"레벨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이때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절환스위치(24)는 동기결정회로(17)의 결정결과로부터 그라운드레벨을 선택하고 이를 펄스폭 검출회로(28)에 입력한다. 따라서, 펄스폭 검출회로(28)는 영상입력단자(13)로 입력되는 그린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L"레벨 검출출력을 발생한다.
상기 작동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독점OR회로(18)와, 절환스위치(24)와, 펄스폭 검출회로(28)를 포함하는 영상결정수단이, 외부 수평 동기펄스(H)나 외부 복합동기펄스(CS)가 입력되었는지와는 상관없이,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가 영상입력단자(13)에 실제로 입력된 때는 입력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첨언하면, 동기펄스를 전혀 가지지 않는 약 0.3V의 제 4도 (A)에 도시된 백의 영상신호와 동기펄스를 가지고 거의 같은 수평동기구간과 수평 공백구간을 가지는 제 4도 (B)에 도시된 전흑 영상신호는 서로 아주 근사하게 닮았기 때문에, 아나로그 신호처리로 두 신호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고 제 4도 (A)에 도시된 영상신호가 동기신호를 가지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동기펄스를 가지는 영상신호로 잘못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수평 공백구간과 수평 동기구간 사이의 차를 알려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영상결정수단은 구간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동기펄스를 전혀 가지지 않는 약 0.3V의 제 4도 (A)에 도시된 백의 영상신호와 동기펄스를 가지고 거의 같은 수평 동기구간과 수평 공백구간을 가지는 제 4도 (B)에 도시된 전흑의 영상신호가 실수없이 결정될 수 있고, 제 4도 (A)의 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가지는 영상신호로 잘못 결정될 수 없다.
특별한 패턴으로서, 수평 공백구간이 흑레벨인 영상신호가 외부 수평동기펄스(H)나 외부 복합동기펄스(CS)와 함께 입력되는 패턴(제 3도에서 패턴④)이 있다. 이 경우 독점OR회로(18)의 두 입력들의 논리가 서로 불일치하기 때문에, 수평 동기펄스와 같은 펄스폭을 가지는 신호가 독점OR회로(18)로부터 출력되고 절환스위치(24)를 거쳐서 펄스폭검출회로(28)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펄스폭검출회로(28)는 외부동기펄스와 함께 입력된 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H"레벨 검출출력을 발생한다.
또한 제 5도 (B)에 도시된 외부 수평동기펄스(H)나 외부 복합동기펄스가 제 5도(A)에 도시된 그린영상신호의 수평 공백기간을 넘는 타이밍에 입력되는 또다른 패턴(제 3도에서 패턴⑤)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독점OR회로(18)의 두 입력의 논리가 부분적으로 불일치하기 때문에 불일치기간에 독점OR회로(18)로부터 "H"레벨신호가 출력되고 이는 절환스위치(24)를 거쳐 펄스폭검출회로(28)에 입력된다. 입력펄스의 펼스폭이 600 ns 보다 크기 때문에 펄스폭검출회로(28)는 외부동기펄스와 함께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가지지 않음을 나타내는 "H"레벨의 검출결과를 발생한다.
다음은, 상술과 같은 구조의 회로의 작동을 제 6도 (A)∼(C)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먼저, 외부 수평동기펄스(H)나 외부 복합동기펄스(CS)가 동기입력으로 입력단자(11)에 입력되는 모드가 설명될 것이다. 이 모드는 상기 컴퓨터 디스플레이에서 동기 입력모드(3), (4)에 해당한다. 모드(3), (4)에서, 동기결정회로(17)는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된다"고 결정하고, "H"레벨의 결정출력이 절환스위치(19, 24)에 인가된다. 이에의해 절환스위치(19)는 동기분리회로(15)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동기펄스를 선택하고 이를 펄스발생회로(26)로 공급한다.
그다음 펄스발생회로(26)는 제 6도 (C)에 도시되듯이 후방에지(트레일링에지)에 펄스폭(t2)을 가지는 클램프펄스 뿐만아니라, 제 6도 (A)에 도시된 입력되는 수평 동기펄스의 전방에지(리딩에지)에 제 6도 (B)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폭(t1)을 가지는 클램프펄스를 발생한다. 이때, 독점OR회로(18)의 두입력의 패턴이 제 3도에서의 패턴①이기 때문에, 외부동기펄스와 함께 입력된 그린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H"레벨신호가 펄스폭검출회로(28)로부터 출력된다. 이에 의해, 절환스위치(29)는 제 6도 (B)에서 전방에지에 펄스폭(tl)을 가지는 클램프펄스를 선택하고 그것을 버퍼(31)와 CPL출력단자(32)를 거쳐서 외부로 출력한다.
외부동기펄스가 모드(3), (4)의 경우와 같이 입력될 때에는, 제 6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함으로써 제 6도 (B)에 도시된 이 클램프펄스에 의해 컬러영상신호의 페디스틀레벨을 클램프할 때의, 제 6도 (B)의 클램프펄스의 타이밍발생으로부터 영상구간까지에는 충분한 여유가 있기 때문에, 제6도 (B)의 클램프펄스의 펄스폭(t1)이 충분히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 6도 (B)의 클램프펄스의 펄스폭(t1)을 넓게 설정함으로써 페디스틀레벨이 정확하게 페디스틀클램프에 홀드할 수 있다.
다음에,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가 동기입력으로서 영상입력단자(13)에 입력되는 모드(5)의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모드(5)의 경우에는, 외부동기펄스가 동기입력단자(11)에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동기결정회로(17)는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절환스위치(19, 24)에 "L"레벨 결정출력을 공급한다. 이에의해 절환스위치(19)는 동기분리회로(25)로부터 수평 동기펄스출력을 선택하여 이를 펄스발생회로(26)에 공급한다. 그다음 펄스발생회로(26)는 모드(3), (4)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제 6도 (A)에 도시된 수평 동기펄스의 전방 및 후방에지에 제 6도 (B)와 (C)에 도시된 클램프펄스를 발생한다.
독점OR회로(18)의 두 입력의 패턴이 제 3도에서의 패턴③이기 때문에, 외부동기펄스와 함께 입력되는 그린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L"레벨신호가 펄스폭검출회로(28)로부터 출력된다. 이에 의해 절환스위치(29)는 후방에지에서 펄스폭(t2)을 갖는 제 6도 (C)의 클램프펄스를 선택하고, 이를 버퍼(31)와 CLP출력단자(32)를 거쳐 외부로 출력한다. 제 6도 (C)의 이 클램프펄스는 제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상신호의 백포치(back porch)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백포치부분의 구간이 좁기 때문에 제 6도 (C)의 클램프펄스의 펄스폭(t2)이 제 7도에서 파선(t2')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과도하게 넓게 설정되면, 페디스틀클램프시 영상신호부분의 레벨도 홀드하게 된다. 따라서 제 6도 (C)의 클램프펄스의 펄스폭(t2)이 제한되게 된다.
상술한 모드(3), (4), (5)가 일반적인 모드인데 대하여, 특수한 모드로서 외부동기펄스 및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모드(1), (2)가 있다. 이 특수모드(1),(2)의 경우에는 동기입력단자(11)에 외부 수평동기펄스(H) 또는 외부복합동기펄스(CS)가 입력되기 때문에, 동기결정회로(17)는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었음" 이라고 판별하고, "H" 레벨의 결정출력을 절환스위치(19, 24)에 공급한다. 이에의해 절환스위치(19)는 동기분리회로(15)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펄스를 선택하여 펄스발생회로(26)에 공급한다. 이것은 모드(3), (4)의 경우와 같으며, 펄스발생회로(26)는 제 6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전방 및 후방의 에지에 제 6도 (B)와 (C)의 클램프펄스를 발생한다.
여기서 이 특수모드(1), (2)일 때에, 모드(3), (4)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 6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제 6도 (B)의 클램프펄스를 선택한 경우를 고려한다. 특수모드(1), (2)의 경우에는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영상신호의 G채널에만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제 6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발생된 제 6도 (B)의 클램프펄스가 이용될 때 수평동기펄스의 구간에서 페디스틀클램프가 행하여진다. 그렇게하면 R, G, B중 G채널만 이상하게 취도가 높아지고 영상이 그린이 강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 경우의 독점OR회로(18)의 두입력의 패턴은 제 3도의 패턴②이기 때문에, 펄스폭검출회로(28)로부터는 외부동기펄스와 함께 입력된 그린영상신호가동기펄스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L" 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의해 절환스위치(29)는 제 6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후측에지에 제 6도 (C)의 클램프펄스를 선택한다. 즉, 이 특수모드(1), (2)에서는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어 있어도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의 입력있음을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제 6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후방에치에 제 6도 (C)의 클램프펄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의해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의 입력시에 수평동기펄스의 구간에서 페디스틀클램프가 행하여지지는 않고, 상술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동기입력으로서 외부동기펄스만이 입력되는 모드 (3), (4)의 경우에는, 제 6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앞측에지에 제 6도 (B)의 클램프펄스가 발생되고, 그 발생타이밍에서 영상구간까지는 충분히 여유가 있기 때문에, 제 6도 (B)의 클램프펄스의 펄스폭은 소망의 펄스폭의 어떤 것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6도 (B))의 클램프펄스의 펄스폭이 동기 입력모드로서 모드(3), (4)를 채택함으로써 폭넓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의 증가나, 고해상도에 수반하여 수평주파수가 높아지고, 백포치부분의 간격이 좁아져도 고해상도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상술한 제 3도의 패턴①②③이외에 상술한 바와같이 특수한 패턴으로서 패턴 ④⑤가 있다. 이 두 개의 입력패턴의 경우에도 펄스검출회로(28)로부터는 외부동기펄스와 함께 입력된 그린영상신호가 동기펄스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H"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수평 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가 발생되게 된다. 여기서 패턴④의 경우는 영상신호의 수평 공백기간이 흑레벨(페디스틀레벨)이기 때문에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이용하여 수평 공백기간에서 페디스틀클램프를 행하여도 확실히 페디스틀레벨을 홀드할 수 있게되고, 더구나 모드(3), (4)의 경우와 동일하게 클램프펄스의 발생타이밍에서 영상구간까지에는 충분히 여유가 있기 때문에 클램프펄스의 펄스폭으로서 소망의 펄스폭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패턴⑤의 경우, 즉 제 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외부 수평동기펄스(H)가 그린영상신호의 수평 공백기간을 밀려낸 타이밍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종래와같이 수평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한 것으로는 그 발생타이밍이 영상구간과 중복되므로 페디스틀클램프를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수평 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함으로써, 그 발생타이밍이 수평 공백구간 내가 되므로 확실히 페디스틀클램프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동작설명에서 펄스폭검출회로(28)의 검출출력에 의거해서 절환스위치(29)를 자동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나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설명하였으나, 제어입력단자(30)를 거쳐서 외부에서 절환스위치(29)의 전환제어신호를 부여함으로써, 펄스폭검출회로(28)의 검출출력상태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 또는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외부에서 "H" 레벨의 제어신호를 부여함으로써,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L" 레벨의 제어신호를 부여함으로써, 수평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강제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제 2도의 펄스발생회로(26)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8도에 있어서 에미터가 공통접속된 트랜지스터(Q1, Q2) 및 그 에미터 공통접속점과 그라운드사이에 접속된 전류원(11)으로 비교기(41)가 구성되어 있다. 이 비교기(41)예 있어서,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가 저항(R1)을 거쳐서 전원(V+B)에,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가 직접 전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수평동기펄스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 기준전압(V1)과 비교된다.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는 또한 콘덴서(C)를 거쳐서 에미터폴로워(follower)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1) 및 콘덴서(C)에 의해 미분회로(42)가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전류원(I2)을 거쳐서 접지되어 있다.
에미터가 공통 접속된 트랜지스터(Q4,Q5) 및 그 에미터 공통접속점과 그라운드사이에 접속된 전류원(I3)에 의해 차동증폭기(43)가 구성되어 있다. 이 차동증폭기(43)에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는 기준전압(V2)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는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출력이 공급된다.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와 전원과의 사이에는 다이오드접속의 트랜지스터(Q6)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와 전원과의 사이에는 트랜지스터(Q6)와 베이스가 공통접속된 트랜지스터(Q7)가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6, Q7)에 의해 전류미러회로(44)가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8, Q9)와 트랜지스터(Q10, Q11)로 각각 2개의 비교기(45, 46)가 구성되어 있다. 각 비교기(45, 46)의 두개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공통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8, Q11)의 각 컬렉터가 공통의 저항(R2)을 거쳐서 전원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9, Q10)의 각 컬렉터가 공통의 저항(R3)을 거쳐서 전원에 접속되는 동시에 회로출력단자(47)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의 비교기(45)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는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출력이 공급되고,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는 기준전압(Ve+△V)이 인가되어 있다. 다른편의 비교기(46)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는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출력이 공급되고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는 기준전압(Ve)이 인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8, Q9)의 에미터들의 공통접속점에는 트랜지스터(Q12)의 컬렉터가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Q10, Q11)의 에미터들의 공통접속점에는 트랜지스터(Q13)의 컬렉터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2, Q13)의 에미터들은 공통 접속되고, 전류원(14)을 거쳐서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환제어신호의 신호레벨이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3)보다도 클때는 비교기(45)측을 활성화하고, 작을때는 비교기(46)측을 활성화하는 스위치회로(48)가 구성되고 있다. 이 스위치회로(48)는 제 2도에 있어서의 절환스위치(29)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도에 있어서 동기결정회로(17) 또는 제어입력단자(30)를 거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환제어신호가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펄스발생회로(26)의 회로동작에 대하여, 제 9도(A)∼(D)의 파형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입력단계의 비교기(41)의 트랜지스터(92)의 베이스에 제 9도 (A)에 도시된 수평동기펄스가 인가되면, 미분회로(42)의 작용에 의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는 제 9도 (B)의 미분파형이 얻어진다. 이 제 9도 (B)의 미분파형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된 기준전압(V2)을 기준레벨로 하는 파형이다. 이 미분파형은 비교기(45, 46)에서 기준전압(Ve+△V, Ve)과 비교된다.
여기서 동기입력으로서 외부동기펄스만이 입력되는 모드 (3), (4)의 경우에는 제 2도의 펄스폭 검출회로(28)에서 "H" 레벨의 검출출력이 전환제어신호로서 스위치 회로(48)의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12)가 온상태로 되기때문에 비교기(45)가 활성화된다. 이 비교기(45)에서 제 9도 (B)의 미분파형이 기준전압(Ve+△V)과 비교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9)의 컬렉터출력으로서 제 9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제 9도 (C)에 도시된 클램프 펄스가 도출된다.
한편 동기입력으로서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만이 입력되는 모드 (5)의 경우에는, 제 2도의 펄스폭 검출회로(28)에서 "L" 레벨의 검출출력이 스위치신호(48)의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전환제어신호로서 인가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Q13)가 온상태로 되기 때문에 비교기(46)가 활성화된다. 이 비교기(46)에서 제 9도 (B)의 미분파형이 기준전압(Ve)과 비교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0)의 컬렉터출력으로서 제 9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제 9도 (D)에 도시된 클램프펄스가 도출된다.
또 특수모드(1), (2)의 경우에는 제 2도의 펄스폭 검출회로(28)에서 "L" 레벨의 검출출력이 전환제어신호로서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되기 때문에 모드(5)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 9도 (A)의 수평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제 9도 (D)에 도시된 클램프펄스가 발생된다.
또한 상술한 펄스발생회로(26)의 회로구성은 일예에 불과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의 예에서는 제 9S (A)의 수평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발생된 제 9도 (C)의 클램프펄스의 펄스폭과 후방에지에 발생된 제 9도 (D)의 클램프펄스와의 펄스폭을 같게 설정하는 회로구성의 것을 나타내었으나, 상술한 이유에 의해 전방에지에 발생된 제 9도 (C)의 클램프펄스의 펄스폭을 충분히 길게 설정하는 회로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제 8도의 미분회로(42)의 시간 상수가 전환되는 회로구성이나 기준전압(Ve+△V)의 △V를 바꾸는 회로구성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동기펄스의 입력의 유무를 판별하는 기능에 더하여,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입력의 유무를 판별하는 기능을 갖추고, 외부동기펄스의 입력이 있을 때에는 이 외부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하는 한편,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외부동기펄스의 입력의 유무에 상관없이 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동기입력으로서 외부동기펄스만이 입력되는 모드의 경우에는 클램프펄스의 발생타이밍에서 영상구간까지에는 충분히 여유가 있기때문에 클램프펄스의 펄스폭으로서 소망의 펄스폭을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동기입력으로서 외부동기펄스와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그린영상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특수모드에도 자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선택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한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이로부터 다양한 변화를 행할 수 있다.
제 1도는 그린영상신호의 파형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제 3도는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작동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제 4도 (A), (B)는 제 3도에서 특수한 입력패턴④인 영상신호들의 파형도이다.
제 5도 (A), (B)는 제 3도에서 특수한 입력패턴⑤인 영상신호와 수평동기펄스 사이의 타이밍연관성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제 6도 (A)∼(C)는 제 2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제 7도는 모드 (5)의 작동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펄스발생회로의 구체적인 회로구조의 예를 설명하는 회로다이어그램이다.
제 9도 (A)∼(D)는 제 8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동기입력단자 12,14. AC결합용콘덴서
13. 영상입력단자 15,25. 동기분리회로
16. 극성결정회로 17. 동기결정회로
18. 독점OR회로 19,24,29. 절환스위치
20,22. 외부접속단자 21,23. 콘덴서
26. 펄스발생회로 27. HD발생회로
28. 펄스폭검출회로 30. 제어입력단자
31. 버퍼 32. CPL출력단자
33. HD출력단자 41,45,46. 비교기
42. 미분회로 43. 차동증폭기
44. 전류미러회로 47. 회로출력단자
48. 스위치회로

Claims (10)

  1. 외부동기펄스의 입력을 위한 동기입력단자와,
    외부동기펄스의 입력의 유무를 결정하며, 외부동기펄스가 상기 동기 입력단자에 입력될 때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되었다고 결정하는 동기결정수단과,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입력을 위한 영상입력단자와,
    동기펄스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입력의 유무를 결정하며, 상기 영상입력단자에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다고 결정하는 영상결정수단과,
    상기 동기결정수단의 결정결과가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됨을 나타낼 시에는 상기 외부동기펄스의 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결정수단의 결정결과가 영상신호가 입력됨을 나타낼 시에는 상기 동기결정수단의 결정결과에 상관없이 동기펄스의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를 생성하는 펄스발생수단과,
    상기 펄스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클램프펄스를 외부에 출력하는 클램프펄스 출력단자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펄스발생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결정수단은, 상기 외부동기펄스와 상기 영상신호중의 동기펄스의 두 입력을 가지는 독점OR회로와, 상기 동기결정수단의 결정결과가 외부동기펄스가 입력됨을 나타낼 시에는 상기 독점OR회로의 출력을 선택하고, 외부동기펄스의 입력이 없을 시에는 그라운드레벨을 선택하는 절환스위치와, 상기 절환스위치의 출력의 펄스폭을 소정의 폭과 비교하는 펄스폭 검출회로를 가지며,
    상기 펄스폭 검출회로의 검출출력을 상기 영상신호의 입력의 유무에 대한 결정결과로서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펄스발생회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입력단자를 더 갖추고,
    상기 펄스발생수단은,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때는, 상기 동기결정수단의 결정결과에 상관없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기펄스의 전방에지 또는 후방에지에 클램프펄스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펄스발생회로.
  4. 제 1 및 제 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1미분회로로서, 상기 제 2트랜지스터는 동기펄스신호를 공급받고 제 1트랜지스터는 그의 컬렉터로부터 도출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 1미분회로와,
    제 3 및 제 4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2미분회로와 제 5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버튼(Berton)회로로서, 상기 제 5트랜지스터는 베이스와 에미터가 각각 상기 제 2미분회로의 상기 제 4트랜지스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 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버톤회로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상기 제 5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접속된 커플링소자와,
    베이스는 상기 버톤회로의 출력단자와 접속되고 컬렉터는 제 2저항을 거쳐 제 1 기준준위에 접속되어 있는 제 6트랜지스터와, 에미터는 상기 제 6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공통접속되고 컬렉터는 제 3저항을 거쳐 상기 제 1기준준위에 접속되어 있는 제 7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3미분회로와,
    베이스를 상기 제 6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컬렉터는 상기 제 7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접속되어 있는 제 8트랜지스터와, 베이스가 제 2기준준위에 접속되고 컬렉터가 상기 제 6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접속되어 있는 제 9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4미분회로와,
    상기 제 2기준준위와 상기 제 7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접속된 제 3기준준위와,
    컬렉터가 각각 상기 제 3 및 제 4미분회로의 공통에미터들에 접속된 제 10 및 제 11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5미분회로로서, 상기 제 10 및 제 11트랜지스터중 하나가 그 베이스로 주어지는 전환제어신호를 인가받는 제 5미분회로와,
    상기 제 8트랜지스터의 컬렉터로부터 출력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5. 제 4항에 있어서,
    미분회로가 상기 제 1미분회로내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컬렉터용 로드소자와 상기 커플링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소자가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7. 제 4항에 있어서,
    발생된 펄스의 폭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 3기준준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회로의 시간상수가 임의의 펄스폭을 갖는 펄스를 생성시키기 위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미분회로내 상기 제 2트랜지스터내의 베이스에 수평 동기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클램프펄스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펄스의 전방에지와 후방에지에 발생된 펄스들중 하나가 상기 제 3및 제 4미분회로의 작동을 상기 제 5미분회로내 상기 제 10트랜지스터내의 베이스에 인가된 상기 전환제어신호로 전환함으로써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발생회로를 포함하는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KR1019960000350A 1995-01-12 1996-01-10 클램프펄스발생회로 KR100398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302895A JP3326661B2 (ja) 1995-01-12 1995-01-12 クランプパルス発生回路
JP95-003028 1995-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639A KR960030639A (ko) 1996-08-17
KR100398724B1 true KR100398724B1 (ko) 2004-08-30

Family

ID=1154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350A KR100398724B1 (ko) 1995-01-12 1996-01-10 클램프펄스발생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875002A (ko)
JP (1) JP3326661B2 (ko)
KR (1) KR100398724B1 (ko)
TW (1) TW4372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198B1 (ko) 2004-12-29 2007-03-02 이건홍 배의 동력 추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762B2 (ja) * 1997-09-03 2005-04-1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同期信号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ールド判定装置
US6232815B1 (en) * 1999-05-06 2001-05-15 Analog Devices, Inc. ATE pin electronics with complementary waveform drivers
US7176985B2 (en) * 2003-06-09 2007-02-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lamping circuit for video signals
US20050035788A1 (en) * 2003-08-14 2005-02-17 Devendorf Don C. Clamped comparator
JP4500590B2 (ja) * 2004-06-10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EP1926315A3 (en) * 2006-10-31 2014-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39160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913A (en) * 1976-10-16 1978-07-17 Toshiba Corp Singnal processing circuit
JPS58184892A (ja) * 1982-04-22 1983-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検波回路
US4460918A (en) * 1982-07-14 1984-07-1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utomatic switching circuit for a dual mode television receiver
JPS59149467A (ja) * 1983-02-16 1984-08-27 Sony Corp 映像信号の白黒レベルの反転回路
JPS637081A (ja) * 1986-06-27 1988-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426280A (ja) * 1990-05-21 1992-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信号処理回路
JP2814039B2 (ja) * 1991-09-12 1998-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クランプ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198B1 (ko) 2004-12-29 2007-03-02 이건홍 배의 동력 추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75002A (en) 1999-02-23
KR960030639A (ko) 1996-08-17
TW437234B (en) 2001-05-28
JPH08191404A (ja) 1996-07-23
JP3326661B2 (ja) 2002-09-24
US5905396A (en) 199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7184B2 (ko)
US20060044052A1 (en) Charge pump circuit
KR100398724B1 (ko) 클램프펄스발생회로
JP2574149B2 (ja) 画像表示装置を有する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432352B1 (ko) 수직동기신호 분리회로 및 이를 보유하는 표시장치
JPS58159077A (ja) 映像信号処理方式
US5864371A (en) Luminance signal generation circuit with single clamp in closed loop configuration and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generation
KR920001012B1 (ko) 비데오신호 처리회로
JPH08191405A (ja) クランプパルス発生回路
US5818538A (en) Sync on green signal separating circuit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KR0155639B1 (ko) 비엔씨/디-서브 자동선택회로
JPS5952589B2 (ja) タイミング信号発生装置
EP0148606A1 (en) Tri-level sandcastle pulse decoder
JP2006074230A (ja) サンプリング回路
US20060268173A1 (en) Video synchronization signal removal circuitry
JPH05299987A (ja) 自動識別レベル制御装置
KR940000159Y1 (ko) 고화질용 키드 펄스 발생기
US5999221A (en)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generation circuit
JPH099104A (ja) ソフトクランプ装置及びソフトクランプ方法
JP3263882B2 (ja) 垂直同期信号処理回路
KR930001328Y1 (ko) Vcr의 색신호 뮤트에 의한 화질개선회로
JP3329149B2 (ja) クランプパルス発生方法およびその回路
KR200162300Y1 (ko) 표시 장치의 동기 신호 발생 장치
KR0124385B1 (ko)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위치보상장치
JPS6272278A (ja) 同期信号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