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339B1 -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339B1
KR100397339B1 KR10-1999-0030075A KR19990030075A KR100397339B1 KR 100397339 B1 KR100397339 B1 KR 100397339B1 KR 19990030075 A KR19990030075 A KR 19990030075A KR 100397339 B1 KR100397339 B1 KR 10039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ircuit
confidentiality mode
dial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931A (ko
Inventor
길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3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얼릴한 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번호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얼링 후,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 다이얼링 신호를 외부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도록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이얼링 신호를 삭제한 후 통화를 수행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다이얼링 신호가 메모리에 기록되고 표시회로에 인가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를 한 후, 다시 비밀 유지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 의하여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종료 단계로 진행하고,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다이얼링 신호를 삭제한 후, 종료 단계로 진행하는 제5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더욱 더 철저하게 비밀번호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A PROTECTING METHOD OF SECURITY CODE FOR TELEPHONE}
본 발명은 다기능 전화기 또는 간이 구내 교환기용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타인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호출 상대방의 전화 번호 또는 데이터 통신 등에 사용되는 비밀번호 등이, 전화기에 표시 및 저장됨으로 인하여, 제3자가 용이하게 조회할 수 없도록 하는 비밀번호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기능의 전화기 또는 키폰(Key-Phone)으로 호칭되는 간이 구내 교환기용 단말기(이하 전화기로 호칭)에는, 다이얼링을 통하여 호출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 등이 디스플레이(Display) 회로에 표시되고, 또한, 재다이얼 메모리 회로에 기록 저장됨으로 인하여, 불순한 목적을 갖는 제3 자가 용이하게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화를 이용한 비밀스런 통화 이외에 은행 잔고의 송금, 증권투자의 거래, 기타 전자 상거래에 필요한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등이 상기 전화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재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3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을 설명한다.
도1 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기능 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전화기 비밀번호 보호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기능 전화기 또는 간이 구내 교환기용 단말기의 구성 및 종래 기술에 의한 비밀번호 보호 방법의 구성을 설명한다.
일반적인 다기능 전화기는, 국선 또는 간이 구내교환기의 내선과 연결되는 선로 연결회로(10)와,
호출 상대방의 고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Dial) 발생회로(20)와,
전화기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회로(30)와,
비밀유지 버튼의 신호를 인식하는 버튼 인식회로(40)와,
상기 중앙 제어 회로(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다이얼 발생회로(20)로부터발생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회로(50)와,
상기 중앙 제어 회로(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다이얼 발생회로(20)로부터 발생되는 다이얼 신호를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저장하고 재다이얼 기능을 하는 메모리 저장회로(60)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은 수화기를 들고 호출 상대방의 고유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며(S2), 비밀유지 모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S3)하는 과정과,
상기의 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이면, 호출하는 상대방의 고유 전화 번호가 LCD 표시회로(50)를 통하여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S4), 상기의 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아니면, 호출하는 상대방의 고유 전화 번호가 LCD 표시회로(5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하는(S5) 단계와,
호출한 상대방의 고유 전화 번호가 기록된 반도체 저장 회로(60)의 기록 내용을 재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S6) 단계와,
통화를 진행한 후(S7), 종료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종래 기술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화 번호 표시 및 재다이얼 기능 등 특수 기능이 포함되는 다기능 전화기 또는 간이 구내 교환기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송수화갑 또는 수화기가 들려지면(Hook-Off), 국선이 점유된다. 전화기 사용자는 다이얼 발생회로(20)를 이용하여 통화 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고유 전화 번호,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등을 입력(Dialing) 한다(S2),
상기와 같이 발생된 다이얼 신호는 선로 연결 회로(10)를 통하여 공중교환망(PSTN) 또는 간이 교환기의 스위칭망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전화기의 중앙제어회로(30)는 상기 다이얼 발생회로(20)에서 발생된 호출 상대방 전화 번호 등을 메모리 저장회로(60)에 기록하고 있으면서, 버튼 인식 회로(4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3).
즉, 사용자가 다이얼링 한 호출 전화 번호 등이 제3자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하는 비밀 유지 모드를, 상기 버튼 인식회로(40)와 연결되어 있는 비밀유지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하였는지 또는 선택하지 않았는지 판단한다(S3).
사용자가 상기 버튼 인식회로(40)를 이용하여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지 않았다고, 중앙제어 회로(30)에서 판단하면, 상기 중앙제어 회로(30)는 메모리 저장회로(60)에 기록된 호출 상대방의 고유 전화 번호를 LCD 표시회로(50)에 인가하므로써, LCD 표시판에 호출 상대방의 전화 번호가 표시된다(S5).
또한, 상기 중앙제어회로(30)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 인식회로(40)를 이용하여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LCD 표시회로(50)에는 아무 신호도 인가하지 않음으로서, LCD 표시회로(50)를 통한 호출 상대방의 전화 번호 등이 표시되지 않게 되고(S4), 비밀번호가 보호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 저장회로(60)에 기록되어 있는 호출 상대방의 전화 번호는, 그대로 저장되어 있게 되고, 재다이얼 버튼의 입력에 의하여 재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불순한 목적을 갖고 있는 제3 자에 의하여,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 완료 후, 자리를 이탈하였을 경우 등에, 상기 버튼 인식회로(40)를 조작하고, 재 다이얼링을 하게 되면, 상기 메모리 저장회로(60)에 저장되었던 다이얼링 번호가 상기 LCD 표시회로(50)를 통하여 표시되면서, 호출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화를 이용한 은행의 송금, 증권투자 거래, 기타 전자 상거래 등을 하는 경우, 전화기 사용자는 불순한 목적을 갖는 제3 자에 의하여 계좌 번호, 비밀번호 등이 노출됨으로, 개인의 경제적 및 사회적으로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비밀 유지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LCD 표시회로 뿐 아니라, 전화기의 메모리 저장회로에도 다이얼 발생회로의 신호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도, 다시 한번 비밀을 유지할 것인지 확인하게 하므로써, 전화기 사용자가 제3자에게 노출되기를 거부하는 다이얼링 번호가 보호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화기를 이용하는 비밀번호 보호 방법에 있어서, 다이얼링 후,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 다이얼링 신호를 외부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도록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이얼링 신호를 삭제한 후 통화를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기능 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전화기 비밀번호 보호 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 비밀번호 보호 방법의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선로 연결 회로 20 : 다이얼 발생회로
30 : 중앙제어회로 40 : 버튼 인식회로
50 : 표시회로 60 : 메모리 저장회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의 비밀번호 유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 비밀번호 보호 방법의 순서도 이다.
상기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다목적 전화기 또는 간이 구내 교환기용 단말기(이하 전화기로 호칭 함)의 수화기를 후크오프(Hook-Off) 하여, 선로 연결회로(10)에 의한 통신선로가 점유되도록 하고, 다이얼 발생회로(20)를 이용하므로써, 호출 상대방의 고유 전화 번호 및 비밀 번호 등을 다이얼링(Dialing) 하는 단계(S10)와, 버튼 인식 회로(40)를 이용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또는 선택되지 않았는지 중앙제어회로(30)에서 판단하는 단계(S20)가 포함된 제1 과정과,
상기의 제1 과정(S20)에서, 비밀유지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메모리 저장회로(60)에 기록/저장되어 있는 상대방 호출 다이얼링 신호가 LCD 표시회로 (50)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제2과정과,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이얼링 신호를 삭제하는 단계(S40)와, 전화기 사용자에 의한 통화를 진행하고(S50), 통화가 종료되면 수화기를 후크언(Hook-On) 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1 과정(S20)에서, 비밀유지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다이얼링한 번호가 LCD 표시회로(50)에 인가되어 표시되고(S60), 메모리 저장회로(60)에 다이얼링한 번호가 기록(Write)이 유지되는 단계(S70)와, 전화기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S80)와, 통화 종료 후 다시 비밀 유지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제4과정과,상기 제4과정에 의하여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종료 단계로 진행하고,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메모리 저장회로(60)에 기억되어 있는 다이얼링 발신 신호를 삭제하는 단계(S100)를 거쳐 종료 단계로 진행하는 제5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그 작용설명을 한다.
일반 공중 전화망(PSTN)에 연결된 전화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수화기를 후크오프(Hook-Off) 하면, PSTN 또는 간이 구내교환기의 통신 선로와 연결되고, 전화기 사용자는 다이얼 발생회로(20)를 이용하여, 통화 하고자 하는 상대방 전화 번호를 입력(Dialing)하고, 은행과의 거래 또는 증권투자 거래나 전자 상거래의 경우는 해당되는 계좌 번호 및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게 된다(S10).
상기 다이얼링된 번호는 중앙제어회로(30)를 통하여 메모리 저장회로(60)에 저장/기록되고, 동시에 상기 중앙제어회로(30)는 버튼 인식회로(40)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는지 판단(S20)하게 된다.
즉,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중앙제어회로(30)는 LCD 표시회로(50)에 인가되는 표시신호를 모두 삭제하고(S30),
상기 메모리 저장회로(60)에 기록/저장된 다이얼링 신호를 모두삭제하고(S40),
통화를 계속 진행하며(S50), 종료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판단 단계(S20)에서, 비밀 유지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중앙제어회로(30)는 상기 메모리 저장회로(60)에 저장된 다이얼링 번호를 상기 LCD 표시회로(50)에 인가하여 표시되도록 하고(S60), 또한, 상기 메모리 저장회로(60)에 저장된 다이얼링 번호의 저장이 계속 유지되도록 한다(S70).
전화기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는 진행되고(S80),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중앙제어 회로(30)는 다시 한번, 상기 버튼 인식회로(40)를 검색하여, 비밀 유지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90).
상기의 단계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으며, 종료 단계로 진행하고,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상기 메모리 저장회로(60)에 기록/저장된 다이얼링 신호를 모두 삭제하고(S100), 종료 단계로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비밀번호 보호 방법에 의하여, 전화기 사용자는 타인 또는 제3자에게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는 비밀스러운 다이얼링 번호를, 사용자가 전화 사용 초기에,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하므로써, 비밀유지 모드이면, 표시장치는 물론, 전화기의 메모리 회로 어디에도 다이얼링 번호가 기록/저장되지 않도록 하고,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를 진행하였다 하여도, 통화 종료 후, 다시 한번, 사용자가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다이얼링 번호가 메모리 회로 어디에도 기록/저장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전화기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제3 자에게 노출되지 않고 보호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화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전화기 내부 어디에도 다이얼링 번호가 기록 및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가 사용 중 또는 종료하기 전에라도 비밀유지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다시 판단하여, 선택하였으면, 다이얼링 번호를 모두 삭제 하므로써, 전화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번호가 제3 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하므로써, 개인의 사생활 및 개인 비밀을 보호하는 사회적 및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정)다이얼링 후,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 다이얼링 신호를 외부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도록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다이얼링 신호를 삭제한 후 통화를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2. (정정)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유지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다이얼링 신호가 메모리에 기록되고 표시회로에 인가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를 한 후, 다시 비밀 유지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 의하여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종료 단계로 진행하고, 비밀유지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다이얼링 신호를 삭제한 후, 종료 단계로 진행하는 제5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KR10-1999-0030075A 1999-07-23 1999-07-23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KR10039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075A KR100397339B1 (ko) 1999-07-23 1999-07-23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075A KR100397339B1 (ko) 1999-07-23 1999-07-23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931A KR20010010931A (ko) 2001-02-15
KR100397339B1 true KR100397339B1 (ko) 2003-09-13

Family

ID=1960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075A KR100397339B1 (ko) 1999-07-23 1999-07-23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3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926B1 (ko) * 1999-08-28 200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입력 디지트 표시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31A (ja) * 1993-07-08 1995-01-31 Casio Comput Co Ltd ダイヤル装置及びダイヤル方法
KR970003976A (ko) * 1995-06-23 1997-01-29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9990049834A (ko) * 1997-12-15 1999-07-05 윤종용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KR19990061625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전화 단말기의 보안 방법
KR100276812B1 (ko) * 1998-12-26 2001-01-15 윤종용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31A (ja) * 1993-07-08 1995-01-31 Casio Comput Co Ltd ダイヤル装置及びダイヤル方法
KR970003976A (ko) * 1995-06-23 1997-01-29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9990049834A (ko) * 1997-12-15 1999-07-05 윤종용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KR19990061625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전화 단말기의 보안 방법
KR100276812B1 (ko) * 1998-12-26 2001-01-15 윤종용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931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339B1 (ko)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JPS61142844A (ja) 電話機
JPH09116606A (ja) 電話端末装置のリダイヤル方法
KR100312183B1 (ko) Isdn단말기의재다이얼링방법
JPS616966A (ja) ボタン電話装置
JP3193919B2 (ja) 電話機
JP3692651B2 (ja) 電話通信方法及び電話通信端末
JP3570277B2 (ja) 通信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655836B2 (ja) 再ダイヤル機能つき電話機
KR20070010252A (ko) 통화 및 메시지 기록의 노출방지기능을 갖는 전화기시스템및 그 전화기시스템의 노출방지방법
JP3165903B2 (ja) 携帯電話機
KR950001544B1 (ko) 전화망의 가입자간 접속시의 연속 다이얼링 방법
JP3113354B2 (ja) 電話機
JP3118334B2 (ja) 電話装置
JP3105737B2 (ja) 電話機
JPS61184954A (ja) 押しボタン電話装置
JPH01243759A (ja) 電話番号入力方式
JPS58166860A (ja) 音声・データ交換方式
JPH04248737A (ja) 通信端末装置
JPH0744727B2 (ja) 移動無線電話機
JPS6035863A (ja) 電話装置
JPS634983B2 (ko)
JPH0468740A (ja) 電子電話帳機能付き通信端末装置
JPS6346850A (ja) ダイヤル番号記憶装置
JPH05219177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