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9834A -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9834A
KR19990049834A KR1019970068836A KR19970068836A KR19990049834A KR 19990049834 A KR19990049834 A KR 19990049834A KR 1019970068836 A KR1019970068836 A KR 1019970068836A KR 19970068836 A KR19970068836 A KR 19970068836A KR 19990049834 A KR19990049834 A KR 1999004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ata
redial
completion flag
telephone
storage compl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9834A/ko
Publication of KR1999004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전화기에서 통화로가 형성된 후에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표시부로 출력하지 않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전화기에서 소정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의 세트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링백톤 또는 음성의 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링백톤 또는 음성이 검출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세트시켜 이후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화기에서 폰뱅킹 또는 무선 호출서비스를 수행할 때 전화번호 이외에 서비스 선택 번호 또는 비밀번호가 재다이얼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된 키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여 재다이얼링하고,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재다이얼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기는 다이얼링된 키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자에 의해 재다이얼키가 눌려지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적으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디지트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국선을 통해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의 디지트를 송출한다. 또한, 자동응답시스템과 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서비스 받고자 하는 경우 자동응답시스템에서 송출되는 음성메시지에 응답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지트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눌러 다이얼링한다.
이러한 종래 전화기에서 재다이얼링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재다이얼키가 눌려지면, 메모리에 가장 최근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트들을 재다이얼링한다. 따라서 종래 전화기에서 재다이얼 방법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트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기 위해 입력한 비밀번호까지 저장되어 재다이얼시 상기 비밀번호가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화기는 사용자가 폰뱅킹 또는 무선 호출 서비스 기능등을 사용하기 위해 누른 비밀번호까지 상기 표시부로 출력되어 개인의 비밀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 전화기에서 재다이얼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재다이얼버튼이 눌려지면, 메모리에 가장 최근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트들을 재다이얼한다. 따라서 종래 전화기에서 재다이얼 방법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트뿐만 아니라 그외 사용자가 통화 중 실수로 누른 숫자키에 해당하는 디지트까지 저장되어 재다이얼시 전화번호와 함께 다이얼되므로 오다이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동응답서비스(automatic Response Serive)를 이용할 때 종래의 재다이얼하는 방법은 메모리에 상기 자동응답서비스와 접속하기 위한 국선 전화번호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에서 송출되는 음성메시지에 응답하여 입력된 디지트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응답서비스를 사용한 후 사용자가 재다이얼키를 누르면, 전화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자동응답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선 전화번호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입력된 상기 디지트를 다시 다이얼하므로 오다이얼링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전화기에서 종래의 재다이얼 방법은 전화번호와 그외의 서비스 선택에 따른 디지트 번호까지 같이 저장하여 재다이얼링하므로 통화하고자하는 국선 전화번호와 통화로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 한다. 이와 같이 종래 전화기에서 재다이얼링 방법은 전화번호와 그외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해 입력된 디지트까지 메모리에 저장되고, 재다이얼시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입력된 디지트가 재다이얼되어 통화로가 형성되지 못 하므로 재다이얼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다이얼 기능을 가지는 전화기에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저장하여 재다이얼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에서 폰뱅킹을 수행할 때 누른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기 위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화기에서 무선 호출 서비스를 이용할 때 누른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기 위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서 다이얼링된 키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서 폰뱅킹을 위해 다이얼링된 비밀번호의 디지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키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서 무선 호출 서비스를 위해 다이얼링된 비밀번호의 디지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키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고, 링백톤 또는 음성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재다이얼 기능 수행을 위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소정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하에 링백톤 또는 음성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키데이터가 입력되고 재다이얼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하에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재다이얼 완료 플래그를 세트시킨 후에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100과 메모리101과 키입력부102와 표시부103과 검출부104와 릴레이105와 통화회로부106과 DTMF발생부107과 DTMF수신부108과 스피커109와 송화부111과 수화부112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은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의 설정 상태를 파악하여 입력된 키데이터를 메모리101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는 재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번호의 저장 완료 여부를 나타낸다. 제어부100은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이후에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메모리101에 저장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100은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링백톤 또는 음성의 검출 여부에 따라 입력된 키데이터를 메모리101에 저장한다. 메모리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01은 RAM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다이얼링을 위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의 디지트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02는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와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표시부103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102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를 표시한다. 검출부104는 전화 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on-hook) 상태에서 상기 전화 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 또한, 검출부104는 오프-후크(off-hook) 상태에서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링백톤(ring back tone) 또는 음성을 검출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00으로 인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은 오프 후크 상태에서 검출부104를 통해 링백톤을 검출한 후 음성이 검출되면, 통화로가 형성된 것으로 간주한다. 릴레이105는 후크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전화 라인과 전화기의 통화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106은 음성회로로서 릴레이105와 송화부111 및 수화부11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DTMF발생부107은 제어부100과 통화회로부106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106으로 출력한다. DTMF수신부108은 통화회로부106과 제어부100 사이에 연결되며, 통화회로부106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스피커109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검출된 링신호를 송출하고, 스피커폰 통화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송화부111 및 수화부112는 통화회로부106와 연결되며, 송수화기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 및 표시하기 위한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21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고, 소정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10단계에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는 것을 판단되면, 제22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set)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20단계에서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제어부100은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된 이후에 키입력부102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메모리101에 저장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상기 제220단계에서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제23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검출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링백톤(ring back tone) 또는 음성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00은 검출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링백톤 또는 음성이 검출되면, 통화로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230단계에서 링백톤 또는 음성을 검출하여 통화로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24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세트한다. 또한, 제어부100은 링검출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링백톤 또는 음성을 검출하여 통화로가 형성된 것을 판단하면, 이후에 키입력부102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표시부103으로 출력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은 링백톤 또는 음성의 검출로써 통화로가 형성된 것을 판단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세트시키고, 이후에 키입력부102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메모리101에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은 통화로가 형성된 것을 검출하면,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세트시키고, 이후에 키입력부102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표시부103으로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링백톤 또는 음성이 검출되지 않으면 즉,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제25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제210단계에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의 키데이터를 메모리101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00은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키입력부102로부터 입력받은 키데이터를 표시부103으로 출력한다.
아울러, 제어부100은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리세트(reset)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폰뱅킹 또는 무선 호출 서비스등과 같은 자동응답시스템과 접속되어 서비스를 받는 경우 상기 자동응답시스템과 접속되기 위한 다이얼링된 전화번호까지만 저장하고, 접속된 후 입력되는 디지트를 저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폰뱅킹 또는 무선 호출 서비스등을 받은 후 다시 서비스를 받고자할 때 사용자는 재다이얼키만을 눌러 다이얼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폰뱅킹 또는 무선 호출 서비스망과 접속된 후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표시부로 출력하지 않으므로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재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전화번호의 저장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구비하는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의 세트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링백톤 또는 음성의 검출로써 통화로의 형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통화로의 형성을 검출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세트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판단 결과로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판단되면,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저장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된 후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세트된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리세트시키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4. 재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전화번호의 저장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와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의 세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링백톤 또는 음성의 검출하여 통화로의 형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로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세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리세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된 후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8. 재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전화번호의 저장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와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의 세트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링백톤 또는 음성의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링백톤 및 음성이 검출되면 통화로의 형성으로 판단하고,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세트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링백톤 및 음성이 검출되지 않으면,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이후에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4과정과,
    상기 통화로를 통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를 리세트시키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된 후에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상기 재다이얼 저장 완료 플래그가 세트된 후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KR1019970068836A 1997-12-15 1997-12-15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KR19990049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836A KR19990049834A (ko) 1997-12-15 1997-12-15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836A KR19990049834A (ko) 1997-12-15 1997-12-15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834A true KR19990049834A (ko) 1999-07-05

Family

ID=6608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836A KR19990049834A (ko) 1997-12-15 1997-12-15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98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39B1 (ko) * 1999-07-23 200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39B1 (ko) * 1999-07-23 200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비밀번호 보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124B1 (en) Method for accessing a country code or an area code stored in a telephone to dial a telephone number
US5966436A (en) Redialing method
KR100194467B1 (ko)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JP3161170B2 (ja) ダイヤル装置及びダイヤル方法
KR19990049834A (ko)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GB2329095A (en) Telecommunications device
KR100312183B1 (ko) Isdn단말기의재다이얼링방법
JP3398041B2 (ja) 電話機
KR100238881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 자동재다이얼 잔여시간 표시방법
KR100381899B1 (ko) 교환기에서자동재다이얼장치및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JP3193919B2 (ja) 電話機
JPH02159859A (ja) 自動車電話移動機の着信表示制御装置
KR100222787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선택 등록방법
KR100200339B1 (ko) 페이저 호출시 수신 전화번호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JP3475103B2 (ja) 電話機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KR100212195B1 (ko) 셀룰라폰의 톤신호송출방법
KR100389833B1 (ko) 디지탈 무선 전화기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 제어 방법
JP3143380B2 (ja) 電話機
KR0173561B1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JP4192637B2 (ja) 通信端末
KR100506263B1 (ko)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KR20010110254A (ko) 카드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구현방법 및 그 카드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
KR19990020241A (ko) 재다이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