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561B1 -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561B1
KR0173561B1 KR1019960016375A KR19960016375A KR0173561B1 KR 0173561 B1 KR0173561 B1 KR 0173561B1 KR 1019960016375 A KR1019960016375 A KR 1019960016375A KR 19960016375 A KR19960016375 A KR 19960016375A KR 0173561 B1 KR0173561 B1 KR 017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peed
dial
telephon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252A (ko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561B1/ko
Publication of KR97007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전화단말장치에서 한개의 숫자키를 눌러 단축다이얼링 되도록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단축다이얼 등록모드로 들어가 각각의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축다이얼 숫자키를 일정시간이상 눌러 상기 저장한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일되도록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화단말장치, K/P, FAX, HHP

Description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번의 단축다이얼키를 눌러 단축다이얼링을 수행을 위한 제어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맵 구성도.
본 발명은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자리의 숫자키별로 각각 전화번호를 등록시킨 후 특정숫자키를 일정시간 누를시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축다이얼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단축다이얼링이라함은 하나의 버튼 혹은 단축번호를 누름에 의해 미리 입력된 다수의 다이얼 정보가 국선을 통하여 송출되는 것을 말한다. 전형적으로, 단축 다이얼 기능은 일반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순히 통화의 편의를 위해서도 이용하지만 전화를 이용하는 팩시밀리나 키폰시스템과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은 원 터치키를 이용하거나 단축다이얼 번호에 의한 것이었다. 상기 원 터치키에의한 방법은 원 터치키를 별도로 구비하고, 전호번호를 원터치키에 등록시킨 후 원하는 원 터치키를 눌러 다이얼링을 한다.
그리고 상기 단축 다이얼 에 의한 방법은 각각의 해당 단축키의 번호에 전화 번호를 등록 시켜두고 이를 실행시에는 메모리키와 단축키를 모두 눌러 원하는 번호로 다이얼링을 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별도의 원터치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전화단말장치의 키판넬의 부피가 커지고, 이로인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시 두개의 버튼을 눌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숙달이 될때까지 여러번의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불편하였으며, 사용법이 익숙한 사용자일지라도 두개의 키를 눌러 다이얼링하는 번거로움에 의해 단축다이얼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화단말장치에서 디이얼키를 한번만 눌러 디이얼숫자키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는 단축다이얼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단말장치에서 다이얼키를 한번만 눌러 원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단축다이얼의 활용도를 높일수 있는 단축다이얼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축다이얼 등록모드로 들어가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축다이얼 숫자키를 일정시간동안 눌러 상기 저장한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의 블럭 구성도로,
키매트릭스부 10은 전화번호등록을 위한 메모리키 및 다이얼키신호를 발생시키고, 단축다이얼키신호를 발생하는 다이얼 또는 각종 제어명령을 발생한다.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함)12는 타이머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전화단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 총괄적으로 제어 처리하며, 메모리키를 입력받은 후 단축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단축다이얼키가 입력될 시 해당하는 다이얼번호를 읽어들여 다이얼링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 14는 EEROM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축다이얼링을 위한 프로그램과 단축다이얼번호를 저장한다. 표시부 16은 상기 CPU 12의 제어에 의해 각 처리상태 및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 및 수신시간과 수신 횟수를 표시한다. DTMF발생기 18는 상기 CPU 12로부터 출력되는 다이얼번호에 따른 디지트를 받아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링검출부 22는 전화라인과 상기 CPU 1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하여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CPU 12에 제공한다. 음성처리부 20는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CPU 1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 및 각종 톤신호를 해당 파트로 분배하여 전송한다. 제1, 제2증폭기 24, 28은 상기 음성처리부 2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 26로 출력하고, 마이크 3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처리부 20으로 출력한다. 훅크스위치 32는 전화라인과 음성처리부 20사이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통화로를 연결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번의 단축다이얼키를 눌러 단축다이얼링을 수행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다이얼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맵 구성도이다.
상술한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단축다이얼링을 하기위해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등록시켜야 한다. 단축다이얼 숫자키는 단축다이얼링 시 한 번 누르기 위한 키로서, 0-9가 된다.
지금 101단계의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리키를 누르면 102단계에서 CPU 12는 키매트릭스부 10로부터 단축다이얼 등록을 위한 메모리키가 입력되는가 검사하여 메모리키가 입력되면 1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3단계에서 CPU 12는 키매트릭스부 10로부터 단축다이얼 숫자키가 입력되는가 검사한다. 상기 단축다이얼 숫자키가 입력되면 104단계에서 CPU 12는 키매트릭스부 1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시키는 전화번호에 따른 숫자키를 입력하고 1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5단계에서 CPU 12는 키매트릭수부 10로부터 메모리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메모리키가 입력되면 1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6단계에서 CPU 12는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를 메모리 14에 저장하고 106단계에서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제4도와 같은 테이블로 메모리 14에 등록하는데, 제4도의 전화번호는 예를들어 도시하였다.
따라서 제2도에서 설명한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대응하여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동작을 제4도에 도시한 전화번호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키매트릭스부 10의 메모리키를 누른후 단축다이얼 숫자키를 1을 누른다. 그런후 사용자가 전화번호 745-008를 누르고 메모리키를 다시 누르면 CPU 12는 단축다이얼 1번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745-0084를 메모리 14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단축다이얼 숫자키 2번에 745-0094를 메모리 14에 등록하는 동작도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등록시킨후 단축다이얼링하는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201단계의 대기상태 사용자가 키매트릭스부 10를 통해 다이얼하고자 하는 임의의 다이얼 숫자키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202단계에서 CPU 12는 키입력부(10)로부터 다이얼 숫자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다이얼 숫자키가 입지되지않으면 201단계로 돌아간다. 그러나 다이얼 숫자키가 입력되면 203단계 초진행하여 CPU 12는 키입력부(10)로부터 상기 입력된 임의의 숫자키가 설정시간이상, 예를들어 1초이상 눌러지고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1초이내에 숫자키가 눌러지면 다이얼하기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206단계에서 CPU 12는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입력시키는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 그런후 207단계에서 전화번호 입력이 완료된 후 키매트릭스부 10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통화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여 설정시간내에 통화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211단계로 진행할여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그러나 상기 207단계에서 설정시간내에 통화키가 입력되면 208단계로 진행하여 DTMF 발생기 18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이때 상대방에서 응답이 있게되면 209단계에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를 한다. 그런후 사용자는 통화가 종료되면 송수화기를 내려놓거나 통화키를 다시 누르게 되는데, 210단계에서 CPU 12는 송수화기가 내려지거나 통화키가 다시 눌러져 훅크온 상태가 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훅크온상태가 되지 않으면 209단계로 돌아가 계속해서 통화를 수행하고, 훅크온 상태가 되면 211단계에서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그러나 상기 203단계에서 다이얼 숫자키가 예를들어 1초이상 눌러지면 CPU 12는 단축다이얼키로 판단하여 204단계로 진행하여 눌러진 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 14로부터 독출하여 표시장치 16에 표시한다. 그런후 205단계에서 CPU 12는 음성처리부 20을 제어하여 통화루프를 형성한 후 DTMF발생기 18을 제어하여 상기 독출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이때 상대방에서 응답이 있게되면 209단계에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를 한다. 그런후 사용자는 통화가 종료되면 송수화기를 내려놓거나 통화키를 다시 누르게 되는데, 210단계에서 CPU 12는 송수화기가 내려지거나 통화키가 다시 눌러져 훅크온 상태가 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훅크온상태가 되지 않으면 209단계로 돌아가 계속해서 통화를 수행하고, 훅크온 상태가 되면 211단계에서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단축다이얼키를 구비하지 않고 각 숫자에 해당하는 서로다른 전화번호를 각각 등록 시킨 후 전화단말장치를 훅크오프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하기 위한 단축다이얼 숫자키를 한번 일정시간이상 누르면 단축다이얼링을 수행하므로, 단축다이얼링 시 두개 이상의 키를 누르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단축다이얼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다이얼링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단축다이얼키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키판넬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화단말장치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단축다이얼 등록모드로 들어가 각각의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축다이얼 숫자키를 일정시간이상 눌러 상기 저장한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2. 전화단말장치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대응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메모리의 특정영역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한 후 다이얼 숫자키 입력유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숫자키가 입력될 시 상기 입력된 다이얼숫자키가 일정시간이상 눌러지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숫자키를 일정시간 이상 눌러질 시 상기 눌러진 단축다이얼 숫자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다이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등록과정은, 전화번호 등록키를 눌러 등록모드로 들어가 단축 다이얼 숫자키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 다이얼 숫자키를 입력한 후 해당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숫자키가 일정시간 이하로 눌러질 시 계속해서 입력되는 다이얼 숫자키를 입력받아 통화키가 입력될 시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019960016375A 1996-05-16 1996-05-16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017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375A KR0173561B1 (ko) 1996-05-16 1996-05-16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375A KR0173561B1 (ko) 1996-05-16 1996-05-16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252A KR970078252A (ko) 1997-12-12
KR0173561B1 true KR0173561B1 (ko) 1999-05-01

Family

ID=1945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375A KR0173561B1 (ko) 1996-05-16 1996-05-16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5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252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08522A (en) Redialling method
KR0173561B1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00194467B1 (ko)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374344B1 (ko) 통화중전화번호등록방법
KR0169424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자동응답메세지 송출 방법
KR100222787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선택 등록방법
JPH05244243A (ja) 電話機
KR100229890B1 (ko) 전화기에서 다수의 국선 전화번호들을 가지는 단말기를 호출하는 방법
KR0171834B1 (ko) 키폰시스템에서 멀티넘버플랜방법
KR100194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우선권 부여방법
JP3122591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212195B1 (ko) 셀룰라폰의 톤신호송출방법
KR0171833B1 (ko) 전화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단축다이얼 등록방법
KR100200339B1 (ko) 페이저 호출시 수신 전화번호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JPH0226443A (ja) 自動ダイヤル機能付電話機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JPH01235446A (ja) 電話機
JP2668270B2 (ja) ダイヤル番号送出装置
KR19990049834A (ko)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JP2000341393A (ja) 電話帳機能付き電話機
KR19980078301A (ko) 통신단말장치의 단축 다이얼방법
JPH02104157A (ja) 電話機
JPH01319350A (ja) 自動ダイヤル装置
JPH03283856A (ja) 電話帳機能付き多機能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