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263B1 -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263B1
KR100506263B1 KR1019970076091A KR19970076091A KR100506263B1 KR 100506263 B1 KR100506263 B1 KR 100506263B1 KR 1019970076091 A KR1019970076091 A KR 1019970076091A KR 19970076091 A KR19970076091 A KR 19970076091A KR 100506263 B1 KR100506263 B1 KR 10050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ial
automatic
redialing
butt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113A (ko
Inventor
김용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2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사설교환기에서 재다이얼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사설교환기에서 발신한 국선 상대측이 통화중인 경우, 상대측의 통화중 상태와 상관없이 재다이얼 기능 수행 입력이 있으면 자동으로 재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재다이얼 주기 및 횟수가 설정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재다이얼 버튼 및 자동 재다이얼 버튼을 구비하는 단말기가 내선 가입된 사설교환기의 자동 재다이얼 방법이 국선으로 발신중, 단말기의 재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국선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중음에 상관없이 국선으로의 재다이얼링을 수행하고, 재다이얼된 국선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는지 체크하고, 재다이얼된 국선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면 설정된 주기 및 횟수에 따라 자동 재다이얼을 계속해서 수행하고, 국선으로부터 호출음이 검출되면 자동 재다이얼 수행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사설교환기에서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방법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재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기에서 발신한 국선 상대측이 통화중인 경우, 상대측의 통화중 상태와 상관없이 재다이얼 기능 수행 입력이 있으면 자동으로 재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에는 이전 입력되었던 디지트를 재발신 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트를 다시 입력하지 않고도 미리 설정된 재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재발신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통상 재다이얼 기능이라 칭하며, 상기 입력된 디지트는 상기 사설교환기내의 재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되어지며 상기 재다이얼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재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트는 발신 메모리로 옮겨져 재발신을 하게된다. 또한, 상대측이 통화중일때마다. 재다이얼 버튼을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측이 통화중이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재다이얼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기능도 있었다. 상기 자동 재다이얼 동작의 실예를 살펴보면,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단말로부터 소정의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면, 상기 사설교환기는 다이얼링의 완료 여부를 판단한 후, 다이얼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한 재다이얼 메모리에 상기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디지트를 저장하고, 재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재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트를 발신 메모리로 옮긴 후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대측으로부터 통화중음이검출되면, 소정 시간 후에 상기 발신 동작을 재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사설교환기에서 수행되는 재다이얼 기능은 상대측이 통화중인 경우, 사용자는 다시 재다이얼 버튼을 입력하여 재발신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구나, 상대측이 계속하여 통화중 상태일 경우에는 계속하여 호출음이 들릴 때까지 재다이얼 버튼 입력을 계속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자동 재다이얼 기능의 경우는, 상대측이 통화중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계속하여 재발신을 수행하였고, 상대측에서 호출음이 들리면, 자동 재다이얼 기능이 정지하였다. 상기한 자동 재다이얼 기능의 경우, 사용자가 계속하여 재다이얼 버튼 입력을 하지 않아도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재발신되는 이점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재다이얼 하는 경우에는 상대측의 상황에 따라 짧은 간격으로 재발신해야 되는 경우, 혹은, 긴 간격으로 재발신해야 되는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재발신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 재다이얼 되는 도중에 실수로 다른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한 자동 재다이얼 기능이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교환기에서 발신한 국선 상대측이 통화중인 경우, 상대측의 통화중 상태와 상관없이 재다이얼 기능 수행 입력이 있으면 자동으로 재다이얼 기능을 수행하는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 발명은, 자동재다이얼 주기 및 횟수가 설정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재다이얼 버튼 및 자동 재다이얼 버튼을 구비하는 단말기가 내선 가입된 사설교환기의 자동 재다이얼 방법에 있어서, 국선으로 발신중, 상기 단말기의 재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국선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중음에 상관없이 상기 국선으로의 재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재다이얼된 국선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재다이얼된 국선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주기 및 횟수에 따라 자동 재다이얼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으로부터 호출음이 검출되면 상기 자동 재다이얼 수행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0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통화 스위치를 제어하고 각종 서비스 및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 램(RAM)110은 프로그램 및 휘발성 데이터 처리 영역을 구비하며, 다수의 각종 버퍼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롬(ROM)120은 호 및 통화 대기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한다. 스위칭회로13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하에 각종 톤 및 음성 데이터, 내선들간의 연결, 국선의 연결 등을 스위칭 한다. 일반가입자 회로140은 다수의 가입자의 일반전화기와 장치간의 인터페이싱을 행한다. 링발생기150은 구형파 형태의 링신호를 상기 일반가입자 회로140으로 출력한다. 키폰가입자 회로160은 다수의 키폰전화기와 장치간의 인터페이싱을 행한다. 이때 상기 키폰전화기는 소정의 표시부를 포함하여 가입자가 상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및 입력 전화 번호 등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톤발생기17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며, 국선 라인을 시져하여 국선 루프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국선을 통하여 수신되는 인컴밍(Incoming)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DTMF수신기190은 상기 일반 가입자 회로140의 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DTMF신호를 분석한다. 한편, DTMF송신기20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하에 DTMF신호를 스위칭회로130으로 출력한다. 시계회로105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시계 기능을 제공하고, 그외 미리 지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기능도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램110에는 별도의 재다이얼 메모리 영역과 재발신 메모리 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재다이얼 메모리 영역에는 사용자가 재다이얼 버튼을 입력할 시, 재다이얼 되는 디지트가 저장되며, 상기 재발신 메모리 영역에는 재다이얼 버튼이 입력되고 재다이얼이 수행되는 경우에 발신되는 디지트가 저장된다. 상기 재다이얼 메모리는 숫자키 버튼이 입력될 때마다, 그에 대응하는 디지트를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롬120에는 자동 재다이얼 기능 수행에 따른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자동 재다이얼 기능이 수행될 시, 재다이얼링되는 주기 및 재다이얼링 횟수가 셋팅되어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상기한 도 1의 사설교환기에서 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 재다이얼 기능이 수행됨을 전제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디지트에 해당하는 국선으로 호가 발신된다. 그리고, 212단계에서 재다이얼(Redial)버튼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재다이얼 버튼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214단계에서 재다이얼링이 수행된다. 이때에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디지트가 재다이얼 메모리에 우선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재다이얼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는, 상기 재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된 디지트가 재발신 메모리로 복사되어 재발신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처럼 214단계에서 재다이얼링이 수행되고, 216단계에서 상대측, 즉, 발신된 국선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통화중음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DTMF수신기190에 검출된다. 상기 216단계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면, 218단계에서 자동 재다이얼링 주기 및 횟수를 셋팅한다. 이는, 상기 롬120에 미리 설정된 자동 재다이얼 주기와 횟수를 독출하여 이를 작업 메로리인 램110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218단계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자동 재다이얼 동작이 수행되며, 몇 번 정도 수행되는지가 결정된다. 한편, 상기 212단계에서 재다이얼 버튼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213단계에서 자동 재다이얼 버튼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자동 재다이얼 버튼은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되는 단말에 별도로 구비되는 기능키 버튼이 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기능키를 자동 재다이얼 버튼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게 된다. 이는 실시자 및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가능하다. 상기 213단계에서 212단계의 재다이얼 버튼 입력 대신에 자동 재다이얼 버튼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18단계의 자동 재다이얼 주기 및 횟수 셋팅 동작을 곧바로 시작한다. 결국, 상기 212단계에서 재다이얼 버튼 입력이 있으면, 상대측의 통화중 상태와 상관없이 바로 재다이얼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이어서 자동 재다이얼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종래 자동 재다이얼 기능이 일정한 주기에 의해서만 동작하는 것과 달리,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바로 재다이얼이 수행됨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218단계에서 자동 재다이얼 주기 및 횟수가 셋팅되고, 220단계에서 자동 재다이얼 대기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자동 재다이얼 대기 모드라 함은, 상기 218단계에서 셋팅된 주기만큼, 재다이얼이 수행되지 않고 잠시 대기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222단계에서 자동 재다이얼을 수행하는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주기 판단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시계회로105에 의해 발생하는 시간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이 입력받아 소정 처리를 함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222단계에서 자동 재다이얼 주기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224단계에서 자동 재다이얼 기능에 따른 재발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상기 설명한 재발신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트로 발신동작이 일어나는 것이다. 226단계에서 상대측으로부터 호출음의 검출여부를 판단하고, 호출음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18단계를 재수행한다. 상기 226단계에서 호출음이 검출되면, 228단계에서 자동 재다이얼 동작이 종료한다. 그리고, 230단계에서 통화 상태를 수행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사설교환기의 내선 가입자가 국선을 통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한 후, 상대측의 통화중 여부가 상관없이 상기 자동 재다이얼 버튼을 입력하면, 자동 재다이얼 모드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 램에 저장된 자동재다이얼 주기마다 그리고, 자동 재다이얼 횟수만큼 자동으로 재다이얼링을 수행하고, 상대측으로부터 호출음이 수신되면, 자동 재다이얼링을 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동 재다이얼 버튼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통상적인 자동 재다이얼 기능 수행에서, 사용자가 재다이얼 버튼을 입력하면, 자동재다이얼 주기 및 횟수에 상관없이 곧바로 재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국선으로 다이얼링을 한 후, 상대가 통화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재다이얼 버튼을 한번만 입력하더라도, 자동 재다이얼 기능이 수행되는 동작도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자동 재다이얼이 일정한 주기에 따라 수행되는 것과 상관없이, 혹은 상대측의 통화중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바로 재다이얼이 수행되므로, 보다 편리한 재다이얼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재다이얼 버튼을 한번만 입력하더라도, 상대측이 통화중이면 자동 재당이얼링이 수행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가져다준다.
도 1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3)

  1. 자동재다이얼 주기 및 횟수가 설정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재다이얼 버튼 및 자동 재다이얼 버튼을 구비하는 단말기가 내선 가입된 사설교환기의 자동 재다이얼 방법에 있어서,
    국선으로 발신중, 상기 단말기의 재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국선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중음에 상관없이 상기 국선으로의 재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재다이얼된 국선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는지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재다이얼된 국선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주기 및 횟수에 따라 자동 재다이얼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과정과,
    살기 국선으로부터 호출음이 검출되면 상기 자동 재다이얼 수행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국선으로 발신중, 상기 단말기의 자동 재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설정된 주기 및 횟수에 따라 자동 재다이얼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으로부터 호출음이 검출되면 상기 자동 재다이얼 수행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자동 재다이얼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자동 재다이얼 기능 수행 중 상기 재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자동 재다이얼 기능을 중단시킨 후, 상기 국선으로의 재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재다이얼링된 국선에서 통화중음이 검출되면, 상기 자동 재다이얼 기능을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개선된 자동 재다이얼 방법.
KR1019970076091A 1997-12-29 1997-12-29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KR10050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91A KR100506263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91A KR100506263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13A KR19990056113A (ko) 1999-07-15
KR100506263B1 true KR100506263B1 (ko) 2005-10-21

Family

ID=3730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091A KR100506263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2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462A (ko) * 1993-09-22 1995-04-28 박병업 공중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기기에서의 자동 재발신 장치
KR960016329A (ko) * 1994-10-28 1996-05-22 김주용 전화기 자동 재발신 방법
KR960027974A (ko) * 1994-12-20 1996-07-22 구자홍 전화기의 자동 재다이얼링 방법
KR960027513A (ko) * 1994-12-15 1996-07-22 구자홍 무선전화기의 자동 재다이얼 방법
KR19990020539U (ko) * 1997-11-26 1999-06-15 구본준 자동 재다이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462A (ko) * 1993-09-22 1995-04-28 박병업 공중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기기에서의 자동 재발신 장치
KR960016329A (ko) * 1994-10-28 1996-05-22 김주용 전화기 자동 재발신 방법
KR960027513A (ko) * 1994-12-15 1996-07-22 구자홍 무선전화기의 자동 재다이얼 방법
KR960027974A (ko) * 1994-12-20 1996-07-22 구자홍 전화기의 자동 재다이얼링 방법
KR19990020539U (ko) * 1997-11-26 1999-06-15 구본준 자동 재다이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13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NZ233606A (en) Standard telephone set interfaced to cellular transceiver
KR100232865B1 (ko)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KR0138186B1 (ko) 전화기의 다이알 정보 저장 및 리다이알 방법
KR100506263B1 (ko)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KR0184469B1 (ko) 착신통화전환서비스가 가입된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외부 착신통화 전환방법
US6490348B1 (en) Switching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call waiting service
KR100222792B1 (ko) 사설교환기에 연결되어 전용전화기 기능을 갖는 일반 전화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200339B1 (ko) 페이저 호출시 수신 전화번호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KR20010058200A (ko) 전화 번호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100251635B1 (ko) 교환기 시스템에서 국선 호만 재다이얼 허용 방법
KR100269766B1 (ko)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KR100238881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 자동재다이얼 잔여시간 표시방법
KR100428481B1 (ko)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 접속 다이얼 전화기의 선로설정 방법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KR100229021B1 (ko) 전화기에서 라인상태 알림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KR100381899B1 (ko) 교환기에서자동재다이얼장치및방법
KR20010081834A (ko) 전화기를 이용한 발신 번호 자동 전환 방법
JPH01173950A (ja) 通信装置
KR100217718B1 (ko) 자동응답시스템을 사용할 때 재다이얼하는 방법
KR100506212B1 (ko) 키폰시스템에서디사국선을이용한메시지기록방법
KR910001279B1 (ko) 통신단말장치
KR100235468B1 (ko)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서 다이얼링 오조작시 재다이얼링 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KR19990049834A (ko) 전화기에서 입력된 키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