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711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711B1
KR100396711B1 KR10-2001-0081315A KR20010081315A KR100396711B1 KR 100396711 B1 KR100396711 B1 KR 100396711B1 KR 20010081315 A KR20010081315 A KR 20010081315A KR 100396711 B1 KR100396711 B1 KR 10039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orming
insulating film
film
semiconduct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0793A (ko
Inventor
차한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8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7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2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14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urce or drain structures, e.g. specific source or drain implants or silicid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or rais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self aligned silicidation, i.e. salicide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패터닝(Gate Patterning) 이후에 게이트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도핑(Doping) 공정을 실시하므로써 NP 바이어스(Bias) 문제 및 오버-에치(Over-etch)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자 분리영역 및 게이트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상에 상기 게이트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막을 평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게이트에 이온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양측면에만 남도록 상기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및 절연막 측벽 양측의 반도체 기판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상부 표면과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살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모스 게이트와 피모스 게이트간의 임계치수(CD : Critical Dimension) 차이 및 액티브 영역의 오버-에치(Over-etch)를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집적 씨모스(CMOS :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반도체 소자 제조시 게이트의 도핑 효율을 높이기 위해 게이트 패터닝전에 게이트 폴리(Gate poly)에 도핑을 실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게이트 패터닝전에 엔모스 게이트 폴리(Gate-poly)에만 인(Phosphorus) 이온을 프리-도핑(Pre-doping)한다.
이러한 엔모스(NMOS) 게이트 폴리의 프리-도핑(Pre-doping) 공정으로 인하여 엔모스 게이트 폴리의 식각율이 피모스 게이트 폴리의 식각율보다 커지게 되며, 이러한 식각율 차이는 게이트 패터닝 공정 이후에 엔모스(NMOS) 게이트와 피모스(PMOS) 게이트간의 임계치수(CD : Critical Dimension)가 달라지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엔모스 게이트 폴리의 식각율(Etch Rate) 증가로 인하여 엔모스 액티브(Active) 영역에 오버 에치(Over-etch)가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엔모스 게이트와 피모스 게이트의 임계치수가 서로 상이하므로 NP 바이어스 문제가 발생된다.
둘째, 엔모스 게이트 폴리의 식각율 증가로 인하여 게이트 패터닝시 엔모스의 액티브 영역이 손상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NP 바이어스 문제 및 액티브 영역의 오버-에치 문제를 방지하기에 적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반도체 기판 12 : 소자분리 영역
13 : 게이트 전극 14 : LDD 영역
15 : TEOS막 16 : 질화막
17 : 제 1 포토레지스트 18 : 제 2 포토레지스트
19 : 스페이서 20/21 : 소오스/드레인 영역
22 : 살리사이드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소자 분리영역 및 게이트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상에 상기 게이트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막을 평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게이트에 이온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양측면에만 남도록 상기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및 절연막 측벽 양측의 반도체 기판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상부 표면과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살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우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분리 영역(1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상에 게이트 절연막(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개재하여 복수개의 게이트 전극(13)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3)은 통상의 게이트 전극 재료인 폴리 실리콘(Poly-Si)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어, 상기 게이트 전극(13)을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저농도의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13) 양측의 반도체 기판(11)내에LDD 영역(14)을 형성한다.
이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13)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의 표면상에 TEOS막(15)을 증착하고 저온의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13)의 두께보다 두터운 두께로 질화막(16)을 증착한다.
여기서, 상기 TEOS막(15)은 후속으로 증착되는 상기 질화막(16)을 증착할 때 시행되는 고온 공정에 의한 저농도 불순물 영역의 확산을 피하기 위해 하부 플라즈마 데미지(Plasma Damage)를 제거해 주는 버퍼층으로, 100∼4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또한, 상기 TEOS막(15) 대신에 통상적인 CVD(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VD(Physical Vapor Deposition)로 제조되는 옥사이드(Oxide)계 물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TEOS막(15)의 증착 공정 없이 질화막(16)을 증착하여도 무방하다.
이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13)이 노출되도록 상기 질화막(16)과 TEOS막(15)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질화막(16)과 TEOS막(15)의 제거 방법으로는 상기 게이트 전극(13) 상부가 노출되도록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실시하는 방법 또는 상기 게이트 전극(13) 상부에 상기 질화막(16)과 TEOS막(15)이 200∼500Å의 두께로 잔류하도록 CMP 공정을 실시한 후에, 습식 식각 공정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13)이 노출되도록 상기 질화막(16)과 TEOS막(15)을 제거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이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13) 및 질화막(16)상에 제 1 포토레지스트(17)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13) 및 그에 인접한 질화막(16)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17)를 선택적으로 패터닝한다.
이때,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17)는 상기 엔모스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영역만이 노출되도록 패터닝하거나, 피모스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영역만이 노출되도록 패터닝한다.
그리고, 상기 패터닝된 제 1 포토레지스트(17)를 마스크로 상기 노출된 엔모스 또는 피모스 게이트 전극(13)에 엔모스 또는 피모스 게이트용 이온을 주입한다.
이때, 상기 LDD 영역(14)은 상기 질화막(16)에 의해 마스킹(Masking)되므로 게이트 전극(13)에만 선택적으로 이온이 주입되게 된다.
이어,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17)를 제거하고 전면에 제 2 포토레지스트(18)를 도포한다.
이어,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 및 현상 공정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13) 및 이에 인접한 TEOS막(15)과 질화막(16)상에만 남도록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18)를 선택적으로 패터닝한다.
이어,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터닝된 제 2 포토레지스트(18)를 마스크로 상기 질화막(16)과 TEOS막(15)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13) 양측의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18) 하부에 잔류하는 상기 질화막(16)과TEOS막(15)으로 스페이서(19)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18)를 제거하고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19), 게이트 전극(13) 및 소자분리 영역(12)을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 기판(11)에 고농도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스페이서(19) 양측 반도체 기판(11)에 소오스/드레인 영역(20/21)을 형성한다.
이어,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리사이드(Salicide) 공정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13)의 상면과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20/21)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의 표면에 살리사이드막(22)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게이트 패터닝전에 실시하였던 엔모스 게이트 폴리에 대한 프리 도핑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 엔모스 게이트 폴리 식각율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 폴리간 식각율 차이로 인한 NP 바이어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엔모스 게이트 폴리의 식각율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엔모스 게이트 폴리의 오버-에치로 인한 액티브 영역의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NP 바이어스 문제 및 액티브 영역의 데미지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자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소자 분리영역 및 게이트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상에 상기 게이트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막을 평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게이트에 이온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양측면에만 남도록 상기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및 절연막 측벽 양측의 반도체 기판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상부 표면과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의 표면에 살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게이트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의 표면상에 TEOS막 또는 CVD, PVD 방법으로 제조되는 산화막을 100∼4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질화막을 형성할 때 시행되는 고온 공정에 의한 데미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TEOS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을 평탄화함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상부가 노출될 때까지 직접 평탄화하는 대신 상기 게이트 상부 200~500Å까지만 평탄화하고 추가로 습식각이나 건식각을 이용해 게이트 상부가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측벽은,
    상기 게이트 및 그에 인접한 절연막을 덮는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식각 공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1-0081315A 2001-12-19 2001-12-19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9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315A KR100396711B1 (ko) 2001-12-19 2001-12-19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315A KR100396711B1 (ko) 2001-12-19 2001-12-19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793A KR20030050793A (ko) 2003-06-25
KR100396711B1 true KR100396711B1 (ko) 2003-09-02

Family

ID=2957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315A KR100396711B1 (ko) 2001-12-19 2001-12-19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7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793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595B2 (en) Integration scheme method and structure for transistors using strained silicon
US20080268589A1 (en) Shallow trench divot control post
KR100464229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39671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98644B1 (ko) Pip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5787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35430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42922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7125775B1 (en) Method for forming hybrid device gates
KR10039991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21758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10077887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23650A (ko) 살리사이드를 갖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62821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1349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1493A (ko) 게이트전극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0175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4935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13716B1 (ko) 씨모스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4831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5381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7140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0799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51037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2003005103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