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532B1 - 콜리트리테이너를가진신속연결유체카플링 - Google Patents

콜리트리테이너를가진신속연결유체카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532B1
KR100396532B1 KR1019970703885A KR19970703885A KR100396532B1 KR 100396532 B1 KR100396532 B1 KR 100396532B1 KR 1019970703885 A KR1019970703885 A KR 1019970703885A KR 19970703885 A KR19970703885 A KR 19970703885A KR 100396532 B1 KR100396532 B1 KR 100396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using
collet
bead
quick conn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트 폼
제이 카굴라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라이트 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 폼 filed Critical 라이트 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신속 연결 카플링은 일반적으로 직경이 증가되어 하우징속으로 움직이는 입구로부터 안쪽으로 뻗는 축공을 가지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튜브의 내단부로부터 공간을 둔 증가된 직경을 가진 보어공속으로 삽입가능한 튜브비드를 가진다. 통상 환상의 반경상으로 팽창 가능하고 보어공내에서 배치된 콜리트는 튜브의 삽입으로 팽창되고, 튜브비드의 바깥/족으로 튜브상에서 수축된다. 이 콜리트는 하우징의 직경증가부와 튜브비드사이에서 쐐기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내에 튜브를 지지하게 된다. 한가지 실시예에서, 하우징내에 배치된 스프링은 하우징의 입구부를 향하여 콜리트를 편기하고, 극단적인 조건하에 콜리트의 적절한 위치를 보증한다. 본 발명상의 콜리트는 상요되어야 할 직경보다 더 작은 튜브비드 직경을 허용한다.

Description

골리트 리테이너를 가진 신속 연결 유체 카플링{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Collet Retainer}
제 1 도는 본 발명상의 신속 연결 카플링의 노출된 부분 단면도이다.
제 2 도는 하우징속으로 튜브를 삽입하는 동안 제 1도의 신속 연결 카플링의
횡단면도이다.
제 3 도는 하우징에 튜브를 연결한 다음의 제 1 도의 신속 연결 카플링의
횡단면도이다.
제 4 도는 제 1 도의 튜브 확대 측면도이다.
제 5a 도는 제 1 도에서 도시된 콜리트(collet) 의 측면도이다.
제 5b 도는 제 5a 도에서 도시된 콜리트의 사시도이다.
제 5c 도는 5c - 5c 선을 따라 5a 도에서 나타낸 콜리트의 횡단면도이다.
제 6a 도는 또 다른 콜리트의 측면도이다.
제 6b 도는 제 6a 도에서 나타나 있는 콜리트의 사시도이다.
제 7a 도는 또 다른 콜리트의 측부도이다.
제 7b 도는 제 7a 도에 나타난 콜리트의 사시도이다.
제 8a 도는 본 발명상의 또 다른 6 편(6-piece) 신속 연결 카플링의 횡단면
도이다.
제 8b 도는 제 8a 예에서 본 콜리트를 나타낸다.
제 9 도는 본 발명상의 또 다른 5편 신속 연결 카플링의 횡단면도이다.
제 10 도는 본 발명상의 또 다른 4 편 신속 연결 카플링의 횡단면도이다.
제 11 도는 본 발명상의 또 다른 3편 신속 연결 카플링의 횡단면도이다.
제 12A 도는 또 다른, 스프링이 없는 일부 잘라낸 신속 연결 카플링 단면도
이다.
제 12B 도는 하우징속으로 튜브의 삽입 도중의 제 12A 도의 신속 연결 카플
링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주위 전체에 걸쳐 튜브비드(tube bead)를 보지하도록 하는 개량된 리테이너(retainer)를 가진 신속 연결 유체 카플링(qucik connect fluid coupling) 에 관한 것이다.
신속 연결 카플링은 하우징 보어 구멍(housing bore) 또는 제 2 튜브내에서 튜브를 신속하고도 확실히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신속 연결 카플링은 브레이크라인(brake lines), 공조라인(air conditioning lines), 파워스티어링라인(power steering lines) 및 기타 다른 고압 및 진공라인 (high-pressure and vacuum lines)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최신의 차량에 사용되고 있는 카플링이다.
표준 신속 연결 카플링에는 암 하우징 보어 구멍(female housing bore) 내에 리테이너가 수납된다. 이 리테이너는 다수의 아암(arms)을 갖고 있는데, 이는 보어구멍속으로 축상으로 움직이는 방향으로 반경상 안쪽으로 뻗는다. 이 튜브는 보어 구멍속으로 움직이고 아암을 바깥쪽으로 휘게 하는 큰 직경을 가진 반경상의 비드(radially greater diameter bead)를 갖는다. 아암의 축상 및 반경상 가장 안쪽의 단부는 비드보다도 튜브의 외경과 거의 같은 내경으로 이루어진다. 튜브가 보어 구멍속으로 더욱 들어가면, 비드는 아암으로 하여금 반경상으로 바깥쪽으로 나가도록 강제하고 축상으로 움직여서 아암을 통과한다. 비드가 한번 아암을 건너 축상으로 움직이기만 하면, 이 아암은 튜브 바깥으로 반경상으로 있고 또한 튜브비드(tube bead) 와 보어공의 외단부 사이에서 축상으로 있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되돌아(spring back) 간다. 이 튜브는 다음 충분히 삽입되고, 리테이너는 하우징내에서 튜브를 안전히 받쳐 주게 된다.
비드뒤에서 걸쇠체결(latch) 하는데 사용되는 휨성을 가진 아암(flexible arms)을 가지는 신속 연결 카플링을 일반적으로 널리 쓰고는 있지만, 이들은 몇 가지 결함을 안고 있다. 아암의 주위와 공간을 두고 있는 단부(spaced ends)에서 특정 접촉점에 한정된다는 것이 그 하나이고, 또 한 가지는 이들 리테이너들이 이 디자인에서 저 디자인으로 자주 바뀌는 점이며, 아울러 이들의 작동이 아암의 재료, 길이, 각도, 두께 및 숫자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다. 온도의 극심한 변화도 아암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공간을 둔 아암은 찬 온도에서는 취화되어 부스러지기 쉽고 뜨거운 곳에서는 연화된다. 게다가, 연결구에서 휨성을 가진 유연한 아암은 튜브를 잡아 주게 되지만, 카플링에 중요한 측면 하중지지 기능은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휨성을 가진 유연한 아암(flexible arms) 은 튜브비드가 휨성을 가진 아암을 통과하여 삽입되어야 하므로 비교적 큰 삽입거리(insertion distance) 를 필요로 한다.
튜브헤드의 높이는 걸쇠 걸리도록 휨성을 가진 아암에 대하여 비드의 측부에 충분한 표면을 주어야 할 정도로 비교적 커야 한다. 이 높이는 여러 가지 튜브 직경을 넘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튜브의 직경이 작을수록, 튜브재료의 반경상 바깥으로의 변형 퍼센테이지는 더욱 커진다. 통상 튜브의 재료는 이 변형율이 50 % 를 넘으면 파손되는 등 실패하기 십상이다. 12.7mm (1/2 인치) 미만의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진 튜브의 경우, 튜브비드는 35 % - 40 % 로 통상 변형된다. 큰 튜브인 경우, 예컨데 튜브경이 12.7mm (1/2인치) 보다 큰 직경에서는, 튜브비드가 15 %를 넘을 정도로 변형된다. 직경 7.93 mm (5/16 inch) 또는 9.53 mm (3/8 inch)의 직경을 가진 알려진 타입의 튜브에서는, 통상 비드는 32% 정도 변형된다.
어떤 한 가지 종류의 튜브에서는, 7.93 mm (5/16 inch) 의 직경을 가진 튜브는 1.27 mm(0.05 inch) 의 높이 또는 32 % 변형(deformation)율을 가진 튜브비드를 가진다. 이와 동일형의 튜브에서, 9.53 mm (3/8 inch) 의 직경을 가진 튜브 1.52 mm (0.06 inch) 의 비드 높이 또는 32 % 변형율을 필요로 한다. 다른 종래의 표준 신속 연결 튜브에서는, 7.93 mm(5/16 inch) 의 튜브는 튜브비드 높이 1.57 ㎜ (0.062 inch) 를 요하거나 39 % 변형을 요한다. 9.53 mm 직경의 튜브는 1.65 mm (0.065 inch) 의 비드높이 또는 35% 변형을 가진다. 19.05 mm (3/4 inch) 직경의 튜브는 1.78 mm (0.070 inch) 의 비드높이 또는 19 % 의 변형율을 요한다. 또한 25.4 mm (1 inch) 경의 튜브는 20.3 mm (0.080 inch) 의 비드높이 또는 16% 변형율을 필요로 한다.
과도한 변형율을 튜브비드 근처에서 튜브를 약화시킨다. 그리고, 잠재적인 파손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큰 비드의 경우 리테이너가 주위로 공간을 둔 여러 포인트에서 튜브와만 접촉하고 있으므로 큰 비드가 필요하다.
연결기 하우징의 축공내에 배치된 콜리트 리테이너(collet retainer)를 이용할 것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 제안된 바 있는 콜리트는 통상 반경상의 팽창부(radial expandability)를 주기 위하여 분할편(split)을 갖는 링(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튜브를 하우징속으로 삽입함에 따라, 이 콜리트는 튜브비드에 의해 반경상으로 팽창한다. 튜브비드가 콜리트를 지나 삽입되면 그 후 콜리트가 튜브비드 뒤에서 튜브위로 수축된다. 가끔 콜리트는 비드의 주위 전체와 접촉하지 않는다.
어떤 하나의 신속 연결 카플링에서, 카플링이 압축되면, 콜리트는 콜리트가 반경상으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우징에 있는 선반 아래로 슬라이딩한다. 그러나, 신속 연결 카플링이 압축되지 않으면, 콜리트는 부주의하게 반경상으로 팽창하게 되고 튜브를 놓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안된 바 있는 콜리트는 성공적으로 이용되어 오지 못했다.
본 발명은 따라서 튜브의 부주의한 또는 예기치 못한 분리(inadvertent release)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경상으로 팽창 가능한 콜리트 리테이너(radially expandable collet retainer)를 적절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이를 확실히 보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콜리트 리테이너(collet retainer) 는 대다수 튜브비드 주위로 견고한 연결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작은 튜브비드는 재료피로(material fatigue)를 초래하지 않게 사용된다. 신속 연결 카플링은 통상 하우징속으로 뻗는 축상보어공 또는 축공(axial bore)을 갖고 입구로부터 팽창하는 하우징을 포함 구성한다. 증가된 직경의 튜브비드를 갖는 튜브는 하우징의 축상보어구멍속으로 삽입가능하다. 이 튜브는 하우징보어구멍내에 배치되는 반경상으로 팽창 가능한 콜리트에 의해 하우징내에서 지지된다. 이 콜리트는 튜브비드의 전체 주변위로 튜브비드와 하우징사이에서 쐐기(wedge)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한 가지 예를 들면, 하우징내에 있는 스프링은 하우징 입구를 향하여 콜리트를 편기(bias) 하므로써 콜리트를 적절한 위치에 있도록 해준다. 다른 예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상의 콜리트 리테이너는 휨성을 가진 아암을 이용하는 공지의 신속 연결 리테이너에 비하여 여러 가지로 예민한 편이다. 콜리트 리테이너가 비드의 전체 주위로 비드와 하우징사이에 쐐기를 제공하는 이상 제조상의 허용칫수에는 더 이상의 여유 마진(margin) 이 없다. 가급적, 콜리트는 정상적으로 수축되고 튜브비드와 하우징사이에서 콜리트를 지지하기 위해 수축 상태를 향하여 충분히 편기(bias) 한다. 극단적인 조건으로 사용되는 한 가지 예를 보면, 스프링은 하우징 부위에 대해 콜리트를 편기(bias) 하므로, 이에 따라 하우징내에 콜리트를 적절히 위치시켜 주는 것을 보증해 주게 되므로써 콜리트의 부주의한 반경상의 팽창을 방지해 준다. 본 발명상의 신속 연결 카플링은 하우징속으로 튜브의 보다 짧은 삽입거리를 또한 허용할 때 연결에 대하여 강한 측부하중을 가하는데 이는 콜리트가 튜브 전체 직경부주위로의 연결을 지지해 주기 때문이다. 본 발명상의 콜리트로,튜브비드의 직경은 12.7mm 직경 미만의 튜브에서는 튜브경에 비해 20 %보다 작은 비율로 증가되고, 직경 12.7 mm (1/2 inch) 이상의 튜브에서는 튜브비드의 직경은 단지 5 ~ 15 % 정도의 비율로 증가된다.
본 발명상의 장점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첨부된 도면으로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 1 도에 통상의 신속 연결 카플링 20 이 나타나 있다. 이 신속 연결 카플링은 튜브 24와 그 연결용 하우징 22으로 구성된다. 이 튜브 24 는 튜브 24의 내단부 (inner end) 30 로부터 공간을 둔 반경상으로 보다 큰 직경을 가진 튜브비드 26를 갖는다. 하우징 22 에는 입구 36 로부터 하우징 22 속으로 안쪽으로 뻗는 축상보어공(axial bore) 34 이 있다. 입구부 36 안쪽에 증가된 직경을 가진 제 1 부 38가 축상 보어공 34에 포함 구성된다. 제 1 부 38 에는 입구부 36 와 비교적 큰 직경 부위 42 사이에 있는 경사부(tapered portion) 40 가 있다. 이 경사부 40 에는 또한 입구부 36 에 있는 환상의 봉우리부 44 가 포함 구성된다.
제 1 부 38 의 축상 안쪽으로는 감소된 직경을 가진 봉함홈을 가진 홈부(seal cavity portion) 46 가 있다. 이 봉함용 홈부 46 의 공간을 둔 축상 안족으로는 또한 더 감소된 도관부 50 에 이어 튜브 24 의 내단부 30를 수납하기 위한 보다 감소된 부위 48 가 있다.
봉함용 홈부 46 내에는 씨일 52 이 수납된다. 환상의 파일룻트 54 에는 하우징 22 속으로 안쪽으로 움직이는 테이퍼진 내면 58 이 있다. 환상의 반경상의 팽창 가능한 콜리트(annular radially expandable collet) 64 는 통상 축상의 내단부 66와 반대편 외단부 68를 가진 편상의 스플릿 링( split ring) 으로 되어 있다. 이 콜리트 64 는 하우징 22 속으로 안쪽으로 움직이는 테이퍼진 내면 70을 포함 구성한다. 이 스프링 74은 콜리트 64 의 내단부 66 위로 통상 일체로 모올딩된다.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씨일 52, 파일롯트 54, 콜리트 64 는 하우징 22 내에서 조립되어 하우징 앗셈블리 75 라는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 씨일 52 은 하우징 22 의 씨일 홈부 46 속으로 삽입되고 파일롯트 54 는 씨일 52의 축상 바깥쪽으로, 씨일 홈부 46 속으로 삽입된다. 이 콜리트 64 는 보어구멍 34 의 제 1 부 속으로 삽입되는데, 여기에 있는 스프링 74 은 하우징 22 의 테이퍼진 경사부 40 에 대향하여 축상 바깥쪽으로 콜리트 64를 편기한다. 하우징 앗셈블리 75 속으로 튜브를 삽입하는 동안, 튜브비드 26 는 콜리트 64 의 내면 70 에 계합하므로, 이에 따라 콜리트를 움직여 하우징 22 속으로 축상으로 움직이고, 스프링 74을 압축한다. 일부 지점에서는 스프링과 파일롯트는 콜리트 64 의 안쪽으로의 움직임에 더욱 저항한다. 이 지점에서 콜리트 64 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큰 직경부위 42 속으로 반경상으로 팽창하기 시작한다.
제 3 도에서 보면, 튜브 24를 하우징속으로 완전히 삽입한 후에, 콜리트 64는 튜브비드 26 뒤로 안쪽을 향하여 반경상으로 수축한다. 이 콜리트 64 는 스프링 74 에 의해 축상 보어공 34 의 경사부 40 에 대향하여 편기된다. 이에 따라 콜리트 64 의 적절한 위치를 보증해주는 것이다. 튜브 24 는 도관 50 에 인접된 하우징 22 내에 통상 지지되어 있다. 신속 연결 카플링 20 은 튜브 24 와 하우징 22 사이에서 씨일 52 에 의해 봉해진다.
연결시 압력이 가해지면, 튜브는 콜리트 64 에 대향하여 전형적으로 왼쪽으로 튜브가 구동된다. 콜리트가 경사면(ramped surface) 40 에 대향하여 쐐기로 작용되면 이는 연결 강도를 높이게 된다.
제 4 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상의 튜브 24 는 알려진 튜브비드보다도 작은 튜브비드 26를 허용한다. 직경 7.93 mm(5/16 inch) 의 튜브의 경우, 0.69 mm(0.027 inch) 의 튜브비드가 필요하고, 이는 튜브 24 의 직경의 117 % 에 달하는 튜브비드 26 의 최대 외경 b을 만들어 준다. 따라서 20% 보다 적은 팽창율이 필요하다. 직경 19.05 mm(3/4 inch) 의 튜브의 경우, 단지 9 % 만의 팽창율만이 0.89 mm(0.035 inch) 의 튜브를 만드는데 필요하다. 25.4 mm 직경(1 inch)를 가진 튜브의 경우에는 단지 9 % 만의 팽창율만이 1.14 mm(0.045 inch)의 튜브를 형성하는데 필요하다. 이들 작은 튜브비드가 가능한 이유는 콜리트 64 가 튜브비드 26 의 전체 주위상에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조건하에서, 스프링 74 은 콜리트가 항상 적절히 위치 보증되도륵 하는데 사용된다. 튜브 24 는 반경상으로 바깥쪽으로 덜 변형되어 튜브비드 26를 형성하게 되므로, 튜브비드 26 가까운 곳에 있는 튜브 24 의 재료가 알려진 튜브 보다도 강하므로, 이 큰 직경을 가진 튜브비드를 요하고, 이는 통상 튜브직경의 130 %를 넘지 않으면 안된다.
제 5a 도는 내단부 66에서 형성되는 일체로 된 스프링(integral spring) 74을 가지는 콜리트 64를 나타낸다. 제 5b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콜리트 64 는 통상 환상으로 되고 제 1 아암 86 이 제 2 아암 88 의 반경상으로 안쪽으로 있도록 제 1 아암 86을 형성하는 스플릿(split) 84 와 제 2 아암 88을 포함 구성한다. 제5c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 86 은 제 2 아암 88 상에 형성되는 혀부(tongue) 90 로 내부 잠금하는 홈부(groove) 89를 포함 구성한다. 이 콜리트는 콜리트를 넘어 튜브비드가 움직이도록 하고 아암 88 에 관하여 움직이는 아암 86 으로 튜브 삽입함에 따라 팽창한다. 이 혀부와 홈부 연결은 이러한 움직임이 있는 동안 아암을 안내한다.
콜리트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팽창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제 6a 도를 보면, 또 다른 콜리트 92 에는 내단부 96 상에 일체로 된 스프링(integral spring)을 포함 구성한다. 제 6b 도를 보면, 콜리트 92는 일반적으로 환상의 것으로 되고, 제 1 아암 100 과 제 2 아암 102을 제 1 아암 100 이 제 2 아암 102 의 안쪽으로 축상으로 내향하도록 형성하는 헬리칼 스플릿(helical split) 98을 포함 구성한다. 이 헬리칼 스플릿은 반경상의 팽창(radial expansion) 이 이루어지는 동안 아암을 안내할 것이다.
제 7a 도를 보면, 또 다른 콜리트 106 가 있고 여기에는 내단부 110 상에 형성되는 일체로 된 스프링 108 이 있다. 이 콜리트 106 에는 제 1 아암 113 과 제 2 아암 114를 형성하는 스플릿 112 이 구성된다. 제 7b 도에서와 같이, 제 2 아암 114 에는 축상으로 외측 가지부(outer prong) 가 있다. 제 1 아암 113 은 슬라이딩 가능하여 제 2 아암 114 의 외측 가지부 116 와 내부 가지부 115 사이에서 안내되므로써, 콜리트 106 의 반경상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허용한다.
제 8a 도에서와 같이, 신속 연결 카플링 120은 씰홈 128을 형성하는 증가된 직경 부위 126 와 도관부 124를 가지는 하우징 123을 일반적으로 포함 구성하는 6편 앗셈블리 122를 이용하여 또 달리 형성된다. 증가된 직경을 가진 제 1 부위 130 는 분리된 허브편(hub piece) 으로 형성되고 입구부 134 에 인접된 경사부 132를 포함 구성한다. 또 다른 콜리트 138 에는 제 1 부위 130 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142을 수납하는 환상의 기세스 140 가 있다. 콜리트 138 는 (제 8b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경상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하여) 또한 하나 이상의 스플릿 143을 가진다. 또 다른 파일롯 144 도 또한 스프링 142을 수납하기 위한 환상의 리세스 146를 포함 구성한다.
제 9 도를 보면, 또 다른 신속 연결 카플링 150 에는 일체로 된 하우징 152을 이용하는 5 편 앗셈블리(5-piece assembly) 가 있다.
제 10 도에는, 4 편 앗셈블리 159를 갖는 또 다른 신속 연결 카플링 158 이 있다. 콜리트 160 는 전슬한 바와 같이 일체로 된 스프링 162 으로 형성된다. 파일롯 164 은 환상의 리세스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제 11 도를 보면, 또 다른 신속 연결 카플링 166 에는 3 편 하우징 앗셈블리 167 가 있다. 이 3 편 앗셈블리 167 에는, 하우징 168 이 축공(axial bore) 172 속으로 반경상으로 뻗는 일체로 된 파일룻부 170 로 형성된다.
제 12A 도를 보면, 스프링이 없는 신속 연결 카플링 180 이 스플릿 184을 갖는 또 다른 콜리트 182 와 또 다른 파일룻 186을 포함 구성한다. 이 콜리트 182 는 튜브비드 26 뒤에서 자연적으로 수축되어 하우징 190 의 경사부 188 에 당접한다. 사용하는 동안, 하우징 190 바깥쪽으로 튜브 24를 밀려고 하는 힘이 콜리트 182를 튜브 24 주위로 조여주도륵 하므로써 하우징 190 의 경사부 188 에 대향하여 쐐기역할을 한다. 제 12B 도를 보면, 스플릿 184이 튜브 24를 하우징 190 속으로 삽입하는 동안 콜리트 182 가 증가된 직경을 가진 부위 192속으로 반경상으로 팽창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상의 구성부분으로 공지의 재료가 콜리트 재료로 선정되기도 한다. 이 콜리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다.
특허 규정에 따라 본 발명을 최량의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들 특정 실시예로 나타낸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내용으로 기재되고 나타낸 것이라면 본 발명이 실시 적용됨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신속 연결 카플링은 입구부로부터 하우징 속 안쪽으로 뻗는 축공(axial bore)를 가지고, 상기 입구부에 인접한 램프부(ramp portion)를 포함구성하며, 또한 상기 램프부의 축상 안쪽으로 뻗는 팽창가능부위(enlarged portion)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팽창가능부위의 안쪽으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뻗는 돌출부(ledged portion)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과 ;
    상기 축공(bore)속으로 삽입가능한 튜브상에서 증가된 직경의 튜브비드(tube bead)를 형성하는 튜브(tube)와 ;
    상기 하우징의 팽창가능부에 수납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를 건너 상기 축공 속으로 더욱 뻗는 연장부(extending portion)를 가지는 파일롯트 부재(pilot member)와 ;
    상기 축공안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속으로 상기 튜브를 삽입하는 동안 상기 튜브비드에 의해 반경상으로 바깥쪽으로 팽창가능하게 되며, 상기 축공내에서 상기 튜브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비드의 축상 바깥쪽 위치에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수축하게 되고, 또한 상기 튜브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될 때 상기 축공의 램프부와 접촉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콜리트(collet)와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콜리트는 통상 원통형이고, 또한 상기 콜리트의 전 몸체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주변위치에서 반경상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하여 뻗는 스플릿(split)으로 되며, 또한 상기 콜리트부는 전체 튜브비드 주위로 상기 튜브와의 접촉을 부여하며, 상기 튜브비드는 내측상에 상기 파일롯트의 플랜지부와 접촉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튜브를 지지하기 위해 외측상에 상기 콜리트에 의하여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카플링(A quick connect coupling)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ramp portion)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돌출부(ledge portion)의 반경상 최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반경상 내향하여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카플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트(pilot)는 상기 튜브가 상기 하우징에 수납될 때 상기 튜브의 바깥쪽으로 정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카플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spring)은 상기 램프부에 대향하여 바깥쪽으로 상기 환상의 콜리트를 편기(bias)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카플링
KR1019970703885A 1995-10-13 1996-10-02 콜리트리테이너를가진신속연결유체카플링 KR100396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43,216 US5730475A (en) 1995-10-13 1995-10-13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collet retainer
USUS08/543,216 1995-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532B1 true KR100396532B1 (ko) 2004-02-05

Family

ID=2416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885A KR100396532B1 (ko) 1995-10-13 1996-10-02 콜리트리테이너를가진신속연결유체카플링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730475A (ko)
EP (1) EP0803039B1 (ko)
JP (1) JP3754082B2 (ko)
KR (1) KR100396532B1 (ko)
AU (1) AU712891B2 (ko)
CA (1) CA2207101C (ko)
DE (1) DE69631031T2 (ko)
ES (1) ES2210396T3 (ko)
MX (1) MX9704367A (ko)
WO (1) WO1997013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132B1 (en) 1999-11-24 2002-05-28 Richard O. Walcome Deck wash valve
US6543814B2 (en) * 2000-08-10 2003-04-08 John M. Bartholomew Quick connector
US6383243B1 (en) * 2000-08-30 2002-05-07 International Truck And Engine Corp.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for an air cleaner
US6851725B2 (en) * 2001-11-20 2005-02-08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Secondary retention clip for fluid tube connection
US6843512B2 (en) 2002-06-11 2005-01-18 Cuno Incorporated Tubing connector
US6857667B2 (en) * 2002-06-25 2005-02-2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igh pressure fluid quick connect
US7156423B2 (en) * 2003-04-11 2007-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lastic tube joint
US6938810B2 (en) * 2003-04-15 2005-09-06 Illinois Tool Works Inc. Fuel cell adapter system for combustion tools
EP1682807B1 (de) * 2003-11-11 2013-03-13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Schnellkupplung
AU2003296320B2 (en) * 2003-12-09 2010-02-18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 collet retainer with self-centering structure
US7284772B2 (en) * 2003-12-19 2007-10-23 Alder Randall F Coupling assembly
US20050196231A1 (en) * 2004-03-03 2005-09-08 Mckay Frederick D. Quick-locking connector
US7472931B2 (en) * 2004-09-13 2009-01-06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Coupling assembly for tubing and hose connections
US7488005B2 (en) * 2004-09-13 2009-02-10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DE102004052475A1 (de) * 2004-10-28 2006-05-04 Eaton Fluid Power Gmbh Zugfeste Steckkupplung
US20060108705A1 (en) * 2004-11-23 2006-05-25 Rowley William W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component fittings on extrudates
US7341286B2 (en) * 2004-12-09 2008-03-11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Fluid coupling with dual function retention ring
US7472557B2 (en) 2004-12-27 2009-01-06 Carrier Corporation Automatic refrigerant charging apparatus
US7552596B2 (en) 2004-12-27 2009-06-30 Carrier Corporation Dual thermochromic liquid crystal temperature sensing for refrigerant charge indication
US7712319B2 (en) 2004-12-27 2010-05-11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charge adequacy gauge
US20060175831A1 (en) * 2005-02-10 2006-08-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 contamination cover
FR2883607A1 (fr) * 2005-03-25 2006-09-29 Raymond Et Cie Soc En Commandi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elements
US7419192B2 (en) 2005-07-13 2008-09-02 Carrier Corporation Braze-free connector utilizing a sealant coated ferrule
US9568226B2 (en) 2006-12-20 2017-02-14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charge indication
US20090033088A1 (en) * 2007-07-31 2009-02-05 Eaton Corporation Rotomold bead
ITTO20080539A1 (it) * 2008-07-14 2008-10-13 Maurizio Walter Parish Elemento contenitore di riserva di vuoto e di connessione flessibile dotato di elemento modulare di connessione.
DE102009022859B4 (de) 2009-05-27 2023-10-19 Johannes Schäfer vorm. Stettiner Schraubenwerk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Rohrleitungen
US8469405B2 (en) * 2009-10-20 2013-06-25 Dave Wheatley Enterprises, Inc. Securing mechanism for a coupling device
CN103201551B (zh) 2010-10-15 2016-09-07 世伟洛克公司 具有套管的推动连接管接头
ES2600885T3 (es) * 2011-03-18 2017-02-13 A. Raymond Et Cie Conector rápido
US9759465B2 (en) 2011-12-27 2017-09-12 Carrier Corporation Air conditioner self-charging and charge monitoring system
GB201205575D0 (en) 2012-03-29 2012-05-16 Guest John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GB2503880B (en) * 2012-07-09 2019-03-13 Polypipe Ltd Insert for pipes
US9903518B2 (en) 2013-10-24 2018-02-27 Swagelok Company Single action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US10458582B2 (en) 2015-04-23 2019-10-29 Swagelok Company Single action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with colleting
JP6845155B2 (ja) 2015-04-23 2021-03-17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コレットを有する導管継手の単動押動式接続
EP3948042A1 (en) 2019-04-01 2022-02-09 Swagelok Company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assemblies and arrangements
WO2021126205A1 (en) * 2019-12-19 2021-06-24 Oetiker Ny, Inc. Fluid connector including internal retaining cli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492A (ja) * 1990-05-31 1992-02-10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JPH04175598A (ja) * 1990-11-06 1992-06-23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JPH04366086A (ja) * 1990-10-15 1992-12-17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JPH05203088A (ja) * 1991-09-25 1993-08-10 Huron Products Ind Inc 管の迅速連結器用の金属製保持器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0685A (en) * 1968-09-24 1970-09-29 John B Ehret Retainer-seal for gear type flexible couplings
US3948548A (en) * 1973-11-10 1976-04-06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Hose and pipe coupling
DE2824943C2 (de) 1978-06-07 1986-07-31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GmbH + Co, 5272 Wipperfürth Anschlußvorrichtung für Bremsleitungen
US4240654A (en) * 1979-09-28 1980-12-23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Hose end coupling unit
US4526411A (en) * 1980-10-29 1985-07-02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948175A (en) * 1980-10-29 1990-08-14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4979765A (en) * 1980-10-29 1990-12-25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DD154393A1 (de) * 1980-12-11 1982-03-17 Rudi Schmidt Steckkupplung fuer gasleitungen
US4802697A (en) * 1987-09-09 1989-02-07 Proprietary Technology, Inc. Means of locking tubes into engagement with a pressure fitting
US4948176A (en) * 1987-09-14 1990-08-14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5042848A (en) * 1987-11-16 1991-08-27 Fujipura Seiko Co. Swivelable connector for tubular conduits
JP2691550B2 (ja) * 1988-03-01 1997-12-1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JPH0538317Y2 (ko) * 1988-03-03 1993-09-28
JP2588417B2 (ja) * 1988-03-05 1997-03-0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配管接続用コネクタ
US5322330A (en) * 1988-05-05 1994-06-21 Preece Incorporated Quick disconnect with a position compensating seal
JPH0637262Y2 (ja) * 1988-08-26 1994-09-2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4925217A (en) * 1988-10-24 1990-05-15 Huron Products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visual checking method
US4889368A (en) * 1988-12-12 1989-12-26 Aeroquip Corporation Combination quick-connect and thread-disconnect tube connector
US5000614A (en) * 1989-05-05 1991-03-19 Huron Products Corporation Conduit quick connector assembly having a ramped housing with a hair pin retainer
US5232252A (en) * 1989-09-11 1993-08-03 Proprietary Technology, Inc. Adaptive connector assembly
US5022687A (en) * 1989-09-18 1991-06-11 Yokohama Aeroquip Corporation Pipe coupling
JP2802944B2 (ja) * 1989-09-27 1998-09-2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024468A (en) * 1989-11-13 1991-06-18 Parker Hannifin Corporation Push-in tube fitting and release tool
JPH073119Y2 (ja) * 1989-11-20 1995-01-30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管継手
US5195787A (en) * 1990-01-16 1993-03-23 Proprietary Technology, Inc. Quick connector with heavy-duty retainer
US5069424A (en) * 1990-10-17 1991-12-03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US5211427A (en) * 1990-12-22 1993-05-18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Piping connector
EP0511891B1 (fr) * 1991-04-29 1995-03-15 Etablissements CAILLAU Elément de connexion pour le raccordement rapide d'un tube
JP3071498B2 (ja) * 1991-05-30 2000-07-3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配管用コネクタ
US5324082A (en) * 1991-08-29 1994-06-28 Bundy Corporation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coupling
EP0545337B1 (en) * 1991-11-29 1996-03-06 Tokai Rubber Industries, Ltd. Quick connector
US5303963A (en) * 1992-03-27 1994-04-19 Bundy Corporation Tube coupling with secondary retainer clip
EP0615089A1 (de) 1993-03-06 1994-09-14 DEUTSCHE TECALEMIT GmbH Lösbare Steckverbindung für Hochdruckleitungen
US5401063A (en) * 1993-07-19 1995-03-28 Enhanced Applications, L.C. Primary/secondary retainer for beaded/flared tubing
US5354103A (en) * 1994-01-28 1994-10-11 Eaton Corporation Quick connect conduit coup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492A (ja) * 1990-05-31 1992-02-10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JPH04366086A (ja) * 1990-10-15 1992-12-17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JPH04175598A (ja) * 1990-11-06 1992-06-23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JPH05203088A (ja) * 1991-09-25 1993-08-10 Huron Products Ind Inc 管の迅速連結器用の金属製保持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O S.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704367A (es) 1998-03-31
JPH11505315A (ja) 1999-05-18
JP3754082B2 (ja) 2006-03-08
US5730475A (en) 1998-03-24
AU712891B2 (en) 1999-11-18
CA2207101C (en) 2005-09-20
CA2207101A1 (en) 1997-04-17
WO1997013994A1 (en) 1997-04-17
AU7386296A (en) 1997-04-30
DE69631031T2 (de) 2004-09-16
EP0803039A4 (en) 2001-01-31
DE69631031D1 (de) 2004-01-22
ES2210396T3 (es) 2004-07-01
EP0803039A1 (en) 1997-10-29
US6390511B1 (en) 2002-05-21
EP0803039B1 (en) 200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532B1 (ko) 콜리트리테이너를가진신속연결유체카플링
KR950007167B1 (ko) 공기스프링 단부재 및 공기스프링 조립체
US5580100A (en) Connecting joint for plastic tube
CA2146253C (en)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piping
US6588805B2 (en) Coupling adapter and assembly
US4593943A (en) Tubing joint
US5707085A (en) Fluid coupling
WO1997013995A1 (en) Quick connect fluid coupling with a self-contained releasable collet retainer
US3992117A (en) Shaft retaining ring
KR960011237A (ko) 후방 견인 검사법을 갖는 신속 커넥터
US6173994B1 (en) Coupling assemblies for providing fluid connection
US5040829A (en) Hose coupling
US4863199A (en) Separation preventive pipe joint
GB2303678A (en) Separation preventative pipe joint
JPH086868B2 (ja) パイプ用プラグイン結合装置
GB2138089A (en) Pipe connectors
US4978149A (en) Hose coupling
JPH0248767B2 (ko)
JPH0444156B2 (ko)
AU2003296320B2 (en) Quick connect collet retainer with self-centering structure
JP3415295B2 (ja) パイプ継手
JPH1061859A (ja) コネクタ
GB219640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fittings
JPH07317970A (ja) ホースエンド用継手
JPS63291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