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061B1 - 자동차 내장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061B1
KR100396061B1 KR10-2000-0067397A KR20000067397A KR100396061B1 KR 100396061 B1 KR100396061 B1 KR 100396061B1 KR 20000067397 A KR20000067397 A KR 20000067397A KR 100396061 B1 KR100396061 B1 KR 10039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ed
holding
assembly
stand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319A (ko
Inventor
히로세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6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차 내장구의 회동기립부분을 간소한 구조를 가지고 임의의 회동기립위치에서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해결수단)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R)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시스트 그립이나 선 바이저 등의 회동기립체(1)와, 회동기립체(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R)에 대한 부착부(20)를 가지는 고정체(2)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회동기립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에 회동기립체(1)의 임의의 회동위치에서 회동기립체(1)의 기립상태를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스톱기구(3)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구{HAND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시스트 그립이나 선 바이저 등의 자동차 내장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그립 등의 자동차 내장구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실내벽에 회동기립(回動起立)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타입의 것과, 상기 실내벽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타입의 것이 있다.
그런데, 전자의 자동차 내장구는 항시 실내벽에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종종 승강(昇降) 등에 방해가 되는 것이었고, 이러한 이유에서 그 설치위치나 돌출높이 등에 각별한 배려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후자의 자동차 내장구는 그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만 도복(倒伏)상태에서 회동기립시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 전자의 것보다 편리한 것이지만, 그 파지(把持)등을 멈추게 되면 상기 회동기립상태를 유지시킬 수 없거나 혹은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없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래서, 이 후자의 자동차 내장구에 있어서, 회동기립부분을 임의의 회동기립위치에서 이른바 프리스톱상태로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차 내장구의 회동기립부분을 간소한 구조를 가지고 임의의 회동기립위치에서 적절하게 유지시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어시스트 그립(A)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어시스트 그립(A)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는 압접수단(31)의 요부 구성도
도 4는 피압접수단(30)의 요부 구성도
도 5는 어시스트 그립(A)의 정면도
도 6은 어시스트 그립(A)의 측면도
도 7은 어시스트 그립(A)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어시스트 그립(A)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어시스트 그립(A)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어시스트 그립(A)의 요부 단면도
도 11은 도 7 내지 도 9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어시스트 그립(A)의 요부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 - 실내 천정측 1 - 회동기립체
2 - 고정체 20 - 부착부
3 - 스톱기구 30 - 피압접수단(被壓接手段)
31 - 압접수단(壓接手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자동차 내장구를,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시스트 그립이나 선 바이저 등의 회동기립체와, 상기 회동기립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대한 부착부를 가지는 고정체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동기립체와 상기 고정체와의 사이에, 상기 회동기립체의 임의의 회동위치에서 상기 회동기립체의 기립상태를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스톱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동기립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승강 등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도복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시에는 임의의 회동위치까지 회동기립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회동기립체와 고정체와의 사이에 구비된 스톱기구에 의해서 상기 회동기립체를 임의의 회동위치에 각각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차 내장구에 있어서의 스톱기구를, 상기 고정체측에 설치되는 피압접수단과, 상기 회동기립체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기립체의 회동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고정체의 피압접수단에 항시 누름접촉하는 압접수단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피압접수단과 압접수단의 적어도 일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피압접수단과 압접수단의 타측에는 상기 회동기립체의 적어도 도복위치에서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고 또한 상기 도복위치에서 기립방향을 향한 상기 회동기립체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에서 빠져 나오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피압접수단과 압접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는 상기 오목부에서 빠져 나온 상기 돌기부가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누름접촉되는 압접면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동기립체의 도복위치에서는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돌기부를 상기 오목부에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기립체의 도복상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도복상태에서 회동기립체를 기립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회동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압접수단을 피압접수단에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오목부에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기립체를 회동기립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동기립체의 회동기립상태에서는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에서 빠져 나온 상기 돌기부를 상기 압접면에 누름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누름접촉에 의해서 상기 회동기립체의 기립상태를 임의의 회동기립위치에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동기립체의 기립상태에서 상기 도복위치를 향하여 회동기립체를 쓰러뜨리는 회동조작을 하면,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돌기부를 다시 상기 오목부에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상기 회동기립체의 도복상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회동기립체가 세워진 기립상태에서, 상기 회동기립체에 탑승자의 머리 등이 자동차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 접촉한 경우에도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한 상기 압접수단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회동기립체를 상기 도복위치로 쓰러뜨릴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차 내장구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가 회동축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2개 이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 사이에 압접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동기립체의 회동기립조작에 따라서 상기 오목부에서 일단 빠져 나온 상기 돌기부를, 상기 회동기립체의 소정의 기립위치에서 2개 이상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소정의 기립위치에서의 회동기립체의 기립상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의 기립위치로의 회동에 이른바 클릭감을 줄 수 있다.
또, 상기 오목부에 돌기부가 끼워지는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오목부 사이에 형성된 압접면에 상기 돌기부를 누름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에서의 회동기립체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에서의 회동기립체의 회동에 이른바 절도감(마찰저항감)을 줄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자동차 내장구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내벽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측에서 입구측을 향하여 상기 오목부를 넓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돌기부의 측면이, 상기 돌기부의 기부측에서 선단측을 향하여 상기 돌기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동기립체의 회동기립조작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오목부의 내벽과 돌기부의 측면을 슬라이드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내에서 상기 돌기부를 부드럽게 빼낼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차 내장구의 회동조립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스톱기구(3)를 구성하는 압접수단(31)에 있어서의피압접수단(30)과 누름접촉되는 측에 있는 단면부(31a)를, 도 4는 스톱기구(3)를 구성하는 피압접수단(30)에 있어서의 압접수단(31)과 누름접촉되는 측에 있는 단면부(30a)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 5는 자동차 내장구를 실내벽(W)에 부착한 상태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또, 도 6은 자동차 내장구를 실내벽(W)에 부착한 상태를 측방에서 본 측면도로서, 도면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은 회동기립체(1)의 도복위치에서의 윤곽이고,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은 상기 회동기립체(1)가 1점 쇄선으로 나타낸 회동기립위치를 거쳐 거의 최대로 기립된 회동기립위치에서의 윤곽이다.
또, 도 7 내지 도 9는 자동차 내장구의 회동조립부분을 정면에서 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은 상기 회동기립체(1)가 도복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8은 상기 회동기립체(1)가 도 6에서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회동기립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9는 상기 회동기립체(1)가 거의 최대로 기립된 회동기립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 및 도 11은 자동차 내장구의 회동조립부분을 측방에서 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은 상기 회동기립체(1)가 도복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11은 상기 회동기립체(1)가 거의 최대로 기립된 회동기립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는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R)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시스트 그립(A)이나 선 바이저 등에 적용되는 것, 즉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손잡이부나 선 바이저의 차광판 등을 상기 자동차의 실내벽을 따르는 도복위치에서 기립위치를 향하여 회동기립 가능하게 한 회동기립체(1)로서 구비하는 자동차 내장구에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각 도면에서는 자동차 내장구로서 어시스트 그립(A)을 예로 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자동차 내장구는 ① 회동기립체(1)가 되는 어시스트 그립(A)의 손잡이부(10a)와, ② 상기 회동기립체(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R)에 대한 부착부(20)를 가지는 고정체(2)와, ③ 상기 회동기립체(1)와 상기 고정체(2)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기립체(1)의 임의의 회동위치에서 상기 회동기립체(1)의 기립상태를 각각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스톱기구(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10a)는 횡방향으로 긴 손잡이 바(10b)와, 이 손잡이 바(10b)의 양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1쌍의 암(10c,10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10c)의 돌출단부(10d)를 상기 고정체(2)를 통해서 자동차의 실내벽(W)에 각각 부착함으로써 상기 실내벽(W)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10a)는 자동차의 천정면(Ra)과 창부의 상측가장자리(Wa)와의 사이에 있는 실내벽(W)에, 상기 암(10c)의 돌출단부(10d)가 창부의 상측가장자리(Wa)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손잡이 바(10b)가 천정면(Ra)측에 위치하도록 부착함으로써 어시스트 그립(A)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복위치에 있는 손잡이부(10a)의 손잡이 바(10b)에 손가락 등을 걸고서 상기 암(10c)이 상기 실내벽(W)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손잡이부(10a)를 회동기립조작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회동기립된 손잡이부(10a)의 손잡이 바(10b)를 잡고서 탑승자가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회동기립체(1)가 되는 손잡이부(10a)의 회동축(11)은 상기 손잡이부(10a)의 1쌍의 암(10c,10c)의 돌출단부(10d)에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측 암(10c)에 설치되는 회동축(11)과 타측 암(10c)에 설치되는 회동축(11)이 가상의 동일 축선상에 놓이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부(10a)를 구성하는 1쌍의 암(10c,10c)의 돌출단부(10d)에는 상기 고정체(2)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벽(W)을 향하는 측을 오목하게 한 수납오목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오목부(12)를 형성하는 상기 암(10c)의 길이방향에 있는 측판부(12a)에 상기 회동축(11)이 끼워지는 축구멍(12b)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수납오목부(12)에 수납되는 상기 고정체(2)에도 상기 회동축(11)이 끼워지는 축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0a)측의 축구멍(12b)과 상기 고정체(2)측의 축구멍(21)에 상기 회동축(11)을 끼움으로써 상기 부착부(20)에 상기 손잡이부(10a)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회동축(11)의 일단부에는 널링부(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널링부(11a)를 상기 수납오목부(12)를 형성하는 일측 측판부(12a)에 형성된 축구멍(12b)의 내면에 끼워 붙임으로써, 상기 회동축(11)이 상기 각 축구멍(12b,21)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고정체(2)는 상기 손잡이부(10a)의 수납오목부(12)에 수납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일면측을 상기 실내벽(W)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내벽(W)에 부착되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체(2)의 대략 중앙부에는 부착나사(22)가 끼워지는 삽입구멍(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나사(22)를 상기 삽입구멍(20a)을 통해서 실내벽(W)에 나사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체(2)가 상기 실내벽(W)에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삽입구멍(20a)이 상기 고정체(2)에 있어서의 상기 실내벽(W)에 대한 부착부(20)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손잡이부(10a)를 구성하는 일측 암(10c)에 상기 스톱기구(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스톱기구(3)는 상기 고정체(2)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1쌍의 유지벽(23,23) 사이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유지벽(23,23)에는 상기 회동축(11)이 끼워지는 축구멍(21)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톱기구(3)는 ① 고정체(2)측에 설치되는 피압접수단(30)과, ② 손잡이부(10a){회동기립체(1)}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10a)의 회동축선방향{회동축(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접수단(31)과, ③ 고정체(2)에 설치되는 피압접수단(30)에 손잡이부(10a)에 설치되는 압접수단(31)을 항시 누름접촉시키는 탄지수단(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압접수단(30) 및 압접수단(31)은 모두 상기 고정체(2)의 1쌍의 유지벽(23,23) 사이에 배치되며, 이 1쌍의 유지벽(23,23)간을 가로지르도록 끼워지는 상기 회동축(11)에 외측끼움된 상태로 구비되는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피압접수단(30)의 일단부측에 있는 단면부(30a)에는 이 피압접수단(30)의 직경방향을 따르는 고정홈(30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체(2)의 일측 유지벽(23)의 내면부에는 상기 축구멍(21)을 사이에 둔 양측에 상기 피압접수단(30)의 고정홈(30b)에 끼워지는 고정리브(2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30b)과 상기 고정리브(23a)를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피압접수단(30)이 상기 고정체(2)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압접수단(31)의 외면부에는 이 압접수단(31)의 축방향을 따르는 안내홈(31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10a)의 수납오목부(12)의 바닥면에는 상기 회동축(11)을 따르는 안내리브(1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31b)과 상기 안내리브(21c)를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압접수단(31)이 상기 손잡이부(10a)측에 상기 회동축(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탄지수단(32)은 상기 고정체(2)의 1쌍의 유지벽(23,23) 사이에 배치되며, 이 1쌍의 유지벽(23,23)간을 가로지르도록 끼워지는 상기 회동축(11)에 외측끼움된 상태로 구비되는 압축 코일스프링(32a)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은 그 일단부가 상기 압접수단(31)의 상기 피압접수단(30)과 대향하지 않는 타측 단면부(31a)를 항시 누르도록 또한 그 타단부가 상기 고정체(2)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리브(23a)가 형성되어 있는 유지벽(23)의 반대측에 있는 타측유지벽(23)을 항시 누르도록 상기 압접수단(31)과 상기 타측 유지벽(23) 사이에서 항시 탄성변형되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압축 코일스프링(32a)에 의해서 상기 압접수단(31)의 일측 단면부(31a)가 상기 피압접수단(30)의 타측 단면부(30a)를 항시 압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압접수단(30)에 있어서의 상기 압접수단(31)과 누름접촉되는 타측 단면부(30a)에는 오목부(30c)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압접수단(31)에 있어서의 상기 피압접수단(30)과 누름접촉되는 일측 단면부(31a)에는 상기 손잡이부(10a)의 적어도 도복위치에서 상기 오목부(30a)에 끼워지고 또한 상기 도복위치에서 기립방향을 향한 상기 손잡이부(10a)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30c)에서 빠져 나오는 돌기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피압접수단(30)에는 상기 오목부(30c)에서 빠져 나온 상기 압접수단(31)의 돌기부(31c)가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의 탄지력에 의해서 누름접촉되는 압접면(30d)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도복위치에서는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부(10a)측에 설치된 압접수단(31)의 돌기부(31c)를 상기 고정체(2)측에 설치된 피압접수단(30)의 오목부(30c)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0a)의 도복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5, 도 7, 도 10).
또, 상기 도복상태에서 손잡이부(10a)를 기립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회동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압접수단(31)을 피압접수단(30)에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접수단(31)의 돌기부(31c)를 피압접수단(30)의 오목부(30c)에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10a)를 회동기립시킬 수 있다(도 6, 도 8).
또, 상기 손잡이부(10a)의 회동기립상태에서는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30c)에서 빠져 나온 상기 압접수단(31)의 돌기부(31c)를 상기 피압접수단(30)의 압접면(30d)에 누름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누름접촉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부(10a)의 기립상태를 임의의 회동기립위치에서 각각 유지시킬 수 있다(도 8).
또, 상기 손잡이부(10a)의 기립상태에서 상기 도복위치를 향하여 손잡이부(10a)를 쓰러뜨리는 회동조작을 하면,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의 탄지력에 의해서 다시 상기 압접수단(31)의 돌기부(31c)를 상기 피압접수단(30)의 오목부(30c)에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다시 상기 손잡이부(10a)의 도복상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도 5, 도 7, 도 10).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10a)가 세워진 기립상태에서, 이 손잡이부(10a)에 탑승자의 머리 등이 자동차의 흠들림 등에 의해서 접촉한 경우에도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의 탄지력에 저항한 상기 압접수단(31)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부(10a)를 상기 도복위치로 쓰러뜨릴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압접수단(30)의 오목부(30c)가 상기 회동축(1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서 2개 이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오목부(30c) 사이에 상기 압접면(30d)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피압접수단(30)의 타측 단면부(30a){압접수단(31)과 대향하는 측}에 2개 이상의 오목부(30c,30c…)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이 결과, 상기 손잡이부(10a)의 회동기립조작에 따라서 상기 오목부(30c)에서 일단 빠져 나온 상기 돌기부(31c)를, 상기 손잡이부(10a)의 소정의 기립위치에서 2개 이상의 오목부(30c,30c…) 중 어느 하나에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소정의 기립위치에서의 손잡이부(10a)의 기립상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도 6, 도 9), 또 상기 오목부(30c)에 돌기부(31c)가 끼워지는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오목부(30c) 사이에 형성된 압접면(30d)에 상기 돌기부(31c)를 누름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소정의 기립위치 사이에서의 손잡이부(10a)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도 6, 도 8).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압접수단(30)의 오목부(30c)의 내벽(30e)을 이 오목부(30c)의 바닥측에서 입구측을 향하여 상기 오목부(30c)를 넓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압접수단(31)의 돌기부(31c)의 측면(31d)을 이 돌기부(31c)의 기부측에서 선단측을 향하여 상기 돌기부(31c)를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상기 손잡이부(10a)의 회동기립조작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오목부(30c)의 내벽(30e)과 돌기부(31c)의 측면(31d)을 슬라이드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30c)내에서 상기 돌기부(31c)를 부드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고정체(2)측에 설치된 피압접수단(30)이 상기 회동축(1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거의 같은 치수 같은 형상으로 된 4개의 오목부(30c,30c…)를 구비하며 또한 서로 인접하는오목부(30c,30c)의 사이를 각각 상기 회동축(11)의 둘레방향으로 잇는 압접면(30d)으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10a)측에 설치된 압접수단(31)이 상기 회동축(1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거의 같은 치수 같은 형상으로 된 4개의 돌기부(31c,31c…)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0a)의 도복위치에서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피압접수단(30)의 4개의 오목부(30c,30c…)에 상기 압접수단(31)의 4개의 돌기부(31c,31c…)를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 넣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3, 도 4, 도 7, 도 10).
이 결과, 상기 손잡이부(10a)를 상기 도복위치에서 거의 90도 회동기립시킨 위치에서는 상기 오목부(30c)에서 빼낸 상기 4개의 돌기부(31c)를 각각 다음 순위에 있는 상기 오목부(30c)에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2a)의 탄지력에 의해서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10a)의 거의 90도 회동기립된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압접수단(30)의 오목부(30c)의 깊이와 상기 압접수단(31)의 돌기부(31c)의 높이가 거의 같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부(31c)를 오목부(30c)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압접수단(31)의 서로 인접하는 돌기부(31c,31c) 사이에 있는 단면(31e)이 각각 피압접수단(30)의 압접면(30d)에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 내장구에 의하면,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기립체를 간소한 구조를 가지고 임의의 회동기립위치에서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회동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시스트 그립이나 선 바이저 등의 회동기립체와, 상기 회동기립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자동차의 실내 천정측에 대한 부착부를 가지는 고정체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동기립체와 상기 고정체와의 사이에, 상기 회동기립체의 임의의 회동위치에서 상기 회동기립체의 기립상태를 각각 유지시킬 수 있는 스톱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톱기구는,
    상기 고정체의 1쌍의 유지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끼워지는 회동축에 외측끼움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측에 설치되며, 일측 단면부에 상기 고정체의 일측 유지벽의 내면부에 형성된 고정리브에 끼워맞춰지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타측 단면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피압접수단과,
    상기 고정체의 1쌍의 유지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끼워지는 회동축에 외측끼움된 상태로 상기 회동기립체측에 설치되며, 외면부에 상기 회동기립체의 수납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내리브에 상기 회동기립체의 회동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일측 단면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압접수단과,
    상기 고정체의 1쌍의 유지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끼워지는 회동축에 외측끼움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의 타측 유지벽과 상기 압접수단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압접수단을 상기 피압접수단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기립체의 도복위치에서 상기 압접수단의 돌기부가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피압접수단의 오목부에 끼워지고 또한 상기 도복위치에서 기립방향을 향한 상기 회동기립체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압접수단의 돌기부가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오목부에서 빠져 나오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피압접수단에는 상기 오목부에서 빠져 나온 상기 압접수단의 돌기부가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누름접촉되는 압접면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회동축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2개 이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 사이에 압접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벽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측에서 입구측을 향하여 상기 오목부를 넓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돌기부의 측면이, 상기 돌기부의 기부측에서 선단측을 향하여 상기 돌기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구.
KR10-2000-0067397A 1999-12-13 2000-11-14 자동차 내장구 KR100396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280899A JP2001163105A (ja) 1999-12-13 1999-12-13 自動車内装具
JP352808 1999-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319A KR20010060319A (ko) 2001-07-06
KR100396061B1 true KR100396061B1 (ko) 2003-08-27

Family

ID=1842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397A KR100396061B1 (ko) 1999-12-13 2000-11-14 자동차 내장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63105A (ko)
KR (1) KR100396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68B1 (ko) * 2002-09-11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보조핸들
WO2011158325A1 (ja) * 2010-06-15 2011-12-22 株式会社 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63105A (ja) 2001-06-19
KR20010060319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688A (en) Telephone mounting receptacle having opposed retractable latch members
WO2014168042A1 (ja) 開閉装置
KR200411439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거치대의 지지장치.
US20100313384A1 (en) Hinge device
US11285886B2 (en) Vehicle-mounted mobile phone holder
KR100396061B1 (ko) 자동차 내장구
GB2386789A (en) Cell phone holder
JP2002029304A (ja) 車両用物品保持装置
JP2995183B1 (ja) ワンタッチ固定器具及びこれに用いる脱着機構体
US5522666A (en) Bearing device
JPH1155377A (ja) 電話機ホルダー
KR100231988B1 (ko) 차량용 서랍식 컵 홀더의 컵 지지 장치
CN218473192U (zh) 一种便携式设备支架
JP2020059070A (ja) クランプ装置
JP2590407Y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215147U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194070Y1 (ko) 힌지장치
JP2002261903A (ja) 携帯用無線機の載置台
KR200259595Y1 (ko) 힌지장치
JP7094548B2 (ja) 車載モニター用ヒンジのクランプ機構
KR200334494Y1 (ko) 사무기기용 커버의 설치구조
KR200253026Y1 (ko) 오버헤드 프로젝트용 힌지장치
JP3177597B2 (ja) 作業台
KR100250678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클램프장치
KR20050031563A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