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071Y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071Y1
KR200194071Y1 KR2019980008927U KR19980008927U KR200194071Y1 KR 200194071 Y1 KR200194071 Y1 KR 200194071Y1 KR 2019980008927 U KR2019980008927 U KR 2019980008927U KR 19980008927 U KR19980008927 U KR 19980008927U KR 200194071 Y1 KR200194071 Y1 KR 200194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haft
stopper
hinge device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884U (ko
Inventor
신종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8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0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2Lubric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의 부품을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지지부재의 일측면이 축부재의 플랜지부에 직접 접촉되고 타측면은 스토퍼에 접촉되며, 플랜지부와 스토퍼에는 윤활유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해지게 된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본 고안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부품을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는 힌지장치 중, 예를 들어 컴퓨터용 모니터와 그 모니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탠드를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힌지장치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힌지장치는, 축부재(10)와, 지지부재(20)와, 스프링부재(30)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축부재(10)는 플랜지부(11)와 이 플랜지부(11) 양측에 각각 마련된 축부(12) 및 고정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12)는 플랜지부(11)에 인접되게 위치된 원형단면부(12a)와, 그 원형단면부(12a)로부터 연장되며 비원형단면을 가지도록 가공된 결합부(12b)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3)는 상기 두 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부위이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축부(12)의 원형단면부(12a)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두 개의 부품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될 고정부(22)와, 걸림턱(23)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30)들은 접시스프링들로서, 축부(12)에 체결되는 너트(40)에 의해 축부(12)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된 스프링부재(30)들은 지지부재(20)를 축부재(10)의 플랜지부(11)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며, 그 가압력에 의해, 축부재(10)와 지지부재(20) 사이에는 축부재(10)에 대한 지지부재(20)의 회전을 억제하는 마찰토오크가 발생된다.
지지부재(20)의 양측에는 각각 윤활유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공들(51,61)이 형성된 와셔(50,60)가 설치되며, 스프링부재(30)와 너트(40) 사이에는 결합공(71)과 스토퍼돌기(72)를 가지는 스토퍼(70)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공(71)은, 축부재(12)에 대한 스토퍼(7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부(12b)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힌지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재(20)는, 스프링부재(30)들에 의해 축부재(10)와 지지부재(20) 사이에 제공되는 마찰토오크보다 큰 토오크가 가해질 때에만 축부재(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마찰토오크보다 작은 토오크에 의해서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지지부재(20)가 모니터에 고정되고 축부재(10)는 스탠드에 고정된 경우에, 모니터의 자중 중 작은 외력에 의해서 지지부재(20)가 모니터와 함께 임의로 회전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찰토오크보다 큰 토오크를 가하여 지지부재(20)를 축부재(10)에 대해 회전시키고자 할 때, 상기 관통공들(51,61)에 수용되어 있던 윤활유로 인하여 그 회전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지지부재(20)가 축부재(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면,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돌기(72)가 걸림턱(23)에 걸리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런데 상술한 구성의 종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관통공을 가지는 와셔가 설치되고 그 와셔들의 관통공들에 윤활유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을 돕기 위한 윤활유의 수용구조가 개선된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힌지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개략적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개략적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Ⅵ-Ⅵ선 방향에서 본 개략적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축부재 211...플랜지부
212...축부 214,254...수용부
220...지지부재 221,259...스토퍼돌기
225,255...걸림턱 230...스프링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보다 작은 직경의 축부를 가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축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플랜지부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갖춘 것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이 방지되게 그 축부재에 설치된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면은 각각 상기 플렌지부와 스토퍼에 접촉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스토퍼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각 수용부에는 상기 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을 돕기 위한 윤활유가 수용되고, 상기 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스토퍼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스토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개략적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힌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힌지장치와 마찬가지로, 축부재(210)와, 지지부재(220)와, 스프링부재(230)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축부재(210)에는 플랜지부(211)와, 이 플랜지부(211)의 일측에 마련되며 플랜지부(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단면부(212a)와 이 원형단면부(212a)로부터 연장된 비원형단면의 결합부(212b)를 가지는 축부(212)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11)의 타측에는 소정의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2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는 축부(212)의 원형단면부(212a)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지지부재(220)는 스토퍼돌기(221)와, 고정부(222)를 구비하고 있으며, 고정부(222)에는 상기 축부재(211)의 고정부(213)에 고정되는 부품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부품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재(230)들은 축부(212)에 끼워지며, 그 축부(212)에 체결되는 너트(240)에 의해 축부(212)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됨과 동시에 축부(21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종래 힌지장치에 있어서와는 달리, 지지부재(220)와 플랜지부(211) 사이에는 와셔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지지부재(220)의 일측면이 축부재(210)의 플랜지부(211)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211)에는 지지부재(220)와 접촉하는 면(211a)에 대해 인입되게 형성된 수용부(21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부(214)에는 윤활유가 수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20)와 스프링부재(230) 사이에는 스토퍼(250)가 설치되어 지지부재(220)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스토퍼(250)는 축부재(210)의 결합부(212b)에 끼워지는 결합공(25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합공(251)은, 축부재(210)에 대한 스토퍼(25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부(212b)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스토퍼(250)에는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와 접촉되는 면에 윤활유의 수용을 위해 마련된 관통공 형태의 수용부(254)들과, 축부재(210)에 대한 지지부재(220)의 양방향 회전시에 상기 스토퍼돌기(221)에 걸림으로써 지지부재(2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255)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힌지장치에 있어서도 종래 힌지장치와 마찬가지로, 축부(212)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된 스프링부재(230)들에 의해 지지부재(220)는 축부재(210)의 플랜지부(211)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며, 그 가압력에 의해서 축부재(210)와 지지부재(220)와 사이에는 축부재(210)에 대한 지지부재(220)의 회전을 억제하는 마찰토오크가 발생된다. 따라서, 축부재(210)나 지지부재(220)에 상기 마찰토오크보다 작은 토오크가 가해지는 경우에는 지지부재(220)가 축부재(210)에 대해 회전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작은 외력에 의해 지지부재(220)가 원치않는 위치로 쉽게 회전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축부재(210)나 지지부재(220)에 상기 마찰토오크보다 큰 토오크가 가해지게 되면 지지부재(220)는 상기 마찰토오크를 극복하고 축부재(210)에 대해 회전된다. 이 때, 스토퍼(250)의 수용부(254)와 상기 플랜지부(211)의 수용부(214)에 수용되어 있는 윤활유가 스토퍼(250)와 지지부재(220) 사이 및 플랜지부(211)와 지지부재(220) 사이로 스며들면서, 그 지지부재(220)가 축부재(21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지지부재(220)가 축부재(210)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0)의 스토퍼돌기(221)가 스토퍼(250)에 마련된 걸림턱(255)들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에 걸리게 됨으로써, 축부재(210)에 대한 지지부재(220)의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부재(210)에 대한 지지부재(2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지지부재(220)의 일측면은 윤활유를 수용한 수용부(214)를 가지는 플랜지부(211)에 접촉되며 지지부재(220)의 타측면은 윤활유를 수용한 스토퍼(250)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힌지장치에 구비되어야 하였던 와셔들(50,60)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힌지장치는 그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해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및 조립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부재(210)에 대한 지지부재(22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지지부재(220)에 스토퍼돌기(221)가 형성되고 스토퍼(250)에 걸림턱(255)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50)에 스토퍼돌기(259)를 형성하고 지지부재(220)에 걸림턱(225)들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예의 힌지장치에 있어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7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부재들은 서로 동일한 기능을 행하는 것으로서 그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상기 스프링부재(230)가 접시형의 스프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접시형 스프링 대신에 또는 그 접시형 스프링과 함께 압축코일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플랜지부에 형성된 수용부가 고리형을 이루고 있으나, 그 수용부는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지지부재의 일측면이 축부재의 플랜지부에 직접 접촉되고 타측면은 스토퍼에 접촉되며, 플랜지부와 스토퍼에는 윤활유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해지게 된다.

Claims (1)

  1.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보다 작은 직경의 축부를 가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축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플랜지부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갖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이 방지되게 그 축부재에 설치된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면은 각각 상기 플렌지부와 스토퍼에 접촉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스토퍼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각 수용부에는 상기 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을 돕기 위한 윤활유가 수용되고, 상기 축부재에 대한 지지부재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는 스토퍼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스토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19980008927U 1998-05-27 1998-05-27 힌지장치 KR200194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927U KR200194071Y1 (ko) 1998-05-27 1998-05-27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927U KR200194071Y1 (ko) 1998-05-27 1998-05-27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884U KR19990041884U (ko) 1999-12-27
KR200194071Y1 true KR200194071Y1 (ko) 2000-09-01

Family

ID=1953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927U KR200194071Y1 (ko) 1998-05-27 1998-05-27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0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988A (ko) * 2001-06-28 2003-01-08 (주) 티엔케이텍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884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6906Y1 (ko) 힌지장치
US5913351A (en) Tilt hinge
US6467129B1 (en) Friction hinge device
KR200233484Y1 (ko) 힌지 장치
US5354028A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JP5307637B2 (ja) ヒンジ装置
KR100710078B1 (ko) 모니터장치
KR200194071Y1 (ko) 힌지장치
KR200194070Y1 (ko) 힌지장치
KR200196905Y1 (ko) 힌지장치
KR200173283Y1 (ko) 힌지 장치
JP2995183B1 (ja) ワンタッチ固定器具及びこれに用いる脱着機構体
US20050102797A1 (en) Hinge structure for flat visual display device
KR200173300Y1 (ko) 힌지 장치
KR200184244Y1 (ko) 디스크 타입의 마찰힌지장치
KR100463866B1 (ko) 전기전자기기의 힌지장치
KR100443871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20000000306U (ko) 힌지장치
KR100489788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396061B1 (ko) 자동차 내장구
KR200203200Y1 (ko) 액정모니터용 힌지장치
KR200270429Y1 (ko) 힌지장치
KR200219703Y1 (ko) 멀티스텝 힌지장치
KR100489787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JPH03489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