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804B1 -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와 유전체필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와 유전체필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804B1
KR100394804B1 KR10-2001-0002602A KR20010002602A KR100394804B1 KR 100394804 B1 KR100394804 B1 KR 100394804B1 KR 20010002602 A KR20010002602 A KR 20010002602A KR 100394804 B1 KR100394804 B1 KR 10039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input
dielectric block
output electrod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309A (ko
Inventor
도다준
히로시마모토하루
가토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7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이 내부 도체로 피복된 내부 도체 구멍을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하고, 간극부(gap portion)를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형성한다. 상기 입출력 전극을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바닥면(실장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필터 특성을 유전체 블록의 측면 상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결정한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와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dielectric filter}
본 발명은 유전체 블록의 내면 및 외면에 도체막을 형성한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 사용한 통신 장치와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의 종래 기술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8-316703호, 7-135405호 및 미국 특허 5,162,76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8-316703호에는 유전체 블록의 실장면 및 측면을 통해 형성된 입출력 전극으로서, 실장면의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의 간극부가 측면의 입출력 전극 사이의 간극부와 다르고, 스퓨리어스 반응의 레벨을 감소시킨 유전체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7-135405호에는 외부 도체와 입출력 전극 사이의 간극부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제어하고, 이에 의해 특성을 조정하는 유전체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5,162,760호에는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실장면)에 유전체 블록의 일부를 제거한 메사 구조의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고, 2개의 입출력 전극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하는 유전체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8-316703호, 7-135405호에는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유전체 필터가 소형이고, 입출력 전극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입출력 전극 사이에 충분한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는다.
또한, 미국 특허 5,162,760호에 개시된 유전체 필터는 필터가 소형이고 복수의 내부 도체 구멍 사이의 정렬 방향이 작아지면, 입출력 전극이 메사 구조를 갖더라도 2개의 입출력 전극 사이의 간극부가 좁아져, 입력과 출력 사이에 충분한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아 불필요한 결합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안정된 특성을 얻는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 사용한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측면도 및 바닥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측면도 및 바닥면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3개의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유전체 블록 2 내부 도체 구멍
3 내부 도체 4 외부 도체
5 입출력 전극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된 내부 도체 구멍;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된 내부 도체를 피복하는 내부 도체 구멍; 유전체 블록 상의 정전용량에 의해 내부 도체와 결합하는 입출력 전극; 및 유전체 블록 상의 정정용량에 의해 내부 도체와 결합하는 외부 전극;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필터로서, 외부 도체의 일부와 유전체 블록의 몸체를 절삭하여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간극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의 상기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에 의해 입출력 전극의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의 정전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설계상의 자유도가 개선된다.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이 작아져, 입출력 전극의 치수 정확도에 의해 결정되는 특성의 변동은 작아진다. 따라서, 안정된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입출력 전극을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만 형성하고 유전체 블록의 측면에는 간극부만을 형성하여, 측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즉,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공진기의 임피던스 특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유전체 블록의 측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이 결정된다. 입출력 전극과 유전체 블록 측면의 외부 도체 사이의 간극부를 확장하여, 공진기와 외부 부하의 결합량의 변화 범위를 증가시킨다.
또한,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간극부의 깊이를 부분적으로 바꾸어서,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즉,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의 정도는 입출력 전극과 내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의 정도와 간극부의 깊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간극부의 깊이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게다가,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측면의 입출력 전극의 일부를 절삭하고 간극부의 폭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이 경우에,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의 정도는 입출력 전극과 내부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의 정도와 입출력 전극을 부분적으로 절삭한 부위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부위를 변화시켜서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또한,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및 입출력 전극과 내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은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특성의 변화 범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유전체 필터를 포함하는 유전체 듀플렉서로서, 3개 이상의 입출력 전극을 상기 유전체 블록에 형성한다. 즉, 복수의 유전체 필터를 단일 유전체 블록에 형성하고 입출력 전극의 구조는 상술한 유전체 필터의 구조 중 하나를 가지기 때문에, 유전체 필터의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유전체 필터 및 유전체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통신 장치를 형성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특성에 상당하는 유전체 필터 및 유전체 듀플렉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고주파 회로를 갖는 통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된 내부 도체 구멍;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된 내부 도체를 도포하는 내부 도체 구멍; 유전체 블록 상에 형성되며 정전용량에 의해 내부 도체와 결합하는 입출력 전극; 유전체 블록상에 형성되며 정전용량에 의해 내부 도체와 결합하는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으로서, 외부 도체의 일부와 유전체 블록의 몸체를 절삭하여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간극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외부 도체로부터 분리된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측면의 상기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은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만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유전체 블록의 측면에 간극부만을 형성하는 공정; 측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은 간극부의 깊이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은 측면의 입출력 전극의 일부를 절삭하는 공정; 간극부의 폭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켜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게다가,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은 유전체 블록의 전체 외면에 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 그 후, 간극부를 형성하여 외부 도체와 입출력 전극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도 1∼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유전체 필터의 중앙 횡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유전체 필터의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1)에는 내면에 내부 도체(3a,3b)를 피복하는 내부 도체 구멍(2a,2b)을 형성하고,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입출력 전극(5a,5b)과 외부 도체(4)를 각각 형성한다. 내부 도체 구멍(2a,2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1)의 제 1 단면에서제 2 단면으로 관통한다. 유전체 블록(1)의 제 1 단면을 개방면으로 하고, 외부 도체(4)를 제 2 단면에 형성하여 단락면으로 한다. 내부 도체 구멍(2a,2b)은 개방면측의 내부 직경이 넓고, 단락면측의 내부 직경이 작은 스텝 구조를 갖는다. 내부 도체 구멍(2a,2b)의 내면에는 내부 도체(3a,3b)를 피복하고, 내부 도체 구멍의 한 단부는 단락면의 외부 도체(4)와 접속한다.
2개의 공진기는 내부 도체(3a,3b), 유전체 블록(1), 및 외부 도체(4)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는 전기 결합한다.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도 1의 표면에서 양측면으로 연장되도록 입출력 전극(5a,5b)을 형성한다. 원래 외부 도체(4)인 부분과 유전체 블록(1)의 유전체 몸체를 절삭함으로써, 입출력 전극(5a,5b)을 외부 도체(4)에서 분리하여 섬 형상의 입출력 전극(5a,5b)을 형성한다. 도 1의 상면은 통신기 등의 회로 기판의 실장면이 된다.
상기 입출력 전극(5a,5b)은 내부 도체(3a,3b), 유전체 블록(1), 및 외부 도체(4)를 포함하는 공진기의 개방단 부근에 정전용량 결합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유전체 필터는 정전용량에 의해 외부와 결합하는 2개의 공진기를 포함하는 대역 통과 특성을 갖는 필터로써 작용한다.
도 3a 및 도 3b는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의 간극부의 치수 및 입출력 전극의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입출력 전극(5a)과 도 2에 도시된 유전체 블록(1)의 내부 도체(3a)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은 입출력 전극(5a)과 내부 도체(3a)의 대향면적에 의해, 즉 치수(wa,ha,wa'La)에 의해 결정된다. 입출력전극(5a)과 내부 도체(3a)의 결합량은 양자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양과 내부 도체(3a)에 대한 입출력 전극(5a)의 대향 위치, 즉 간극부의 치수(ga2,ga2') 에 의해 결정된다.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의 결합양은 간극부의 치수(ga1,ga3,ga3',ga4') 및 간극부가 절삭된 깊이(절삭 깊이라고 한다)에 의해 결정된다. 내부 도체(3a)에 기인하는 공진기의 임피던스 특성은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변화한다.
간극부의 치수 중, 상기 치수(ga2,wa,ga3)는 각각 상기 치수(ga2',wa',ga3')와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유전체 블록(1)의 바닥면의 입출력 전극(5a) 및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는 일정하고, 유전체 블록(1)의 측면의 입출력 전극(5a)의 치수 및 위치를 변화시켜, 입출력 전극(5a)과 내부 도체(3a) 사이의 결합량을 결정한다. 내부 도체(3a)에 기인하는 공진기의 임피던스 특성은 유전체 블록(1)의 측면의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설명은 또한 다른 입출력 전극(5b)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입출력 전극(5b)과 내부 도체(3b)의 결합량은 입출력 전극(5b)의 치수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한다. 내부 도체(3b)에 기인하는 공진기의 임피던스 특성은 입출력 전극(5b)과 유전체 블록(1)의 측면의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체 블록(1)의 바닥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입출력 전극(5a,5b)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체 블록(1)의 바닥면에 입출력 전극(5a,5b)의 면적을 감소할 수있어, 2개의 입출력 전극(5a,5b) 사이의 외부 도체의 폭(d)을 증가시키고, 유전체 필터가 작아지면 2개의 입출력 전극(5a,5b) 사이에 충분한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할 수 있다.
유전체 블록(1)의 바닥면(실장면)에 입출력 전극 패턴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장해야 하는 필터의 회로 기판 상의 도체 랜드 및 접지 전극의 패턴을 표준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공통의 유전체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특성이 다른 여러 종류의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전체 블록을 공유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유전체 필터의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유전체 필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유전체 블록(1)의 상면(실장면)에만 입출력 전극(5a,5b)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간극부만을 형성한다. 다른 부위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구조에 의해 유전체 필터(1)는 정전용량에 의해 외부와 결합하는 2개의 공진기를 포함하고, 통과 대역 특성을 갖는 필터로써 작용한다.
도 5a 및 도 5b는 입출력 전극(5a,5b)과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의 치수 및 입출력 전극(5a,5b)의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a는 유전체 필터의 측면을 도시하고, 도 5b는 유전체 필터의 바닥면을 도시한다. 입출력 전극(5a)과 도 4에 도시된 유전체 블록(1)의 내부 도체 구멍(2a)의 내면의 내부 도체(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은 입출력 전극(5a)과 내부 도체의 대향 면적에 의해 , 즉 치수(wa' La)에 의해 결정된다. 입출력 전극(5a)과 내부 도체의 결합량은 양자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양과 내부 도체에 대한 입출력 전극(5a)의 대향 위치, 즉 간극부(ga2')의 치수에 의해 결정된다.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양은 간극부(ga3',ga4,ga5,ga6) 및 간극부의 절삭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공진기의 임피던스 특성은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변화한다.
상기 간극부의 치수 중, (ga2'+wa'+ga3')의 치수는 상기 간극부(ga6)의 치수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즉, 유전체 블록(1)의 바닥면의 입출력 전극(5a) 및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는 일정하고, 유전체 블록(1)의 측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를 변경하여, 공진기의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한다.
상기 설명은 또한 다른 입출력 전극(5b)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입출력 전극(5b)과 내부 도체의 결합량은 입출력 전극(5b)의 치수 및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결정된다. 공진기의 임피던스 특성은 유전체 블록(1)의 측면의 간극부의 폭 및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1)의 바닥면(실장면)에만 입출력 전극(5a,5b)을 형성하고, 유전체 블록(1)의 측면에는 입출력 전극(5a,5b)과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만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체 블록(1) 측면의 간극부(ga5,ga6)의 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결합량은 광범위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유전체 블록(1)의 바닥면의 입출력 전극(5a,5b)을 유전체 블록(1)의 제 1 단면에 형성해도, 입출력 전극(5a,5b)은 외부 도체(4)에 단락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전체 블록(1)의 바닥면에만 입출력 전극(5a,5b)을 형성하더라도 소정의 외부 결합량을 얻을 수 있다. 그에 상당하는 치수(d)를 증가시킴으로써 입출력 전극(5a,5b) 사이의 충분한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몇 개의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도 6c는 유전체 필터의 측면도이다. 유전체 블록의 다른 면의 구성은 도 1∼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에 도시된 예에서는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g)의 절삭 깊이는 간극부(g')와 다르다.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는 간극부(g'')는 간극부(g)보다 깊다. 입출력 전극(5a)과 내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 정도는 간극부의 절삭 깊이의 변화에 따라,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 정도와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간극부의 절삭 깊이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소망의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도 6c에 도시된 예에서는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의 간극부(g)의 전체 형상을 직육면체로 하고, 입출력 전극(5a)의 일부를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하여, 간극부(g)의 폭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킨다. 입출력 전극(5a)과 내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 정도는 입출력 전극(5a)의 부분 절삭 위치에 따라, 입출력 전극(5a)과 외부 도체(4)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 정도와 다르다. 따라서, 부분 절삭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소망의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다음에,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상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을 나타내고, 유전체 블록(1)의 제 1 단면(A)에서 그에 대향하는 제 2 단면을 통과하여 내부 도체 구멍(2a,2b,2d,2e)를 갖는다. 내부 도체 구멍(2a,2b,2d,2e)의 내면에 내부 도체를 형성한다. 제 1 단면(A)을 제외한 외면(5면)에 외부 도체(4)를 형성한다. 제 1 단면(A)은 개방면이고, 유전체 블록(1)의 면을 도 7a에 있어서 후방 오른쪽을 단락면으로 한다.
내면에 내부 도체를 갖는 내부 도체 구멍(2c)을 유전체 블록(1)의 중앙에 형성한다. 도 7a에 전방 왼쪽의 면은 단락면이고, 후방 오른쪽의 면은 개방면이다. 내부 도체 구멍(2c)의 개방면에서 도 7a의 내부 도체의 상면에 걸쳐 입출력 전극(5c)을 연장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외부 도체(4)로부터 분리된 입출력 전극(5a,5b)을 형성한다. 이들 입출력 전극(5a,5b)은 유전체 블록(1)의 표면을 절삭함으로써 형성한다. 도 7a 및 도 7b에 있어서 상면은 회로 기판(실장면)에 실장하기 위한 표면이다.
내부 도체 구멍(2a,2b)를 갖는 공진기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대역 통과 특성을 갖는 필터로써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내부 도체 구멍(2d,2e)를 갖는 2개의 공진기도 대역 통과 특성을 갖는 필터로써 작용한다. 내부 도체 구멍(2b,2c)의 내면의 내부 도체는 인터디지털 결합한다. 또한, 내부 도체 구멍(2c,2d)의 내면의 내부 도체도 인터디지털 결합한다. 따라서, 유전체 듀플렉서는 입출력 전극(5a)을 송신 신호 입력 포트, 입출력 전극(5b)을 수신 신호 입력 포트, 입출력 전극(5c)을 안테나에 대한 입출력 포트로 한다.
다음에,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참조 부호 ANT는 송수신 안테나; DPX는 듀플렉서; BPFa, BPFb, 및 BPFc는 대역 통과 필터; AMPa, AMPb는 증폭 회로; MIXa, MIXb는 믹서; OSC는 오실레이터; DIV는 분주기(신시사이저)를 나타낸다. 믹서(MIXa)는 DIV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변조 신호로 변조한다. 대역 통과 필터(BPFa)는 송신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증폭 회로(AMPa)는 통과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듀플렉서(DPX)를 통과하여 송수신 안테나(ANT)에 의해 송신한다. 대역 통과 필터(BPFb)는 듀플렉서(DPX)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서 수신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증폭 회로(AMPb)는 통과하는 신호를 증폭한다. 믹서(MIXb)는 대역 통과 필터(BPFc) 및 수신 신호에 의해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믹싱하고, 중간 주파수 신호(IF)를 출력한다.
도 8에 도시된 듀플렉서(DPX)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구조의 유전체 듀플렉서를 사용한다. 대역 통과 필터(BPFa, BPFb, 및 BPFc)는 도 1∼도 4에 도시된구조의 유전체 필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통신 규모는 컴팩트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에 의해 입출력 전극의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의 정전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설계상의 자유도가 개선된다.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이 작아져, 입출력 전극의 치수 정확도에 의해 결정되는 특성의 변동은 작아진다. 따라서, 안정된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출력 전극을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만 형성하고 유전체 블록의 측면에는 간극부만을 형성하여, 측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을 결정한다. 즉,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공진기의 임피던스 특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유전체 블록의 측면의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이 결정된다. 입출력 전극과 유전체 블록 측면의 외부 도체 사이의 간극부를 확장하여, 공진기와 외부 부하의 결합량의 변화 범위를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출력 전극과 외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및 입출력 전극과 내부 도체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은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특성의 변화 범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요구되는 특성에 상당하는 유전체 필터 및 유전체 듀플렉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고주파 회로를 갖는 통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유전체 블록;
    상기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된 내부 도체 구멍;
    상기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된 상기 내부 도체 구멍을 피복하는 내부 도체;
    상기 유전체 블록상에 형성되며 정전용량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와 결합하는 입출력 전극; 및
    상기 유전체 블록상에 형성되며 정전용량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와 결합하는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필터로서,
    상기 외부 도체의 일부와 상기 유전체 블록의 몸체를 절삭하여, 상기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간극부(gap portion)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상의 상기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전극을 상기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만 형성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간극부만을 형성하여, 상기 측면상의 상기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의 깊이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필터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의 상기 입출력 전극의 일부를 절삭하고, 상기 간극부의 폭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유전체 필터를 포함하며, 3개 이상의 상기 입출력 전극을 유전체 블록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6. 제 5항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유전체 블록, 상기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된 내부 도체 구멍, 상기 유전체 블록내에 형성된 상기 내부 도체 구멍을 피복하는 내부 도체, 상기 유전체 블록상에 형성되며 정전용량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와 결합하는 입출력 전극, 및 상기 유전체 블록상에 형성되며 정전용량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와 결합하는 외부 도체를 갖는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외부 도체의 일부와 상기 유전체 블록의 몸체를 절삭하여, 상기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간극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측면상의 상기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이 상기 유전체 블록의 바닥면에만 상기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유전체 블록의 측면에 상기 간극부만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측면상의 상기 간극부의 폭 또는 깊이에 의해 상기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이 상기 간극부의 깊이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이 상기 측면상의 입출력 전극의 일부를 절삭하는 공정; 및 상기 간극부의 폭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필터 특성을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이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전체 외면에 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그 후, 상기 간극부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 도체와 상기 입출력 전극을 분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
KR10-2001-0002602A 2000-01-17 2001-01-17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와 유전체필터의 제조방법 KR100394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7450A JP2001196806A (ja) 2000-01-17 2000-01-17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00-007450 2000-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309A KR20010076309A (ko) 2001-08-11
KR100394804B1 true KR100394804B1 (ko) 2003-08-14

Family

ID=1853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602A KR100394804B1 (ko) 2000-01-17 2001-01-17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와 유전체필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04455B2 (ko)
JP (1) JP2001196806A (ko)
KR (1) KR100394804B1 (ko)
CN (1) CN1160826C (ko)
DE (1) DE10101559A1 (ko)
FR (1) FR2804795B1 (ko)
GB (1) GB2359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204A (ja) * 2001-03-15 2002-11-29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788369B2 (ja) * 2001-04-10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03087011A (ja) * 2001-06-27 2003-03-20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636122B2 (ja) * 2001-09-19 2005-04-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03298310A (ja) * 2002-03-29 2003-10-17 Ngk Spark Plu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JP4905466B2 (ja) * 2007-06-18 2012-03-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760A (en) * 1991-12-19 1992-11-10 Motorola, Inc. Dielectric block filter with isolated input/output contacts
JPH0715206A (ja) * 1993-06-21 1995-01-17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41126B2 (ja) 1993-11-12 2003-08-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部品の特性調整方法
JP3254866B2 (ja) * 1993-12-21 2002-02-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64863B2 (ja) 1995-05-19 2000-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JPH1022710A (ja) 1996-07-03 1998-01-23 Ngk Spark Plu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の電極形成方法
US6081174A (en) * 1997-03-14 2000-06-27 Taiyo Yuden Co., Ltd. Wave filter having two or more coaxial dielectric resonators in juxtaposition
JP3399393B2 (ja) 1998-04-17 2003-04-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それらの実装構造、並びに通信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96806A (ja) 2001-07-19
US6504455B2 (en) 2003-01-07
FR2804795A1 (fr) 2001-08-10
DE10101559A1 (de) 2001-12-20
KR20010076309A (ko) 2001-08-11
FR2804795B1 (fr) 2004-08-13
GB2359420B (en) 2002-01-09
GB0100287D0 (en) 2001-02-14
US20010043131A1 (en) 2001-11-22
CN1306316A (zh) 2001-08-01
GB2359420A (en) 2001-08-22
CN1160826C (zh)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5457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longated through holes
KR100397732B1 (ko)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기 장치
KR10039480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와 유전체필터의 제조방법
KR20020050131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67860B1 (ko)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JP3348658B2 (ja) 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KR100411203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통신장치
KR100352573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KR100343320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
KR10040532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3858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45603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458514B1 (ko)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2000138502A (ja)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20020130738A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