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860B1 -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860B1
KR100367860B1 KR10-2000-0005164A KR20000005164A KR100367860B1 KR 100367860 B1 KR100367860 B1 KR 100367860B1 KR 20000005164 A KR20000005164 A KR 20000005164A KR 100367860 B1 KR100367860 B1 KR 10036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electric
output electrode
conductor
conducto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7887A (ko
Inventor
구로다가츠히토
이시하라진세이
가토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5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필터 및 유전체 듀플렉서의 기능을 가지며, 원하는 외부 결합 용량을 가지는 유전체 공진 장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및 개방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면에 형성된 입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외부 결합 용량을 얻기 위한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입출력 전극들은, 개구부에서 연장되어 두 외면상에 제 1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 유전체 블록의 두 외면에 적용되는 절삭 단부와, 제 1 도체막 제거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 2 도체막 제거 라인들을 따라 두 외면에 적용되는 절삭 단부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 Method for forming input-output electrode of the dielectric resonant device }
본 발명은, 유전체 블록의 내부 및 외면에 도체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등의 유전체 공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체 공진 장치를 이용한 통신기 및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유전체 블록을 이용한 종래의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1은 직육면체의 유전체 블록이다. 유전체 블록(1)에는 A로 나타내는 한쪽의 단면에서 그것에 대향하는 다른쪽 단면에 걸쳐 내부 도체 구멍(2a, 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도체 구멍(2a, 2b)의 내면에는 내부 도체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단면 A를 제외한 다른 5개의 외면에 외부 도체(4)가 형성된다. 외부 도체와 내부 도체는 단면 A의 대향면에서 접속된다. 내부 도체는 A면에 개방단을 가지며, 대향면에서 서로 접속된다.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외부 도체(4)로부터 분리된 입출력 전극(5a, 5b)을 형성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종래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미리 외부 도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일부를 도체막 절삭용 공구로 절삭함으로써, 다른 영역의 외부 도체로부터 분리시킨 영역을 형성하여 입출력 전극(5a, 5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6-310911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형성된 유전체 필터에서는, 입출력 전극과, 근접하는 내부 도체 사이의 정전 용량(외부 결합 용량)에 기초하여 외부 Q값(Qe)이 정해진다.
즉, 외부 결합 용량에 의해 유전체 필터의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입출력 전극의 크기는, 얻어지는 유전체 필터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그 때문에, 종래는, 얻을 수 있는 외부 결합 용량에 맞추어 도체막을 자르는 절삭날을 가진 절삭 공구가 요구된다.
종래 방법으로는, 각 외부 결합 용량마다 절삭날의 형상이 다른 공구를 미리 준비해야 하였고, 따라서, 공구의 사용이 매우 제한되었다. 더욱이,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대한 공구 단부의 위치에 의해 입출력 전극의 패턴이 결정되기 때문에, 공구의 마모 등과 함께 입출력 전극의 패턴이 변화하고, 이는 원하는 외부 결합 용량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를 가져온다.
미국특허 제5,162,760호에는, 입출력 전극의 한 변이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 배치된 유전체 필터가 게재되어 있다. 이 배열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형성한 외부 도체를 부분적으로 절삭함으로써, 소정의 입출력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에 나타나 있는 유전체 필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입출력 전극이 유전체 블록의 실장 기판에 대향하는 면(저면)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입출력 전극과 내부 도체 사이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할 수 없다.
둘째, 입출력 전극이 유전체 블록의 실장 기판에 대향하는 면(저면)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소형화된 필터에 제공되는 입출력 전극들 상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아이솔레이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셋째, 유전체 필터의 특성에 기초하여 외부 결합 용량을 정하기 때문에, 입출력 전극의 면적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지만, 입출력 전극의 치수를 변경하면, 실장 기판상의 입출력 전극의 패턴도 그에 대응하여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실장 기판상의 입출력 전극이 표준화되지 않는다.
넷째, 입출력 전극이 유전체 블록의 실장 기판에 대향하는 면(저면)의 위치로 인해, 솔더링 필릿(fillet)을 보기 힘들기 때문에, 입출력 전극의 솔더링 상태를 체크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도체막을 자르는 한 종류의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임의의 외부 결합 용량을 얻을 수 있는 유전체 공진 장치,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그들을 이용한 통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고, 원하는 외부 결합 용량을 얻기 위한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 1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도 2c는 상기 유전체 필터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 2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제 3 구현예에 따른 통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유전체 블록 2a∼2e: 내부 도체 구멍
4 : 외부 도체 5a∼5c : 입출력 전극
6 : 절삭 공구 A : 개방면
L11, L12, L21, L22 : 도체막 제거 라인
E11, E12, E21, E22 : 절삭 공구의 절삭 단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및 상기 내부 도체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또한 개방면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제외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전극이, 상기 내부 도체의 축에 평행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전체 블록의 두 외면에 연장되도록, 상기 개방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 장치에서,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입출력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출력 전극을 개방면에 접하여 형성함으로써, 각 입출력 전극이 내부 도체의 축에 평행인 길이는, 개방면으로부터 상기 축 방향에 어느 정도 연장된 위치까지를 입출력 전극으로 할지에 따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입출력 전극의 패턴의 면적을 임의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입출력 전극을 유전체 블록의 측면까지 형성함으로써, 입출력 전극과 내부 도체의 사이에 정전 용량의 최대치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전체를 소형화한 경우에도, 실장면에 배치되는 입출력 전극들간의 간격을 넓혀, 입출력 전극들간의 아이솔레이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외부 결합 용량은, 유전체 블록의 실장면에서 그에 인접하는 면으로 연장되는입출력 전극의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실장면에서의 패턴을 바꾸지 않고도, 원하는 외부 결합 용량에 따라 입출력 전극의 면적을 바꿀 수 있고, 따라서 실장면의 입출력 전극에 대향하는 실장 기판측의 입출력 전극을 패턴내에서 표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장치가 기판상에 실장된 상태에서 솔더링 필릿을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유전체 공진 장치를 포함하는 유전체 필터로서, 상기 입출력 전극을 두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입출력 전극의 한쪽을 입력 포트로 하고, 다른 한쪽을 출력 포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로,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는 대역 통과 특성을 가지는 유전체 필터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유전체 공진 장치를 포함하는 유전체 듀플렉서로서, 상기 입출력 전극을 세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세 부위의 입출력 전극을 각각 송신 신호 입력 포트, 수신 신호 출력 포트 및 송수신 신호의 입출력 포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로, 송신 신호 입력 포트는 송신 회로의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송수신 신호 입출력 포트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하거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하고, 수신 신호 출력 포트는 수신 회로로 수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유전체 듀플렉서(안테나 듀플렉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유전체 필터 및 유전체 듀플렉서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가 제공된다. 상기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는, 입출력 전극과 내부 도체의 사이에 발생하는 외부 결합 용량을 최상의 값으로 설정하여, 요구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고주파 회로 특성이 우수한 통신기를 구성한다. 저가격화가 가능한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이용함으로써, 통신기의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인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내부 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 도체의 축에 수직이고, 개방면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제외한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상에 외부 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도체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서로 인접하는 유전체 블록의 두 외면에 적용되는 절삭 단부를 포함한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을 절삭함으로써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두 개의 제 1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서 상기 두 외면에 적용되는 상기 절삭 단부는, 상기 두 외면의 각 라인이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도체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로써 상기 두 개의 제 1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서 도체막을 제거하고, 상기 절삭 공구는, 상기 두 외면을 거쳐서 상기 두 개의 제 1 도체막 제거 라인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 2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서 상기 두 외면에 적용되는 절삭 단부를 포함하며, 그로써 상기 제 2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 도체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방법에서, 절삭 공구의 절삭 단부는,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서 내부 도체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도체막의 최고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유전체 블록의 두개의 인접하는 외면에서 절삭 공구를 가하는 위치는 입출력 전극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선택될 수 있어서, 도체막 제거 라인을 형성하고, 개방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입출력 전극을 임의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즉, 유전체 블록에 대한 절삭 공구의 접하는 위치에 따라, 원하는 외부 결합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직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1)은 한쪽의 단면(A)에서 그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단면으로 연장되는 내부 도체 구멍(2a, 2b)을 형성하고 있다. 이 내부 도체 구멍(2a, 2b)의 내면에는 내부 도체를 형성하고 있다. 유전체 블록(1)에는 단면(A)을 제외한 5면에 외부 도체(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면(A)은 개방면이다. 내부 도체들은 단면(A)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외부 도체(4)를 통해 서로 접속한다.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외부 도체(4)에서 분리된 입출력 전극(5a, 5b)을 형성하고 있다.
내부 도체 구멍(2a, 2b)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공진기는, 개방면(개방측)의 선로 임피던스와 내부 도체가 접속되는 면(접속되는 측)의 선로 임피던스의 차이에 의해, 짝수 모드와 홀수 모드에서, 두 내부 도체의 공진 선로의 공진 주파수에 차이가 생기고, 두 개의 공진기가 결합한다. 이에 의해, 대역 통과 특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의 두 공진기를 포함하는 필터를 형성한다.
이 유전체 필터를 회로 기판 등에 실장할 때, 도 1에서의 상면이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면이 된다. 즉, 회로 기판상에는 입출력 전극(5a, 5b)에 대향하는 전극 및 외부 도체(4)에 대향하는 접지 전극을 각각 형성하고 있고, 도 1에서의 상면을 회로 기판에 대향시켜 유전체 필터를 표면 실장한다.
도 2a∼도 2c는 도 1에 나타내는 유전체 필터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는 다음의 순서로 만들어진다.
첫째,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거의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부에내부 도체 구멍의 기능을 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유전체 블록(1)을 성형한다.
둘째, 유전체 블록(1)의 6개 외면과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에 무전해 도금법 등에 의해 도체막을 형성한다.
셋째, 개방면(A)의 전체 면에 형성된 도체막을 연삭(grinding)하여 제거한다.
넷째, 내부 도체 구멍(2b)의 축(내부 도체의 축)에 평행이고, 개방면(A)에서 연장되는 두 인접하는 면에 도체막 제거 라인(L11, L12)을 형성하고, 이 도체막 제거 라인(L11, L12)들을 연결하는 도체막 제거 라인(L21, L22)을 형성한다. 그로써, 이들 도체막 제거 라인(L11, L12, L21, L22)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을 입출력 전극(5b)으로써 형성한다.
도 2b에 나타내는 것처럼, 절삭 공구(6)를 도체막 제거 라인(L11, L12, L21, L22)에 접하게 하고, 이 절삭 공구(6)를 초음파 가공기에 의해 초음파 진동시키고, 이렇게 하여, 절삭 공구(6)의 절삭 단부가 접하는 부분에서, 외부 도체(4)와 유전체 블록(1)의 일부를 제거한다. 도 2b는 입출력 전극(5b)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입출력 전극(5a)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도 2c는 상기 절삭 공구(6)의 절삭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절삭 공구(6)의 절삭 단부는, 내부 도체 구멍(2b)의 축(내부 도체의 축)에 평행으로 개방면(A)에서 연장되고, 유전체 블록(1)의 인접하는 두 면에 형성된 도체막 제거 라인(L11, L12)을 따라 접하는 절삭 단부(E11, E1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체막 제거 라인(L11, L12)들을 연결하고, 도체막 제거 라인(L21, L22)을 따라 접하는 절삭 단부(E21, E22)가 두 인접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절삭 공구(6)의 절삭 단부(E21, E22)는 V자 모양을 하고 있고, 유전체 블록(1)의 개방면(A)에 인접하는 두 개의 외면에 도체막 제거 라인(L21, L22)의 길이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절삭 공구(6)는 유전체 블록(1)의 개방면에 인접하는 두 면에 가해지고, 그 위치는 도 2b의 화살표를 따라 나타내는 방향에서 선택된다. 도체막 제거 라인(L11, L12)의 길이는, 내부 도체의 축에 평행으로 형성되는 입출력 전극의 길이이고, 그 치수에 의해 외부 결합 용량이 정해진다. 다시 말하면, 유전체 블록(1)에 대해 절삭 공구(6)가 접하는 위치에 따라 임의의 외부 결합 용량을 정하고, 그 외부 결합 용량을 제어하여 원하는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전극(5a, 5b)은, 1회의 절삭 공정에 의해 설계치대로 형성하는 대신, 설계치보다 더 길게 형성하고, 그 길이를 조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설계치보다 소정 길이만큼 긴 입출력 전극을 가지는 필터에서, 통과 특성과 같은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고, 그 후, 그 필터의 특성치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입출력 전극의 길이 방향(내부 도체의 축에 평행인 방향)을 따라 입출력 전극을 단축화하는 방향으로 절삭 공구(6)를 이동시켜, 외부 결합 용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1)의 실장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는 입출력 전극(5a, 5b)은, 실장 기판에 실장될 때, 솔더링 필릿의 체크를 용이하게 한다.
입출력 전극(5a, 5b)과 내부 도체간 정전 용량이 더 커야 하는 경우, 도체막 제거 라인(L22)의 위치를 바꾸고, 이에 의해, 실장면이 아닌 측면에서의 입출력 전극의 면적이 변화한다. 이 경우, 실장면에서 입출력 전극의 패턴은 일정하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한 경우에도, 실장면에서의 입출력 전극간의 거리는 좁아지지 않고, 따라서, 입출력 전극간의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할 수 있다. 유전체 블록의 실장면에서 입출력 전극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실장 기판에서의 입출력 전극의 치수를 표준화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유전체 블록의 측면에서 입출력 전극의 면적으로 외부 결합 용량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a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상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직육면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1)에는, A로 나타내는 한쪽의 단면에서 그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단면에 걸쳐 내부 도체 구멍(2a, 2b, 2d, 2e)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도체 구멍(2a, 2b, 2d, 2e)의 내면에는 내부 도체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단면(A)을 제외한 다른 5면에 외부 도체(4)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단면(A)은 개방면이다. 개방면(A)에 대향하는 면은 접속면으로서 작용한다.
도 3a에서, 유전체 블록(1)의 중앙부에는 내부 도체 구멍(2c)을 형성하고 있다. 이 내부 도체 구멍(2c)에는, 유전체 블록(1)의 앞면을 접속단, 그에 대향하는 면을 개방단으로 하는 내부 도체를 형성하고 있다. 유전체 블록(1)에는, 이 내부 도체의 개방단에서 유전체 블록(1)의 상면으로 연장되는 입출력 전극(5c)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외부 도체(4)로부터 분리된 입출력 전극(5a, 5b)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입출력 전극(5a, 5b, 5c)은 유전체 블록(1)의 표면을 절삭하고, 그와 함께 유전체 블록(1)의 일부를 제거하여, 유전체 블록(1)에는 홈이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홈 형상을 명시하고 있지 않다.
내부 도체 구멍(2a, 2b)은 두 개의 공진기를 형성하며, 제 1 구현예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대역 통과 특성을 가지는 필터로서 작용한다. 내부 도체 구멍(2d, 2e)은 두 개의 다른 공진기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대역 통과 특성을 가지는 필터로서 작용한다.
내부 도체 구멍(2b, 2c)에 각각 형성된 내부 도체들은 서로 인터디지털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내부 도체 구멍(2c, 2d)에 각각 형성된 내부 도체들도 서로 인터디지털 결합한다. 이러한 배열로, 입출력 전극(5a)을 송신 신호 입력 포트, 입출력 전극(5b)을 수신 신호 입력 포트, 입출력 전극(5c)을 안테나에 대한 입출력 포트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구성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입출력 전극(5a, 5b)은, 도 2a∼도 2c에 나타낸 제 1 구현예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송신 필터의 외부 Q값(Qe)과 수신 필터의 외부 Q값(Qe)을 원하는대로 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에 따른 통신기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ANT는 송수신 안테나, DPX는 듀플렉서, BPFa, BPFb, BPFc는 각각 대역 통과 필터, AMPa, AMPb는 각각 증폭 회로, MIXa, MIXb는 각각 믹서, OSC는 오실레이터, DIV는 분주기(신시사이저)이다. MIXa는 DIV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변조신호에 따라 변조하고, BPFa는 송신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AMPa는 이것을 전력 증폭하여 DPX를 통해 ANT로부터 송신한다. BPFb는 DPX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 수신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AMPb는 그것을 증폭한다. MIXb는 BPFc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와 수신 신호를 믹싱하여, 통합된 중간 주파수 신호(IF)를 출력한다.
도 4에 도시한 듀플렉서(DPX)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구조의 유전체 듀플렉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대역 통과 필터(BPFa, BPFb, BPFc)는 도 1에 도시한 구조의 유전체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소형화된 통신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전극을 개방면에 접하게 형성함으로써, 입출력 전극의 길이 단부로서 개방면을 이용하고, 또한, 그의 다른 단부의 위치만을 결정하여, 내부 도체의 축을 따라 각 입출력 전극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입출력 전극의 패턴의 면적을 원하는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전극을 유전체 블록의 단부까지 연장함으로써, 입출력 전극과 내부 도체간의 정전 용량의 최대치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장치를 소형화한 경우, 실장면에 배치되는 입출력 전극간의 거리를 충분히 넓혀, 입출력 전극간의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할 수 있다. 유전체 블록의 실장면에서 그에 인접하는 면으로 연장되는 입출력 전극 부분의 면적에 의해 외부 결합 용량을 결정한다. 따라서, 실장면에서의 패턴을 바꾸지 않고도, 원하는 외부 결합 용량에 따라 입출력 전극의 면적을 바꿀 수 있고, 따라서 실장면의 입출력 전극에 대향하는 실장 기판측의 입출력 전극을 패턴내에서 표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장치가 기판상에 실장된 상태에서 솔더링 필릿을 체크할 수 있다.
제 1 구현예에 따르면,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에서 최상의 외부 결합 용량을 가지는 유전체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제 2 구현예에 따르면,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에서 최상의 외부 결합 용량을 가지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에 따르면, 요구되는 필터 특성에 따른 최상의 외부 결합 용량을 가지는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구비하는, 고주파 회로 특성이 우수한 통신기를 얻을 수 있다. 낮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이용함으로써, 통신기의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블록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에서, 절삭 공구를 유전체 블록의 두 인접하는 외면의 어느 위치에 접하게 하여, 개방면에서 연장되는 입출력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절삭 공구가 접하는 위치에 따라, 원하는 외부 결합 용량을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인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내부 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 도체의 축에 수직이고, 개방면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제외한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상에 외부 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내부 도체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서로 인접하는 유전체 블록의 두 외면에 적용되는 절삭 단부를 포함한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유전체 블록의 표면을 설계치보다 큰 길이로 절삭함으로써 입출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출력 전극의 특성치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상기 입출력 전극의 길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두 개의 제 1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서 상기 두 외면에 적용되는 상기 절삭 단부는 상기 두 외면의 각 라인이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도체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로써 상기 두 개의 제 1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서 도체막을 제거하고, 상기 절삭 공구는, 상기 두 외면을 거쳐서 상기 두 개의 제 1 도체막 제거 라인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 2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서 상기 두 외면에 적용되는 절삭 단부를 포함하며, 그로써 상기 제 2 도체막 제거 라인을 따라 도체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KR10-2000-0005164A 1999-02-03 2000-02-02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KR100367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5874 1999-02-03
JP2587499 1999-02-03
JP11329441A JP2000295008A (ja) 1999-02-03 1999-11-19 誘電体共振器装置、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通信機および誘電体共振器装置の入出力電極形成方法
JP11-329441 199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887A KR20000057887A (ko) 2000-09-25
KR100367860B1 true KR100367860B1 (ko) 2003-01-10

Family

ID=2636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164A KR100367860B1 (ko) 1999-02-03 2000-02-02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98542B1 (ko)
JP (1) JP2000295008A (ko)
KR (1) KR100367860B1 (ko)
CN (1) CN11479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0229B2 (en) * 2007-04-27 2010-11-09 Cts Corporation Coaxial resonator including a metallized area with interdigitated fingers
WO2009075833A1 (en) * 2007-12-10 2009-06-18 Cts Corporation Rf monoblock filter with recessed top pattern and cavity providing improved attenuation
WO2010014231A1 (en) * 2008-08-01 2010-02-04 Cts Corporation Rf filter/resonator with protruding tabs
US8269579B2 (en) * 2008-09-18 2012-09-18 Cts Corporation RF monoblock filter having an outwardly extending wall for mounting a lid filter thereon
US9030275B2 (en) 2008-12-09 2015-05-12 Cts Corporation RF monoblock filter with recessed top pattern and cavity providing improved attenuation
US8294532B2 (en) * 2008-12-09 2012-10-23 Cts Corporation Duplex filter comprised of dielectric cores having at least one wall extending above a top surface thereof for isolating through hole resonators
US9030276B2 (en) 2008-12-09 2015-05-12 Cts Corporation RF monoblock filter with a dielectric core and with a second filter dispo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core
US9030272B2 (en) 2010-01-07 2015-05-12 Cts Corporation Duplex filter with recessed top pattern and cav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314A (ja) * 1996-12-26 1998-07-21 Kyocera Corp 誘電体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8335A (en) * 1992-01-21 1996-01-30 Motorola, Inc. Multi-passband dielectric filter construction having a filter portion including at least a pair of dissimilarly-sized resonators
DE69323660T2 (de) * 1992-06-26 1999-10-21 Sanyo Electric Co Koaxialer Resonator und dielektrisches Filter mit einem derartigen Resonator
DE4319242A1 (de) * 1993-06-09 1994-12-15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Keramikresonator für Mikrowellen-Keramikfilter
TW409458B (en) * 1998-11-03 2000-10-21 Samsung Electro Mech Dielectric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314A (ja) * 1996-12-26 1998-07-21 Kyocera Corp 誘電体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98542B1 (en) 2002-12-24
CN1147963C (zh) 2004-04-28
CN1263366A (zh) 2000-08-16
JP2000295008A (ja) 2000-10-20
KR20000057887A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4008B2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KR100367860B1 (ko)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US6281768B1 (en)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40196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401972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EP0986125B1 (en)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1030400B1 (en) A dielectric filter, a dielectric duplexer, and a communication apparatus
US6833773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6504455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dielectric filter
KR100343320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
KR10040532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2000138502A (ja)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777501B2 (ja) 誘電体フィルタ
KR10033858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EP0969544B1 (en) Composit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344205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20020130738A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2246805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