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664B1 -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 Google Patents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664B1
KR100394664B1 KR10-2001-0032130A KR20010032130A KR100394664B1 KR 100394664 B1 KR100394664 B1 KR 100394664B1 KR 20010032130 A KR20010032130 A KR 20010032130A KR 100394664 B1 KR100394664 B1 KR 10039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switch
intelligent power
wiring structure
mai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394A (ko
Inventor
김장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6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92Battery protection from overload or over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지능형 파워 스위치(IPS; Intelligent Power Switch)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는,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각 부하에 전기가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단속하는 메인 릴레이와; 상기 메인 릴레이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 부하에 연결되며, 상기 각 부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해주는 단자가 구비된 지능형 파워 스위치와;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상기 각 부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정보를 읽어 이를 표시토록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배선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WIRING STRUCTURE OF ADOPTING INTELLIGENT POWER SWITCH FOR VEHICLES}
본 발명은 지능형 파워 스위치(IPS; Intelligent Power Switch)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의 전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차량의 정비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배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와이어(wire) 배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battery)(11)와 메인 릴레이(main relay)(12)에서 퓨즈/릴레이 박스(fuse relay box)(13)로 집결되어 그 곳에서 다시 예컨대, 모터 및 램프와, 시계, 오디오, 부저 등의 기타 부하 등의 차량 전체 부하(14)로 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퓨즈/릴레이 박스(13)는 이를 조절하는 컨트롤러(15) 또는 스위치(16)가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3a 및 13b는 퓨즈 및 릴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와이어 루트(wire route)가 한 곳으로 집결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와이어의 길리 연장이 불가피하며, 상기 퓨즈/릴레이 박스(13) 주변으로 와이어 다발이 몰려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생산성 및 정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의 전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차량의 생산성 및 정비성이 향상되도록 한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지능형 파워 스위치 칩의 회로 구성을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배터리 22. 메인 릴레이
30. 부하 40. 지능형 파워 스위치
50. 컨트롤러 60. 컨트롤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는,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각 부하에 전기가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단속하는 메인 릴레이와; 상기 메인 릴레이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 부하에 연결되며, 상기 각 부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해주는 단자가 구비된 지능형 파워 스위치(IPS)와;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상기 각 부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정보를 읽어 이를 표시토록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는,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21)와, 상기 배터리(21)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차량의 각 부하(30)에 전기가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단속하는 메인 릴레이(22)와, 상기 메인 릴레이(22)와 연결 설치되고, 차량의 각 부하(30)에 연결되며, 이 부하(30)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해주는 단자가 구비된 지능형 파워 스위치(IPS)(40)와,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40)와 연결된 각 부하(30)단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정보를 읽어 이를 표시토록 지능형 파워 스위치(40)와 연결된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40)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인 에어컨/히터의 컨트롤 스위치(60)와 연결되어 각 부하(30)단의 이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능형 파워 스위치(40)의 칩(chip)의 회로 구성도의 일 실시예가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표시단자(A)와 부하(B)가 각각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모터(31), 램프(32), 및 시계, 오디오, 부저 등의 기타 부하(33)로 구성된 부하(30)가 하나의 실시예로써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는,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40)를 이용하여 론 웍스(LON Works) 기술과 접목한 것으로, 모쥴 내부에 지능형 파워 스위치(40)를 장착하여 각 부하(3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론(LON)은 Local Operating Network의 약자이다.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4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하(30)단의 상태를 모니터링 해주는 단자가 구비됨으로서, 이 지능형 파워 스위치(40)에 연결된 부하(30)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와이어링 쇼트(wiring short)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단되었을 경우, 그 정보를 컨트롤러(50)가 읽는다. 그러면 이 컨트롤러(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에어컨/히터의 컨트롤 스위치(60)에 정보를 표시해주게 된다. 따라서 어느 부분이 고장이 발생했고, 어디를 복원시켜 주어야 하는지를 알려주게 된다.
이렇게 되면, 종래에 배선구조에 구비되었던 릴레이 및 퓨즈 박스(13; 도 1참조)를 삭제할 수 있고, 예컨대 론 모쥴(LON Module)에 아이 론(I-LON ; Internet-LON) 박스(Box)(미도시)를 연결하여 인터넷 컴퓨터 상으로 확인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아이-론 박스는 기본적으로 론 웍스(LON Works)를 이용한 기술로, 예컨대 차량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이동 단말기에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해 차량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론 모쥴, 론 웍스, 및 아이 론 박스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배선구조는 운전석 주변의 릴레이 박스 및 퓨즈 박스에서 다시 차량 전체로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 룸(room)에서 차량 전방으로 갔다가, 다시 차량 후방으로 가는 불필요한 와이어, 이에 연결된 릴레이 및 퓨즈 등을 없앨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선구조에서는 배터리 룸에서 바로 각 부하단으로 나가기 때문에 최단거리의 와이어 배선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차량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통상 지능형 파워 스위치의 신뢰성은 상당히 안정되어 있어 쇼트 등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없고, 바로 이상 유뮤를 컴퓨터(PC)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차량의 성능 및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및 퓨즈를 지능형 파워 스위치 칩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이 칩 하나에 여러 부하가 연결될 수 있음으로 부품의 간소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각 부하에 전기가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단속하는 메인 릴레이와;
    상기 메인 릴레이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 부하에 연결되며, 상기 각 부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해주는 단자가 구비된 지능형 파워 스위치(IPS)와;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상기 각 부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정보를 읽어 이를 표시토록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파워 스위치는 상기 차량의 에어컨/히터 컨트롤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KR10-2001-0032130A 2001-06-08 2001-06-08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KR10039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130A KR100394664B1 (ko) 2001-06-08 2001-06-08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130A KR100394664B1 (ko) 2001-06-08 2001-06-08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394A KR20020093394A (ko) 2002-12-16
KR100394664B1 true KR100394664B1 (ko) 2003-08-14

Family

ID=2770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130A KR100394664B1 (ko) 2001-06-08 2001-06-08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25Y1 (ko) * 2010-09-27 2011-05-03 이국희 화물차량 화물칸 천정 카버 권취 장치
KR101768144B1 (ko) 2016-01-19 2017-08-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하용량의 변경을 인식하는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394A (ko) 200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1979B2 (en) Vehicle harness structure and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JP2793868B2 (ja) スマート動力コネクタ
US4122357A (en) Wiring system for motor vehicle
JP5785803B2 (ja) 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及び電子制御ユニット
JP2778856B2 (ja) 小型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WO2007138760A1 (ja) 車両用制御装置
US10464506B2 (en) Wire harness system and wire harness
JP2019196052A (ja) ワイヤハーネス、ワイヤハーネス用の部品モジュール、及び、車両部品
JPH06171438A (ja) 車両用電源線配索構造
KR100394664B1 (ko) 지능형 파워 스위치가 채용된 차량의 배선구조
JP5730639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及び車両用電子制御システム
JP5700776B2 (ja) ワイヤハーネス
JP4731721B2 (ja) ヒューズ機構付き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0011851A (ja) 電力供給制御装置
CN111942229A (zh) 一种氢燃料物流车用集成三合一控制装置
JP2016092853A (ja) スイッチボックス
JPH11299115A (ja) 車両用バッテリボックス
JP4394042B2 (ja) 電気接続箱
JP6251709B2 (ja) ワイヤハーネスシステム、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4085071B2 (ja) 電気接続箱
JPH1021995A (ja) インターフェイスコネクタ
JP201410097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システム
JPH0946928A (ja) 自動車の電源バックアップ装置
JP2001204127A (ja) 多重通信用電気接続箱並びにそれを用いた車両の多重通信システムの構築方法および車両の多重通信システム
KR20030081691A (ko) 전기 차량의 전장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