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879B1 - 전자 스틸 카메라 - Google Patents

전자 스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879B1
KR100393879B1 KR10-2001-0022581A KR20010022581A KR100393879B1 KR 100393879 B1 KR100393879 B1 KR 100393879B1 KR 20010022581 A KR20010022581 A KR 20010022581A KR 100393879 B1 KR100393879 B1 KR 10039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ignal
time
shooting
stil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6792A (ko
Inventor
기무라마사노부
고타키히로아키
스기키다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2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한 S/N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 스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촬영에 앞선 예비 촬영 동작으로 고체 촬상 소자의 출력으로부터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로부터 본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는 고체 촬상 소자와, 예비 촬영 동작시의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 판독 레이트보다 본 촬영 동작시의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 판독 레이트를 낮게 하는 수단과,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 경로에서 본 촬영 동작시의 신호 통과 대역폭을 예비 촬영 동작시의 신호 통과 대역폭보다 좁게하는 대역폭 가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스틸 카메라{ELECTRONIC STILL CAMERA}
본 발명은 전자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단계 셔터 방식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전자 스틸 카메라에서는, 촬영자가 셔터 버튼을 조작하면, 우선 셔터 버튼이 반 누름 상태가 되고, 계속해서, 본 누름 상태가 되는 2단계 셔터 동작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2단계 셔터 방식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서는, 셔터 버튼이 반 누름 상태에 있는 동안에 노광 조건이나 백 밸런스 등의 촬영 조건을 자동 설정하는 조작(이하, 예비 촬영이라 함)이 행해진다. 또, 이 예비 촬영시에 예컨대 초점 설정, 노광 설정, 화각 설정 등 여러 가지 촬영 조건 설정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속도로 수회의 촬영 동작이 반복 행해진다. 계속해서 셔터 버튼이 본 누름 상태가 되었을 때에, 앞의 예비 촬영 조작으로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실제로 메모리에서 촬영화상을 받아들이는 조작(이하, 본 촬영이라 함)이 행해진다.
또, 예비 촬영시에 얻어지는 여러 가지 데이터가 촬영자가 촬영 조건을 매뉴얼 설정하기 위한 참조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종래, 이러한 전자 스틸 카메라에서는, 예비 촬영시라도 본 촬영이라도, 동일하게 피사체의 광학상이 CCD(charge-coupled device) 등의 고체 촬상 소자의 촬상면에 결상된다. 고체 촬상 소자에는 드라이브 회로로부터 소정 레이트의 타이밍 펄스가 주어져 고체 촬상 소자에 의해 광전 변환된 영상 신호가 그 타이밍 펄스에 따라 판독된다. 이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로 송출되고, 동일하게 상기 소정 레이트의 타이밍 펄스에 따라 여러 가지 신호 처리를 받는다. 즉, 예비 촬영에서는 이 신호 처리 단계에서 노광 조건이나 백 밸런스 등의 촬영 조건을 자동 설정하는 신호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본 촬영에서는 이 신호 처리 단계에서 앞의 예비 촬영으로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촬상된 광학상으로부터 얻어진 영상 신호를 실제의 이용에 제공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상기 2단계 셔터 방식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서는, 촬영자가 단숨에 셔터 버튼을 눌러버린 경우, 그 눌러서 밑으로 내린 행정 중, 예비 촬영 상태에 놓여진 시간은 매우 짧은 것으로 된다. 그래도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단시간 내에 수회의 촬영 동작을 행하는 필요성 때문에 상기 타이밍 펄스는 비교적 높은 펄스 레이트가 되는 것이 부득이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본 촬영시의 상기 영상 신호의 판독 및 여러 가지 신호 처리도 그 고레이트의 타이밍 펄스에 따라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 제11-146409호에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비디오 촬상시의 신호 판독 레이트를 프리뷰시의 신호 판독 레이트보다 저속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비디오 촬영시에 링잉(ringing)이나 아날로그 신호계의 주파수 특성이 부족되는 경우의 화소 신호간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저감하는 것으로서, 프리뷰시와 비디오 촬영시에서 신호간 크로스토크가 다르기 때문에 자동 백 밸런스 등의 신호 레벨을 기준으로 제어하는 기구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CCD를 고체 촬상 소자로서 이용한 전자 스틸 카메라에서는, 종래, CCD의 출력 신호를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를 이용하여 변동하는 기준 전압과 그 위에 생기는 신호 전압을 각각 샘플링하고, 이들의 차분을 취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샘플링 방식의 노이즈 저감 기술에서는, CCD의 출력 증폭기로 시간 랜덤인 고역 주파수대의 노이즈 성분이 발생하고, 이 노이즈 성분이 샘플링시에 화상 신호로서 유효한 주파수 대역 내에 접혀 유해한 노이즈가 된다. 따라서, 고역 주파수대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목적으로, 종래, 신호 전송 주파수의 약 3배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 스틸 카메라로 얻어지는 화상은 1장의 고정화된 화상으로서, 이러한 고정화된 화상 상에서는, 증폭기로 발생하는 시간 랜덤인 고역 주파수대의 노이즈 성분도 고정화되어 출현하기 때문에 충분한 노이즈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종래의 2단계 셔터 방식의 전자 스틸 카메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비 촬영 처리와의 관계로부터 본 촬영시의 상기 영상 신호의 판독 및 여러 가지 신호 처리가 비교적 높은 펄스 레이트로 행해지지만, 이와 같이 고펄스 레이트로 영상 신호의 판독 및 여러 가지 신호 처리를 행하면, 상관 이중 샘플링에 의한 노이즈 저감 기술을 이용한 것에서는, 화상 상에 고역 주파수대의 노이즈 성분이 고정화되어 출현하여 충분한 노이즈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고, 양호한 S/N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 스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역 필터(LPFa, LPFb)의 통과 특성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자 스틸 카메라로 사용되는 저역 필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클록 발생기
202 : 클록 분주기
203 : 클록 전환 스위치
204 : 타이밍 발생기
205 : CCD 드라이버
206 :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207 : A/D 컨버터
208 :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209 : 고체 촬상 소자(CCD)
210 : 대역 전환 스위치
LPFa : (광대역) 저역 필터
LPFb : (협대역) 저역 필터
본 발명에 따른 제1 형태의 전자 스틸 카메라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촬영에 앞서 고체 촬상 소자의 출력으로부터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로부터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는 촬영 조건 결정용 신호 출력 레이트보다 촬영 신호 출력시의 신호 출력 레이트를 낮게 하는 동시에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 경로에서 신호 통과 대역폭을 촬영 조건 결정시보다 좁게하는 대역폭 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형태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서는, 더욱이 영상 신호 경로의 신호 통과 대역폭이 고체 촬상 소자의 신호 출력 레이트에 비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형태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서는, 더욱이 촬영 신호 출력시의 신호 출력 레이트가 촬영시의 노광 시간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면 중, A는 셔터 버튼의 동작 추이를 나타내고, B는 광학 셔터의 동작 추이를 나타내며, C는 전자 셔터의 동작 추이를 나타내고, E는 CCD 출력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예비 촬영 동작을 위해 셔터 버튼이 "반 누름"되면, 즉시 광학 셔터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본 촬영 동작을 위해 셔터 버튼이 "본 누름"되면, "반 누름"시에 설정된 노광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폐쇄" 상태가 된다.
전자 셔터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버튼이 "본 누름"되었을 때에 순간 조작된다.
셔터 버튼이 "반 누름"되어 있는 동안,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 신호 판독 펄스가 매초 10프레임 이상의 레이트로 CCD에 인가된다. 더욱이 "본 누름" 상태로 노광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1개의 화소 신호 판독 펄스가 CCD에 인가된다.
이들 화소 신호 판독 펄스에 따라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누름"기간에서는 CCD에 의해 광전 변환된 단지속 기간의 영상 신호가 매초 10프레임 이상의 레이트로 출력된다. 한편, "본 누름"된 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노광 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화소 신호 판독 펄스에 의해 CCD에 의해 광전 변환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지속 기간의 1프레임의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셔터 버튼이 "반 누름"되어 있는 기간에서는 매초 10프레임 이상의 화상이 말하자면 동화상 형으로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되지만, 이것은 각각의 프레임으로 초점 설정, 노광 설정, 화각 설정 등, 여러 가지 촬영 조건 설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반 누름" 기간은 촬영자가 단숨에 셔터 버튼을 눌러버린 경우, 매우 짧은 것으로 되지만, 이 단시간 내에서 여러 가지 촬영 조건 설정을 행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얻기 위해서, 이 "반 누름" 기간 동안, CCD로부터 판독된 화상 신호는 비교적 높은 레이트를 갖는 단시간 지속 신호가 된다.
한편, 본 촬영시에 CCD로부터 판독된 화상 신호는 비교적 낮은 레이트의 신호, 즉, 장시간 지속 신호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동화상 형으로 복수 장의 화상을 판독할 필요가 있는 예비 촬영의 경우와 달리 본 촬영시에는 1장의 화상밖에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CCD로부터의 신호 출력 시간을 길게, 즉 신호 출력 레이트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 중, 클록 발생기(201)의 출력 클록(기본 클록 CLo)이 클록 분주기(÷n)(202)를 통해 클록 전환 스위치(203)의 한쪽 입력단(203a)으로 공급되고, 또한, 클록 전환 스위치(203)의 다른 쪽 입력단(203b)으로 직접 공급된다. 따라서, 클록 전환 스위치(203)의 입력단(203a)으로는 소정의 분주 요인 n으로 분주된 분주 클록 CLn이 인가되고, 클록 전환 스위치(203)의 입력단(203b)으로는 기본 클록 CLo가 인가된다.
클록 전환 스위치(203)는 2단계 셔터 방식의 셔터 버튼 조작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셔터 버튼이 "반 누름"된 예비 촬영 상태에서는 입력단(203b)이 선택되고, "본 누름"된 본 촬영 상태에서는 입력단(203a)이 선택된다. 따라서 예비 촬영 상태에서는 기본 클록 CLo가 선택되며, 본 촬영 상태에서는 분주 클록 CLn이 선택된다.
클록 전환 스위치(203)로 선택된 클록이 그 출력단(203c)으로부터 타이밍 발생기(204)에 인가된다. 타이밍 발생기(204)는 인가된 클록에 따라 여러 가지 타이밍 펄스를 생성한다. 이들 타이밍 펄스가 각각 CCD 드라이버(205),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 A/D 컨버터(207)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208)로 인가된다. CCD 드라이버(205)는 추가로 거기에 인가된 타이밍 펄스에 기초하여 고체 촬상 소자, 예컨대 CCD(209)로부터의 영상 신호 판독을 행한다.
CCD(209)로부터 판독된 영상 신호는 2개의 저역 필터(LPFa, LPFb)로 평행하게 인가된다. 저역 필터(LPFa)는 광대역 통과 특성을 가지며, 저역 필터(LPFb)는 협대역 통과 특성을 갖는다.
이들 저역 필터(LPFa, LPFb)의 출력은 대역 전환 스위치(210)의 입력단(210a, 210b)으로 각각 인가된다. 대역 전환 스위치(210)에 의한 선택 출력은 그 출력단(210c)으로부터 전술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로 인가된다. 대역전환 스위치(210)는 클록 전환 스위치(203)와 마찬가지로 2단계 셔터 방식의 셔터 버튼조작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셔터 버튼이 "반 누름"된 예비 촬영 상태에서는 입력단(210b)이 선택되고, "본 누름"된 본 촬영 상태에서는 입력단(210a)이 선택된다.
따라서 예비 촬영 상태에서는 CCD(209)로부터 고레이트로 판독되고, 광대역 통과 특성의 저역 필터(LPFa)를 통과한 영상 신호가 대역 전환 스위치(210)를 통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 A/D 컨버터(207)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208)로 순차 공급된다. 또한, 본 촬영 상태에서는 CCD(209)로부터 저레이트로 판독되고, 협대역 통과 특성의 저역 통과 필터(LPFb)를 통과한 영상 신호가 대역 전환 스위치(210)를 통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 A/D 컨버터(207)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208)로 순차 공급된다.
도 3에 저역 필터(LPFa, LPFb)의 통과 특성 비교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종축은 노이즈 전력 밀도를 나타내고, 횡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촬영 상태에서 사용되는 저역 필터(LPFa)는 광대역 통과 특성을 가지며, 본 촬영 상태에서 사용되는 저역 필터(LPFb)는 협대역 통과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저역 필터가 갖는 노이즈 에너지량은 노이즈 전력 밀도와 차단 주파수와의 곱,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 통과 필터가 갖는 통과 특성선과 횡축으로 둘러싸인 면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광대역 통과 특성을 갖는 저역 통과 필터는 통과 노이즈 에너지량이 많지만 고속 동작에 알맞다. 한편, 협대역 통과 특성을 갖는 저역 필터는 통과 노이즈 에너지량이 적어 저속 동작에 알맞다.
따라서, 예비 촬영 상태에서는 CCD(209)로부터 고레이트로 판독된 영상 신호는 광대역 통과 특성의 저역 필터(LPFa)를 통과하기 때문에, 그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 에너지량이 비교적 많지만 높은 주파수 응답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촬영 상태에서는 CCD(209)로부터 저레이트로 판독된 영상 신호는 협대역 통과 특성의 저역 필터(LPFb)를 통과하기 때문에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 에너지량이 저감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통과 대역 특성이 다른 2개의 저역 필터(LPFa, LPFb)를 사용하고 있지만, 신호 통과 대역폭을 전환할 수 있는 1개의 저역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에 각각 신호 통과 대역폭을 전환할 수 있는 저역 필터의 예를 도시한다. 이들 저역 통과 필터는 1개의 저항(R)과 2개의 커패시터(C1, C2)와 스위치(S)로 구성된다.
도 4(A)의 예에서는 스위치(S)에 의해 커패시터(C2)가 커패시터(C1)에 병렬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 통과 대역폭이 협대역과 광대역으로 전환된다. 즉, 스위치(S)가 개방되어 있을 때, 이 저역 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 fcA(0)는 하기 수학식 1로 주어진다.
fcA(0)=1/(2πClR)
스위치(S)가 폐쇄되어 있을 때, 이 저역 필터의 차단 주파수 fcA(C)는 하기 수학식 2로 주어진다.
fcA(C)=1/(2π(C1+C2)R)
식 1로 주어지는 차단 주파수 fc(0)는 식 2로 주어지는 차단 주파수 fc(C)보다도 높고, 따라서 커패시터(C2)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그 저역 필터는 광대역 통과 특성이 되고, 커패시터(C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저역 필터는 협대역 통과 특성이 된다.
도 4(B)의 예는 커패시터(C2)를 커패시터(C1)에 직렬 접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 통과 대역폭이 좁은 협대역과 광대역으로 전환된다. 즉, 스위치(S)가 개방되어 있을 때, 이 저역 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 fcB(0)는 하기 수학식 3으로 주어진다.
fcB(0)=(1/C1+1/C2)/(2πR)
스위치(S)가 폐쇄되어 있을 때, 이 저역 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 fcB(C)는 하기 수학식 4로 주어진다.
fcB(C)=1/(2πClR)
모두 스위치(S1)가 폐쇄되었을 때에 통과 대역폭이 좁아진다.
수학식 3으로 주어지는 차단 주파수 fcB(0)는 수학식 4로 주어지는 차단 주파수 fcB(C)보다도 낮고, 따라서 커패시터(C2)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그 저역 필터는 광대역 통과 특성이 되고, 커패시터(C2)가 단락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저역필터는 협대역 통과 특성이 된다.
상기 예에서는 커패시터의 전환으로 저역 필터 통과 대역폭을 바꾸도록 하고 있지만, 저항을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동일한 통과 대역폭 전환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촬영시에 CCD(209)로부터 판독된 영상 신호는 협대역의 저역 필터(LPFb)에서 고역부의 노이즈를 차단된 상태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로 인가할 수 있다.
주지와 같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는 거기에 인가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상관 이중 샘플링 처리를 행하여 노이즈를 저감한다. 즉, 변동하는 기준 전압과 그 위에 생기는 신호 전압을 각각 샘플링하고, 이들의 차분을 취하여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이다. 또, 이 상관 이중 샘플링 처리에서는, CCD(209)로부터 판독된 영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도시 생략)에 의해 생기는 고역 노이즈 성분이 샘플링 처리시에 화상 신호로서 유효한 주파수 대역 내에 접혀 유해한 노이즈가 된다. 따라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는 그 입력측에 신호 전송 주파수의 약 3배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저역 필터(도시 생략)를 포함하고, 샘플링 전에 화상 신호의 고역 주파수대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S/N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의 샘플 홀드 동작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역 성분이 저역으로 접히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고역 부분에 현저한 노이즈가 있는 경우, 그것이 화상 신호로서 유효한 주파수 대역 내로 들어오지만, 전술한 저역 필터에 의해 입력 영상 신호의 고역 노이즈 성분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폴딩노이즈는 발생하지 않고,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206)의 출력에 포함되는 노이즈량이 저감된다. 따라서, 본 전자 스틸 카메라에 의한 종합 감도도 향상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과 같이, 본 촬영시에 CCD로부터 영상 신호를 판독하는 레이트를 낮게 하면, 필연적으로 CCD 내에서 신호 전하가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CCD의 PN 접합에 의한 누설 전류에 변동이 생기며, 이 요인에 의해 고정 패턴 노이즈가 증가하는 악영향을 받는다.
도 5는 전술한 누설 전류 변동에 기인하는 고정 패턴 노이즈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도 5의 타이밍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누설 전류 변동에 따른 고정 패턴 노이즈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 광학 셔터가 폐쇄되고, 계속해서 CCD로부터의 본 촬영 영상 신호의 판독이 종료된 후, 광학 셔터를 폐쇄한 채로 전자 셔터 동작에 의한 화소 전하 리셋시에서부터의 노광 시간과 동일한 시간(암시 화상 적산 시간)에 걸쳐 암시 화소 신호를 판독하고, 이 때에 얻어지는 암시 화상 신호를 본 촬영시에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감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작을 행하는 구성을 더 마련함으로써 CCD의 PN 접합에 의한 누설 전류 변동에 기인하는 고정 패턴 노이즈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촬영시에 얻어지는 영상 신호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있는 전자 스틸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본 촬영에 앞선 예비 촬영 동작으로 고체 촬상 소자의 출력으로부터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로부터 본 촬영 화상을 생성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고체 촬상 소자와,
    예비 촬영 동작시의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 판독 레이트보다 본 촬영 동작시의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 판독 레이트를 낮게 하는 수단과,
    상기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 경로에서 본 촬영 동작시의 신호 통과 대역폭을 예비 촬영 동작시의 신호 통과 대역폭보다 좁게하는 대역폭 가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대역폭 가변 수단의 신호 통과 대역폭은 고체 촬상 소자로부터의 영상 신호 판독 레이트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본 촬영 동작시의 신호 판독 레이트는 본 촬영 동작시의 노광 시간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스틸 카메라.
KR10-2001-0022581A 2000-10-02 2001-04-26 전자 스틸 카메라 KR100393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2002 2000-10-02
JP2000302002A JP2002112106A (ja) 2000-10-02 2000-10-02 電子スチル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792A KR20020026792A (ko) 2002-04-12
KR100393879B1 true KR100393879B1 (ko) 2003-08-06

Family

ID=1878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581A KR100393879B1 (ko) 2000-10-02 2001-04-26 전자 스틸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16195B2 (ko)
JP (1) JP2002112106A (ko)
KR (1) KR100393879B1 (ko)
TW (1) TW5278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6708A1 (en) * 2002-10-28 2004-05-06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adout
JP4469638B2 (ja) * 2004-03-12 2010-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読み出し装置及び画像撮影装置
JP4695541B2 (ja) * 2006-04-28 2011-06-08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8053800A (ja) * 2006-08-22 2008-03-06 Pentax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WO2017154367A1 (ja) * 2016-03-09 2019-01-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524A (en) * 1991-06-28 1993-12-21 Sony Corporation Solid state camera apparatus with sample rate conversion to D1 and D2 formats
JPH0738792A (ja) * 1993-07-16 1995-02-07 Kyocera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9247519A (ja) * 1996-03-08 1997-09-19 Sony Corp 撮像装置
JPH11146409A (ja) * 1997-11-07 1999-05-28 Minolta Co Ltd ビデオ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1749A (en) * 1983-02-02 1985-12-31 Nippon Kogaku K.K. Focus detection apparatus
US5623309A (en) * 1987-02-12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focusing device with adaptive signal filtering
DE3887547T2 (de) 1987-03-20 1994-08-25 Canon Kk Abbildungsgerät.
JPS63245074A (ja) 1987-03-31 1988-10-12 Canon Inc 撮像装置
US5235428A (en) * 1990-02-21 1993-08-10 Sony Corporation Auto-focus system for video camera
US5325146A (en) * 1991-09-04 1994-06-28 Fuji Photo Film Co., Ltd. Auto focus control system for a rear-focus lens apparatus
US5694168A (en) * 1991-09-04 1997-12-02 Fuji Photo Film Co., Ltd. Auto focus control device and method including selecting a zone for detecting an evaluative value for focusing in accordance with photographing direction
EP0605240B1 (en) * 1992-12-28 2002-05-02 Canon Kabushiki Kaisha One-chip integrated circuit for use in a cotrolling focusing means
EP0609054A3 (en) * 1993-01-25 1996-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video data on or from storage media.
JPH07203311A (ja) 1994-01-10 1995-08-04 Hitachi Ltd 撮像用信号処理回路
JP3437239B2 (ja) * 1994-02-16 2003-08-1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US5572155A (en) * 1994-06-20 1996-11-05 Fuji Photo Film Co., Ltd. CCD signal read-out circuit free from ailiasing of high-frequency noises
JP3761971B2 (ja) 1996-05-24 2006-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H10341447A (ja) * 1997-04-11 1998-12-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信号処理装置
JP4161384B2 (ja) * 1997-04-30 2008-10-0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これを用いたカメラ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524A (en) * 1991-06-28 1993-12-21 Sony Corporation Solid state camera apparatus with sample rate conversion to D1 and D2 formats
JPH0738792A (ja) * 1993-07-16 1995-02-07 Kyocera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9247519A (ja) * 1996-03-08 1997-09-19 Sony Corp 撮像装置
JPH11146409A (ja) * 1997-11-07 1999-05-28 Minolta Co Ltd ビデオ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7839B (en) 2003-04-11
US6816195B2 (en) 2004-11-09
US20020039145A1 (en) 2002-04-04
JP2002112106A (ja) 2002-04-12
KR20020026792A (ko)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4537A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focusing means
JP4149528B2 (ja) 自動焦点検出装置
KR100666290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3847811B2 (ja) 撮像装置
JP2005130045A (ja) 撮像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撮像素子
JP3664123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質補正方法
US6839084B1 (en)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modes based on signals from photoelectric conversion pixels
JPS63158982A (ja) 固体テレビカメラ装置
JP2007027845A (ja) 撮像装置
KR100393879B1 (ko) 전자 스틸 카메라
JP2004328447A (ja) 撮像装置
JP2007134806A (ja) 固体撮像素子
JP4464006B2 (ja) 撮像装置および露光方法
JP4094123B2 (ja) 撮像装置
JP4095630B2 (ja) 撮像装置
JP2000295535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4086337B2 (ja) 撮像装置
JP2005117494A (ja) 撮像装置
JP4262504B2 (ja) 撮像装置および電荷検出装置
JP4343601B2 (ja) 撮像装置
JP4992382B2 (ja) ノイズ除去方法ならびにノイズ除去制御プログラム
JP2004328446A (ja) 撮像装置
JP3115216B2 (ja) 電子内視鏡装置
JP2000041189A (ja) 撮像装置
JP2755514B2 (ja) Ccd固体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