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365B1 - 알츠하이머질환에서의아밀로이드베타a4형성을감소시키는[r-(z)]-알파-(메톡시이미노)-알파-(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의용도 - Google Patents

알츠하이머질환에서의아밀로이드베타a4형성을감소시키는[r-(z)]-알파-(메톡시이미노)-알파-(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의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365B1
KR100393365B1 KR1019970702700A KR19970702700A KR100393365B1 KR 100393365 B1 KR100393365 B1 KR 100393365B1 KR 1019970702700 A KR1019970702700 A KR 1019970702700A KR 19970702700 A KR19970702700 A KR 19970702700A KR 100393365 B1 KR100393365 B1 KR 100393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alpha
alzheimer
compound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816A (ko
Inventor
로저 에드워드 마크웰
쥴리에 호킨스
캐롤 웬디 그레이
Original Assignee
스미스클라인비이참피이엘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스클라인비이참피이엘시이 filed Critical 스미스클라인비이참피이엘시이
Publication of KR97070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the ring forming part of a bridged ring system, e.g. quinucl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또는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서 비-아밀로이드 생성 경로를 따르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프로세싱을 촉진하는 방법, 및 효과적이고, 비독성인 양의 아세토니트릴 화합물을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또는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여 βA4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그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의약의 제조에서의 그 화합물의 용도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조성물.

Description

알츠하이머 질환에서의 아밀로이드 베타A4 형성을 감소시키는 [R-(Z)]-알파-(메톡시이미노)-알파-(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의 용도 {Use of [R-(Z)]-Alpha-(Methoxyimino)-Alpha-(1-Azabicyclo)[2.2.2]OCT-3-Yl)Acetonitrile to Reduce Amyloid Beta A4 Formation in Alzheimer's Disease}
본 발명은 비-아밀로이드 생성 경로(non-amyloidogenic pathway)를 따르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의 강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APP)은 여러 방법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는 통합 막 글리코프로테인이다. β 및 γ 세크리타제 (secretase)에의한 절단은 궁극적으로 알츠하이머 질환 (AD) 환자의 뇌에 퇴적된 β 아밀로이드 단백질 (βA4)의 방출을 초래한다. 이외에 α 세크리타제에 의한 절단은 비-아밀로이드 생성 APP 단편의 방출을 초래한다. 무스카린 작용체 카바콜, 베타네콜, AF-102B 및 크사노멜린은 m1 및(또는) m3 수용기 서브타입의 활성화에 의하여 비-아밀로이드 생성 APP 단편의 제조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니체, 등. 1992, 벅스바움, 등. 1992, 1994, 하링, 등. 1994, 그로든 1994).
유럽 특허 제EP-A-0392803호 (비참 그룹 피.엘.씨.)에는 중추 신경계내의 무스카린 수용기에 대한 작용을 통하여 아세틸콜린 기능을 촉진하는, [R-(Z)]-α-(메톡시이미노)-α-(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 (화합물 (I))을 포함하는 특정의 아자비시클릭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그러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제WO93/17018호에는 화합물 (I)을 제조할 수 있는 별법이 개시되어 있다.
화합물 (I)은 비-아밀로이드 생성 경로를 따르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을 촉진하여, βA4 생성을 감소시킴으로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또는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서 비-아밀로이드 생성 경로를 따르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을 촉진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화합물 (I)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βA4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되는 화합물 (I)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또는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서 화합물 (I)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의 유효하고, 비독성인 양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비-아밀로이드 생성 경로를 따르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또는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서 화합물 (I)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의 유효하고, 비독성인 양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βA4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합물 (I)은 강산과 산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라는 용어는 용매화물 및 수화물을 포함한다.
화합물 (I)은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I)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로 제공된다.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로젠지, 좌약, 재구성 분말, 또는 경구성 또는 비경구성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액체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일관된 투여를 위하여, 조성물이 단위 투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용의 단위투여 제형은 정제 및 캡슐일 수 있으며, 결합제, 예를 들면 시럽, 아카시아, 겔라틴, 솔비톨, 트라가칸트,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충진제, 예를 들면 락토스, 슈거, 옥수수 전분, 인산칼슘, 솔비톨 또는 글리신; 정제화 윤활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붕괴제, 예를 들면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또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또는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와 같은 제약상 허용되는 습윤제와 같은 종래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형의 경구용 조성물은 혼합, 충진, 정제화 등과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량의 충진재를 사용하는 조성물 내부에 걸쳐 활성 제제를 분배하기 위하여 블렌딩 작업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작업은 본 분야의 선행기술이다. 정제는 일반적인 제약상 실무에서 공지된 방법, 특히 장용피복으로 피복될 수 있다.
경구성 액체 제형은 예를 들면 유제, 시럽 또는 엘릭시르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전에 물 또는 다른 적당한 용제와 재구성하기 위한 건조 제품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한 액체 제형은 부유제, 예를 들면 솔비톨,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겔라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겔 또는 수소화 식용 지방; 유화제, 예를 들면 레시틴,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또는 아카시아; 비수성의 용제 (식용 오일을 포함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아몬드유, 분획 코코넛유, 글리세린의 에스테르와 같은 오일성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에틸 알콜; 보존제, 예를 들면 메틸 또는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소르브산; 및 필요하다면 종래의 향미제 또는 착색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경우, 화합물 및 멸균의 용제를 사용하여 액체 단위투여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된 농도에 따라 용제에 현탁되거나 또는 용해될 수 있다. 용액의 제조에서, 화합물을 주사제용 물에 용해하고, 적당한 바이알 또는 앰풀 및 밀봉부에 충진되기에 앞서 필터 멸균할 수 있다. 이롭게는, 국소 마취제, 보존제 및 완충제와 같은 보강제가 용제에 용해될 수 있다.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조성물을 바이알에 충진하고, 진공하에서 물을 제거한 후에 동결할 수 있다. 비경구용 현탁액은 화합물을 용해하는 대신에 용제에 현탁하고, 멸균이 여과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그 화합물은 멸균 용제에 현탁하기 전에 산화에틸렌에 노출함으로 멸균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또는 습윤제가 조성물에 포함되어 화합물의 균일한 분배를 촉진하는 것이 유리하다.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따라 0.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또는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비-아밀로이드 생성 경로를 따르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정의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βA4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되는 상기 정의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합물의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질환의 심각성, 환자의 체중 및 화합물의 상대 효능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침으로서 적합한 단위 투여량은 5 내지 300 ㎍, 예를 들면 10 내지 200 ㎍일 수 있으며, 그러한 단위투여량은 1일 총 투여량이 30 내지 600 ㎍의 범위내가 되도록 1일 1회 이상, 예를 들면 1일 2 또는 3회 투여될 수 있으며, 그러한 치료가 수 년간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시된 투여 범위 내에서, 화합물 (I)에 대한 어떠한 허용되지 않는 독성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하기 약리 데이터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약리 데이터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 CHO 세포
인간 무스카린 수용기로 형질감염된 차이니스 햄스터 난소 (Chinese hamster ovary, CHO) 세포에서의 APP 프로세싱에 대한 실험 화합물의 효과를 웨스턴 블럿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레이저 덴시토미터를 사용하여 면역반응 밴드를 주사하여 블럿을 정량하였다.
재료
인간 무스카린 수용기가 안정하게 형질감염된 CHO 세포 (보너, 1988)를 N.I.M.H (Md. USA)로부터 얻었다. 조직 배양 배지 및 시약을 깁코(Gipco) BRL (스코틀랜드)로부터 구입하였다. 일반적인 실험 시약은 시그마 화학사(영국 도르셋 소재)로부터 구입하였다. [R-(Z)]-α-(메톡시이미노)-α-(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는 옥살레이트 염으로 유럽 특허 제EP-A-0392803호에 설명되어 있다.
APP의 아미노 말단 에피토프 (바이드만 등, 1989)를 인식하는 22C11 생쥐 단클론성 항체 (영국 서섹스 소재 베링거 만하임사); 쥐 βA4 1-25에 의하여 생성된 항βA4 1-25 토끼 다클론성 항체; APP의 카르복시 말단 에피토프 (APP770의 아미노산 751-770)에 의하여 생성된 Ab54 토끼 다클론성 항체를 1차 항체로 사용하였다.
2차 항체는 토끼 또는 생쥐 퍼옥시다제 항퍼옥시다제 (PAP)에 수반되는 항토끼 또는 항생쥐 IgG (시그마 사, 도르셋, 영국)이다. 사용된 기질은 강화 화학발광 키트 (ECL) (RPN2106, 영국 북스 소재 아머샴사)를 사용하였고, 하이퍼필름 ECL (아머샴, 북스, 영국)을 사용하여 면역반응 밴드를 검출하였다.
방법
세포 배양
인간 무스카린 수용기 서브타입 hm1, hm2, hm3 및 hm4 로 형질감염된 CHO 세포를 조직 배양 접시 (10 cm 직경)상의 리보뉴클레오사이드 및 데옥시리보뉴클레오사이드, 10 % 소태아 혈청, 100 unit/ml의 페니실린 및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α-최소 기본 배지 (αMEM)에서 군집으로 성장시켰다.
실험 화합물을 사용한 세포 처리
상기 설명처럼 세포를 군집으로 성장시키고, 5 ml의 혈청 없는 배지로 세포를 2회 세척함으로 혈청 함유 배지를 제거하였다. 그 후, 세포를 적절한 농도의 실험 화합물을 함유하는 5 ml의 혈청 없는 배지로 처리하고, 37 ℃에서 3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조건의 배지를 모아 얼음에 두고, 프로테아제 억제제 (1 mM의 페닐메틸술포닐 플루오라이드 (PMSF), 5 mM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1 ㎍/ml의 류펩틴)를 첨가하였다. 그 배지를 4 ℃에서 3000 g로 15 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잔해물을 제거하였다. 그 상층액을 분리하고, 센트리콘 10 농축기 (영국 글로세스터셔 소재 아미콘사)를 사용하여 4 ℃에서 90 분 동안 3000 G로 원심분리하여 100 배로 농축하였다. 그 보류물을 모아 전기영동시까지 -20 ℃로 나누어 보관하였다.
그 세포를 5 ml의 혈청 없는 배지로 2회 세척하고, 스크랩하고 4 ℃에서 5 분 동안 3000 G로,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을 수득하였다. 그 상층액을 제거하고, 세포 펠렛을 6배 부피의 파쇄 완충액 (1 %의 트리톤 X100, 5 mM의 EDTA, 1 mM의 PMSF, 1 ㎍/ml의 류펩틴을 함유하는 0.1 M 트리스 pH 7.5)에 재현탁하였다. 파쇄물을 단속적인 볼텍싱을 하면서 30 분동안 얼음에 유지시키고, 4 ℃에서 5 분 동안 10000 g로, 원심분리하여 세포 잔해를 제거하였다. 그 상층액을 모아 전기영동시까지 -20 ℃에서 나누어 보관하였다.
단백질 분석
겔 전기영동을 수행하기 전에 겔상의 처리군 사이의 동일한 단백질 부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세포 파쇄물 및 농축된 배양 배지 시료에 대하여 단백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바이오-래드사 (영국 헤르츠 소재) 염색 시약 농축물을 사용하여 브래드포드 염색-결합법 (브래드포드, 1976)에 의하여 단백질을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용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타이트레텍 멀티스캔 플러스 MkII 플레이트 해독기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상에서 590 nm에서 흡광도를 읽어서 분석하였다. 각종의 시약, 특히 분해제가 브래드포드 분석을 방해하기 때문에 적절한 시료 용제로 보정하였다.
SDS-PAGE
Novex 미니-겔 시스템 (영국 옥슨 소재 R & D 시스템, Europe Ltd)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분류하였다. 처리군을 비교하기 위하여 동량의 단백질을 동일한 겔상에 부과하였다. 0.1 M의 트리스 pH 6.8, 10 %의 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SDS), 글리세롤 중의 0.1 %의 브로모페놀 블루 및 50 %의 β-메르캅토에탄올을 함유하는 2배의 환원 시료 완충액으로 시료를 희석하였다. SDS를 함유하는 6 % 트리스-글리신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람니, 1970)상에서 100 V로 90 분동안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분자량을 알고 있는 표준 단백질 (시그마)도 또한 거기에 포함하였다.
웨스턴 블럿 분석
SDS-PAGE 후에, 2.5 mM의 트리스, 19.2 mM의 글리신, 20 %의 메탄올을 함유하는 pH 8.3의 이동 완충액으로 20 분동안 겔을 세척하였다. 그 단백질을 바이오-래드 반건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0.8 mA/cm2에서 2 시간 동안 겔로부터 Immobilon P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PVDF) 막 (영국 헤르츠 소재 밀리포아사)상으로 옮겼다. 단백질을 옮긴 후에, 10 %의 Ponceau S (시그마) 용액을 사용하여 2 분 동안 염색하여 막상의 단백질을 가시화하였다. 증류수로 헹구어 이를 탈색하였다.
그 막을 0.1 %의 트윈 20 및 5 %의 건조 우유 분말을 함유하는 인산 완충 식염수 (PBS)에서 실온으로 1 시간 이상을 차폐하였다. 이를 0.1 %의 트윈 20을 함유하는 PBS (PBST)로 30 초 동안 2회 세척하고, 1차 항체와 4 ℃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모든 항체를 2 %의 소 혈청 알부민 (시그마)을 함유하는 PBST에서 제조하였다. 막을 1 분동안 PBST로 세척하고, 5 분동안 2회 세척하였다. 2차 항체, 항-생쥐 또는 항-토끼 IgG (시그마)를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각각 1/3000 또는 1/5000 희석으로 첨가하였다. 막을 상기와 같이 세척하고, 생쥐 또는 토끼 퍼옥시다제 항퍼옥시다제 (시그마)를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1/3000 희석으로 첨가하였다. 최종 세척 단계는 PBS 단독으로 수행하고, 막을 깨끗한 접시에 옮기고, ECL 기질 (아머샴)을 첨가하였다. 그 면역반응 밴드를 자동 프로세서 (코닥)를 사용하여 현상되는 하이퍼필름-ECL (아머샴)에서 검출하였다.
덴시토미터 분석
레이저 덴시토미터를 사용하여 APP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겔스캔 XL 소프트웨어가 장치된 컴퓨터와 연결된 파마시아 LKB 울트라스캔 XL을 사용하여 면역반응 APP 밴드를 스캐닝하였다. 레이저 광선을 시료에 통과시키고, 투과된 광량을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기록을 곡선하의 면적값으로 적분하였다. 용제 및 실험 화합물의 결과를 3 실험군의 평균 ± 표준 편차 (SEM: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실 조건에서의 리간드 결합 연구
수컷 Hooded Lister 쥐 (올락, 영국)으로부터 대뇌피질을 절개하고, 2.5 부피 (습윤 중량 기준)의 빙냉의 50 mM의 트리스 pH 7.7에 두었다. 이것을 균질화하고 4 ℃에서 15 분 동안 24,000 g로 원심분리하였다. 그 펠렛을 2.5 부피에 재현탁하고, 균질물을 1 ml 할당량으로 필요시까지 -20 ℃에서 보관하였다.
[3H]-OXO-M 결합을 위한 반응물을 2 mM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빙냉의 50 mM 트리스 2 ml의 총부피로 제조하였다. [3H]-OXO-M 아세테이트 (뉴 잉글랜드 뉴클리어, 87 Ci/mmol의 비활성)를 1.88 nM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피질 균질물은 원 습윤 중량 (0.145 mg 단백질/ml 상당)을 기준으로 300 부피의 최종 농도였다. 비특이 결합은 10 μM의 옥소트레모린 세스퀴푸마레이트를 사용하여 정의되었다. 반응은 37 ℃에서 30 내지 45 분 동안 평형으로 수행하였다. 30분 동안 폴리에틸렌이민의 0.05 % 수용액에서 예비흡입된 와트만 GF/B 여과지를 통하여 시료를 여과하여 [3H]-OXO-M이 유리 섬유에 흡착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염화마그네슘을 생략하고, 균질물의 희석을 1500 부피 (7.8 ㎍ 단백질/ml)로증가시킨 것을 제외하고, [3H]-QNB (비활성 44 Ci/mmol, 최종 농도 0.27 nM) 결합을 유사하게 수행하였다. 비특이 결합은 1 μM 아트로핀 술페이트를 사용하여 정의되었다.
그 연구의 화합물의 결합 자료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결과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에 대한 실험 화합물, 화합물 (I)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08 kD의 분자량을 갖는 완전한 길이의 APP 및 분자량 108 kD 및 118 kD의 분비된 APP의 두 밴드가 형질감염된 모든 CHO 세포에서 검출되었다.
CHOhm1
10-6내지 10-4M의 투여 범위의 화합물 (I)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에 의하여 처리 3시간 후에 세포막에서의 완전한 길이의 APP는 감소되었다. 그 배양 배지에서, 실험 화합물은 그 농도 범위에서 분비된 APP를 6 내지 10배 증가시켰다 (표 1).
CHOhm2
1×10-4M의 화합물 (I)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에서 3 시간동안 처리한 후에, 세포막에서의 완전한 길이의 APP는 변화가 없었으나, 분비된 APP는 2배 증가하였다 (표 2).
CHOhm3
10-6내지 10-4M의 투여 범위의 화합물 (I)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에 의하여 3 시간동안 처리한 후에 세포막에서의 완전한 길이의 APP는 감소하였다. 그 배양 배지에서 실험 화합물은 분비된 APP를 그 농도 범위에서 대략 20 배 증가시켰다 (표 3).
CHOhm4
1×10-4M의 화합물 (I)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로 3 시간 동안 처리한 후에 세포막에서의 완전한 길이의 APP, 또는 배양액에 분비된 APP의 변화가 없었다 (표 4).
리간드 결합 연구
리간드 결합 데이터 (표 5)는 화합물 (I)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가 부분적인 작용체 성질을 나타내는 22의 QNB/OXO-M 비율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브라운, 등 1988).
결론
화합물 (I)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는 m1 및 m3 수용기 서브타입의 자극에 의하여 APP 프로세싱을 변경한다. 분비된 APP의 강화된 방출, 특히 항βA4 1-25 항체 (β 시크리타제 절단된 APP를 인식하지 못하는)로 검출된 것은 이것이 비-아밀로이드 생성 경로임을 강하게 제안한다.
따라서, 본 화합물 (I)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는 증가된 비-아밀로이드 생성 APP 프로세싱의 결과로 뇌에서의 βA4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의치료에 효과적인 이용성을 갖는다.
참고 문헌
보너 (1988) NIH 특허 번호 PB89-125652; 미국 특허 출원 제7-241,971호, 1988년 9월 8일
브래드포드 (1976) Anal. Biochem., 72, 248-254
브라운, 등 (1988) Drug Dev Res, 14, 343-347
벅스바움, 등 (1992) Proc. Natl. Acad. Sci., 89, 10075-10078
벅스바움, 등 (1994) Proc. Natl. Acad. Sci., 91, 4489-4493
그로든 (1994) "무스카린 작용체: APP 프로세싱에 대한 영향" 알츠하이머 질환에 관한 4차 국제회의, 미네아폴리스, 1994년 7월.
하링, 등 (1994) Biochem. Biophys. Res. Comm. 203(1), 652-658
람리 (1970) Nature, 227, 680-685
니체, 등 (1992) Science, 258, 304-307
바이드만, 등 (1989) Cell, 57, 115-126
표 1 - CHOhm1 투여 반응
결과는 세 실험의 평균으로 대조군 APP 수준으로 부터의 변화 (분비된 APP의 1 배 증가 = 기본 값으로부터 변화없음)로 나타내었다. 세포 파쇄물에서 완전한 길이의 APP를 검출하기 위하여 Ab54 항체를 사용하였고, 분비된 APP를 검출하기 위하여 22C11 항체를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2 - CHOhm2 투여 반응
표 1에서와 같은 항체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세 실험의 평균으로 대조군 APP 수준으로 부터의 변화 (분비된 APP의 1 배 증가 = 기본 값으로부터 변화없음)로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2
표 3 - CHOhm3 투여 반응
세포 파쇄물에서 완전한 길이의 APP를 검출하기 위하여 Ab54 항체를 사용하였고, 분비된 APP를 검출하기 위하여 항βA4 1-25를 사용하였다. 그 실험은 3회 반복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세 실험의 평균으로 대조군 APP 수준으로부터의 변화 (분비된 APP의 1 배 증가 = 기본 값으로부터 변화없음)로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3
표 4 - CHOhm4 투여 반응
표 3에서와 같은 항체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세 실험의 평균으로 대조군 APP 수준으로 부터의 변화 (분비된 APP의 1 배 증가 = 기본 값으로부터 변화없음)로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Claims (3)

  1.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거나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서 비-아밀로이드 생성 경로(non-amyloidogenic pathway)를 따르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을 촉진하는 데 사용되는, [R-(Z)]-α-(메톡시이미노)-α-(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 βA4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되는, [R-(Z)]-α-(메톡시이미노)-α-(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인 조성물.
KR1019970702700A 1994-10-25 1995-10-17 알츠하이머질환에서의아밀로이드베타a4형성을감소시키는[r-(z)]-알파-(메톡시이미노)-알파-(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의용도 KR100393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21472A GB9421472D0 (en) 1994-10-25 1994-10-25 Novel methods
GB9421472.3 1994-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816A KR970706816A (ko) 1997-12-01
KR100393365B1 true KR100393365B1 (ko) 2003-12-18

Family

ID=1076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700A KR100393365B1 (ko) 1994-10-25 1995-10-17 알츠하이머질환에서의아밀로이드베타a4형성을감소시키는[r-(z)]-알파-(메톡시이미노)-알파-(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의용도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5891887A (ko)
EP (1) EP0786998B1 (ko)
JP (1) JPH10509697A (ko)
KR (1) KR100393365B1 (ko)
CN (1) CN1085529C (ko)
AT (1) ATE214926T1 (ko)
AU (1) AU698695B2 (ko)
BG (1) BG101500A (ko)
BR (1) BR9509433A (ko)
CZ (1) CZ287370B6 (ko)
DE (1) DE69526102T2 (ko)
DK (1) DK0786998T3 (ko)
ES (1) ES2173977T3 (ko)
GB (1) GB9421472D0 (ko)
HK (1) HK1002057A1 (ko)
HU (1) HUT77007A (ko)
NO (1) NO312055B1 (ko)
NZ (1) NZ295155A (ko)
PT (1) PT786998E (ko)
SK (1) SK50497A3 (ko)
WO (1) WO1996012486A1 (ko)
ZA (1) ZA9589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1607B2 (en) * 1995-07-29 2002-08-22 Smithkline Beecham Plc Method of treatment of dementia
GB9619074D0 (en) * 1996-09-12 1996-10-23 Smithkline Beecham Plc Composition
DE19641180A1 (de) * 1996-09-24 1998-03-26 Schering Ag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APP-Sekretase Modulation und deren Verwendung als Mittel zur Behandlung der Alzheimer'schen Erkrankung
CA2323177A1 (en) * 1998-03-11 1999-09-16 Susan Marie Milosovich Composition
GB9815383D0 (en) * 1998-07-15 1998-09-16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method of treatment
US6245884B1 (en) * 1998-10-16 2001-06-12 Vivian Y. H. Hook Secretases related to alzheimer's dementia
US7816149B2 (en) * 2004-03-29 2010-10-19 Applied Photonics Worldwide, Inc. Nanobioprocessor for protein and cell therapy
GB0428170D0 (en) * 2004-12-23 2005-01-26 Biopartners Ltd Mono and Combination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392803T3 (da) * 1989-04-13 2004-10-18 Beecham Group Plc Hidtil ukendte forbindelser
US5385915A (en) * 1990-05-16 1995-01-31 The Rockefeller University Treatment of amyloidosis associated with Alzheimer disease using modulators of protein phosphorylation
US5242932A (en) * 1991-12-17 1993-09-07 The Rockefeller University Treatment of amyloidosis associated with alzheimer disease
JPH0725786A (ja) * 1990-05-16 1995-01-27 Univ Rockefeller アルツハイマー病を伴うアミロイドーシスの治療
MX9300875A (es) * 1992-02-20 1993-08-31 Smithkline Beecham Plc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compuestos azabiciclicos.
WO1994009370A1 (en) * 1992-10-09 1994-04-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elease of alzheimer amyloid precursor stimulated by activation of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s
GB9409705D0 (en) * 1994-05-14 1994-07-06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12055B1 (no) 2002-03-11
EP0786998A1 (en) 1997-08-06
NO971899D0 (no) 1997-04-24
DE69526102T2 (de) 2002-10-31
SK50497A3 (en) 1997-09-10
DK0786998T3 (da) 2002-07-15
HK1002057A1 (en) 1998-07-31
CZ287370B6 (en) 2000-11-15
AU698695B2 (en) 1998-11-05
BR9509433A (pt) 1997-09-16
MX9703077A (es) 1997-07-31
CN1085529C (zh) 2002-05-29
CN1170365A (zh) 1998-01-14
AU3843195A (en) 1996-05-15
GB9421472D0 (en) 1994-12-07
WO1996012486A1 (en) 1996-05-02
HUT77007A (hu) 1998-03-02
NO971899L (no) 1997-04-24
ATE214926T1 (de) 2002-04-15
NZ295155A (en) 2000-07-28
DE69526102D1 (de) 2002-05-02
ZA958946B (en) 1996-08-20
KR970706816A (ko) 1997-12-01
JPH10509697A (ja) 1998-09-22
EP0786998B1 (en) 2002-03-27
CZ125197A3 (en) 1997-07-16
US5891887A (en) 1999-04-06
BG101500A (en) 1998-01-30
PT786998E (pt) 2002-09-30
ES2173977T3 (es) 200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0725B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modulating amyloidosis
JP5885359B2 (ja) Atp結合カセットトランスポーターのイソキノリン調節因子
KR100393365B1 (ko) 알츠하이머질환에서의아밀로이드베타a4형성을감소시키는[r-(z)]-알파-(메톡시이미노)-알파-(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아세토니트릴의용도
HU217130B (hu) Eljárás 2-amino-6-(trifluor-metoxi)-benzotriazolt (riluzolt) tartalmazó, a motoneuron megbetegedéseinek kezelésére szolgáló gyógyszerkészítmények előállítására
US20190136184A1 (en) Method of inhibiting tau phosphorylation
CA2285948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modulating amyloidosis
AU668024B2 (en) Agen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cataract
EP1420790A1 (en) Use of bibn4096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migraine drugs for the treatment of migraine
Garner et al. Lens epithelium and fiber Na, K-ATPases: distribution and localization by immunocytochemistry
MXPA97003077A (en) Use of acetonitrila [r- (z)] - alpha- (metoximino) -alfa- (1-azabiciclo [2.2.2.] oct-3-ilo) to reduce the formation of beta a4 amylide in alzhei's disease
CA2203670A1 (en) Use of ¬r-(z)|-alpha-(methoxyimino)-alpha-(1-azabicyclo ¬2.2.2| oct-3-yl) acetonitrile to reduce amyloid beta a4 formation in alzheimer's disease
EP1207898B1 (en) Treatment of conjunctivitis by histacalin proteins
AU758936B2 (en) Method of treatment
Somogyi et al. In-vitro potencies of histamine H2-receptor antagonists on tetraethylammonium uptake in rat renal brush-border membrane vesicles
Wheater et al. Effects of cotinine on human gingival fibroblast migration
van Koppen et al. Chemical modification of rat cerebral cortex M1 muscarinic receptors: role of histidyl residues in antagonist and agonist binding
KR20010041477A (ko) 강박성 질환, 소마토포름 질환, 분열증, 음식 섭취와관련된 정신 질환, 충동 제어 질환, 및 자폐증을 치료하기위한 d1/d5 길항제의 용도
WO2022098700A1 (en) Inhibiting an immune response mediated by one or more of tlr2, rage, ccr5, cxcr4 and cd4
MXPA01000466A (en) Method of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