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720B1 -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720B1
KR100391720B1 KR10-2000-0069626A KR20000069626A KR100391720B1 KR 100391720 B1 KR100391720 B1 KR 100391720B1 KR 20000069626 A KR20000069626 A KR 20000069626A KR 100391720 B1 KR100391720 B1 KR 10039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onversion
speech recognition
input
pronun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9811A (ko
Inventor
경연정
손상목
천희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72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위한 등록을 목적으로 입력되는 문자를 발음 열로 자동 변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위해 등록하고자 하는 문자를 그대로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거나 혹은 발음열의 형태로 직접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음성 인식용으로의 등록을 위해 작업자가 입력한 문자를 발음 열로 자동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 즉 영문자 및 숫자 읽기 변환, 예외 단어 처리 변환, 음운 변동 규칙에 따라 발음 열로 변환하여 문자 DB에 등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방법에서와 같이 까다롭고 불편한 작업자의 조작 없이도, 음성 신호 입력에 대한 인식율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LETTER TRANS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 어휘 인식을 위한 별도의 훈련 과정 없이 텍스트 형식의 문자 정보를 음성 인식용 문자로 변환하는데 적합한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및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음성 인식 기술을 접목시킨 다양한 형태의 기술들(예를 들면, 음성 인식 전화기, 음성 인식 컴퓨터, 음성 인식 가전 기기, 음성 인식 보안 기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술로는 사용자 음성 자체를 메모리에 미리 등록하여 두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예를 들면, "텔레비전을 켜라" 등)가 입력될 때 메모리에 입력된 음성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하는 지령(예를 들면, 기기의 조작 제어 등)을 수행하는 방법과 음성 인식에 필요한 문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서 미리 등록하여 두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될 때 외부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환한 후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외부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지령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음성 인식용 문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음성 인식 기법의 개선에 관련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음성 인식용 문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음성 인식 방법은 음성 인식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문자 정보들을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이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외부 음성 신호를 인식하고, 이 인식 결과에 의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지령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따라 음성 인식용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경우, 실제로 대다수의 사람이 발음하는 발음 열이 실제 등록된 문자와 서로 다르게 발음되기 때문에, 예컨대 "곧이 듣다" 라는 문자를 등록한 경우 실제 발음에 있어서는 "고지듣따"로 발음되기 때문에 음성 인식기에서 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발음상의 차이로 인한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문자를 등록할 때 작업자가 "곧이 듣다" 라는 단어를 "고지듣따"로 발음을 추측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발음을 추측하여 입력하는 종래 방식의 경우 추측을 통한 수동 입력으로 인해 입력 작업에 많은 불편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입력 오류 발생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인식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 인식을 위한 등록을 목적으로 입력되는 문자를 발음 열로 자동 변환할 수 있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인식을 위한 등록의 대상이 되는 문자와 다른 문자 및 숫자를 발음 열로 자동 변환할 수 있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음성 인식용 문자 데이터의 등록을 위해 문자 데이터를 임의의 발음 열로 변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둥록하고자 하는 문자 데이터들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블록; 등록의 대상이 되는 문자와 다른 형태의 문자에 대한 발음 열 데이터, 숫자에 대한 발음 열 데이터가 저장된 문자 및 숫자 DB; 상기 문자 및 숫자 DB를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 데이터들 중 등록의 대상이 되는 문자와 다른 형태의 문자 및/또는 숫자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블록; 규칙 변화가 예외적인 단어들에 대한 발음 열 데이터가 저장된 예외 단어 DB; 상기 예외 단어 DB를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들 중 예외 단어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블록; 및 입력된 문자들을 미리 규정된 음운 변동 규칙에 따라 음성 인식용 발음 열로 변환시켜 음성 인식용 문자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제 3 변환 블록으로 이루어진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음성 인식용 문자 데이터의 등록을 위해 문자 데이터를 임의의 발음 열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 인식 등록용 문자 데이터가 입력될 때, 입력 문자 데이터들 중 등록의 대상이 되는 문자와 다른 형태의 문자 및/또는 숫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다른 형태의 문자 및/또는 숫자가 검출될 때, 준비된 문자 및 숫자 DB를 검색하는 매칭 공정을 수행하여 검출된 다른 형태의 문자 및/또는 숫자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과정; 입력된 문자 데이터들 중 규칙 예외 단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규칙 예외 단어가 검출될 때, 준비된 예외 단어 DB를 검색하는 매칭 공정을 수행하여 검출된 규칙 예외 단어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과정; 및 입력된 각 문자 데이터에 대해 미리 규정된 음운 변동 규칙을 적용하여 음성 인식용 발음 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음성 인식용 문자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입력 블록 104 : 제 1 변환 블록
106 : 다른 문자 및 숫자 DB 108 : 제 2 변환 블록
110 : 예외 단어 DB 112 : 제 3 변환 블록
114 : 문자 DB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음성 인식을 위해 등록하고자 하는 문자를 그대로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거나 혹은 발음열의 형태로 직접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전술한 종래 방법과는 달리, 음성 인식용으로의 등록을 위해 작업자가 입력한 문자를 발음 열로 자동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입력 블록(102), 제 1 변환 블록(104), 다른 문자 및 숫자 DB(106), 제 2 변환 블록(108), 예외 단어 DB(110), 제 3 변환 블록(112) 및 문자 DB(114)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블록(102)은, 예를 들면 문자(한글 문자, 영문자 등),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등의 문자 입력 수단인 것으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 숫자 등의 데이터는 제 1 변환 블록(104)으로 전달된다.
다음에, 제 1 변환 블록(104)에서는, 입력된 문자, 숫자 등의 데이터에 대해, 다른 문자 및 숫자 DB(106)를 참조하여 영문자, 숫자 등을 발음 열로 변환하여다음 단의 제 2 변환 블록(108)으로 전달한다.
즉, 영문자의 경우, "A"를 "에이"로, "B"를 "비"로, "C"를 "씨"로 변환하는 알파벳 처리와 영어 단어 사전 처리 방식으로 발음 열로 변환하며, 숫자는 기수 읽기와 서수 읽기로 나누어 기수 읽기는 일, 이, 삼, 사 ... 와 같은 발음 열로 변환하고, 서수 읽기는 하나, 둘, 셋, 넷 ... 과 같은 발음 열로 변환하는데, 일반적으로 채, 마리 등과 같은 의존명사 앞에서 서수로 읽는다. 또한, 큰 숫자의 경우 자리 분석을 하여 발음 열로 변환, 예를 들어 "1,345,600"은 "백삼십사만오천육백"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하여, 다른 문자 및 숫자 DB(106)에는 영문자의 알파벳 처리를 위한 발음 열, 영문자 단어 처리를 위한 발음 열, 기수 및 서수 처리를 위한 발음 열에 대한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나는 SK telecom에 다니며 봉급은 34500원이고 하루 8시간 넓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 문법을 잘 안다"라는 문자를 입력했다고 가정하면, 제 1 변환 블록(104)을 통해 변환 과정을 거치게 되면, 입력 문자는 "나는 에스케이 텔레콤에 다니며 봉급은 삼만사천오백원이고 하루 여덟시간 넓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 문법을 잘 안다"라는 문자로 변환된다.
여기에서, "SK"는 알파벳 읽기, "telecom"은 영어 단어 처리, "34500"은 기수 읽기, "8"은 서수 읽기 처리를 통해 변환된 것이다.
다음에, 제 2 변환 블록(108)에서는 영문자 및 숫자 등이 발음 열로 변환된 문자 데이터에 대해, 예외 단어 DB(110)를 참조하여 예외 단어를 발음 열로 변환한 후 다음 단의 제 3 변환 블록(112)으로 전달한다.
즉, 제 2 변환 블록(108)에서는 일반적인 규칙으로 변환되지 않는 단어 등을 예외 사전을 두어 변환 처리하는데, 이를 위하여 예외 단어 DB(110)에는 예외 단어 처리를 위한 발음 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ㅁ" 뒤의 "ㅂ"은 경음화가 안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문법"이라는 단어는 예외적으로 ""으로 경음화된다.
따라서, 제 1 변환 블록(104)을 통해 영문자 및 숫자가 발음 열로 변환 처리된 문자 "나는 에스케이 텔레콤에 다니며 봉급은 삼만사천오백원이고 하루 여덟시간 넓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 문법을 잘 안다"는 "나는 에스케이 텔레콤에 다니며 봉급은 삼만사천오백원이고 하루 여덟시간 넓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을 잘 안다"라는 문자로 변환된다.
한편, 제 3 변환 블록(112)은, 단어 혹은 어절에 대해 음운 변동 규칙을 적용하여 각 문자에 대한 음운 변동을 처리하는 것으로, 이러한 음운 변동 규칙으로는 끝소리 규칙, 겹받침 읽기, 받침 읽기, 구개음화, 비음화와 같은 자동음화, 경음화, 사이시옷 규칙 등이 있다.
따라서, 제 2 변환 블록(108)을 통해 예외 단어 변환 처리된 문자 "나는 에스케이 텔레콤에 다니며 봉급은 삼만사천오백원이고 하루 여덟시간 넓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을 잘 안다"는 "나는 에스케이 텔레코메 다니며 봉그븐 삼만사처노배궈니고 하루 여덜씨간 널븐 사무시레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마지 꼬치구거 문뻐블 잘 안다"라는 문자로 변환된다.
그런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음운 변동 규칙에 따라 변환 처리된 음성 인식용 문자들은 문자 DB(114)에 저장 등록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작업자가 음성 인식용 문자로의 등록을 위해 입력한 문자들을 영문자 및 숫자 읽기 변환, 예외 단어 처리 변환, 음운 변동 규칙에 따라 발음 열로 변환하여 문자 DB(114)에 등록하기 때문에, 까다롭고 불편한 작업자의 조작 없이도, 음성 신호 입력에 대한 인식율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음성 인식용 문자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음성 인식용 문자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음성 인식용 문자의 등록을 위해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면(단계 202), 도 1의 제 1 변환 블록(104)에서는 입력된 문자들 중 영문자 및/또는 숫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04).
상기 단계(204)에서의 체크 결과, 입력 문자들 중 영문자 및/또는 숫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변환 블록(104)에서는 다른 문자 및 숫자 DB(106)를 검색하는 매칭 공정을 수행하여 영문자, 숫자 등을 발음 열로 변환한다(단계 206, 208).
예를 들어, 입력 문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나는 SK telecom에 다니며 봉급은 34500원이고 하루 8시간 넓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 문법을 잘 안다"라고 할 때, "SK"가 "에스케이"로, "telecom"이 "텔레콤"으로, "34500"이 "삼만사천오백"으로, "8"이 "여덟"으로 각각 변환하게 될 것이다.
상기 단계(204)에서의 체크 결과, 입력 문자들 중 영문자 및/또는 숫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후술하는 단계(210)로 진행된다.
다음에, 제 2 변환 블록(108)에서는 입력 문자들 중 예외 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210),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예외 단어 DB(110)를 검색하는 매칭 공정을 수행하여 예외 문자를 발음 열로 변환한다(단계 212, 214).
예를 들어, 입력 문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나는 SK telecom에 다니며 봉급은 34500원이고 하루 8시간 넓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 문법을 잘 안다"라고 할 때, 예외 문자인 "문법"이 ""으로 변환될 것이다.
상기 단계(210)에서의 체크 결과, 입력 문자들 중 예외 문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처리는 후술하는 단계(216)로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제 3 변환 블록(112)에서는, 영문자 및/또는 숫자 변환, 예외 단어 변환 등의 처리를 완료한 문자들에 대해 음운 변동 규칙을 적용하여 발음 열로 변환하며(단계 216), 이와 같이 변환된 문자들이 문자 DB(114)에 등록됨으로서(단계 218), 입력 문자들에 대한 일련의 자동 변환 과정이 종료된다.
예를 들어, 영문자 및/또는 숫자 변화, 예외 단어 변환 처리된 문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나는 에스케이 텔레콤에 다니며 봉급은 삼만사천오백원이고 하루 여덟시간 넓은 사무실에서 근무하며 근처에 예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을 잘 안다"라고 가정할 때, "텔레콤에"가 "텔레코메"로, "봉급은"이 "봉그븐"으로, "삼만사천오백원이고"가 "삼만사처노배궈니고"으로, "여덟시간"이 "여덜씨간"으로, "넓은"이 "널븐"으로, "사무실에서"가 "사무시레서"로, "달맞이 꽃이 있고 국어을"가 "달마지 꼬치구거 문뻐블"으로 각각 변환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성 인식을 위한 등록의 대상이 되는 문자와 다른 문자로서 영문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문자, 독일 문자, 불어 문자, 중국어 문자, 스페인어 문자, 아랍어 문자, 러시아어 문자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매칭 변환에 필요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하나의 다른 문자가 아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른 문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인식을 위해 등록하고자 하는 문자를 그대로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거나 혹은 발음열의 형태로 직접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전술한 종래 방법과는 달리, 음성 인식용으로의 등록을 위해 작업자가 입력한 문자를 발음 열로 자동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 즉 영문자 및 숫자 읽기 변환, 예외 단어 처리 변환, 음운 변동 규칙에 따라 발음 열로 변환하여 문자 DB에 등록함으로써, 까다롭고 불편한 작업자의 조작 없이도, 음성 신호 입력에 대한 인식율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음성 인식용 문자 데이터의 등록을 위해 문자 데이터를 임의의 발음 열로 변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둥록하고자 하는 문자 데이터들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블록;
    등록의 대상이 되는 문자와 다른 형태의 문자에 대한 발음 열 데이터, 숫자에 대한 발음 열 데이터가 저장된 문자 및 숫자 DB;
    상기 문자 및 숫자 DB를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 데이터들 중 등록의 대상이 되는 문자와 다른 형태의 문자 및/또는 숫자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블록;
    규칙 변화가 예외적인 단어들에 대한 발음 열 데이터가 저장된 예외 단어 DB;
    상기 예외 단어 DB를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들 중 예외 단어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블록; 및
    입력된 문자들을 미리 규정된 음운 변동 규칙에 따라 음성 인식용 발음 열로 변환시켜 음성 인식용 문자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제 3 변환 블록으로 이루어진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태의 문자의 발음 열 변환은, 알파벳 읽기에 따른 변환과 단어 읽기에 따른 변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태의 문자는, 영문자, 일 문자, 독일 문자, 불어 문자, 중국어 문자, 스페인어 문자, 아랍어 문자, 러시아어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태의 문자는, 서로 다른 규칙 및 형태를 각각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의 발음 열 변환은, 서수 읽기에 따른 변환, 기수 읽기에 따른 변화 및 자리수 분석에 따른 읽기 변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6. 음성 인식용 문자 데이터의 등록을 위해 문자 데이터를 임의의 발음 열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 인식 등록용 문자 데이터가 입력될 때, 입력 문자 데이터들 중 등록의 대상이 되는 문자와 다른 형태의 문자 및/또는 숫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다른 형태의 문자 및/또는 숫자가 검출될 때, 준비된 문자 및 숫자 DB를 검색하는 매칭 공정을 수행하여 검출된 다른 형태의 문자 및/또는 숫자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과정;
    입력된 문자 데이터들 중 규칙 예외 단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규칙 예외 단어가 검출될 때, 준비된 예외 단어 DB를 검색하는 매칭 공정을 수행하여 검출된 규칙 예외 단어를 발음 열로 변환하는 과정; 및
    입력된 각 문자 데이터에 대해 미리 규정된 음운 변동 규칙을 적용하여 음성 인식용 발음 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태의 문자의 발음 열 변환 과정은, 알파벳 읽기에 따른 변환 과정과 단어 읽기에 따른 변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태의 문자는, 영문자, 일 문자, 독일 문자, 불어 문자, 중국어 문자, 스페인어 문자, 아랍어 문자, 러시아어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태의 문자는, 서로 다른 규칙 및 형태를 각각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의 발음 열 변환 과정은, 서수 읽기에 따른 변환 과정, 기수 읽기에 따른 변화 과정 및 자리수 분석에 따른 읽기 변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방법.
KR10-2000-0069626A 2000-11-22 2000-11-22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39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626A KR100391720B1 (ko) 2000-11-22 2000-11-22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626A KR100391720B1 (ko) 2000-11-22 2000-11-22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811A KR20020039811A (ko) 2002-05-30
KR100391720B1 true KR100391720B1 (ko) 2003-07-12

Family

ID=1970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626A KR100391720B1 (ko) 2000-11-22 2000-11-22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47B1 (ko) * 2001-12-26 2004-08-04 주식회사 케이티 공명음과 /ㅎ/음 인접부에서의 발음 모델링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440286B1 (ko) * 2012-09-20 2014-09-17 주식회사 씽크풀 음성인식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그 주문 방법
KR102298457B1 (ko) 2014-11-12 202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23640B1 (ko) 2018-08-29 2021-11-08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200056712A (ko) 2018-11-15 202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811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4738A (ko) 표음 입력 모호성 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100391720B1 (ko) 음성 인식용 문자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JP2009237386A (ja) 音声文字変換装置、音声文字変換方法及び音声文字変換プログラム
EP1187431B1 (en) Portable terminal with voice dialing minimizing memory usage
JPH08339376A (ja) 外国語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システム
JPS61184683A (ja) 認識結果選択方式
JP2008217770A (ja) 言語データ表示システム、言語データ表示方法、及び言語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JPH05282360A (ja) 多国語入力装置
JPH09288494A (ja)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方法
JPS62117060A (ja) 文字・音声入力変換方式
JPH0441399Y2 (ko)
JP3340124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H0441398Y2 (ko)
JPH05216887A (ja) 中国語の発音表記/漢字変換装置および方法
JP2024017326A (ja) 検索装置、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235567A (ja) 声調符号無入力式中国語文字変換装置
JPS6120176A (ja) ロ−マ字−中国語変換装置
JPH04232997A (ja) 音声認識装置における認識結果表示方式
JPS62174868A (ja) 中文入力装置
JPH06214593A (ja) 文書作成装置
JPS6286475A (ja) パターン認識装置
JPH0460754A (ja) 仮名漢字変換方法
JPS61246870A (ja) 日本語情報処理装置
JPH03222060A (ja) 日本語読解システム
JP2002358299A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