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690B1 -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690B1
KR100390690B1 KR10-2001-0002356A KR20010002356A KR100390690B1 KR 100390690 B1 KR100390690 B1 KR 100390690B1 KR 20010002356 A KR20010002356 A KR 20010002356A KR 100390690 B1 KR100390690 B1 KR 10039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power supply
power
supply circui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320A (ko
Inventor
오다오하라시게푸미
나이토아리마사
이노우에켄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88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17Boot up proced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6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count or rate limit, e.g. word- or bit count limi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불안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원 투입시의 문제 재발을 억제할 수 있는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원 스위치가 눌러지면 자기 진단 테스트(POST)가 시작되고, 이 테스트에 의해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 로드되어 가동 상태로 된다(단계 200∼208). 한편, 상기 에러가 발생한 경우는 해당 에러가 소정의 회수 이상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소정의 회수 이상 발생한 경우는 에러 표시가 행한 뒤에 본 처리가 종료되고, 소정의 회수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이력이 기억된 뒤에 하드웨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설정이 행하여지며, 그 후 컴퓨터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신호인 재기동 신호가 송출된 뒤에 본 처리가 종료된다(단계 210∼220).

Description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COMPUTER, POWER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투입시에 적어도 하드웨어의 자기 진단 테스트를 행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 처리로 이행하는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상기 전원 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PC)에서는 일반적으로 PC 내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의 동작 테스트(기록/판독 테스트)나 현재의 시스템 구성과 장치 구성 유틸리티에 의해서 설정된 구성이 일치하는지 여부의 체크 등 기본 조작을 검사하기 위한 일련의 자기 진단 테스트를 해당 PC의 기동시에 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자기 진단 테스트를 POST(Power On Self Test)라고 부른다.
한편, PC 등의 하드웨어는 만전을 기하여 설계하더라도 구성 부품의 불량율이 0(제로)은 아니기 때문에 전원 투입시에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의 일례로서 드물게 보이는 것은 전원 투입시에 LSI(Large Scale Integration)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등의 IC(집적 회로)가 정확하게 초기화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부품의 불량율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기온, 습도 등의 사용 환경 조건 등에 기인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전원 투입시의 문제는 전술한 POST에 의해서 감지되는 경우가 많은데, POST에 의해서 문제가 감지된 경우, 시스템은 그 감지된 문제점에 대응하는 에러 코드, 문제의 상황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뒤에 기동 동작을 정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불안하게 여기면서도 전원을 일단 끄고 재차 투입함으로써 장치의 재기동을 행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장치의 재기동 방법에서는 상기 재기동에 의해서 문제가 재차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불안해하면서 PC를 계속해서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전원 투입시의 문제에는 재기동에 의해서 상기 문제가 재차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PC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음 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당초의 전원 투입시에 발생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은 이유를 알 수 없어 계속해서 불안감을 갖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재기동 방법에는 당초의 전원 투입시에 사용 환경 조건 등의 조건과 거의 같은 조건하에서 재기동하기 때문에, 재차 동일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불안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원 투입시의 문제 재발을 억제할 수 있는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노트북형 PC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CMOS의 에러 이력 영역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전원 제어에 관련된 부분의 기능 블럭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일부 블럭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스위치가 온으로 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54 : 전원부
62 : AC 어댑터
64 : 배터리
66 : 전원 회로(전원 제어 장치)
76 : 게이트 어레이 로직
78 : I/O 포트
80 : 내장(embedded) 컨트롤러
82 : 팬
100 : 서브 조절기
102 : 파워 온 스위치 회로
104 : 파워 온 회로
106 : 파워 오프 회로
108 : 오토 파워 오프 회로
110 : 오토 파워 온 회로
112 : 메인 조절기
114 : 레벨 시프트 회로
116 : 에러 상태 유지 회로
118 : 전원 투입 회로(제어 수단)
DC2 : DC-DC 컨버터(전원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는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 처리에 앞서 행해지는 자기 진단 테스트의 결과가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이었던 경우, 컴퓨터에의 전원 공급이 정지된 뒤에 재차 전원이 투입된다. 이에 따라, 컴퓨터는 재기동되고, 상기 재기동에 의해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가 다시 발생하지 않은 경우, 컴퓨터는 통상대로 기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기 진단 테스트에 의해 검출된 문제의 발생을 알아차릴 수 없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불안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컴퓨터의 내부에는 각종 기능을 갖는 다수의 집적 회로 등의 부품이포함되어 있고, 이들 부품에는 전원 투입시에 리셋 신호에 의해 정상적으로 리셋(초기화)된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런데,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나 부품 주변의 온도의 과상승 등에 기인하여 부품이 정상적으로 리셋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품에 리셋 신호를 재차 입력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리셋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에는 컴퓨터에 포함되는 부품이 정확하게 초기화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테스트 결과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부품의 초기화에 관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컴퓨터의 재기동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없이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컴퓨터를 재기동한 경우에는 당초 전원 투입시의 사용 환경 조건 등의 조건과 거의 같은 조건하에서 재기동하게 되기 때문에, 재차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전원 투입시에 발생하는 문제는 하드웨어의 동작이 불안정한 것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를 판독한 경우에 컴퓨터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안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재차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하드웨어의 동작을 당초의 전원 투입시와 비교하여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어 전원 투입시의 문제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의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컴퓨터의 전원 회로를 노이즈의 레벨이 낮아지는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설정, 상기 컴퓨터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설정 및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한 기능을 비실행으로 하는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컴퓨터의 전원 회로로서 스위칭형 전원 회로를 적용하고 있는 경우는 전원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부하 전류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펄스 신호)를 이용하는 PWM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폭 변조) 방식과, 부하 전류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고정 주파수를 기초로 펄스폭(듀티)을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PWM 방식의 2개 방식 중 한 쪽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은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교하여 변환 효율은 높지만, 노이즈의 레벨이 높아지기 때문에, 동작의 안정성 면에서는 뒤떨어진다고 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전원 회로에 대하여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을 적용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컴퓨터 전원 회로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 PC에는 내부 온도의 과상승이나 CPU 온도의 과상승을 방지하기위한 팬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팬을 강제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설정을 상기 컴퓨터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설정의 일례로서 들 수 있다.
게다가, PC, 특히 노트북형 PC, 서브 노트북형 PC, 팜 탑형 PC, PD A(personal data assistants ; 개인용 휴대형 정보 통신 기기) 등의 휴대형 PC에는 소비 전력을 최소로 억제하도록 전원 사용 상태를 관리하는 등의 전원 관리 기능이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전원 관리 기능에서는 CPU의 구동 상태를 50% 정도로 하거나, 주변 장치의 전원을 오프로 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상태 하에서 하드웨어는 동작이 불안정해 진다. 즉, 예컨대, CPU가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CPU의 구동 상태를 50% 정도에 저하시킨 경우에는, 일부의 데이터가 누락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원 관리 기능을 비실행 함으로써 하드웨어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에서는 컴퓨터로 전원 공급을 정지한 뒤에 재차 전원을 투입하더라도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컴퓨터의 재기동이 연속하여 행해져 컴퓨터를 기동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에서는 상기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를 미리 정한 소정 회수 판독한 경우, 상기 컴퓨터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 뒤에 재차 전원 투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의 재기동이 연속하여 행해져 컴퓨터를 기동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에 동일 문제가 소정 회수 발생하고 있다는 표시를 하거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경보음을 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재기동에 의해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해서 전원 장치가 제어되고, 해당 전원 장치에 의한 전력에 의해 컴퓨터 부하가 동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에 의하면, 자기 진단 테스트의 결과가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인 경우에 컴퓨터로 전원 공급이 정지된 뒤에 재차 전원 투입되어 컴퓨터가 재기동되기 때문에, 상기 재기동에 의해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가 다시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컴퓨터는 통상대로 기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기 진단 테스트에 의해서 검출된 문제의 발생을 알아차리는 일이 없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데 알맞은 전형적인 퍼스널 컴퓨터(PC)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시스템(10)의 하드웨어 구성이 서브 시스템마다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PC의 일례는 OADG (PC Open Architecture Developer's Group)사양에 준거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OS)으로서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즈 98 또는 NT”또는 미국 IBM사의 “OS/2”를 탑재한 노트북형 PC12(도 2 참조)이다. 이하, 컴퓨터 시스템(10)의 각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컴퓨터 시스템(10) 전체의 두뇌인 CPU(14)는 OS의 제어 하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14)는 예컨대 미국 인텔사 제조의 CPU 칩“Pentium”, “MMX 테크놀로지 Pentium”,“Pentium Pro”또는 AMD사 등 타사 제조의 CPU라도 좋으며, IBM사 제조의 “Power PC”라도 좋다. CPU(14)는 빈번히 액세스하는 극히 한정된 코드나 데이터를 동시에 스토어 함으로써, 메인 메모리(16)의 총 액세스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고속 동작 메모리인 L2(레벨 2)-캐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L2-캐시는 일반적으로 SRAM(스태틱 RAM) 칩으로 구성되고, 그 기억 용량은 예컨대 512kB 또는 그 이상이다.
CPU(14)는 자신의 외부 핀에 직결된 프로세서 직결 버스로서의 FS(Front Side)버스(18), 고속 I/O 장치용 버스로서의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20) 및 저속 I/O 장치용 버스로서의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22)라고 하는 3계층의 버스를 통해 후술하는 각 하드웨어 구성 요소와 상호 접속되어 있다.
FSB(18)와 PCI 버스(20)는 일반적으로 메모리/PCI 제어 칩이라고 불리는 CPU 브리지(호스트-PCI 브리지)(24)에 의해서 연락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CPU 브리지(24)는 메인 메모리(16)에의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컨트롤러 기능 또는 FSB(18)와 PCI 버스(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한 데이터 버퍼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예컨대 인텔사 제조의 440BX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16)는 CPU(14)의 실행 프로그램의 판독 영역으로서 또는 실행 프로그램의 처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기록 가능 메모리이다. 메인 메모리(16)는 일반적으로는 여러 개의 DRAM(다이나믹 RAM) 칩으로 구성되고, 예컨대 32MB를 표준 장비로 하여 256MB까지 증설 가능하다. 최근에는 더욱더 고속화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DRAM은 고속 페이지 DRAM, EDO DRAM, 싱크로너스 DRAM(SDRAM), 버스트 EDO DRAM, RDRAM 등으로 변천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실행 프로그램에는 윈도즈 98 등의 OS, 주변 기기류를 하드웨어 조작하기 위한 각종 디바이스 드라이버, 특정 업무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플래시 ROM72에 스코어된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 키보드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등 각 하드웨어의 입출력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펌웨어가 포함된다.
PCI 버스(20)는 비교적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타입의 버스(예컨대 버스폭 32/64 비트, 최대 동작 주파수 33/66/100 MHz,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 132/264 MBps)이며, 카드 버스 컨트롤러(30)와 같은 비교적 고속으로 구동하는 PCI 디바이스류가 이것에 접속된다. 그리고, PCI 아키텍처는 미국 인텔사의 제안에 의해서 발단된 것으로, 소위 PnP(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비디오 서브 시스템(26)은 비디오에 관련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서브 시스템이며, CPU(14)로부터의 묘화(描畵) 명령을 실제로 처리하고, 처리한 묘화 정보를 비디오 메모리(VRAM)에 일단 기록하는 동시에, VRAM으로부터 묘화 정보를 판독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CD)(28)(도 2참조)에 묘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IC로서 구성된 비디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컨트롤러는 부설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의해서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신호선을 통해 CRT 포트(도시 생략)로 출력된다.
또한, PCI 버스(20)에는 카드 버스 컨트롤러(30), 오디오 서브 시스템(32), 도킹 스테이션 인터페이스(Dock I/F)(34) 및 미니 PCI 슬롯(36)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카드 버스 컨트롤러(30)는 PCI 버스(20)의 버스 시그널을 PCI 카드 버스 슬롯(38)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카드 버스)에 직결시키기 위한 전용 컨트롤러이다. 카드 버스 슬롯(38)에는 예컨대 PC(12) 본체의 벽면에 배치되고, PCMCIA (Personal Computer Memory Association)/JEIDA (Japan Electronic Industry Development Association)가 책정한 사양(예컨대“PC Card Standard 95”)에 준거한 PC 카드(40)가 장착된다.
Dock I/F(34)는 PC(12)와 도킹 스테이션(도시 생략)을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며, PC(12)가 도킹 스테이션에 셋트되면,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 버스가 Dock I/F(34)에 접속되고,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 버스에 접속된 각종 하드웨어 구성 요소가 Dock I/F(34)를 통해 PCI 버스(20)에 접속된다. 또한, 미니 PCI 슬롯(36)에는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10)을 네트워크(예컨대 LAN)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42)가 접속된다.
PCI 버스(20)와 ISA 버스(22)는 I/O 브리지(44)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I/O 브리지(44)는 PCI 버스(20)와 ISA 버스(22)의 브리지 기능, DMA 컨트롤러기능, 프로그래머블 인터럽트 컨트롤러(PIC) 기능 및 프로그래머블 인터벌 타이머(PIT) 기능,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인터페이스 기능, USB(Universal Serial Bus) 기능, SMB(System Management Bus)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리얼 타임 클록(RTC)을 내장하고 있어, 예컨대 인털사 제조의 PIIX4라는 디바이스(코어 칩)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DMA 컨트롤러 기능은 주변 기기(예컨대 FDD)와 메인 메모리(16)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CPU(14)의 개재없이 실행하기 위한 기능이다. 또한 PIC 기능은 주변 기기로부터의 인터럽트 요구(IRQ)에 응답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인터럽트 핸들러)을 실행시키는 기능이다. 또한, PIT 기능은 타이머 신호를 소정 주기로 발생시키는 기능이며, 그 발생 주기는 프로그래머블하다.
또한, IDE 인터페이스 기능에 의해서 실현되는 IDE 인터페이스에는 ID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46)가 접속되는 것 외에, IDE CD-ROM 드라이브(48)가 ATAPI(AT Attachment Packet Interface)접속된다. 또한, IDE CD-ROM 드라이브(48) 대신에 DVD(Digital Video Disc 또는 Digital Versatile Disc) 드라이브와 같은 다른 타입의 IDE 장치가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다. HDD(46)나 CD-ROM 드라이브(48) 등의 외부 기억 장치는 예컨대 PC(12) 본체 내의「미디어 베이」또는「디바이스 베이」라고 불리는 수납 장소에 스토어된다. 이들 표준 장비된 외부 기억 장치는 FDD나 배터리 팩과 같은 다른 기기류와 교환 가능하고 또한 배타적으로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I/O 브리지(44)에는 USB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이 USB 포트는 예컨대 PC(12) 본체의 벽면 등에 설치된 USB 커넥터(50)와 접속되어 있다. USB는 전원이 투입된 채로 새로운 주변 기기(USB 디바이스)를 빼고 꽂기하는 기능(핫 플러깅 기능)이나 새롭게 접속된 주변 기기를 자동 인식하여 시스템 기기 구성을 재설정하는 기능(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하나의 USB 포트에 대하여, 최대 63개의 USB 디바이스를 데이지 체인 접속할 수 있다. USB 디바이스의 예는 키보드, 마우스, 죠이 스틱, 스캐너, 프린터, 모뎀, 디스플레이 모니터, 타블렛 등 여러 가지이다.
그리고, I/O 브리지(44)에는 SM 버스를 통해 EEPROM(94)가 접속되어 있다.EEPROM(94)은 사용자에 의해서 등록된 패스워드나 슈퍼바이저 패스워드, 제품 시리얼 번호 등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메모리이며, 불휘발성으로 기억 내용을 전기적으로 개서(改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I/O 브리지(44)는 전원부(54)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54)에는 AC 어댑터(62), 배터리(64)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시에, 컴퓨터 시스템(10)으로 사용되는 5V, 3.3V, 12V 등의 직류 정전압을 생성하고, 또한 컴퓨터 시스템(10)의 각부에의 직류 전압의 공급/공급 정지의 전환을 행하는 전원 회로(66)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I/O 브리지(44)를 구성하는 코어 칩의 내부에는 컴퓨터 시스템(10)의 전원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내부 레지스터와, 상기 내부 레지스터의 조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의 전원 상태의 관리를 행하는 로직(스테이트 머신)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직은 전원부(54)사이에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고, 이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전원부(54)로부터 컴퓨터 시스템(10)의 실제 전력 공급 상태를 인식하고, 전원부(54)는 상기 로직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10)에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ISA 버스(22)는 PCI 버스(20)보다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은 버스이며(예컨대, 버스폭 16비트,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 4MBps), 슈퍼 I/O 컨트롤러(70), EEPROM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래시 ROM(72), CMOS(74), 게이트 어레이 로직(76)에 접속되는 동시에, CPU(14)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설치된 팬(82)에 접속된내장 컨트롤러(80)에 더하여, 키보드/마우스 컨트롤러와 같은 비교적 저속으로 동작하는 주변 기기류(모두 도시 생략)를 접속하는데 이용된다.
슈퍼 I/O 컨트롤러(70)에는 I/O 포트(78)가 접속되어 있다. 수퍼 I/O 컨트롤러(70)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의 구동, 병렬 포트를 통한 병렬 데이터의 입출력(PIO), 직렬 포트를 통한 직렬 데이터의 입출력(SIO)을 제어한다.
플래시 ROM(72)은 BIOS 등의 프로그램을 유지하기 위한 메모리이며, 불휘발성으로 기억 내용을 전기적으로 개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CMOS(74)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가 백업 전원에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불휘발성으로 고속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 CMOS(74)의 기억 영역 중의 일부는 컴퓨터 시스템(10)의 전원 투입시에 검출된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 정보가 기억되는 영역(이하,「에러 이력 영역」 이라 칭한다)으로서 사용된다.
도 3에는 CMOS(74)의 에러 이력 영역 EA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에러 이력 영역 EA는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로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에러(예컨대, 비디오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레지스터의 판독/기록 에러, 게이트 어레이 로직(76)에 포함되는 레지스터의 판독/기록 에러 등) 각각마다「식별 정보」, 「상태 정보」,「빈도 정보」의 3가지 정보가 하나의 블록으로서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식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에러 각각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수치 정보이며, 에러 이력 영역 EA의 각 블록 선두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상태 정보」는 검출된 에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며,「빈도 정보」는 검출된 에러의 연속 발생 빈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상태 정보」,「빈도 정보」모두 검출된 에러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의 블록에 기억된다.
내장 컨트롤러(80)는 도시 생략된 키보드의 컨트롤을 행하는 동시에, 게이트 어레이 로직(76)과 협동하여 파워 매니지먼트 및 서멀 매니지먼트를 행한다. 팬(82)은 내장 컨트롤러(80)의 열 관리 기능에 의해, CPU(14)의 근방에 설치된 서미스터(도시 안됨)에 의해 감지된 CPU(14) 근처의 온도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회전 구동되어 CPU(14)를 냉각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팬(82)은 내장 컨트롤러(80)를 통한 CPU(14)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구동 정지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0)의 전원 회로(66)의 전원 제어에 관련된 부분의 기능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66)의 전원 제어에 관련된 부분에는 전원 투입시에 있어서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 해당 에러의 상태를 유지하는 에러 상태 유지 회로(116)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에러 상태 유지 회로(116)에 기초하여 에러 상태가 통지되는 전원 투입 회로(1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원 제어에 관련된 부분에서는 전원 스위치(SW1)가 눌러지면, 전원 투입 회로(118)가 작동하여, DC-DC 컨버터(DC2)를 시동한다. 여기서, DC-DC 컨버터 (DC2)는 AC 어댑터(62) 또는 배터리(64)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압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10)의 내부 회로용인 +5V, +3.3V, +12V 등의 직류 전압을 생성한다.
DC-DC 컨버터(DC2)가 시동하여 내부 회로에 전원 전력이 공급되면, POST가실행되어 컴퓨터 시스템(10) 내부의 초기화나 각종 설정을 한 뒤에 하드웨어의 자기 진단을 행한다. 이 진단 결과, 문제가 없으면 OS를 로드하지만, 문제를 검지한 경우는 에러 상태 유지 회로(116)를 에러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에러 상태 유지 회로(116)는 D형 플립 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D형 플립 플롭의 Q 출력 단자를 로우 레벨로 유지함으로써 에러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에러 상태 유지 회로(116)가 에러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전원 투입 회로(118)는 일단 DC-DC 컨버터(DC2)의 출력을 오프하고(전원 스위치(SW1)를 눌러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와 동등), 소정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수초) 뒤에 DC-DC 컨버터(DC2)의 출력을 온한다(전원 스위치(SW1)를 눌러 전원을 온하는 경우와 동등). 또한, 이 때, 전원 투입 회로(118)는 에러 상태 유지 회로(116)의 유지 상태를 클리어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하드웨어에 문제가 있을 때에 자동적으로 컴퓨터 시스템(10)을 재기동할 수 있다. 전원 투입 회로(118)가 본 발명의 제어 수단에, DC-DC 컨버터(DC2)가 본 발명의 전원 장치에 각각 해당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66)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회로(66)는 서브 조절기(100), 파워 온 스위치 회로(102), 파워 온 회로(104), 파워 오프 회로(106), 오토 파워 오프 회로(108), 오토 파워 온 회로(110), 메인 조절기(112), 레벨 시프트 회로(114) 및 에러 상태 유지 회로(1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서브 조절기(100)에는 다이오드(D1) 및 다이오드(D2)를 각각 통해 AC 어댑터(62) 및 배터리(64)가 접속되는 DC-DC 컨버터(DC1)가 구비되어 있다. DC-DC 컨버터(DC1)는 AC 어댑터(62) 또는 배터리(64)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5V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C-DC 컨버터(DC1)는 항상 작동 상태로 되어 있으며, 서브 조절기(100)로부터는 +5V의 직류 전압이 전원 회로(66)의 각부나 그 밖의 필요 개소에 항상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다이오드(D1, D2)는 AC 어댑터(62)와 배터리(64)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파워 온 스위치 회로(102)에는 전원 스위치(SW1)가 구비되어 있고, 전원 스위치(SW1)의 한 쪽 단자는 저항을 통해 DC-DC 컨버터(DC1)의 출력 단자에, 다른 쪽 단자는 접지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SW1)는 사용자가 누르고 있는 동안만 메이크(온 상태)하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브레이크(오프 상태)한다. 소위 모멘터리 타입의 스위치이다.
또한, 파워 온 회로(104)에는 파워 온 스위치 회로(102)에 구비된 저항DC-DC 컨버터(DC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측의 단자에 이미터가 접속되고, 또한 전원 스위치(SW1)의 한 쪽 단자에 다이오드, 콘덴서(C1) 및 저항(R2)을 통해 베이스가 접속된 트랜지스터(TR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 베이스 사이는 저항(R1)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는 다이오드를 통해 3입력 AND 게이트(AND)의 1번 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파워 오프 회로(106)에는 입력 단자(IN)가 다이오드를 통해 전원 스위치(SW1)의 한 쪽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출력 단자(OUT)가 AND 게이트(AND)의 2번핀에 접속된 컨트롤러(CTL)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CTL)의 출력 단자(OUT)는 저항을 통해 DC-DC 컨버터(DC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항상 하이 레벨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CTL)에는 자신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데, 이것은 컴퓨터 시스템(10)이 구동하고 있을 때 만 인가되는 것이며, 컨트롤러(CTL)가 컴퓨터 시스템(10)의 구동 중에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CTL)는 컴퓨터 시스템(10)이 구동하고 있을 때, 출력 단자(OUT)를 하이 레벨로 하는 동시에, 전원 스위치(SW1)의 누름 상태를 항상 검지하고 있어, 전원 스위치(SW1)가 눌러졌을 때는 컴퓨터 시스템(10)을 종료해도 좋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해도 좋은 상태인 경우에 출력 단자(OUT)를 로우 레벨로 한다.
또한, 오토 파워 오프 회로(108)는 2개의 트랜지스터(TR2, TR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는 저항(R4), 콘덴서(C2) 및 다이오드를 통해 후술하는 D형 플립 플롭(FF)의 Q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이미터는 DC-DC 컨버터(DC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항상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동시에, 저항(R3)을 통해 자신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컬렉터는 저항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TR3)의 이미터는 접지되는 동시에 저항을 통해 자신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으며, 컬렉터는 저항을 통해 DC-DC 컨버터(DC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항상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동시에 AND 게이트(AND)의 3번 핀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오토 파워 온 회로(110)는 인버터(INV), 저항(R5) 및 전해 콘덴서(C6)에 의해 구성된 적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INV)의 입력 단자는 D형 플립 플롭(FF)의 Q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인버터(INV)의 출력 단자는 저항(R5)의 한 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항(R5)의 다른 쪽 단자는 다른 쪽 단자가 접지된 전해 콘덴서(C6)의 한 쪽 단자에 접속되는 동시에 다이오드를 통해 AND 게이트(AND)의 1번 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인 조절기(112)는 DC-DC 컨버터(DC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C-DC 컨버터(DC2)는 AC 어댑터(62) 또는 배터리(64)로부터 직류 전압이 공급되 도록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공급을 위한 배선은 도시를 생략), 입력 단자(IN)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 +5V, +3.3V, +12V 등 컴퓨터 시스템(10)의 각부에서 필요한 직류 전압을 출력 단자(OUT)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벨 시프트 회로(114)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소정 레벨 범위의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5V의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트랜지스터 중 한 쪽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저항을 통해 DC-DC 컨버터(DC2)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미터는 접지되는 동시에 저항을 통해 자신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고, 컬렉터는 저항을 통해 다른 쪽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DC-DC 컨버터(DC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항상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동시에 저항을 통해 자신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고, 컬렉터는 다이오드를 통해 AND 게이트(AND)의 1번 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에러 상태 유지 회로(116)는 D형 플립 플롭(FF)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있다. D형 플립 플롭(FF)의 D 입력 단자는 I/O 포트(78)의 비트 0에 접속되어 있고, 클록(CK) 입력 단자는 저항을 통해 접지되는 동시에 I/O 포트(78)의 비트 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D형 플립 플롭(FF)의 프리셋(PR) 입력 단자 및 클리어(CLR) 입력 단자는 저항을 통해, 전원 공급 단자(VCC)는 직접 DC-DC 컨버터(DC1)의 출력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항상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D형 플립 플롭(FF)의 Q 출력 단자는 I/O 포트(78)의 비트 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I/O 포트(78)의 비트 0 및 비트 1은 모두 출력 포트로서 기능하며, 비트 2는 입력 포트로서 기능한다.
D형 플립 플롭(FF)에서는 I/O 포트(78)의 비트 1을 통해 CK 입력 단자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변화됨으로써, I/O 포트(78)의 비트 0을 통해 D 입력 단자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가 Q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D형 플립 플롭(FF)의 Q 출력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I/O 포트(78)의 비트 2를 통해 판독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I/O 포트(78)의 비트 1은 로우 레벨로 되는데,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D형 플립 플롭(FF)의 Q 출력 단자의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 오프시에라도 D형 플립 플롭 (FF)의 내용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66)의 DC-DC 컨버터(DC1) 및 DC-DC 컨버터 (DC2)는 스위칭형 전원 회로(소위, 초퍼형 조절기)를 적용하고 있으며, 상기 스위칭형 전원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부하 전류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펄스 신호)를 이용하는 PWM 방식과, 부하 전류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고정 주파수를 기초로 펄스폭(듀티)을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PWM 방식의 2개 방식 중 한 쪽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은 상기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교하여 변환 효율은 높지만, 동작의 안정성 면에서는 뒤떨어진다고 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 동작시에는 상기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워 온 스위치 회로(102), 파워 온 회로(104), 오토 파워 오프 회로(108) 및 오토 파워 온 회로(110)가 도 4의 전원 투입 회로(118)에 해당한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1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것 이외에도 많은 전기 회로가 필요하다. 단, 이들은 당업자에는 주지의 사항이며,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명세서 중에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도면 중의 각 하드웨어 블록 사이의 접속도 일부밖에 도시하지 않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으로서, 컴퓨터 시스템(10)의 전원 스위치(SW1)가 온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동작에 관해서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SW1)가 온되면, 플래시 ROM(72)의 기록 영역 중 BIOS의 일부 인 POST의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영역이 액세스되어 POST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단계 200). 이에 따라, 메인 메모리(16)의 초기화(기억 내용의 클리어)가 행하여지고, 계속해서 컴퓨터 시스템(10)의 하드웨어 환경의 초기화(구체적으로는 외부 하드웨어 인터럽트 벡터의 초기화, 외부 하드웨어의 초기화,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벡터의 초기화 등)가 행하여진 뒤에 컴퓨터 시스템(10)의 각 하드웨어가 테스트된다. 여기서, 상기 하드웨어의 테스트 결과는 CMOS(74)의 소정 영역에 기억된다.
다음 단계 202에서는 CMOS(74)의 상기 소정 영역에서 POST에 의한 하드웨어의 테스트 결과가 판독되고, 다음 단계 204에서는 판독된 테스트 결과에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의 발생을 보이는 것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없는 경우(부정 판정의 경우)는 단계 206으로 이행하여 POST의 프로그램이 종료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종료하지 않은 경우(부정 판정의 경우)는 상기 단계 202로 되돌아가서 종료한 시점(긍정 판정으로 된 시점)에서 단계 208로 이행한다.
단계 208에서는 OS가 메인 메모리(16)로 로드되어 실행된다.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10) 상에서 OS가 가동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OS가 HDD(46)에 미리 기억되어 있으며, 단계 208에서는 HDD(46)로부터 OS가 로드된다.
한편, 상기 단계 204의 판정에 있어서,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의 발생을 보이는 것이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긍정 판정의 경우)에는 단계 210으로 이행하여, CMOS(74)의 에러 이력 영역 EA의 기억 내용을 판독함으로써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의 이력이 참조되고, 다음 단계 212에서는 상기 단계 204에서 검출된 에러의 연속 발생 빈도가 미리 정해진 소정 회수(본 실시예에서는 한 번) 이상인지 여부가에러 이력 영역 EA에 포함되는 빈도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되고, 소정 회수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긍정 판정의 경우)는 단계 214로 이행하여, 소정 회수 이상의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가 LCD(28)에 표시된 뒤에 본 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소정 회수는 미리 정해진 것으로 하고 있지만, 외부에서 키보드 등을 통해 설정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 212에서 상기 단계 204에서 검출된 에러의 연속 발생 빈도가 상기 소정 회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부정 판정의 경우)에는 단계 216으로 이행하여, 상기 단계 204에서 검출된 에러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의 블록 상태 정보로서 에러의 상태가 기억되는 동시에, 빈도 정보로서 발생 빈도(본 실시예에서는 ‘1’)가 기억된다.
다음 단계 218에서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설정이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전원 회로(66)에서의 DC-DC 컨버터(DC1) 및 DC-DC 컨버터(DC2)의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설정으로서, DC-DC 컨버터(DC1) 및 DC-DC 컨버터(DC2)의 스위칭 신호로서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PWM 방식이 적용되 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와 함께 팬(82)이 회전 구동되고, 또한 파워 매니지먼트 기능이 비실행으로 되도록 내장 컨트롤러(80)가 설정된다.
다음 단계 220에서는 전원 회로(66)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일단 정지되고, 소정시간 뒤에 재차 전원 투입이 행하여져서 컴퓨터 시스템(10)을 재기동시키기 위한 신호(이하,「재기동 신호」라고 칭한다)(RS)가 D형 플립 플롭(FF)의 Q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되고, 그 후에 본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통상 동작시에는 재기동 신호(RS)를 하이 레벨로 해 두고, 단계 220에 의해서 컴퓨터 시스템(10)을 재기동시킬 때 재기동 신호(RS)가 로우 레벨로 되도록 제어된다. 이 컴퓨터 시스템(10)을 재기동시킬 때의 제어는 I/O 포트(78)의 비트 0을 로우 레벨로 한 뒤에, 비트 1을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변화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02의 처리가 본 발명의 판독 수단에 해당한다.
다음에, 전원 회로(66)의 동작에 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전원 스위치(SW1)의 누름에 의한 통상 기동시의 동작, 즉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에 있어서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전원 스위치(SW1)가 눌러지면(전원 스위치(SW1)가 메이크되면), 파워 온 스위치 회로(102)의 +5V 직류 전압이 항상 인가되어 있는 신호선이 접지에 접속되고, 파워 온 회로(104)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가 접지 레벨로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1)가 온된다. 그러면, AND 게이트 (AND)의 1번 핀에는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AND 게이트(AND)의 1번 핀은 하이 레벨로 된다.
한편, 이 시점에서 컨트롤러(CTL)의 출력 단자(OUT)는 하이 레벨로 되고, 따라서 AND 게이트(AND)의 2번 핀은 하이 레벨로 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재기동 신호(RS)는 하이 레벨로 되고, 오토 파워 오프 회로(108)의 트랜지스터 (TR2, TR3)는 모두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AND 게이트(AND)의 3번 핀도 하이 레벨로 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AND)의 3개의 입력 핀은 전부 하이 레벨로 되기 때문에, AND 게이트(AND)의 출력 단자는 하이 레벨로 되고, DC-DC 컨버터(DC2)의 입력 단자(IN)도 하이 레벨로 되어, DC-DC 컨버터(DC2)로부터는 소정 전압(+5V, +3.3V, +12V 등)의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여기서, 전원 스위치(SW1)는 모멘터리 타입의 스위치이기 때문에 파워 온 스위치 회로(102) 및 파워 온 회로(104)의 작용에 의한 AND 게이트(AND)의 1번 핀이 하이 레벨인 기간은 일순간(파워 온 회로(104)의 콘덴서(C1)의 용량치 및 저항(R2)의 저항치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의한 기간)이지만, 이 기간 동안에 DC-DC 컨버터(DC2)로부터 직류 전압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레벨 시프트 회로(114)의 2개 트랜지스터가 양쪽 모두 온으로 되고, 레벨 시프트 회로(114)로부터 AND 게이트(AND)의 1번 핀에 대하여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어 AND 게이트(AND)의 1번 핀은 하이 레벨이 유지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AND)의 3개 입력 핀은 하이 레벨인 채로 유지되기 때문에, DC-DC 컨버터 (DC2)는 계속해서 구동한다.
다음에, 전원 스위치(SW1)의 누름에 의한 통상의 전원 오프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시점에서는 파워 오프 회로(106)인 컨트롤러(CTL)의 전원 공급 단자에는 +5V의 전원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컨트롤러(CTL)는 구동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서 전원 스위치(SW1)가 눌러지면, 컨트롤러(CTL)는 전원 스위치(SW1)의 누름을 검지하여, 컴퓨터 시스템(10)을 종료해도 좋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해도 좋은 상태인 경우에 출력 단자(OUT)를 로우 레벨로 한다. 이 때 종료해도 좋은지 여부의 판단은 예컨대 HDD(46)에 한창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중에 갑자기 전원을 오프하여 버리면, 기록 중의 데이터를 잃어버리거나, HDD(46)의 기록 매체를 파괴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 행하는 것이다.
컨트롤러(CTL)의 출력 단자(OUT)가 로우 레벨이 되면, AND 게이트(AND)의 2번 핀이 로우 레벨로 되기 때문에, AND 게이트(AND)의 출력 단자는 로우 레벨로 되어 DC-DC 컨버터(DC2)의 입력 단자(IN)가 로우 레벨로 되고, DC-DC 컨버터(DC2)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에 있어서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D형 플립 플롭(FF)의 Q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재기동 신호(RS)가 로우 레벨로 된다. 그리고, D형 플립 플롭(FF)은 전원이 오프로 되더라도 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원으로서 항상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기동 신호(RS)가 로우 레벨로 되면, 오토 파워 오프 회로(108)의 트랜지스터(TR2, TR3)가 모두 온으로 되고, 트랜지스터(TR3)의 컬렉터에 항상 인가되어 있는 +5V의 직류 전압이 그라운드로 떨어지기 때문에, AND 게이트 (AND)의 3번 핀이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AND)의 출력 단자가 로우 레벨로 되고 DC-DC 컨버터(DC2)의 입력 단자(IN)가 로우 레벨로 되기 때문에, DC-DC 컨버터(DC2)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다.
그리고, 오토 파워 오프 회로(108)의 콘덴서(C2)의 용량치 및 저항(R4)의 저항치에 의해서 결정되는 시정수에 의한 기간 뒤에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로 되고,이에 의해 트랜지스터(TR3)가 오프로 되기 때문에, AND 게이트(AND)의 3번 핀은 자동적으로 하이 레벨로 된다. 한편, D형 플립 플롭(FF)으로부터의 재기동 신호(RS)가 로우 레벨로 되면 상기 신호는 오토 파워 온 회로(110)의 인버터(INV)를 통함으로써 하이 레벨로 되고, 저항(R5)의 저항치 및 전해 콘덴서(C6)의 용량치에 의해서 결정되는 시정수에 의한 기간 뒤에 AND 게이트(AND)의 1번 핀이 하이 레벨로 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AND)의 출력 단자는 하이 레벨로 되고, 메인 조절기(112)의 DC-DC 컨버터(DC2)의 입력 단자(IN)도 하이 레벨로 되기 때문에, DC-DC 컨버터(DC2)로부터는 상기 소정 전압의 전력 출력이 자동적으로 재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에서는 POST에 의해서 검출된 에러가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이었던 경우에, 컴퓨터 부하에의 전원 공급이 정지된 뒤에 재차 전원이 투입되어 컴퓨터가 재기동되기 때문에, 상기 재기동에 의해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가 다시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컴퓨터는 통상대로 기동되므로 사용자는 POST에 의해서 검출된 문제의 발생을 알아차릴 수 없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에서는 POST에 의해서 검출된 에러가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이었던 경우에, 컴퓨터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설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재차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의 하드웨어의 동작을 당초의 전원 투입시에 비교하여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어 전원 투입시의 문제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에서는 IC의 초기화에 관한 에러가 소정 회수(본 실시예에서는 2회) 이상 발생한 경우에, 컴퓨터의 재기동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의 재기동이 연속하여 행해져 컴퓨터를 기동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에서는 LCD(28)에 동일한 에러가 연속하여 발생하고 있다는 표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재기동으로는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러 이력으로서 식별 정보, 상태 정보 및 빈도 정보를 기억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식별 정보 및 빈도 정보만을 기억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본 실시예와 비교하여 에러 이력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를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가 도 5에 도시한 오토 파워 오프 회로(108) 및 오토 파워 온 회로(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D형 플립 플롭( FF)에서 로우 레벨의 재기동 신호(RS)가 출력된 경우에, AND 게이트(AND)의 어느 입력 핀을 로우 레벨로 하고, 타이머로 소정 시간의 경과를 계시(計時)한 뒤에 상기 입력 핀을 하이 레벨로 하는 회로를 전원 제어 장치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에러 이력을 CMOS(74)에 기억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에러 이력은 전원을 오프하더라도 기억 내용을 유지해 둘 수 있는 기억 수단, 예컨대, EEPROM(94)에 기억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회로(66)를 개별 부품에 의해서 구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파워 온 회로(104), 파워 오프 회로(106), 오토 파워 오프 회로(108) 등의 회로를 하나의 IC로서 구성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전원 회로(66)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원 회로(66)의 동작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하면, 자기 진단 테스트의 결과가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이었던 경우에 컴퓨터에의 전원 공급이 정지된 뒤에 재차 전원이 투입되고, 이에 따라, 컴퓨터가 재기동되기 때문에, 상기 재기동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가 다시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컴퓨터는 통상대로 기동되므로 사용자는 자기 진단 테스트에 의해서 검출된 문제의 발생을 알아차리는 일이 없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불안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전원 투입시에 적어도 하드웨어의 자기 진단 테스트를 행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 처리로 이행하는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자기 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판독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 진단 테스트의 상기 결과가 상기 컴퓨터에 포함되는 성분이 정확하게 초기화되어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인 경우에, 상기 컴퓨터의 전원 회로를 노이즈의 레벨이 낮아지는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설정, 상기 컴퓨터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설정, 및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한 기능을 비실행으로 하는 설정의 적어도 하나를 행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안정시키고, 상기 컴퓨터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 후에 다시 전원 투입하는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상기 전원 회로는 상기 전원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과,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의 2개의 방식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위칭형 전원 회로이며,
    상기 컴퓨터의 상기 전원 회로를 노이즈의 레벨이 낮아지는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상기 설정은 상기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을 적용하도록 하는 설정인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를 미리 정한 소정 횟수 판독한 경우에, 상기 컴퓨터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 후에 다시 전원 투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6. 전원 투입시에 적어도 하드웨어의 자기 진단 테스트를 행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 처리로 이행하는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장치로서,
    상기 자기 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서 상기 컴퓨터에 포함되는 성분이 정확하게 초기화되어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테스트 결과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를 판독한 경우에, 상기 컴퓨터의 전원 회로를 노이즈의 레벨이 낮아지는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설정, 상기 컴퓨터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설정, 및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한 기능을 비실행으로 하는 설정의 적어도 하나를 행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안정시키고, 상기 컴퓨터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 후에 다시 전원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컴퓨터의 전원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상기 전원 회로는 상기 전원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과,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의 2개의 방식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위칭형 전원 회로이며,
    상기 컴퓨터의 상기 전원 회로를 노이즈의 레벨이 낮아지는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상기 설정은 상기 고정 주파수의 스위칭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을 적용하도록 하는 설정인 컴퓨터의 전원 제어 장치.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테스트 결과를 미리 정한 소정 횟수 판독한 경우에, 상기 컴퓨터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 후에 다시 전원 투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전원 제어 장치.
  11. 제6항 또는 제9항에 기재한 컴퓨터의 전원 제어 장치와, 상기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의한 전력에 의해서 동작하는 컴퓨터 부하를 갖는 컴퓨터.
KR10-2001-0002356A 2000-01-17 2001-01-16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 KR100390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7825A JP3474139B2 (ja) 2000-01-17 2000-01-17 コンピュータの電源制御方法、電源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0-007825 2000-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320A KR20010088320A (ko) 2001-09-26
KR100390690B1 true KR100390690B1 (ko) 2003-07-10

Family

ID=1853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356A KR100390690B1 (ko) 2000-01-17 2001-01-16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39853B2 (ko)
JP (1) JP3474139B2 (ko)
KR (1) KR100390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86B1 (ko) 2021-06-07 2021-10-25 서병찬 컴퓨팅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4052B2 (en) * 2001-04-18 2005-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validate system configuration
US7849301B2 (en) * 2001-12-12 2010-12-07 Intel Corporation Providing a user input interface prior to initiation of an operating system
EP1345124A1 (en) * 2002-03-14 2003-09-17 Hewlett-Packard Company Managing boot errors
US20050210346A1 (en) * 2004-03-18 2005-09-22 Alberto Comaschi Closed loop dynamic power management
US20060034180A1 (en) * 2004-07-30 2006-02-16 David Gellerman Cable adapter port module
KR100768913B1 (ko) * 2004-08-04 200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케이블로 연결된 외부장치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호스트장치 및 그 방법
US7392410B2 (en) * 2004-10-15 2008-06-24 Dell Products L.P. Power adapter having power supply identifier information functionality
CN100392591C (zh) * 2005-08-16 2008-06-0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九研究所 Pc架构嵌入式系统中上电自检的设计方法
JP2007066060A (ja) * 2005-08-31 2007-03-15 Fujitsu Ltd 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8812169B2 (en) * 2005-10-31 2014-08-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eat sink verification
JP2007299032A (ja) * 2006-04-27 2007-11-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080184073A1 (en) * 2007-01-31 2008-07-31 Inventec Corporation Power on self test method
KR100953510B1 (ko) * 2007-11-21 2010-04-21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재기동 정보 관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
JP2010165007A (ja) * 2009-01-13 2010-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処理装置
US8521918B2 (en) 2009-11-10 2013-08-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vely hiding an interface controller from an operating system
TW201137374A (en) * 2010-04-26 2011-11-01 Hon Hai Prec In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power-on and power-off processes of an electronic device
CN102375768A (zh) * 2010-08-23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启动测试装置
JP5511010B2 (ja) * 2010-11-01 2014-06-04 Necフィールディング株式会社 電源スイッチ押下装置、電源スイッチ押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8136B2 (ja) * 2011-04-21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39039B2 (en) * 2012-01-24 2014-09-16 Nvidia Corporation Initialization of GPU using ROM-based initialization unit and programmable microcontroller
US8904217B2 (en) 2012-03-09 2014-12-02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computer device
CN103427403B (zh) * 2012-05-25 2016-08-2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保护方法和电子设备
CN106528320B (zh) * 2016-12-02 2019-07-09 英业达科技有限公司 计算机系统
TWI615718B (zh) * 2016-12-19 2018-02-2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電腦系統
CN108469891B (zh) * 2018-03-12 2021-07-30 厦门市美亚柏科信息股份有限公司 便携式设备的开关机管理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0399170A (zh) * 2019-07-19 2019-11-01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sata硬盘的端口管理方法、系统及相关组件
CN111720226B (zh) * 2019-09-06 2022-03-18 株式会社电装 发动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11233679B2 (en) * 2020-06-01 2022-01-2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hase adjustments for computer nodes
CN114385247A (zh) * 2020-10-21 2022-04-22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开机方法
CN112882833B (zh) * 2021-02-09 2022-06-17 广州思林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采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615A (en) * 1991-06-06 1993-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agnostic system and interface for a personal computer
JPH06242978A (ja) * 1993-02-12 1994-09-02 Hitachi Ltd 障害回復処理方式
US5491788A (en) * 1993-09-10 1996-02-13 Compaq Computer Corp. Method of booting a multiprocessor computer where execution is transferring from a first processor to a second processor based on the first processor having had a critical error
JPH08147177A (ja) * 1994-11-22 1996-06-07 Toshiba Corp 計算機システム
KR19980017672A (ko) * 1996-08-31 1998-06-05 구자홍 자가진단 및 치유장치와 그 방법
KR19980041214A (ko) * 1996-11-30 1998-08-17 김광호 컴퓨터의 메모리 제어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7855A (ja) 1974-09-26 1976-03-30 Kobe Steel Ltd Fukusukonoyosetsutoochinoiibinguseigyohoho
JP2960508B2 (ja) 1990-09-25 1999-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却ファン制御方式
US5564054A (en) * 1994-08-25 1996-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il-safe computer boot apparatus and method
JPH09160796A (ja) 1995-12-04 1997-06-20 Hitachi Ltd 電子計算機の異常発熱検出方法
US5974576A (en) * 1996-05-10 1999-10-26 Sun Microsystems, Inc. On-line memo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US6502208B1 (en) * 1997-03-31 2002-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heck stop error handling
JPH1168709A (ja) * 1997-08-13 1999-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受信ディジタルデータの誤り検出装置
US5978913A (en) * 1998-03-05 1999-11-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mputer with periodic full power-on self test
US6560725B1 (en) * 1999-06-18 2003-05-06 Madrone Solutions, Inc. Method for apparatus for tracking errors in a memory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615A (en) * 1991-06-06 1993-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agnostic system and interface for a personal computer
JPH06242978A (ja) * 1993-02-12 1994-09-02 Hitachi Ltd 障害回復処理方式
US5491788A (en) * 1993-09-10 1996-02-13 Compaq Computer Corp. Method of booting a multiprocessor computer where execution is transferring from a first processor to a second processor based on the first processor having had a critical error
JPH08147177A (ja) * 1994-11-22 1996-06-07 Toshiba Corp 計算機システム
KR19980017672A (ko) * 1996-08-31 1998-06-05 구자홍 자가진단 및 치유장치와 그 방법
KR19980041214A (ko) * 1996-11-30 1998-08-17 김광호 컴퓨터의 메모리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86B1 (ko) 2021-06-07 2021-10-25 서병찬 컴퓨팅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95277A (ja) 2001-07-19
JP3474139B2 (ja) 2003-12-08
US6839853B2 (en) 2005-01-04
KR20010088320A (ko) 2001-09-26
US20020052706A1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690B1 (ko)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전원 제어 장치 및 컴퓨터
KR100368079B1 (ko) 컴퓨터 및 컴퓨터의 전원 제어 방법
US666516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fan in computer system
US7370213B2 (en) Power supply unit and computer
JP3272298B2 (ja) 放電回路を備えたスイッチ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3687740B2 (ja) 電源供給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最大電力制御方法
US20030135726A1 (en) Computer apparatus,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reducing the standby power requirement in a computer supporting a wake-up function
US6826703B2 (en) System for notifying operating system of additional event for restoring suspend mode after a hardware device event switches computer to normal mode
US6362980B1 (en) Active filter for computer, filter module, power module and computer
PL193918B1 (pl) Sposób sterowania systemem obsługi informacji i system obsługi informacji
JP2001197682A (ja) 電源切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US10509458B2 (en) Information device with improved operating modes
US6625739B1 (en) Hard power shutdown of a computer by actuating both a keyboard controller independent key and a soft power switch together to bypass the power switch together to bypass the power controller
JP4421704B2 (ja) コンピュータのパワーオ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US7120807B2 (en) Apparatus for resetting power management enable register and resetting power management register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instruction and output of power management enable register
JP2002168926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電池の容量計算方法、インテリジェント電池及び携帯型電子機器
JP4410215B2 (ja) 消費電力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US7093142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user-determined operational state of a portable computer prior to detachment
JP3769541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miniPCIカード、自動電源オン回路、および自動立ち上げ方法
US6470455B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hibiting access to a SCSI bus
JP2000112580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ウェイクアップ制御方法
WO2001023977A9 (en) Pc card controller with advanced power management reset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