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086B1 - 현상제 교반 부재 및 그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제 교반 부재 및 그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086B1
KR100389086B1 KR10-2000-0063414A KR20000063414A KR100389086B1 KR 100389086 B1 KR100389086 B1 KR 100389086B1 KR 20000063414 A KR20000063414 A KR 20000063414A KR 100389086 B1 KR100389086 B1 KR 100389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tirring
toner
container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362A (ko
Inventor
미나가와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579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253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0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2691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5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16Impeller making
    • Y10T29/49318Repair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해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내에 마련된 현상제 교반 부재는,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와, 이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식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돌출부들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개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현상제 교반 부재 및 그 재생 방법 {DEVELOPER STIRRING MEMBER AND RECYC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현상제 용기 내의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 및 이 교반 부재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상제 용기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에 분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로서 사용된다.
전자 사진 공정을 이용하는 복사기 및 레이저 비임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감광 드럼은 균일하게 대전되고 선택적으로 노광되어서 자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 잠상은 분말 형태의 현상제에 의해 현상 화상으로 현상되어 기록 재료 상에 전사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통해서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또는 LED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워드프로세서 등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분말 토너는 고갈될 때마다 보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몇몇 토너 공급 용기에서는 토너를 교반 또는 공급하기 위한 토너 교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토너 교반 부재는 강성 교반축(지지 부재) 및 가요성 교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이들은 열 크림핑, 초음파 크림핑, 리벳팅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로서의 토너 카트리지는, 그 안에 들어 있는 토너가 한꺼번에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토너 수용 용기 안에 공급되도록 된 소위 보충식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위치하고 그 안에 있는 토너가 고갈될 때까지 현상 장치 안에 토너가 점진적으로 공급되도록 된 소위 고정식 카트리지로 대별된다.
근래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고정식 카트리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상 장치 내의 토너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토너를 부족하지 않게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형태의 토너 카트리지가 앞에서 설명한 교반 부재(공급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교반 블레이드가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교반 블레이드가 비교적 쉽게 변형되고 재생이 어려운 반면에 교반축은 재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교반 블레이드를 교반축에 체결하는 종래의 방법은 교반 블레이드를 탈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교반 블레이드가 토너 공급 용기의 주 조립체에 조립될 때 손상되면, 전체 교반축을 교환해야 한다.
열 크림핑 또는 초음파 크림핑의 경우에는 보풀 또는 다른 이물질이 쉽게 도입되어 추가의 세척 단계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교반 블레이드를 교반축에 체결하기 위해서 특정 장치가 필요하고, 조립 단계가 복잡해져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토너 공급 용기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때 교반축 및 교반 블레이드가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제조 단계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고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 현상제 교반 부재 및 그 재생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 및 기타 목적과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교반 부재 및 토너 공급 용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도.
도2는 토너 공급 용기의 또 다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토너 교반 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4는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도 및 측면도.
도5는 토너 교반 부재의 연결부의 세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6은 보스의 다양한 치수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7은 교반축 상에 장착된 교반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 방향의 전방에서 취한 사시도.
도11은 토너 공급 용기를 반대 방향에서 취한 사시도.
도12는 토너 공급 용기를 그 설치 방향의 하류측 대각선 하방에서 취한 사시도.
도13은 토너 공급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14는 코너 공급 용기의 종단면도.
도15는 토너 공급 용기 셔터의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16은 핸들 로크가 로크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17은 핸들 로크가 로크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18은 토너 공급 용기의 배면도.
도19는 토너 공급 용기를 그 설치 방향의 상류측 대각선 상방에서 취한 사시도.
도20은 토너 공급 장치를 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종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수직 단면도.
도21은 토너 공급 장치를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종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수직 단면도.
도22는 토너 공급 장치를 셔터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그 종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수직 단면도.
도23은 도20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24는 도21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25는 도22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26은 도2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밀봉 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토너 공급 장치의 요부의 수직 단면도의 요부를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확대도.
도27은 도2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밀봉 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토너 공급 장치의 요부의 수직 단면도의 요부 토너 공급 장치의 종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확대도.
도28은 토너 공급 장치를 토너 공급 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그 종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 취한 수직 단면도.
도29는 토너 공급 용기 셔터를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수직 단면도.
도30은 토너 공급 용기 셔터의 요부를 도29의 (a)의 단면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수직 단면도.
도31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32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33은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34는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하는 것을 도시한 전방 단면도.
도35는 토너 공급 용기가 들어 있는 토너 공급 장치를 토너 공급 용기의 핸들은 생략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36은 토너 공급 용기를 내장한 토너 공급 장치를 토너 공급 용기의 핸들은 생략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37은 토너 공급 장치를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에 직각인 평면에서 취한 것으로 핸들 로킹 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38은 토너 공급 장치의 수평 단면도.
도39는 토너 공급 장치의 수평 단면도.
도40은 회전 부재를 소정 위치로 항상 예비 회전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의 기능을 도시한 개략도.
도41은 회전 부재를 소정 위치로 항상 예비 회전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의 기능을 도시한 또 다른 개략도.
도42는 회전 부재를 소정 위치로 항상 예비 회전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의 기능을 도시한 또 다른 개략도.
도43은 토너 공급 용기 셔터의 평면도.
도44는 토너 공급축과 토너 공급 블레이드 사이의 잠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a)는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 (b)는 토너 공급 블레이드의 측면도.
도45는 토너 공급축과 토너 공급 블레이드 사이의 로크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46은 토너를 충전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25 : 토너 공급 용기
11 : 토너 수용부
100 : 토너 공급 장치
14 : 캡
15 : 핸들
16 : 용기 셔터
201 : 현상 장치
202, 309 : 세척 수단
203 : 주 대전 수단
104 : 감광 드럼
326 : 용기의 주 조립체
330 : 교반 부재
331 : 교반축
332 : 보스
333 : 교반 블레이드
334 : 잠금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교반 부재 및 현상제 용기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교반 부재 및 토너 공급 용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도, 도2는 토너 공급 용기의 또 다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토너 교반 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4는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도 및 측면도, 도5는 토너 교반 부재의 연결부의 세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6은 보스의 다양한 치수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7은 교반축 상에 장착된 교반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체 구조)
도1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301)는 전자 사진 형태의 복사기이다. 화상 형성 장치(301)에서, 장치의 상부에서 원고 지지 평판 유리(302) 상에 위치한 원고 S는 광학 시스템(303)에 의해 주사되고,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은 미러(304) 및 렌즈(305)를 통해서 화상 담지 부재(306) 상에 투사된다. 화상 담지 부재(306)는 대전 수단(307)에 의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되고, 반사된 광의 투사부는 감광 부재 상에 잠상을 형성한다. 잠상은 현상 수단(308)에 의해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된다. 현상 수단(308)은 나중에 설명하게 될 현상제 용기는 토너 공급 용기(325)로부터 분말 토너(토너)를 공급받는다.
장치의 주 조립체(301)의 하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트(P)를 내장한 카세트(310, 311, 312, 313)가 마련되고, 조작자가 도시되지 않은 조작부를 조작한 입력 정보에 응답하여 또는 원고(S)의 크기에 응답하여 적절한 시트가 선택된다. 시트(P)는 공급 수단(310a, 311a, 312a, 313a)에 의해서 차례로 공급되고, 공급 경로(14)를 통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15)에 공급된다. 시트(P)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15)의 닙에 인접하게 되고, 그 경사가 수정되어 화상 담지 부재(306)의 회전과 동기하여 재공급된다.
시트(P)는 전사 대전기(316)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306)로부터의 토너가 전사된 후에 분리 대전기(317)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306)로부터 분리되며, 시트(P)는 공급 수단(318)에 의해 장착부(319)에 공급되어 여기서 토너 화상이 열 및 압력에 의해 정착된다. 화상 담지 부재는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에 세척 수단(309)에 의해 세척되어서, 미전사 토너가 제거되고 다음 화상 형성을 위한 준비 상태로 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되게 되는 시트(P)는 배출/반전부(320)를 통과하여 배출 롤러(321)에 의해 배출 트레이(322) 상에 배출된다. 양면 기록 모드의 경우에, 시트는 배출/반전부(320)의 플래퍼(323)를 제어함으로써 재공급 경로(324)에 공급되고, 면의 방향이 반전되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15)에 재공급되고,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배출 트레이(322) 상에 배출된다.
중첩 기록 모드의 경우에, 시트(P)는 배출/반전부(320)를 통과하고, 시트의 일부분은 배출 롤러(321)에 의해 장치의 외부로 일시적으로 배출된다. 시트(P)의 말단이 플래퍼(323)를 통과하고 시트가 배출 롤러(321)에 의해 아직 물려 있는 시간에, 플래퍼(323)가 제어되고 배출 롤러(32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시트가 장치 안으로 재공급되게 된다. 시트는 재공급 경로(324)를 통해서 그 면이 반전되지 않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15)에 재공급되며, 일면 기록 모드의 경우와 유사하게 배출 트레이(322) 상에 배출된다.
(토너 공급 용기)
도2를 보면, 토너 공급 용기(325)는 용기의 주 조립체의 대향 단부들에 플랜지(327) 및 파지 부재(328)를 구비하고, 그 하부 위치에는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329)를 구비하고, 용기의 주 조립체(326)에 현상제 교반 부재인 토너 교반 부재(330)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토너 공급 용기(325)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토너를 현상 수단(308)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사용자는 이를 파지 부재(328)를 사용하여 주 조립체(301)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
(토너 교반 부재)
도3에 도시된 토너 교반 부재(330)는, 교반축(331, 지지 부재)과 이에 체결된 교반 블레이드(333)를 포함하며,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의 주 조립체(326)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교반축(331)은 로드형 부재이고, 그 일단부에는 플랜지(327)를 통해서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31a)가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327a)은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토너 교반 부재(33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그 타단부에는 용기의 주 조립체(326) 내측에 마련된 리브(331c)가 삽입되어 있다.
다수의 돌출부 또는 보스(332)들이 교반축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스(332)는 도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교반축(331)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대직경부(332a)를 갖고 교반축(331)에 가까운 위치에는 소직경부(332b)를 가지며, 이로써 공급단 측에서 큰 직경을 갖는 돌출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대직경부(332a) 및 소직경부(332b)는 모두 원형 단면을 갖는다.
교반 블레이드(333)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평평한 가요성 부재로부터 제조되고, 블레이드부는 교반축(331)을 따라 연결부의 측부들 상에 교대로 마련된다. 교반 블레이드(333)는, 보스(3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부(334)를 구비한다.
도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부(334)는 중심 구멍(334a)과, 대향 방향으로 정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슬릿(334b)을 포함하며, 슬릿(334b)의 최외측 단부에는 팽창 방지 구멍(334c)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3개의 구멍(334a, 334c)은 보스(3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심 구멍(334a)을 구비한 교반축(331)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슬릿(334b)의 대향 단부들에 있는 방지 구멍(334c)은 보스(332)가 삽입될 때 슬릿(334b)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교반 블레이드(333)의 재료는 적절한 탄성 및 파열 강도를 갖는 것이 사용되며, 예로는 폴리아세탈 시트, 폴리우레탄 고무 시트, 고무 코팅된 직물 등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500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300 ㎛이다.
두께가 50 ㎛보다 작으면, 탄성이 낮아서 토너 공급력과 보스에 대한 체결력이 낮아진다. 반대로, 두께가 500 ㎛보다 크면, 탄성이 너무 낮아져서 교반 블레이드(333)가 용기의 주 조립체(325)의 내벽을 긁게 되고 그 결과 큰 회전 토크가 필요해진다. 또한, 성형이 어려워지면 조립 및 분해도 어렵게 되고 보스(332)의 손상 및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교반 블레이드(333)의 두께는 188 ㎛이다. 교반 블레이드(333)의 제조 관점에서 보면, 낮은 비용 및 충분한 정밀도의 견지에서 펀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을 참조하여 보스(332)와 잠금부(334)의 치수들의 양호한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스(332)의 대직경부(332a)의 폭 D는 소직경부(332b)의 폭 d보다 크다. 이에 의해서, 교반 블레이드(333)의 잠금부(334)가 변형되고, 대직경부(332a) 상에 걸려서 교반 블레이드(333)가 체결된다. 소직경부(332b)의 폭 d는 구멍(334a)의 폭 A보다 크고 (d>A), 따라서 이들 사이의 결합 시에 생성된 압력은 유격 및 변위의 발생을 방지한다.
소직경부(332b)의 높이 h는 대직경부(332a)의 폭 D와 구멍(334a)의 폭 A 사이의 차이의 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한데, 즉 2h>D-A인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부(334)의 입구의 폭 B는 구멍(334a)의 전체와 같거나 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장착 동작 중의 삽입 시에는 대직경부(332a)의 폭 D보다 큰 것이 바람직한데, 즉 B>A+2C>D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멍(334a)은 장착 시에 팽창에 의해 파열되는 것이 방지되고,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교반 블레이드(333)가 교반축(331)으로부터 유격을 갖거나 상승되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소직경부(332b)의 높이 h는 소직경부의 폭과 구멍(334a)의 폭 A 사이의 차이의 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한데, 즉 2h>d-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반 블레이드(333)가 어려움 없이 교반축(331)에 고정될 수 있어서 유격을 피할 수 있고, 또한 교반 블레이드(333)가 교반축으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치수들은 A=1.5 mm, B=5.0 mm, C=1.0 mm, D=3.0 mm, d=2.0mm, h=2.0 mm이다.
(토너 교반 부재의 조립)
토너 교반 부재(330)가 조립되면, 교반 블레이드(333)의 잠금부(334)는 교반축(331)의 보스(332) 안에 충분히 삽입된다. 도7은 삽입된 후의 보스(332) 및 잠금부(334)를 도시한다. 잠금부(332a)는 삽입 시에 보스(332)의 대직경부(332a)에 의해 팽창되지만, 슬릿(334b)의 단부에 있는 방지 구멍(334c)에 의해 응력 집중이 용이해져서 쉽게 파열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 후에, 탄성 복원력이 보스(332)의 소직경부(332b)를 클램핑하여 교반 부재(333)가 체결된다. 교반 블레이드(333)는 클램핑력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하여 유격을 남기지 않게 된다.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대직경부(332a)는 소직경부(332b)보다 큰 폭을 가져서, 잠금부(334)가 대직경부(332a)에 걸려서 블레이드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토너 교반 부재(330)는 주 조립체(326) 안에 삽입되고 플랜지(327)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
앞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슬릿(334b) 및 방지 구멍(334c)이 잠금부(334)의 구멍(334a)으로부터 연장되었다.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의 슬릿(334a) 및 방지 구멍(334c)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교반 블레이드(333)의 잠금부(334)는 회전 이동 방향으로의 중량을 수용하고, 따라서 교반축(33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34b)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회전 중에 분리되지 않고 교반 블레이드(333)가 축방향으로 벗겨져서 비교적 쉽게 탈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부(335)는 중심 구멍을 구비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슬릿(335a) 및 방지 구멍(334c)을 그 단부들에 구비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슬릿(335a)들은 4개의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이들은 3개 또는 5개 이상의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것처럼, 보스(336) 및 잠금부(337)의 단면은 비원형을 취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도9의 (a)에 도시된 보스(336)는 사각형 단면을 취하는 대직경부(336a)와 소직경부(336b)를 포함하며, 도9의 (b)에 도시된 잠금부(337)는 사각형의 중심 구멍(337a) 및 슬릿(337b)과 방지 구멍(337c)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련된 현상제 교반 부재 및 현상제 용기의 재생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너 카트리지 형태인 현상제 용기가 장착되게 되는 현상 장치를 사용하는 복사기의 전체 구조와, 토너 카트리지의 구조와, 토너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여러 부재와, 토너 카트리지의 탈거 및 토너 카트리지의 재생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아래에 주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사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너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수용부, 토너 수용부에 수납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 출구, 토너 출구를 개폐하는 셔터 및 토너 출구를 개방하도록 셔터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도3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토너 용기)가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원본(101)이 작업자에 의해 원본용 유리판 상에 놓인다. 결과적으로, 광학부(103)가 포함하는 다수의 거울 및 렌즈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104) 상에 원본(101)의 광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기록 매체(P)(예컨대, 종이, OHP 시트 등; 이하 "시트"라 함)가 층으로 저장되는 공급 카세트(105-108)들 중 하나가 작업자에 의해 제어판을 통해 입력된 시트 크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다. 그 다음, 공급 롤러(105A-108A) 중에서, 선택된 공급 카세트의 롤러가 회전되어 단일 시트의 기록 매체(P)를 외부로 공급한다. 공급 카세트 외부로 공급된 후에, 기록 시트(P)는 이송 경로(109)를 통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로 이송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는 감광 드럼(104)에 대한 회전 타이밍 및 광학부(103)에 대한 스캐닝 타이밍과 동기되어 기록 시트(P)를 감광 드럼(104)으로 이송한다. 이러한 기록 시트(P)에 대하여, 감광 드럼(104) 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 수단(111)에 의해 전사된다. 이후에, 기록 시트(P)는 분리 수단(112)에 의해 감광 드럼(104)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다음, 기록 시트(P)는 이송부(113)에 의해 정착부(114)로 이송된다. 정착부(114)에서, 기록 시트(P) 상의 토너 화상은 열 및 압력의 인가에 의해 기록 시트(P)에 정착된다.
다음으로,
1) 단일면 복사 모드에서, 기록 시트(P)는 역전 경로(15)를 통해 배출 롤러 쌍(16)에 의해 전달 트레이(117) 내로 배출된다.
2) 다중층 복사 모드에서, 기록 시트(P)는 역전 경로(115)의 플래퍼(118)에 의해 이송부(119, 120)를 향하게 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로 이송된다. 이후에, 기록 시트(P)는 직전의 화상 형성 사이클에서처럼 화상 형성부, 이송부 및 정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전달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3) 양면 복사 모드에서, 기록 시트(P)는 역전 경로(15)를 통과하고, 시트의 후단 엣지가 플래퍼(118)를 통과할 때까지 배출 롤러 쌍(1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그 다음, 기록 시트(P)의 후단 엣지가 플래퍼(118)를 통과하자마자, 배출 롤러 쌍(16)은 기록 시트(P)를 화상 형성 장치로 다시 이송하도록 역으로 회전된다. 이후에, 기록 시트(P)는 이송부(119, 12)로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로 이송된다. 그 다음, 기록 시트는 직전의 화상 형성 사이클에서처럼 화상 형성부, 이송부 및 정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전달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 장치(201), 세척 수단(202) 및 주 대전 수단(203)이 감광 드럼(104) 둘레에 배치된다. 현상 장치(201)는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10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장치(201)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24)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현상 장치(201)는 감광 드럼(104)으로부터의 미세 간극(약 300μm)을 유지하는 현상 롤러(201a)를 포함한다. 현상 중에, 토너의 얇은 층이 현상 블레이드(201b)에 의해 현상 롤러(201a)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그 다음, 현상 바이어스가 현상 롤러(201a)에 인가됨에 따라, 감광 드럼(10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대전 수단(203)은 감광 드럼(104)을 대전하는 수단이다. 세척 수단(202)은 감광 드럼(104) 상에 남아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수단이다. 현상에 의해 야기된 현상 장치(201) 내의 토너 양의 감소는 토너 공급 장치(100)에 의해 점차적으로 전달되는 토너의 신규 공급에 의해 보상된다.
여기서, 토너 공급 용기(1)의 교환을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장치(100) 내의 토너가 소진됨에 따라, 토너의 소진이 도32에 도시된 경고부(124a)로 보고된다. 그 다음, 조작자는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124)에 제공된 개구(122)를 덮는 뚜껑(121)을 개방한다. 개구(122) 내부에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홀더[설치 수단,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토너 공급 장치의 주 조립체(54); 도33]가 제공된다. 이 홀더(31) 내로, 토너 공급 용기(1)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이 작업 중에, 토너 공급 용기(1)는 홀더(31)에 제공되어 홀더(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의 선단부가 소정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길이방향으로 안내된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1)의 선단부가 소정 지점에 도달한 후에 작업자가 토너 공급 용기(1)의 핸들(15)을 회전시킴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1) 내이 토너는 현상장치(201)로 공급된다. 그 다음, 작업자가 뚜껑(121)을 폐쇄함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준비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현상 장치(201) 내의 토너 양이 너무 적게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현상 장치(201)의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송신된 때, 도21에 도시된 토너 이송 나사(46, 47)가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케이스(48) 내의 토너가 현상 장치(201)로 점차적으로 공급된다. 그 다음, 현상 장치(201) 내의 토너 양이 소정 수준에 도달한 때, 토너 이송 나사(46, 47)가 정지한다. 이러한 공정이 반복된다. 결국에는, 케이스(48) 내의 토너 양이 매우 적게 된다. 그 다음, 케이스(48) 내의 토너 양이 너무 적게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케이스(48) 내의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송신된다. 결국,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이송 부재(29)(후술됨)가 회전하여 토너를 케이스(48) 내로 보낸다. 그 다음, 케이스(48) 내의 토너 양이 소정 수준에 도달한 때, 이송 부재(29)는 정지한다. 이러한 공정이 반복된다. 케이스(48) 내의 센서가 상기 신호를 송신할지라도 토너가 공급되지 않으면, 토너 공급 용기(1)의 교환을 제안하는 메시지가 경고부(124a)에 의해 표시된다.
(토너 공급 용기)
본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도10 내지 도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설치되며,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가 소진될 때까지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가 현상 스테이션으로 점차적으로 공급되도록 남아 있게 된다. 바꿔 말하면, 토너 공급 용기는 소위 내장형(built-in type)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토너 공급 용기(1)가 전술된 것으로 제한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예컨대 토너를 보유할 뿐만 아니라 토너를 현상 스테이션에 공급하는 소위 일체형의 토너 공급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상기 토너 공급 용기(1)의 개략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토너 공급 용기(1)는 토너 수용부(11)와, 토너 수용부(11)의 대응 종방향 단부에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플랜지(12, 13)를 갖는다. 토너 공급 용기(1)는 제1 플랜지(12) 내로 삽입되는 캡(14)과, 제1 플랜지(12)의 주위에 회전식으로 끼워지는 회전 부재인 핸들(15)도 갖는다. 또한, 토너 공급 용기(1)는 토너 수용부(11)의 토너 출구(11a)를 노출시키거나 덮는 용기 셔터(16)를 갖는다. 토너 수용부(11) 내에서는, 토너 이송 부재(29)가 토너 운반 수단으로서 배치된다(도14 참조).
(토너 수용부)
도13을 참조하면, 토너 수용부(11)는 종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대략 반원형부(11g) 및 직사각형부(11h)의 조합이 되도록 성형된다. 토너 수용부(11)는 상기 단면을 갖는 중공 튜브 형태이고, 토너는 상기 토너 수용부(11) 내에 저장된다. 토너 수용부(11)에는 토너 수용부(11)의 곡면형 벽부에 있는 토너 출구(11a)에 제공된다. 토너 수용부(11)에는 한 쌍의 셔터 지지 부재(11e)가 제공되는데, 이는 토너 수용부(11)의 종방향에서 하나는 토너 출구(11a)의 전방측에 다른 하나는 후방측에 있도록 토너 수용부(11)의 곡면형 벽부에 위치되고, 토너 수용부(1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용기 셔터(16)는 토너 출구(11a)를 밀봉하는 폐쇄 위치(도20 참조) 또는 토너 출구(11a)를 노출시키기 위해 후퇴하는 노출 위치(도21참조)를 취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11e)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토너 수용부(11)에는 토너 수용부(11)의 측방향 및 종방향 엣지를 따라 토너 수용부(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부(11k)가 제공된다. 상기 안내부(11k)는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에 대해 설치 또는 제거될 때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토너 공급 용기(1)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토너 수용부(11)는 상부 절반부가 반원형이고 하부 절반부가 직사각형이 되도록 된 단면을 갖는 튜브 형태이다. 그러나, 토너 수용부(1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토너 수용부(11)는 종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이 되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토너 수용부(11)의 구조 및 구성 요소 개수에 대한 특정한 제한은 없다.
토너 수용부(11)에는 분말 형태의 토너가 충전된다(이후, 모든 토너는 분말 형태임). 다양한 종류의 토너, 즉 블랙 토너, 칼라 토너, 단일 구성 요소의 자성 토너, 단일 구성 요소의 비자성 토너 등이 있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토너 중에서, 적절한 토너가 선택된다.
(제1 및 제2 플랜지(12, 13)의 구조)
제1 및 제2 플랜지(12, 13)는 토너 수용부(11)의 대응 종방향 단부 내로 정확하게 끼워지는 중공 튜브의 형태이다. 토너 수용부(11)의 대응 종방향 단부 내로 정확하게 끼워진 후, 제1 및 제2 플랜지(12, 13)는 토너 수용부(11)를 밀봉하기 위해 접착제의 사용으로 토너 수용부(11)에 고정된다. 제1 플랜지(12)는 단부판(12b) 및 원통부(12e)를 포함한다. 원통부(12e)의 축선은 토너 수용부(11)의 반원통부(11g)의 종방향 중심선과 일치한다. 제1 플랜지(12)는 원통부(12e) 내에서 연장되는 토너 입구(12a)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13)는 단부판(13a)을 포함한다.
제2 플랜지(13)는 토너 수용부(11)의 후방 단부 엣지에서 내부면에 분리 및 장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11)와 외부에서 토너 수용부(11)와 결합되는 제2 플랜지(13) 사이의 원주 방향 시임의 전체 원주를 밀봉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토너 수용부(11) 및 제2 플랜지(13)에는 접착 테이프(64)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제2 플랜지(13)는 토너 수용부(1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토너 수용부(11)와 제2 플랜지(13) 사이의 결합부를 통한 토너 누설은 방지된다.
제1 및 제2 플랜지(12, 13)는 토너 수용부(11)와 일체형이거나, 토너 수용부(11)의 일부일 수도 있다. 즉, 토너 수용부(11)의 주요 섹션은 단일편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2)에는 토너 입구(12a)가 제공되며, 그 개구는 토너 수용부(11)가 삽입되는 방향의 상류측 상의 종방향 단부에 위치된다. 토너 입구(12a)에는 토너 입구(12a) 내에 반경 방향으로 끼워지는 내부 리브(12c)가 제공된다(도35 및 도36 참조). 또한, 토너 입구(12a)에는 원통 중공축이 제공되는데, 그 축선은 토너 입구(12a)의 축선과 일치하고,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토너 운반 부재의 축을 지지한다. 원통부(12e), 즉 토너 출구(12a)의 원통벽 주위에는,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핸들(15)이 끼워진다. 토너가 충전된 후, 토너 입구(12a)는캡(14)을 토너 입구(12a) 내로 끼워짐으로써 밀봉된다. 그 다음, 제1 플랜지(12)는 적절한 결합 수단에 의해 토너 수용부(11)와 유닛화된다.
제2 플랜지(13)의 단부판(13a)에는 구멍(13c)이 제공되는데, 그 내에 토너 이송 부재(29)의 축을 지지하고 구동력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베어링(예컨대, 커플링)이 토너 수용부(11)의 외부로부터 끼워진다. 또한, 단부판(13a)에는 원통부(13d)가 제공되는데(도13 및 도14 참조), 이는 구멍(13c)의 외부 엣지로부터 외향 돌출하여 상기 커플링의 주연면을 지지한다.
(핸들)
회전 부재인 핸들(15)은 기본적으로 3개의 섹션, 즉 놉 섹션(15e), 직경이 작은 원통 중공 섹션(15h) 및 직경이 큰 원통 중공 섹션을 포함한다. 놉 섹션(15e)은 핸들(15)의 외향 단부이고, 두꺼운 단부를 갖는 두꺼운 판의 형태이다. 직경이 큰 원통 중공 섹션은 핸들(15)의 내향 단부이고, 내향측에서 개방된다. 핸들(15)은 토너 수용부(11)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위치된 원통부(12e)의 일부분인 핸들 지지부(12f)의 주위에 중앙 섹션(15h)을 수동으로 끼움으로써 토너 수용부(11)에 회전식으로 부착된다(도16 및 도17 참조). 핸들(15)은 결합부(15)도 포함하는데, 이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이다. 결합부(15a)는 핸들(15)의 외향면에 있다.
도15 및 도19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로 삽입될 때, 토너 공급 장치(100)에 제공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21)의 결합부(21a)와 결합부(1a)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15a)는 세그먼트 기어의 형태이다. 결합부(15a)는 토너 공급 용기(1)를 삽입하는 순차적인 작업을 통해 결합부(21a)와 결합 가능하다.
도15 및 도19를 또한 참조하면, 회전력 전송 수단으로서 구동력 전송 부재(21)는 축(21s),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결합부(21a), 그리고 구동력을 전송하기 위한 결합부(21b)를 포함한다. 축(21s)은 그 종방향 단부에서 결합부(21a,21b)와 하나씩 끼워 맞춤되며, 토너 공급 장치(100)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결합부(21a,21b)는 다수의 톱니를 갖는 기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력 수용면 상의 결합부(21a)는 단일 기어를 포함한다. 그러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기구로서 작동하도록 구조를 갖추고 있는 한 결합부(21a)의 구조 또는 기어 수에 대한 특정 제한은 없다. 구동력 전송면 상의 결합부(21b)는 유성 기어로서 구동력 전송면 상의 결합부(21g)와 맞물리며, 유성 기어는 구동력 수용면 상에서 세그먼트 기어인 결합부(16d)와 맞물린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력 전송 부재(21), 축(21s)을 포함하는 부재, 그리고 결합부(21a, 21b,21g)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주 조립체(124) 측면 상에 제공된다.
(토너 이송 부재)
도14를 참조하면, 토너 이송 부재(29:교반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축(27: 지지 부재)의 일단부는 구멍(12d)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도30), 축의 타단부는 축의 구멍(12d) 내에 끼워 맞춰진 베어링(13d)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구동력이 축(27)의 단부에 고정된 커플링(26a)을 통해 전송된다. 더욱이, 토너 이송 부재(29)는 축(27)에 고정된 가요성 부재인 토너 이송 날개(28:교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커플링(26a)은 토너 수용부(11)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블레이드(28)는 일체식 갈고리부(28a) 및 장착부(28f)를 갖는 가요성 시트를 포함한다. 갈고리부(28a)는 토너 토출 개구(11a)를 통해 돌출되며 토너 수용부(11)의 내부면에 대해 활주 이동 가능하다. 공급 블레이드(28)가 장치 내부로 조립되지 않을 때, 이는 평판 형상을 취하고 있다. 장착부(28f)는 공급축(27)을 따라 연장되며 공급축(27)의 축과 평행한 평면부(27a)와 평행한 표면을 갖는다(도20). 다수의 갈고리부(28a)는 장착부(28c)의 양 측면에 간극을 갖는 경사부가 제공되며, 장착부(28f)의 한 측면에서 갈고리부(28a)는 다른 측면에서 갈고리부(28a)와 교차한다. 갈고리부(28a)와 장착부(28f)의 기부는 도14의 표면과 평행하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지 않을 때의 갈고리부(28a)는 굽어져 공급 블레이드(2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자유 단부면이 지연되어 이동된다. 공급 블레이드(28)가 회전될 때, 갈고리부(28a)의 자유 단부면은 이후 기술되는 것처럼 공급축(27)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공급 블레이드(28)는 도44 및 도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축(27)에 잠금된다. 보다 상세하게, 공급축(27)에는 공급 블레이드(28)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부(27b)가 제공되며, 돌출부(27b)는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공급 블레이드(28)는 돌출부(27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구멍(28c,28d)을 갖춘 개구와, 이들을 연결시키는 슬릿(28b)이 제공된다. 구멍(28c,28d) 및 슬릿(28b)을 통해 돌출부(27b)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급 블레이드(28)는 공급축(27)에 고정된다. 돌출부(27b)에는 공급축(27)의 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대직경부(27c)가 제공되며 축부 부근의위치에서 소직경부(27d)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28)는 공급축(27)으로부터 쉽게 탈착될 수 있다.
돌출부(27b)는 공급축(27)과 일체식으로 성형된다. 공급축(27)은 합성 수지 재료,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등으로 제조된다. 돌출부(27b)의 대직경부(27c)는 자유단에 위치되며 소직경부(27d)는 기저 측면에 위치되며, 돌출부(27b)는 공급축(27)의 편평한 표면부(27a)로부터 세워진다. 따라서, 돌출부(27b)는 공급축(27)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연장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7b)에는 각각 갈고리부(28a)에 상응하게 제공된다.
돌출부(27b)는 자유단이 반구형이며 기저측면이 구형과 접하는 원통형인 대직경부(27c)를 갖는 배열을 갖는다. 단차부(27e)는 소직경부(27d)와 대직경부(27c) 사이에 제공된다. 소직경부(27d)는 원통형상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대직경부(27c) 및 소직경부(27d)는 공급축(27)의 회전 중심에 수직인 평면 상에 공통 중심선을 갖는다.
반면에, 공급 블레이드(28)에는 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또는 구멍부(28a)가 제공된다. 구멍부(28a)는 장착부(28f) 내에 제공된다. 구멍부(28a)는 슬릿(28b), 결합부(28c) 및 단부 구멍(28d)을 갖는다. 슬릿(28b)은 교반축(27)의 축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릿(28b)은 결합 구멍(28c)을 단부 구멍(28d)에 연결시킨다. 결합 구멍(28c) 및 단부 구멍(28d)은 공급축(27)의 축방향과 평행한 직선 상에 놓여져 있다. 결합 구멍(28c)은 돌출부(27b)의 소직경부(27d)와 결합된다.
여기서, A는 공급 블레이드의 결합구멍(28c)의 직경이며,
B는 공급 블레이드의 구멍부(28A)의 총 두께이며,
C는 공급 블레이드의 단부 구멍(28d)의 직경이며,
D는 돌출부의 대직경부(27c)의 직경이며,
d는 돌출부의 소직경부(27d)의 직경(소직경부(27d)의 최소 직경)이며,
h는 돌출부의 소직경부(27d)의 높이로서,
B > A + 2C > D, d > A, 2h > D - A, 2h > d - A …(1)
를 만족한다. 바람직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토너 공급 부재(29)는 공급축(27) 및 가요성 공급 블레이드(28)를 포함하며, 공급축(27)에는 축에 공급 블레이드(28)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27b)가 제공된다. 공급 블레이드(28)에는 구멍(28c,28d) 및 돌출부(27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구멍을 연결하는 슬릿(28b)이 제공된다. 공급 블레이드(28)는 돌출부(27b)를 구멍(28c) 및 슬릿(28b)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공급축(27)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공급축이 회전될 때,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 상에서 유지되며, 공급 블레이드가 교환될 때, 공급 블레이드로부터 쉽게 탈착된다.
신규한 공급 블레이드(28)가 공급축(27)에 장착될 때, 공급 블레이드(28)의 결합 구멍(28c)은 돌출부(27b)의 대직경부(27c)와 정렬되며, 결합 구멍(28c)으로부터 근소하게 이격된 공급 블레이드(28)의 부분은 결합 구멍(28c)이 A + 적정 A = D (A + Fair A = D)로 확장되며 돌출부의 소직경부(27d)로 결합됨으로써 손가락 끝에 의해 공급축(27)의 평면부를 향해 눌러진다. d > A이므로, 결합 구멍(28c)의 외주면은 도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변형한다. 돌출부(27b) 및 구멍부(28A)가 서로 정렬되어 위치됨으로 인해, 공급 블레이드(28)는 돌출부(27b) 및 구멍부(28A)를 결합시킴으로써 공급축(27) 상에서 정위치에 고정된다.
장착부(28f)가 식 1을 충족시키도록 공급 축(27)의 평탄면부(27a)에 가압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 블레이드(28)의 결합 구멍(28c)의 주연부는 소직경부(27d)의 단차부(28e)의 코너에 가압 접촉된다.
공급 블레이드(28)만의 교환 공정에서, 구멍(28c, 28d) 및 슬릿(28b)이 축방향으로 배열되므로, 공급 블레이드(28)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가 파지되어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며, 이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28)는 공급 축(27)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때, 돌출부(boss, 27)의 소직경부(27d)는 구멍부(28A)의 결합 구멍(28c)으로부터 슬릿(28b)으로 진입하며, 이에 의해 슬릿(28b)은 폭이 확장되고 결합 구멍(28c)은 직경이 확장된다. 그 다음, 공급 블레이드(28)의 장착부(28f)는 결합 구멍(28c)측에서 공급 축(27)으로부터 멀리 절곡되고, 돌출부(27b)는 단부에서 시작하여 구멍부(28A)로부터 점차적으로 제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의 회전 중에 공급축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으며, 교환시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공급 부재(29)의 돌출부(27b)는 대직경부(27c)가 축부로부터 먼 위치에 있고 소직경부(27d)가 축부에 인접하여 있는 구성을 가지며, 돌출부는 소직경부(27d)가 공급 블레이드(28)의 슬릿(28b) 및 결합 구멍(28c)에 도달하는 정도까지 통과되고,이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28)는 축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의 회전 중에 공급축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으며, 교환시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다른 구조에 의하면, 공급 블레이드(28)에 제공된 결합 구멍(28c)의 직경 또는 폭(A)은 공급 축(27)의 돌출부(27b)의 가장 얇은 부분의 직경 또는 폭(d)보다 작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의 회전 중에 공급축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으며, 교환시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공급 부재(29)에서, 돌출부(27b)와 결합되는 구멍부의 전체 폭(B)은 돌출부(27b)의 대직경부(27c)의 직경 또는 폭(D)보다 크다.
여기에서, 구멍부(28A)의 전체 폭은 교반축(27)의 축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즉, B > A + 2C > D.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의 회전 중에 공급축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으며, 교환시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다른 구조에 의해, 돌출부(27b)의 소직경부(27d)의 직경 또는 폭(d)과 결합 구멍(28c)의 직경 또는 폭(A) 사이의 차이의 절반은 공급 부재(29)에서의 돌출부(27b)의 소직경부(27d)의 높이(h)보다 작다. 즉, 2h > D = A.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의 회전 중에 공급축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으며, 교환시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에 의해, 돌출부(27b)의 대직경부(27c)의 직경 또는 폭(D)과 결합 구멍(28c)의 직경 또는 폭(A) 사이의 차이의 절반은 소직경부(27d)의 높이(h)보다 작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의 회전 중에 공급축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으며, 교환시 공급 블레이드는 공급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결합 구멍(28c), 돌출부(27b)의 대직경부(27c) 및 소직경부(27d)의 직경들이 전술된 관계에서 선택될 때, 그 단면들은 원형이다. 그 형태가 원형이 아니라면, 최소 폭 부분이 전술한 식 1을 충족시킨다.
토너 이송 날개(28)는 토너 수용부(11)의 내측면에 맞닿아 마찰된다. 토너 이송 날개(28)는 작은 날개(28a)를 갖는 다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한다. 작은 날개(28a)의 토너 출구(11a)측은 회전 방향으로부터 멀리 절곡되어, 토너 수용부(11) 내의 토너가 토너 출구(11a)를 향해 이송될 수 있다. 토너 출구(11a)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24) 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모든 작은 날개(28a)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모든 작은 날개(28a)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작은 날개(28a)는 토너 출구(11a)의 위치 설정에 따라 연장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토너 공급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삽입된 후, 전술된 커플링(26a)은 토너 공급 장치(100)측에 제공된 커플링(44)(도28)과 맞물림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하여 토너 이송 부재(29)를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토너 공급 용기(1)의 구동력 수용 단부를 도시하는 도18을 참조하면, 구동력 수용 부재로서의 커플링(26a)은 토너 수용부(11)의 단부판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커플링(26a)의 축방향으로의 양 단부들은 축 커플러의 형태이다. 커플링(26a)의 일단부는 토너 수용부(11) 내에 위치되어 토너 이송 부재(29)의 축(27)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반면에, 토너 수용부(11)의 외부에 위치되는 커플링(26a)의 타단부에는 회전력 수용부가 제공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24) 내에 설치될 때, 이 회전력 수용부는 토너 공급 장치(100)측에 제공된 커플링(44)과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도9를 참조하면, 회전력 수용부는 일부가 커플링(26a)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26a1)의 형태이다. 커플링(26, 44)들은 커플링(44)의 돌출부(44a)가 2개의 돌출부(26a1)들 사이의 2개의 공간(26a2) 내로 하나씩 끼워짐에 따라 서로 결합한다.
(용기 셔터)
도15를 참조하면, 용기 셔터(16)에는 토너 공급 용기의 삽입 방향으로 용기 셔터(16)의 길이방향 단부들에 위치된 한 쌍의 활주부(16f)가 하나씩 제공된다. 각각의 활주부(16f)는 토너 출구(11a)의 곡선 엣지를 따라 토너 수용부(11)의 원주방향으로 토너 수용부(11) 상에서 연장되는 안내 부재로서의 한 쌍의 셔터 지지 부재(11e)와 결합하는데, 하나는 용기(1)의 삽입 방향으로 출구(11a)의 전방측에 있고 다른 하나는 출구(11a)의 후방측에 있다. 토너 셔터(16)는 토너 수용부(11)의 원주방향으로 활주하여 토너 출구(11a)를 노출 또는 밀봉한다. 구체적으로는, 토너 공급 용기(1)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용기 셔터(16)의 단면은 원호형이고, 상기 원호의 곡률은 용기 셔터(16)가 토너 수용부(11)의 원통형부(11g)의 외주면을 따라 완벽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활주부(16f) 및 셔터 지지 부재(11e)에서, 용기 셔터(16)가 속하는 이론적인 중공 원통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이들의 단면은 상호 로킹 후크(interlocking hook)(도15)의 형태이다. 셔터 지지 부재(11e), 즉 상호 로킹 후크의 단면의 형상은 셔터 지지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하다.
도29, 도30, 도38, 도39 및 도43을 참조하면, 활주부(16f)에는 활주부(16f)의 직립 기부 부분으로부터 토너 출구(11a)에 대하여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작은 후크형 수평 돌출부(16u)가 제공된다. 이러한 후크형 수평 돌출부(16u)들의 위치는 곡선 엣지를 따라 용기 셔터(16)를 통해 절삭된 다수의 관통 구멍(16t)의 위치에 각각 대응한다. 도43을 참조하면, 각각의 후크형 수평 돌출부(16u)에는 셔터 지지 부재(11e)와 대면하는 돌출부(16u)의 표면 상에 위치된 문자 H 또는 T(본 명세서를 읽는 사람 쪽으로 향하여 돌출함)의 형태인 작은 돌출부(16u1)가 제공된다. 각각의 돌출부(16u)는 용기 셔터(16)가 탄성 패킹(35)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 압력량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로서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각각의 돌출부(16u)가 탄성 패킹(35)으로부터 수용하는 압력이 용기 셔터(16)의 개폐 중에 용기 셔터(16)의 위치에 따라 변화할지라도, 다수의 돌출부(16u)의 존재는 용기 셔터(16)를 탄성 패킹(35)과의 접촉 상태로 유지하는 압력량의 평균에 도달하게한다(도30).
도19에서, 회전력 수용용 부재로써 전술한 구동력 수용 결합부(16d)에 구비된 용기 셔터(16)는 토너 공급 장치(100) 안에 설치된 상기 토너 공급 용기(1)처럼 전술한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로써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6d)는 다수의 치를 구비하여 토너 공급 용기(1)를 토너 공급 장치(100) 안에 삽입하기 위한 일련의 작동을 통해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력 수용 결합부(16d)는 용기 셔터(16)의 외부면(16m)에서 절결된다. 다시 말해서, 세그먼트 기어의 치 팁을 포함하는 이론적인 원의 직경과 용기 셔터(16)의 외부면을 포함하는 이론적 원의 직경은 공간이 토너 공급 용기(1)의 반경방향에 저장할 수 있도록 사실상 동일해진다. 결합부(16d)는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에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 해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용기 셔터(16)의 외부면에서 절결되어 커플링(26a) 측에서 만곡된 엣지에 접측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용기 셔터(16)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결합부(16d)는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에 결합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전술된 것처럼, 토너 공급 장치(100)에 구비된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와, 용기 셔터(16)에 구비된 구동력 수용부(16d)는 토너 공급 용기(1)를 토너 공급 장치(100)에 삽입시키기 위한 일련의 작동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커플링(26a)이 구비된 측면 상에서의 용기 셔터(16)의 활주부(16f; 16f1)는 (도13, 도19, 도43에서 도면 부호 A로 표시된 부분인) 구동력 수용 결합부(16d)보다 짧아진다. 다시 말해서, 활주부(16f1)는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안에 삽입될 때 토너 수용부(11)의 종방향 하류측 상에서 용기 셔터(16)의엣지면(16h)의 평면이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에 직각으로 대면하여 토너 공급 용기(1)의 삽입 방향의 하류측 상에서 구동력 수용 결합부(16d)의 치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일부(16g)는 활주부(16f1)가 짧게 되도록 제거된다. 일부(16g)를 제거함으로써 발생된 2개의 표면 중에 토너 수용부(11)의 종방향에 수직한 것이 전술된 엣지 표면(16h)이다. 이러한 장치에서,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 및 용기 셔터(16)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용기 셔터(16)가 두꺼울 때, 활주부(16f1)는 용기 셔터(16)의 전체적인 절곡 엣지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가 활주부(16f1)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활주부(16f1)는 구동력 전송 결합부(21g)가 통과되도록 상기의 없어진 일부(16g)와 동등한 톱니를 구비한다.
도11에서, 용기 셔터(16)는 토너 공급 장치(100)에 구비된 토너 입구(33)를 노출하거나 또는 밀봉하는 주 장치 측 상에서 셔터(34)의 표면(34b1)들 사이에 형성된 톱니부(34c)에 끼워진다. 톱니부(34c)에 끼워지기 때문에, 용기 셔터(16)는 주 장치 측 상의 셔터(34)가 토너 공급 용기(1)의 측 상에서 활주하는 용기 셔터(16)로써 활주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 주 조립체(124)에 구비된 구동력 전송 측 상의 결합부(21b, 21g)는 도15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기어를 포함한다. 그러나, 구동력 전송 기구가 구비되는 한, 구조 또는 포함하는 기어의 수에 대한 특정한 한계는 없다. 도12에서 용기 셔터(16)는 핸들(15)에 토너 수용부(11)의 종방향으로 일정한 인가 압력을 발생시키는 아암 형태의 탄성부(16b)를 구비한다. 이러한 탄성부(16b)의 팁은 핸들(15)의 플랜지(15b)에 접촉된다.
(토너 공급 장치)
도20 내지 도22에서, 토너 공급 장치(100)는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와, 바닥부(54a)와 상부(54b)를 포함하고 토너 수용부(11)를 수용하도록 단면이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반원 및 사각형인 카트리지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부(54b)는 토너 저장 용기(1)의 한 쌍의 안내부(11k)를 안내하도록 다수의 돌출부(54c)를 구비한다. 돌출부(54c)는 상부(54b)의 내부면에 있다. 한 쌍의 돌출부(54c)는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의 입구에서 각각의 측부에 하나씩 존재하고, 다른 한 쌍은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의 내부에 정렬되는 데, 하나는 안내부(11k)의 위치에 상응하는 라인 상에 있고, 다른 하나는 동일 라인 아래에 있다. 바닥부(54a)는 이 내향 인접면에 있고 바닥부(54a)의 주연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 안내 레일(55)을 구비한다. 주 조립체 셔터(34)의 안내부(34a)는 이러한 안내 레일(55) 하나에 하나씩 결합된다. 안내 레일(55) 및 안내부(34a)는 후크형 단면을 갖고 서로 체결된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2개의 안내 레일(55)과 2개의 안내부(34a)는 서로 평행하다. 다시 말해서, 주 조립체 셔터(34)는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에 의해 지지된다. 주 조립체 셔터(34)의 돌출부(34b)의 내향 인접면의 반경은 용기 셔터(16)의 내향 인접면의 반경과 정확히 또는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주 조립체 셔터(34)는 한 쌍의 돌출부(34b)를 구비하고, 주 조립체 셔터(34)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각 엣지에 하나씩 양 엣지 상에 위치된다. 주 조립체 셔터(34)는 주 조립체 셔터 개구(34b)를 구비한다. 개구(34d)는 단지 토너 공급 입구(33)를 노출 또는 밀봉할 수 있고, 하나의 단면 즉, 섹션(34b1)만을 가질 수 있다. 주 조립체(54)의 주연방향에서 2개의 돌출부(34b) 사이에서의 주 조립체 셔터(34)의 내향 인접면의 폭은 주 조립체(54)의 주연방향으로의 용기 셔터(16)의 내향 인접면의 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삽입될 때 토너 공급 용기(1)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2개의 돌출부(34b) 사이의 공간에 완벽하게 끼워지고, 주 조립체(54)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용기 셔터의 2개의 엣지는 이에 대응하는 돌출부(34b)의 내향 인접면(34b1)에 사실상 접촉된다. 따라서, 용기 셔터(16)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주 조립체 셔터(34)는 용기 셔터(16)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만일 용기 셔터(16)가 개방될 때 토너 출구(11a) 및 토너 공급 입구(33)가 서로 정렬되도록 2개의 셔터(16, 34)가 설계되면, 상기 토너는 토너 교반-이송 장치(45)에 의해 현상 장치(204)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주 조립체 셔터 개구(34b) 및 공간(34c)은 돌출부(34b)로 경계지어진 주 조립체 셔터(34)의 주연방향으로 서로 즉시 인접하게 된다.
(패킹 부재)
밀봉 부재로써 패킹 부재(35)는 탄성 부재(도13, 도20 내지 도26)이다. 토너 입구(11a)는 용기 셔터(16)에 의해 기밀식으로 밀봉되는 것이 보장된다. 예로써, 토너 수용부(11) 내의 토너가 토너 공급 용기를 떨어뜨림 등에 의해 발생된 충격에 의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효과적이기 위해, 패킹 부재(35)는 토너출구(11a)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토너 수용부(11)의 외부 인접면에 부착된다. 특히, 패킹 부재(35)용 재료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포움 폴리에틸렌 고무 등과 같은 고무 재료 또는 이러한 고무로 제조된 스폰지이다. 강도가 20 내지 70(deg), 내구 압축 변형도가 10% 이하, 셀 크기가 60 내지 30 ㎛, 밀도가 0.15 내지 0.50 g, 압축비가 5 내지 50%인 얇은 포움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패킹 부재(35)는 토너 출구(11a)의 종방향 엣지의 다음 부분의 상부면이 토너 출구(11a)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패킹 부재(35)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토너 출구(11a)에 인접한 표면에 전술된 것처럼 끼워지는 형상을 갖는다.
(밀봉 부재)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설치될 때, 용기 셔터(16)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톱니(34c; 2개의 돌출부(34b) 사이의 공간)에 끼워진다. 톱니부(34c)는 주 조립체 셔터(34)를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표면(34b1)은 용기 셔터(16)용 안내부로써의 기능을 한다. 용기 셔터(16)가 주 조립체 셔터(34)의 톱니부(34c)에 끼워진 후에, 돌출부(34b)의 내향 인접면의 평면 즉, 주 조립체 셔터 개구(34b)의 테두리와 용기 셔터(16)의 내향 인접면의 평면은 대략 동일한 레벨이다. 도20 내지 도26에서, 용기 셔터(16)는 용기측 상의 표면 상에 있는 밀봉 부재(41)를 구비한다. 주 조립체 셔터(34)의 토너 입구(33) 다음의 돌출부(34b)의 내향 인접면을 덮기 위해, 밀봉 부재(41)는 용기 셔터(16)의 폐쇄 방향으로 용기 셔터(16)를 지나 하류로 연장된다. 밀봉 부재(41)는 용기 셔터(16)와 주 조립체셔터(34) 사이의 갭(g)으로 토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목적이 달성되는 한, 밀봉 부재(41)의 재료, 형상, 크기 및 부착 방법은 선택 사항이다.
본 실시예의 밀봉 부재(41)의 구조는 두께가 125 ㎛인 폴리에스테르 시트 한 장이 이중 측면 부착 테이프[#5000NC: 니토 덴코 사(Nitto Denko Co., Ltd.); 도29]를 사용하여 용기 셔터(16)에 밀봉 부재로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밀봉 부재(41)가 전술된 것처럼 주 조립체 셔터(34)의 돌출부(34b)를 덮기 위한 구조이기 때문에, 현수시키거나 또는 충돌시킴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11)의 설치 또는 제거하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다. 주 조립체 셔터(34)는 용기 인접면을 매끄럽게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밀봉 부재(41)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용기 인접면에 완벽하게 일치될 필요가 있다. 전술된 것처럼 필요하기 때문에, 밀봉 부재(41)는 가요성 시트 또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시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부재(41)를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토너 공급 용기(1)가 반복적으로 설치 또는 제거될 때 용기 셔터(16)가 반복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더라도 밀봉 부재(41)가 박피되지 않게 하는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다양하게 공지된 임의의 부착 수단은 전술된 이중 측면 부착 테이프에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성 중합체가 밀봉 부재(41)용 재료로써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밀봉 부재(41)는 2개의 색상 주입 성형에 의해 용기 셔터(16)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밀봉 부재(41)용 탄성 중합체와 용기 셔터(16)용 재료가 적합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밀봉 부재(41) 및 용기 셔터(16)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밀봉 부재의 기능)
밀봉 부재(41)의 기능은 아래에 설명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거될 때 즉, 용기 셔터(16)가 주 조립체 셔터(34)와 결합 해제될 때의 토너 공급 장치(100)의 주 조립체의 상태가 도28에 도시된다. 이 상태에서, 주 조립체 셔터(34)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토너 입구(33)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입구(33)가 밀봉되는 위치를 취한다.
도21에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상기 토너는 보충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 셔터(16)는 토너 출구(11a)로부터 후퇴되어 통로가 토너 출구(11a), 주 조립체 셔터 개구(34b) 및 토너 입구(33)를 통해 형성되게 허용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용기 셔터(16)의 표면에 인접하는 용기의 면과 주 조립체 셔터(34)의 개구(34d) 다음의 돌출부(34b)의 표면에 인접하는 용기의 면은 대략 동일한 레벨이다. 따라서, 밀봉 부재(41)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돌출부(34b)에 접촉하여 토너 통로를 기밀식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토너가 주 조립체 셔터(34)의 돌출부(34b)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토너 공급 용기(1) 내에 저장된 토너는 토너 출구(11a), 개구(34b) 및 토너 통로가 형성된 토너 입구(33)를 통해 토너 공급 장치(1) 내에 저장된 토너 공급 부재(29)의 작동으로 토너 교반-이송 장치(45) 즉, 토너 수용 장치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20 및 도21 각각의 부분 확대도인 도23, 도24에서, 셔터(16, 34)가 도23의 위치로부터 도24의 위치까지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밀봉 부재(41)의 단부가 주 조립체 셔터(34) 및 패킹 부재(35)의 돌출부 사이에서 끼워질(pinch)될 때에도 밀봉 부재(41)가 얇은 PET 시트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에서 토너 통로의 기밀은 깨지지 않는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밀봉 부재(41)의 두께는 50 ㎛ 이상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200 ㎛ 이하, 이상적으로는 1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밀봉 부재가 지나치게 두껍다면 주 조립체 셔터(34)와 토너 공급 용기(1) 사이의 갭을 적절하게 밀봉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만일 밀봉 부재가 지나치게 얇다면 주요 기능 즉, 토너가 용기 셔터(16)와 주 조립체 셔터(34)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없다. 결국, 토너 공급 용기(1)가 처리되는 동안, 특히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예로써, 밀봉 부재(41)는 박피되거나 주름진다.
밀봉 부재(41)의 두께는 밀봉 부재(41)가 패킹 부재(35)에 접촉하지 않은 지점으로 후퇴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제거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셔터 스트로크를 사실상 길게 하여 토너 공급 장치 및 토너 공급 용기의 소형 설계를 어렵게 한다.
경고 패널(124a)에서의 "토너 부족"의 경고등이 표시되기 전에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거되는 상태와 이러한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41)의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너의 실제량은 토너 공급 용기(1) 내에 저장된다.다시 말해서, 토너 공급 용기(1)의 소정의 토너 출구(11a), 주 조립체 셔터 개구(34d) 및 토너 공급 입구(33)는 토너로 충만된다. 토너 공급 용기(1)를 제거하는 제1 상태는 이 상태에서 개방부를 밀봉한다. 용기 셔터(16)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용기 셔터(16)에 결합된 주 조립체 셔터(34)는 토너 공급 용기(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용기 셔터(16)와 함께 이동한다. 주 조립체 셔터 개구(34d)에서 토너는 폐쇄 방향으로 방해받지 않으면서 이동되고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와 도25에 도시된 토너 교반-이송 장치(45) 내의 토너로 분리된다. 이러한 폐쇄 상태 중에 주 조립체 셔터(34)와 용기 셔터(16) 사이의 갭(G)은 도25에 도시된 것처럼 토너 출구(11a) 아래로 직접 통과한다. 따라서, 만일 도26 및 도27에 도시된 것처럼 밀봉 부재(41)가 없다면,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는 갭(g) 안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실제로 밀봉 부재(41)는 도25에 도시된 갭(g)을 덮어서 토너가 갭(g)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폐쇄 상태 동안, 밀봉 부재(41)와 용기 셔터(16)는 패킹 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도면에서)으로 발생하는 접촉 압력하에 있게 된다. 따라서, 밀봉 부재(41)의 엣지를 지나 연장되는 밀봉 부재(41)의 일부(41a)는 상기 용기가 주 조립체 셔터(34)의 표면에 인접한 상태로 가압되어 밀봉이 수행될 뿐만 아니라 주 조립체 셔터(34)의 돌출부(34b)의 표면에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주 조립체 셔터(34) 및 용기 셔터(16)는 도23에 도시된 것처럼 완벽하게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공급 용기(1)의 측면에서 밀봉 부재(41)의 연장부(41a)의 표면에 토너가 부착되더라도 용기 셔터(16) 및 토너 수용부(11)의외부면에 토너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밀봉 부재(41)의 전술된 연장부(41a)의 내향 인접면에 부착된 토너의 양은 매우 적고 또한 연장부(41a)에 부착된 토너의 위치는 그 자체와 토너 수용부(11) 사이에 발생된 작은 포켓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일단 토너가 연장부(41a)에 부착되면 이를 제거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좀처럼 포켓의 외부로 분산시키기 힘들다.
아래에 설명하는 이유로 전술된 연장부(41a)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연장 길이는 돌출부(34b)의 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 ㎜ 이상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8 ㎜ 이하, 이상적으로는 6 ㎜인 수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연장부(41a)가 지나치게 짧다면 전술된 갭(g)의 토너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만족스럽지 못하고, 또한 밀봉 부재(41)와 토너 수용부(11)가 형성하는 포켓은 얕아져서 토너를 보유할 수 없다. 또한, 주 조립체 셔터(34)의 돌출부(34b)의 표면에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만일 연장부(41a)가 지나치게 길어진다면 토너 공급 용기(1)가 설치되거나 또는 제거되는 것이 방해된다. 예로써, 토너 공급 장치(100)의 내부면의 여러 부분과 충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패킹 부재(35)가 연장부(41a)의 가장 먼 부분으로 전송되지 못해 발생된 압력은 밀봉 부재(41)가 밀봉 능력을 상실하게 한다. 명백하게, 상기 압력은 밀봉 부재(41)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밀봉 부재(41)의 연장부(41a)의 가장 먼 부분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행은 주 조립체 셔터(34)의 표면과 일치시키는 밀봉 부재(34)의 성능을 감소시키고 밀봉 부재(41)의 밀봉 성능을 상실시킨다. 또한, 만일 연장부(41a)가 지나치게 길다면 주 조립체 셔터 개구(34d)는 너무 작게 되어 토너의 통로를 간섭하게 된다.
(로킹 부재)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 공급 용기(1)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24)에 설치되기 전에 그리고 토너 공급 용기(1)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124; 도16 내지 도17)로부터 제거된 후에 핸들(15)이 토너 수용부(11)에 체결되도록 로킹 부재(51)를 구비한다.
로킹 부재(51)는 제1 플랜지(12) 특히, 제1 플랜지부의 로킹 부재 결합부(12g), 즉 제1 플랜지(12)의 단부판(12b) 바로 다음 부분의 주위에 회전식으로 끼워진다. 토너 공급 용기(1)는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도1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 및 이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이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제거된다.
로킹 부재(51)는 원통형 링부(51a), 즉 로킹 부재 결합부(12g) 주위에 끼워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전술된 단부판(12b)과 대면하는 노치(51b)를 구비한다. 노치(51b)는 제1 플랜지(12)에 구비된 체결 돌출부(12h)와 결합상태에 있다. 로킹 부재(51)는 핸들(15)의 단부판(15i)을 가압하는 아암형 스프링부(51c)를 포함한다. 주연방향 릿지를 구비한 제1 플랜지(12)는 원통형부(12e) 상에 있게 되고, 원통형부(12e) 주위에서 순환한다. 또한, 핸들(15)은 핸들(15)의 일부를 외향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스토퍼(15j)를 일체식으로 포함한다. 핸들(15)이 제1 플랜지(12; 도12)의 원통형부(12e)를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15j)의 팁은 전술된탄성부(51c)의 탄성에 의해 릿지(12i)와의 접촉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로킹 부재(51)는 스프링부(51c)의 탄성에 의해 제1 플랜지(12)의 단부판(12b)과의 접촉상태가 유지된다.
스프링부(51c)는 스프링부(51c)의 기부가 기부의 굽힘 응력의 집중에 의해 하얗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균일하게 절곡되는 팁방향으로 단면이 점차 감소된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부(51c)의 단면이 장방형일 때 팁방향으로의 폭 또는 두께는 점차 감소한다. 따라서, 스프링부(51c)는 기부로부터 팁까지 단면이 점차 감소한다.
링 부재(51)의 외향 인접면 상에 구비된 한 쌍의 결합 리브(51b)는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제거 방향으로 핸들(15)에서 절결된 홈(15k, 15m)에 하나의 홈에 하나씩 느슨하게 결합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제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 부재(51)의 결합 리브(51i)는 핸들(15)의 홈(15j)에 결합된다. 따라서, 핸들(15) 및 로킹 부재(51)는 주연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이 방지되지만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은 허용된다(도36, 도37).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제거 방향으로의 제1 플랜지(12) 상에 구비된 체결 돌출부(12h)의 길이는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제거 방향으로 각각의 홈(15k, 15m)을 각각 통과하는 결합 리브(51d)의 스트로크의 길이보다 작다. 또한,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제거 방향으로의 체결 돌출부(12h)의 길이는 핸들(15)의 홈(15j)을 통한 로킹 부재(51)의 결합 리브(51i)의 스트로크의 길이보다 작다.
상기 구조물을 설치하여 로킹 부재(51)의 노치(51b)는 로킹 부재(51)의 스프링부(51c)의 탄성에 의해 제1 플랜지(12)의 체결 돌출부(12h)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삽입되는 상태이거나, 토너 공급 장치(100)로부터 제거되는 상태이거나, 또는 토너 공급 장치(100)의 외부에 있는 상태이거나 상관없이 핸들(15)은 토너 수용부(11)에 대해 주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핸들은 제1 플랜지(12) 상에 구비된 돌출부(12h)와 체결부(51)의 노치(51b) 사이의 작동량과 동등한 6도 만큼 주연방향으로 슬립된다. 제1 플랜지(12)의 돌출부(12h)는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설치될 때 핸들(15)의 주연방향으로 토너 공급 장치(100)에 대해 핸들(15)을 적절히 정렬시키는 수단으로써 구비된다. 이러한 논점은 아래에 설명한다.
로킹 부재(51)에는 박편의 돌출부이며 스프링부(51c)에 인접한 결합 리브(51d)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래치(51e)가 제공된다. 래치(51e)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주 조립체(54)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로킹 부재의 기능]
이어서, 로킹 부재(51)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의 돌출부(54d)들 사이에 토너 공급 용기(1)의 안내부를(11k)를 결합시킴으로써 토너 공급 장치(100)에 삽입됨에 따라, 용기 셔터(16)와 주 조립체 셔터(34)는 서로 결합한다. 용기 셔터(16)가 주 조립체 셔터(34)와 결합하는 동안, 용기 셔터(16)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16d)는 구동력 전달 결합부(21g)와 부분적으로 맞물리고, 그 후 바로 핸들(15)의 구동력 전달결합부(15a)가 구동력 수용 결합부(21a)와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용기 셔터(16)가 주 조립체 셔터(34)와 부분적으로 맞물리고 난 후, 전술된 밀봉 부재(41)의 연장부(41a)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입구부(34e)를 지나 돌출부(34b) 상에 탑승한다.
그 다음, 핸들(15)이 설치 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결합 리브(51d) 상에 제공된 돌출부(51d1)는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의 타격면(54e)과 접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래치(51e)는 도17(도36과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54f)과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 핸들(15)이 더욱 더 밀림에 따라, 핸들(15), 제1 플랜지(12), 토너 수용부(11), 제2 플랜지(13) 등은 도16의 화살표로 표시된 동일 방향으로 함께 진행하고,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2)의 로킹 돌출부(12h)가 노치(1b)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핸들(15)은 토너 공급 용기(1) 장착 방향(도17의 화살표 방향)의 상류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 다음, 핸들(15)이 회전됨에 따라, 로킹 부재(15)는 핸들(15)과 함께 회전하고, 즉시, 래치(51e)가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도38과 도39)의 하부(54a)의 접촉면(54f)에 일체로 제공된 요홈(54g)에 결합된다. 요홈(54g)은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의 하부(54a)의 원통벽 상의 주연 방향으로 연장하여, 호를 형성한다. 요홈(54g)에 결합하고 난 후, 래치(51e)는 토너 입구(11a)와 주 조립체 셔터(34)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요홈(54g) 내에 남는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의 토너 공급 장치(100)로의 설치 후, 토너 공급 작동이 수행되는 동안, 토너 공급 용기(1)는 토너 공급장치(100)의 바깥으로 간단히 당겨질 수 있다. 즉, 토너 공급 용기(1)는 래치(51e)가 용기 셔터(16) 및 주 조립체 셔터(34)가 폐쇄될 때만 호형 요홈의 바깥으로 나오기 때문에, 용기 셔터(16) 및 주 조립체 셔터(34)가 폐쇄될 때만 토너 공급 장치(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 기구에 있어서, 로크 해제 돌출부의 수가 단지 하나라면, 모멘트 및/또는 변형이 로킹 부재(51)에 발생하여, 로킹 부재(51)가 원할하게 활주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로크 해제 돌출부의 수가 복수라 하더라도, 이들이 불균일하게 분포된다면,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다수의 로크 해제 돌출부가 가능한 한 등간격으로 주연 방향으로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대략 180도 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돌출부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래치(51e)는 또한 로크 해제 돌출부로서의 기능을 하고, 돌출부(51d1)와 로킹 부재(51)의 중심을 연결하는 반경 방향 선과 래치(51e)와 로킹 부재(51)의 중심을 연결하는 반경 방향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대략 150도이다.
이어서, 도37을 참조하여 로킹 부재(51)의 로크 해제 타이밍을 설명하기로 한다. 로킹 부재가 회전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로킹 돌출부(12h)에 로킹 돌출부(12h)의 외향 인접면으로부터 로킹 부재(5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h1)가 제공되어 핸들(15)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핸들(15)이 돌출부(12h)가 노치(51b)에 결합되는 지점으로부터 결합 리브의 요홈(15m)의 요홈벽(15n)들 중 하나와 접촉하는 지점까지 회전하는 각도(B)는 대략 90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홈(15n)은 핸들(15)의 [래치(51e)가 위치 측면 상의] 결합 리브(51d)가 위치되는요홈이다. 로킹 부재(51)의 노치(51b)와 로킹 돌출부(12h)사이의 관계에 관해서, 노치(51b)는 그 중심 각도(A)의 관점에서 충분히 넓게 만들어져, 그 주연 방향으로 6도의 유극이 핸들(15)용으로 적당하다.
토너 공급 용기(1) 내의 토너가 비워진 후에 토너 공급 용기(1)를 새 것으로 교체하기 위해서, 핸들(15)은 이를 핸들(51)이 토너 공급 용기(1)의 장착 동안 복귀되는 방향[토너 공급 용기(1)이 토너 공급 장치(100)가 삽입되는 방향의 상류측에서 볼 때 시계 반대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래치(51e)는 호형 요홈(51e)으로부터 해제되고, 로킹 부재(51)는 로킹 부재 결합부(12g) 상에서 되돌아 그 원래 위치, 즉 로킹 돌출부(12h)가 스프링부(51c)의 탄성으로 인해, 로킹 부재(51)의 링부(51a)의 노치(51b)에 결합되는 상태로 남게 되는 위치까지 활주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 부재(51)는 토너 수용부(11)의 방향으로 스프링부(51c)에 의해 발생된 압력하에 있기 때문에, 이는 전술한 로킹 돌출부(12h)와 로킹 부재(51)의 노치(51b)를 서로 결합하도록 만드는 방향으로 활주해서, 핸들(51)을 로킹하다.
(토너 카트리지의 조립 공정)
토너 카트리지의 조립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 전에, 구성 부품들은 이물질, 먼지 등을 회피하도록 공기 블로우(air blow), 진공 흡인 등에 의해 세척된다.
먼저, 토너 수용부(11)와 제1 플랜지(12)가 연결된다. 이는 초음파 용접,고온 용융 접착 재료,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행해진다.
그 다음, 이송 축(27)이 이송 블레이드(28)에 체결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송 블레이드(28)에 제공되는 결합 구멍(28c)을 통해 이송 축(27)의 보스(27b)를 관통시키는 것은 충분하다.
이송 축(27)과 그에 체결된 이송 블레이드(28)에 의해 구성된 토너 이송 부재(29)는 커플링(26a)을 사용하는 제2 플랜지(13)와 함께 조립된다. 이 때, 오일 밀봉체, 펠트 밀봉체 등과 같은 패킹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커플링(26a)과 제2 플랜지(13)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공된 조립체는 토너 수용부(11)에 장착된다. 이것도 또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융 접착 재료, 접착 테이프 등으로 행해진다. 높은 재활용 효율이라는 관점에서, 접착 테이프(64)(도1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패킹 부재(35)가 토너 배출 개구(11a)를 폐쇄하도록 부착된다. 밀봉 부재(41)가 부착된 용기 셔터(16)가 토너 배출 개구(11a)를 덮도록 장착된다.
그 다음, 토너가 토너 충전 개구(12a) 속에 충전되고, 캡(14)을 토너 충전 개구(12a) 속에 가압-끼워 맞춘다. 토너 충전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도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이거식(auger type) 충전 기계(6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1)의 외측이 세척된다. 세척 방법은 공기 블로우 또는 진공 흡인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 다음에 천(waist cloth)에 의해 닦여진다. 세척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로킹 부재(51)가 장착되고 핸들(15)이 최종적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가 조립될 수도 있다.
(토너 공급 작동)
이어서, 이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를 채용한 토너 공급 작동을 일반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1)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
먼저, 장치 주 조립체(124)에 제공되는 리드(121)는 조작자를 향해 90도 만큼 개방된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1)의 안내부(11k)는 토너 공급 장치(100)의 돌출부(54c)들 사이의 요홈(54h)(도20) 속으로 결합된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1)가 커플링(26a)이 제공된 측부로부터 토너 공급 장치(100) 속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먼저 토너 공급 용기(1)의 용기 셔터(16)와 토너 공급 장치(100)의 내부의 주 조립체 셔터(34)가 서로 결합한다. 그 다음, 구동력 전달 결합부(21g)와 용기 셔터(16)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16d)가 서로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토너 공급 장치(100)측 상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21a)와 핸들(15)의 구동력 전달 결합부(15a)가 서로 결합한다.
(2) 토너 공급 용기의 위치 설정과 토너의 공급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토너 공급 용기(1)를 구비해서, 조작자가 수동으로 90도 만큼 핸들(1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 구동력, 즉 조작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핸들(15)의 구동력 전달부로서의 구동력 전달 결합부(15a)로부터 토너 공급 장치(100)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21a)를 통해 구동력 전달 부재(21)에 전달된다. 그 다음, 이 힘은 구동력 전달 결합부(21g)로부터 용기 셔터(16)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16d)에 더욱 더 전달된다. 전술된 방식으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용기 셔터(16)는 토너 수용부(11)의 셔터 지지 부재(11e)와 결합하는 동안 토너 수용부(11)의 주연 방향으로 활주된다. 이러한 용기 셔터(16)의 활주 이동 동안, 주 조립체 셔터(34)는 용기 셔터(16)와 함께 이동한다. 그 결과, 토너 수용부(11)의 토너 출구(11a), 주 조립체 셔터(34)의 개구(34d), 그리고 토너 공급 장치(100) 내의 토너 입구(33)는 모두 동시에 개방된다. 그 다음, 장치 주 조립체(124)의 커플링(44)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는 커플링(26a)을 통해 토너 이송 부재(29)를 회전시킴으로써 토너 공급이 시작된다.
전술된 작동 동안, 토너 수용부(11)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 결과, 토너 공급 용기(1)는 핸들(15)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고정된 상태로 남는다.
(3) 토너 공급 용기의 제거
조작자는 핸들(15)을 90도 만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토너 카트리지의 설치(2) 동안 가해지는 구동력과 다른 방향의 구동력이 토너 공급의 설치시 토너 출구(11a)를 폐쇄시키는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전달되고, 주 조립체 셔터(34)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개구(34d)와 토너 입구(33)를 폐쇄해서 토너 보충 순서를 완성한다.
토너 공급 용기(1)는 커플링(26a)측으로부터 토너 공급 장치(100)에 설치된다. 이는 용기 셔터(16)의 결합부(16d)가 장치 주 조립체(124)의 결합부(21a)를 지나 결합부(21g), 즉 주 조립체(124)의 내향하는 하나와 결합한다. 따라서, 세그먼트 기어 형태의 결합부(16d)의 치(teeth)의 팁을 연결하는 이론상의 원의 직경은 세그먼트 기어 형태의 결합부(15a)의 치의 기부를 연결하는 이론상의 원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토너 수용부는 토너 공급 순서 동안 이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토너 수용부의 형태에 대한 제한은 없다. 따라서, 토너 수용부에 대해 최고 공간 효율을 제공하는 형태가 토너 수용부용 형태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셔터 및 핸들은 2개의 분리된 구성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토너 출구가 핸들 다음일 필요는 없다. 그 결과, 토너 공급 용기의 설계시 보다 폭넓게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경우에, 핸들에 가해지는 구동력은 다수의 결합부들, 즉 핸들의 결합부, 구동력 전달 부재의 결합부 및 셔터의 결합부를 통해 셔터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에 전달된다. 그 결과, 결합 비(기어 비)의 관점에서 이들 결합부를 더욱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활주될 거리가 길 때, 핸들이 회전되어야 만 될 각도는 핸들의 결합 비(기어 비)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고, 셔터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데 필요한 토크가 높을 때, 핸들을 작동(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는 핸들의 결합 비(기어 비)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핸들이 셔터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되는 각도는 90도가 되게 만들어져서,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공급 장치에 설치할 때, 두꺼운 단부(15e)는 수직으로 위치 설정되고, 핸들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시킴으로써 토너가 배출되고 난 후에, 핸들의 두꺼운 단부(15e)는 수평으로 위치 설정된다. 이러한 배열은 조작자가 토너 공급 용기를 작동시키고 또한 토너 공급 용기(1)의 상태를 인식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만든다. 작동 효율 및 편리함을 위해, 핸들(15)이 셔터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되는 각도는 60 내지 120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교반-이송 장치)
토너 공급 장치(100)에는 토너 교반-이송 장치(45)가 제공된다. 도20과 도21을 참조하면, 토너 공급 장치(100)에는 케이스(48)가 제공되고, 이는 아래로부터 토너 입구(33)를 덮는 방식으로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에 고정된다. 케이스(48)는 길이 방향 치수에서 토너 공급 장치(100)와 대략 동일한 치수이다. 케이스(48)에, 교반 스크류(46, 47)가 배치되고, 케이스(48)에 의해 지지되어서 이들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교반 스크류(46, 47)는 케이스(48)의 내부 공간을 2개의 챔버(48A, 48B)로 분할하는 격벽(48a)에 의해 분리되고, 이들은 토너 입구(33)에 대향하는 측 상의 격벽(48a)에 제공되는 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거기에는 교반 스크류(46, 47)가 각각 배치되고, 교반 스크류(46)는 대각선으로 교반 스크류(47) 위에 있다. 케이스(48)에는 토너 출구(48b)가 제공되는데, 이는 토너 입구(33)와 동일한 종방향 단부에 위치되고, 현상 장치(201)에 이른다.
상기 구조적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토너가 토너 입구(33)를 통해 공급됨에 따라, 회전 토너 교반 스크류(46)는 교반 중에 챔버(48A)를 통해 토너 입구(33)측으로부터 대향측까지 종방향으로 토너를 이송해서, 토너를 격벽(48a)에 제공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챔버(48B) 속으로 떨어뜨리게 만든다. 토너 교반 스크류(47), 즉 하부에서의 하나는 교반 중에 토너 교반 스크류(46)의 토너 이송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토너를 이송한다. 결과적으로, 토너가 토너 출구(48B)를 통해 현상 장치(201) 속으로 공급된다.
(정밀 위치 설정 수단)
토너 공급 용기 및 그와 관련된 구성 부품들을 생산시 비용을 절약한다면, 즉 고정밀도의 구성 부품들이 토너 공급 용기 및 관련 구성 부품의 생산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구동 트레인, 즉 회전하는 핸들로부터 셔터까지의 구동력 전달 접합부에는, 예를 들어 기어 백래시(backlash)를 초래하는 과도한 양의 유극 및/또는 변형 문제가 생기는 것이 필연적인 일이다. 이러한 많은 양의 유극 및/또는 변형이 있음으로 인해, 구동 트레인의 출력 스트로크는 입력 스트로크에 일대 일로 대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셔터가 개방된 후에, 그 원래의 위치로 내내 되돌아오지 못하는 상태가 때때로 발생한다. 셔터가 이러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토너 공급 용기는 일단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제거되어, 장치 주 조립체에 재설치되고, 폐쇄 스트로크 다음의 토너 공급 용기의 셔터의 최종 위치와 원래의 위치 사이의 거리는 이전 설치에서 보다 더 크다. 즉, 거리가 설치 및 제거의 반복과 함께 계속 증가한다.
주 조립체 셔터와 용기 셔터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전술된 설계의 경우에, 전술된 셔터와 같은 셔터의 오정렬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새 토너 공급 용기(셔터는 원래의 위치에 있음)를 장치 주 조립체에 설치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데, 이는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토너 공급 용기를 설치할 때, 핸들 및 셔터가 장치 주 조립체 측 상의 구동 트레인 기어와 결합되기 시작하기 전에, 핸들이 이론적으로 필요한 각도 이외에 소정 각도 만큼 셔터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고, 토너 공급 용기를 제거할 때, 핸들은 이론적으로 필요한 각도 이외에 전술된 소정 각도 만큼 셔터의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특징을 갖는 토너 공급 용기 및 장치 주 조립체의 관련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과도한 유극에 기인한 기어 백래시 등이 필요로 하는 스트로크의 추가 길이를 보상하고, 셔터가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어서, 전술된 특징을 제공하는 수단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0, 도11, 도33 및 도34를 참조하면, 핸들(15)에는 접촉부로서의 핸들 돌출부(61)가 제공되고, 이는 핸들(15)의 외향 인접면 상에 위치된다. 핸들 돌출부(61) 및 그 인접부들을 위에서 본 개략 평면도인 도40 내지 도42를 참조하면, 핸들 돌출부(61)는 캠 종동부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고, 접촉면(61a)을 갖는 부분은 도40 내지 도42의 수직 방향의 관점에서 기부 부분 보다 좁다. 이는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의 하부(54b)의 상부 판의 내향 인접면 상에 제공된 주 조립체 돌출부(62)와 접촉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돌출부(61, 62)는 각각 종동부와 캠으로서 조합하여 작동한다.
주 조립체 돌출부(62)의 캠부는 프로파일에 있어 각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면의 상승은 주 조립체 돌출부(62)의 캠부의 중심 각도, 즉 캠면의 최고점과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반 원통형 하부(54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캠면의 기부와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가 토너 공급 용기(1)와 토너 공급 장치(100) 사이의 회전 방향으로 유극을 보상할 정도로 충분히 크게 만드는데 충분하다. 이 중심 각도는 6도 정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중심 각도는 6도이다.
이어서, 핸들 돌출부(61)와 주 조립체 돌출부(62)의 위치 관계와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3과 도42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핸들 돌출부(61)는 상승이 없는 지점에서의 캠면 상에서 주 조립체 돌출부(62)와 접촉하게 되는 지점에 도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15)의 구동력 전달 결합부(15a)와 주 조립체측 상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21a)는 거리(L1) 만큼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고, 이 거리는 이러한 상태에 있는 핸들 돌출부(61)가 가장 높은 상승을 수용하도록 이동되어야만 될 거리(L2)와 같다.
토너 공급 용기(1)가 도33과 도42에 도시된 지점으로부터 토너 공급 장치(100) 속으로 더욱 더 삽입됨에 따라, 핸들 돌출부(61)는 핸들(15)을 회전시키는 동안 주 조립체 돌출부(62) 상에서 활주한다. 핸들 돌출부(61)가 주 조립체 돌출부(62)의 캠 크레스트(crest)로 활주할 때까지, 핸들(15)은 6도 만큼 회전된다. 핸들(15)의 결합부(15a)의 치 팁은 토너 공급 장치(100)의 결합부(21a)의 대응부에접촉하고, 이와 동시에 핸들 돌출부(61)는 주 조립체(62)의 캠 크레스트에 도달한다. 용기 셔터(16)의 겹합부(16d)의 치 팁은 결합부(15a, 21a)들 사이의 그들의 치 팁에 의한 접촉 약간 전에 주 조립체 측 상의 결합부(21g)의 대응부와 접촉하게 된다. 즉, 용기 셔터(16)의 결합부(16d)와 주 조립체 측 상의 결합부(21g)와의 결합이 핸들(15)의 결합부(15a)와 토너 공급 장치(100)의 결합부(21a)의 결합에 약간 앞서 발생한다.
도40을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로 더욱 더 삽입됨에 따라, 핸들(15)의 구동력 전달 결합부(15a)와 토너 공급 장치(100)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21a)는 서로 맞물린다. 즉, 용기 셔터(16)의 구동력 수용 결합부(16d)는 도19에 도시된 구동력 전달 결합부(21g)와 그들 치의 전체 범위를 가로질러 맞물린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1)가 도4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40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핸들(15)은 회전하지 않으며, 핸들 돌출부(61)는 도40에 도시된 부유 위치에 남고, 이는 주 조립체 돌출부(62)의 캠 크레스트에 대응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핸들 돌출부(61)가 주 조립체 돌출부(62)에 의해 변위됨에 따라, 핸들(15)은 6도 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유극의 임의의 양이 핸들(15)과 제1 플랜지(12)의 상호 인접면들 사이에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6 과 도17을 참조하면, 토너 공급 용기(1)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있지 않을 때, 핸들(15)이 6도 만큼 회전하는 것을 허용할 만큼 충분히 큰 유극이 핸들(15)의 주연 방향으로 로킹 부재(51)의 노치(51b)의 활주면과 제1 플랜지(12)의 로킹 돌출부(12h) 사이 및 또한 요홈(15k, 15m)의 표면들과 제1 플랜지(12)의 대응하는 결합 리브(51d)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핸들(15)이 핸들 돌출부(61) 및 주 조립체 돌출부(62)에 의해 회전되기 전에, 용기 셔터(16)를 소정 위치에서 주 조립체 셔터(34)와 결합시키기 위해서, 토너 공급 장치 주 조립체(54)의 하부(54a)에는 위치 설정 돌출부(63)가 제공되고, 이는 하부(54a)의 내향 인접면상에 위치되어 있고, 이에 대항하여 토너 공급 용기(1)의 선단 방향에 대해 선단측 상의 용기 셔터(16)의 단부면이 도38과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한다. 이 돌출부(63)는 프로파일에 있어 각진 캠면을 갖고, 이 돌출부(63)의 캠 크레스트의 위치는 용기 셔터(16)가 고정되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만입부의 상호 인접면들 중 하나가 소정의 위치로 가는 타이밍에 대응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삽입될 때, 용기 셔터(16)의 챔퍼면(16q)은 돌출부(63)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용기 셔터(16)는 토너 공급 용기(1)의 원주 방향으로 주 조립체 셔터(34)에 대한 위치 관계가 제어된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더 삽입될 때, 챔퍼면(16q)에 연결된 셔터(16)의 종방향 엣지(16r1)는 용기 셔터(16)가 주 조립체 셔터(34)의 방향으로 끼워지는 동안 돌출부(63)에 대항하여 활주한다. 용기 셔터(16)의 이러한 이동 중에, 용기 셔터(16)의 대향 측면 상의 용기 셔터(16)의 챔퍼면(16p)은 주 조립체 셔터(34)의 대응면 상의 돌출부(34b)의 코너에 위치된 챔퍼면(34b2)과 접촉하여, 용기 셔터(16)의 주 조립체 셔터(34)에 대한 위치 관계를 제어한다. 토너공급 용기(1)가 더 삽입될 때, 챔퍼면(16q)은 주 조립체 셔터(34)의 챔퍼면(34b3)과 결합한 후, 용기 셔터(16)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돌출부(34b)의 상호 대면하는 표면들(34b1) 사이의 오목부(공간) 내로 전진한다. 그 다음, 용기 셔터(16)가 주 조립체 셔터(34)의 오목부 내로 도38에 도시된 지점으로 전진할 때, 토너 공급 용기(1) 측부 상의 결합부(15a, 16d)는 토너 공급 장치(100)의 측부 상에 결합부(21a, 21g)와 맞물리기 시작한다. 대응 결합부들이 기어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마진 만큼 서로 맞물릴 때, 용기 셔터(16)와 주 조립체 셔터(34) 사이의 위치 관계는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셔터(16) 측부 상의 종방향 엣지(16r)의 (주 조립체 셔터(34)에 대한 용기 셔터(16)의 전진 방향으로의) 상류 단부에서의 챔퍼면(16s)은 돌출부(63)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전술된 과정 중에, 토너 수용부(11)의 토너 출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용기 셔터(16)의 이동에 대항하는 저항은 주 조립체 셔터(34)의 개방 및 폐쇄에 대항하는 저항과 비교하기에 충분히 큰 데, 이는 용기 셔터(16)가 패킹 부재(35)에 의해 생성된 압력 하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돌출부(63)는 용기 셔터(16)의 위치를 조절하고, 용기 셔터(16)는 주 조립체 셔터(34)의 위치를 조절한다.
전술된 구조 및 그 기능을 마련하여, 주 조립체 셔터(34) 및 용기 셔터(16)의 위치는 이들의 결합 후에도 항상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공급 장치(100) 내에 삽입되는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볼 때 시계 방향으로 84도 만큼 사용자가 핸들(15)을 회전시켰을 때, 2개의 셔터(16, 34)는 그들의 개방 방향으로 50도 회전되어, 이들은 완전히 개방된다.
토너 공급 장치(100)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1)를 제거할 때, 사용자에게는 반시계 방향, 즉 전술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90도 만큼 핸들(15)을 회전시키도록 요구된다. 핸들(15)이 회전될 때, 2개의 셔터(16, 34)는 그들의 폐쇄 방향으로 50도 만큼 그들의 원래 위치로 회전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셔터(16, 34)의 개방 중에 핸들(15)의 회전각, 셔터(16, 34)의 폐쇄 중에 핸들(15)의 회전각, 셔터(16, 34)의 개방 중에 셔터(16, 34)의 회전각, 그리고 셔터(16, 34)의 폐쇄 중에 셔터(16, 34)의 회전각 사이의 관계는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는다. 이러한 불일치는 전술한 기어 백래시, 핸들과 셔터와 축의 변형 또는 굽힘 등에 의하여 토너 공급 용기가 토너 공급 장치에 대하여 상대 운동을 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므로, 셔터들은 핸들이 설치를 위해 회전되기 전에 백래시 및/또는 변형을 보상하기 위하여 회전 부재(15)가 6도 만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토너 공급 용기(1)를 토너 공급 장치(100)의 외부로 밀 때, 핸들(15)은, 다음 사용을 위하여 토너 공급 용기(1)를 준비하도록 핸들 돌출부와 주 조립체 돌출부(62)의 결합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1)를 설치할 때와 같이, 개방 방향으로 6도 만큼 예비 회전된다. 만일 핸들(15)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시키지 않고 (예를 들어, 단지 80도 만큼 회전시켜) 토너 공급 용기(1)를 당겨서 빼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 용기 셔터(16) 및 주 조립체 셔터(34)가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토너 공급 용기(1)가당겨지면, 용기 셔터(16)의 챔퍼면(16s)은 토너 공급 장치(100)의 돌출부(63)와 결합하고, 용기 셔터(16) 및 주 조립체 셔터(34)를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강제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재생 과정)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상술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에 사용되고, 토너를 다 써버린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재생을 위해 다시 수집된다. 수집된 토너 카트리지는 다음의 과정으로 재생된다.
1) 핸들(15)은 토너 수용부(11)로부터 탈거된다.
이는 적절한 공구에 의해 결합부를 확장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로킹 부재(51)는 제거된다.
2) 캡(14)은 플랜지(12)로부터 제거된다.
이는 수동으로 당겨 빠질 수 있으나, 니퍼와 같은 공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캡이 재사용되는 것일 때, 캡(14)은 손상되지 않도록 수동으로 또는 적절한 공구로 제거된다.
3) 용기 셔터(16)는 토너 수용부(11)로부터 탈거된다.
이는 용기 셔터(16)를 개방 방향으로 활주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수행된다.
4) 제2 플랜지(13) 및 토너 공급 부재(29)는 토너 수용부(11)로부터 탈거된다.
이는 토너 수용부(11) 및/또는 제2 플랜지(13)에서 접착 테이프(64)를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토너 공급 부재(29)가 제2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토너 수용부(11)로부터 제2 플랜지(13)를 탈거함으로써 토너 교반 부재(29)는 토너 수용부(11)에서 탈거된다.
5) 떨어져 놓인 다양한 부품들은 세척된다.
공기 블로우, 진공 흡인 등은 세척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만일 필요하다면, 이들은 천 등으로 닦인다.
6) 토너 공급 부재(29)는 분리된다.
여기에서, 공급 블레이드(28)만이 탈거된다. 이는 공급 블레이드(28)의 일단부를 파지하고 공급축(27)의 축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수행된다. 공급 블레이드(28)가 (공급 블레이드(28)의 적절한 기능을 방지하는 결함으로서) 절첩되거나, 표백되거나, 절곡되거나, 또는 변형되지 않을 때, 이는 재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기능적인 관점에서 이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공급 블레이드(28)는 공급축(27)에 장착된다.
이는 공급 블레이드(28)의 구멍 부분(28A)을 통하여 공급축(27)의 보스(27b)를 관통함으로써 수행된다.
8) 토너 공급 부재(29)는 토너 수용부(11)와 함께 조립된다.
이는 제2 플랜지(13)를 고정시키고 토너 공급 부재(29)를 토너 수용부(11)에 고정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고정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재생하기 용이하다는 관점으로 앞에서 서술된 접착 테이프(64)를 사용하는 것이다.
9) 용기 셔터(16)는 토너 수용부(11)에 장착된다.
용기 셔터(16)는 보다 나은 재생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재사용된다.그러나, 새로 성형된 용기 셔터(16)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용기 셔터(16) 상의 밀봉 부재(41)가 새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토너 토출 출구(11a)를 밀봉하는 패킹 부재(35)는 재활용 또는 교체될 수 있다.
10) 토너는 토너 충전 개구(12a)를 통하여 공급되고, 캡(14)은 토너 충전 개구(12a) 내에 가압 끼워 맞춤된다.
토너 충전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도46에 도시된 나사 송곳(auger) 타입의 충전 기계(6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된 토너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새 카트리지와 동일하지만, 더 많거나 또는 더 작을 수 있다. 캡(14)은 바람직하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보다 나은 재생 효율의 관점에서 재사용된다. 그러나, 캡(14)은 새로 주형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만일 충전 포트(12a)를 밀봉할 수 있다면, 캡의 구성은 원래의 것과 다를 수 있다.
11) 토너 공급 용기(1)의 외부면이 세척된다.
세척 방법은 공기 블로우 또는 진공 흡인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다음 이들은 천 등으로 닦인다. 세척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12) 토너 누출이 점검된다.
이 단계는 토너 공급 용기(1)의 외부로 토너가 누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13) 핸들이 장착된다.
제거된 핸들(15)은 재사용될 수 있고, 또는 새 핸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핸들(15)은 핸들(15)의 유지부(15j)가 (도16의) 제1 플랜지(12)의 돌출부(12i)로 확실하게 걸리도록 밀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카트리지가 재사용되어, 그에 의해 자원 및 에너지가 절약되고, 폐기물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공급 블레이드가 제거되는 공급축은 어떠한 결함도 갖지 않아서, 여러 번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가 거친 토너 입자 없이 새 카트리지와 같이 우수한 화상의 질을 갖고서 만족스러운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토너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지만,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토너 수용부, 그리고 현상 장치 세척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현상제 교반 부재의 제조 단계가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부품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여기에 기술된 구조를 참고로 설명되지만, 이는 상세히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출원은 본 발명의 목적 또는 후속하는 청구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변형을 다루려는 것이다.

Claims (44)

  1.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내에 마련된 현상제 교반 부재이며,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회전식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돌출부들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개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들 각각에는 구멍 및 상기 구멍과 연결된 슬릿이 제공되며,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돌출부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50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 필름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들의 각각에는 상기 구멍에 연결된 추가 슬릿이 제공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릿들의 각각에는 추가 구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대직경부, 및 상기 대직경부와 축부 사이의 소직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는 상기 돌출부들과 상기 개구들이 함께 로킹되도록 상기 개구들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폭은 상기 소직경부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소직경부는 돌출부들과 개구들이 함께 로킹되도록 상기 구멍 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구멍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폭과 상기 구멍의 폭 사이의 차이의 반이 소직경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부의 폭과 상기 구멍부의 폭 사이의 차이의 반이 소직경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지지 부재에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교반 부재는 현상제를 현상제 용기가 제공된 개구를 통해서 현상제 용기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15. 삭제
  16.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내에 마련된 현상제 교반 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이며,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개구를 구비한 교반 블레이드를 마련하는 단계와,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 회전식 지지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돌출부들과 개구들을 로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들 각각에는 구멍과 상기 구멍에 연결된 슬릿이 제공되며,
    상기 로킹 단계는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대직경부, 및 상기 대직경부와 축부 사이의 소직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부는 돌출부들과 개구들이 함께 로킹되도록 상기 개구들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 내에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해 제공된 현상제 교반 부재용 조립 방법이며,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해 복수개의 개구가 제공된 교반 블레이드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돌출부가 제공된 회전성 지지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돌출부들을 상기 개구들로 로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 축부가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대직경부, 및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축부 사이의 소직경부가 제공되며, 상기 소직경부는 상기 돌출부들과 상기 개구들이 함께 로킹되도록 상기 개구들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들의 길이는 대직경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폭과 구멍부의 폭 사이의 차이의 반이 소직경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부의 폭과 구멍부의 폭 사이의 차이의 반이 소직경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지지 부재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방법이 현상제 교반 부재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방법이 현상제 용기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내에 마련되고,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 블레이드와 이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식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지지 부재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도록 된, 현상제 교반 부재의 재생 방법이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 부재로부터 탈거하는 단계와,
    탈거 공정 후에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새로운 교반 블레이드를 상기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회전 축 방향내에 연장된 축부와 상기 회전 축 방향내에 배열된 복수개의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에는 상기 돌출부들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과 상기 구멍으로부터 대향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삭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 단계는 교반 블레이드의 일단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내에 마련된 현상제 교반 부재이며,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돌출부들과 상기 지지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된 축부가 제공된 회전식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돌출부들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개구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들에는 대직경부, 및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축부 사이의 소직경부가 제공되며,
    상기 소직경부는 상기 돌출부들과 상기 개구들이 함께 로킹되도록 상기 개구들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50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 필름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성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들의 각각에는 상기 구멍에 연결된 추가 슬릿이 제공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릿들의 각각에는 추가 구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폭은 상기 소직경부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소직경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개구가 서로 함께 로킹되도록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구멍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폭과 상기 구멍의 폭 사이의 차이의 반이 소직경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부의 폭과 상기 구멍의 폭 사이의 차이의 반이 소직경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지지 부재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교반 부재는 현상제를 현상제 용기가 제공된 개구를 통해서 현상제 용기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39.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내에 마련된 현상제 교반 부재이며,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교반 블레이드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식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재생을 위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기계식 체결에 의해서만 상기 회전식 지지 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40.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내에 마련된 현상제 교반 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이며,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해 교반 블레이드를 마련하는 단계와,
    교반 블레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식 지지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재생을 위해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기계식 체결에 의해서만 상기 회전식 지지 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현상제 교반 부재를 재생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현상제 용기를 재생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직경 또는 폭은 상기 소직경부의 직경 또는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구멍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63414A 1999-10-27 2000-10-27 현상제 교반 부재 및 그 재생 방법 KR100389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579699A JP2001125351A (ja) 1999-10-27 1999-10-27 トナー撹拌部材およびトナー供給容器
JP99-305796 1999-10-27
JP2000054039A JP2001242691A (ja) 2000-02-29 2000-02-29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トナー搬送部材の再生方法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0-054039 2000-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362A KR20010067362A (ko) 2001-07-12
KR100389086B1 true KR100389086B1 (ko) 2003-06-25

Family

ID=2656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414A KR100389086B1 (ko) 1999-10-27 2000-10-27 현상제 교반 부재 및 그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70163B1 (ko)
EP (1) EP1096330B1 (ko)
KR (1) KR100389086B1 (ko)
CN (1) CN1306228A (ko)
DE (1) DE6002646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3311B1 (en) * 2001-02-19 2012-08-2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US6987942B2 (en) * 2002-04-24 2006-01-17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kit
EP1357441B1 (en) * 2002-04-24 2007-03-1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6980755B2 (en) * 2002-09-30 2005-12-27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ing method for developer supplying unit including the step of driving a feeding member in a direction to feed developer from a developer supply port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JP4343625B2 (ja) * 2003-08-29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798946B2 (ja) 2003-11-17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装置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DK1859323T3 (da) 2005-03-04 2014-06-30 Canon Kk Fremkalderforsyningsbeholder og fremkalderforsyningssystem
US7983590B2 (en) * 2007-10-02 2011-07-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ing unit having shutter for controlling supply of developer therebetween
JP5233566B2 (ja) * 2007-12-20 2013-07-1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ホッパ、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532542B2 (en) * 2009-07-23 2013-09-10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container
JP2012008531A (ja) 2010-05-26 2012-01-12 Canon Inc 現像剤撹拌部材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660312B2 (ja) * 2011-01-26 2015-01-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搬送装置、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888186B2 (ja) * 2012-08-27 2016-03-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現像装置
JP6066281B2 (ja) * 2012-12-04 2017-01-2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280087B2 (en) * 2013-11-20 2016-03-08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latching system for retaining a replaceable unit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8761639B1 (en) * 2013-11-20 2014-06-24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latching mechanism
US9360796B2 (en) * 2014-06-05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Angled toner paddles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9291992B1 (en) 2014-12-19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an imag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85758B1 (en)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411303B1 (en) 2015-04-10 2016-08-09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stop assembly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565325B1 (en) * 2015-07-24 2017-02-0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10203628B1 (en) 2017-10-02 2019-02-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agitator assembly
US20220268616A1 (en) * 2019-09-20 2022-08-25 Hitachi Zosen Corporation Powder supply apparatus
US11281123B2 (en) * 2019-11-21 2022-03-22 Ricoh Company, Ltd. Rotator,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1051A (en) * 1958-11-13 1961-07-04 David W Jones Agitator paddle
US3066831A (en) * 1960-05-05 1962-12-04 Thompson Lee Lavere Apparatus for feeding comminuted material from a hopper
DE2723727C3 (de) * 1977-05-26 1981-08-27 Hoechst Ag, 6000 Frankfurt Vorrichtung zum gleichmäßigen Durchmischen und Fördern eines Gemische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JPS58147766A (ja) 1982-02-26 1983-09-02 Ricoh Co Ltd 乾式現像装置
JPS58171066A (ja) * 1982-03-31 1983-10-07 Fujitsu Ltd 現像剤撹拌用スクリユウ軸機構
US4610068A (en) * 1985-07-17 1986-09-0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forming a ribbon blender
JP3244362B2 (ja) * 1993-09-28 2002-01-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5870652A (en) * 1993-12-28 1999-02-0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featuring a developer replenishment hole and removable cap having a gripping member for sealing the hole and a re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JP3239258B2 (ja) * 1996-07-04 2001-12-1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攪拌器及びこれを備え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571873B2 (ja) 1997-06-27 2004-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搬送翼及びトナー供給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6228A (zh) 2001-08-01
KR20010067362A (ko) 2001-07-12
US6470163B1 (en) 2002-10-22
EP1096330A3 (en) 2002-05-22
EP1096330B1 (en) 2006-03-08
DE60026464T2 (de) 2006-08-24
DE60026464D1 (de) 2006-05-04
EP1096330A2 (en)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086B1 (ko) 현상제 교반 부재 및 그 재생 방법
KR100352414B1 (ko) 토너 보충 용기 및 토너 보충 장치
EP1041454B1 (en) Toner supplying container detachably mountable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87688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EP1041453B1 (en) Toner supply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655640B1 (en)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185401B1 (en) Toner bottle, toner supply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67354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developing cartridge or process cartridge are detachably mountable comprising driving control means for permitting and preventing transmission of a driving force to a winding member
EP1460487B1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coupling-driving member therefor
US7111654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7088942B2 (en) Toner supply container, toner supplying apparatus, a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chanism
JP2003107892A (ja)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194884A (ja) トナー補給容器
JP3483496B2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173076A (ja) 現像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789067B2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029519A (ja) 封止部材、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3013987A (ja) 駆動伝達機構、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2327770A (ja) 駆動伝達機構、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3202744A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封止部材
JP2001242691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トナー搬送部材の再生方法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1331026A (ja) トナー補給容器
JPH11249378A (ja) 画像形成装置
JPH10171229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