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748B1 - 표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748B1
KR100388748B1 KR10-2001-0022264A KR20010022264A KR100388748B1 KR 100388748 B1 KR100388748 B1 KR 100388748B1 KR 20010022264 A KR20010022264 A KR 20010022264A KR 100388748 B1 KR100388748 B1 KR 10038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onveyor
surface treatment
tap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163A (ko
Inventor
안자이후미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케이씨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멕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케이씨,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멕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케이씨
Publication of KR2002007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ain Conveye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판형상물을 반송(搬送)하기 위한 반송기구를 컨베이어와 행어와 행어착탈수단으로 형성하고, 행어착탈수단이 컨베이어측 및 각 행어측의 어느 한쪽에 부착된 복수루프재와 그 다른 쪽에 부착된 복수돌기 형상재를 갖고, 루프재 및 돌기형상재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걸어맞춤 분리가능한 동시에 양자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반송방향의 인장력에는 강하고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력에는 약하게 형성되어, 평판형상물의 반송방향의 부착간격 조정용이화 및 평판형상물의 착탈용이화를 꾀하면서 표면처리품질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처리장치{SURFAC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평판형상물의 세로 현수 자세를 유지하면서 당해 평판형상물을 반송로에 따른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갖고, 표면처리조 내를 반송중인 평판형상물에 급전수단에서 급전하면서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처리물의 표면처리방법에는 배열된 각 처리조를 순서대로 반송이능하게 해 두고, 피처리물을 최초의 처리조 내에 침지하여 소정 시간만큼 당해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후에 피처리물을 끌어올려 다음 처리조에 반송하고, 다음 처리조에서 소정시간만큼 당해 처리를 실시한다. 이하, 같은 절차를 반복하는 배치방식과, 반송방향에 긴 처리조 내에 피처리물을 침지하고, 피처리물의 침지상태를 유지한채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처리하는 연속방식이 있다.
여기에 피처리물이 평판형상물이고, 또 세로 현수 자세에서 처리되는 경우, 배치방식은 각 처리조마다의 즉 각 평판형상물마다의 표면처리품질의 편차가 생기기 쉽다. 처리액의 조성, 급전태양 및 전력집중, 마스킹효과 등의 편차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연속방식은 각 평판형상물마다의 표면처리품질의 편차가 매우 적고, 생산성도 높다. 이렇게 하여 처리물이 프린트 배선기판(평판형상물)인 경우에는 연속방식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연속방식의 표면처리장치는 평판형상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반송기구에 세로 현수 자세로 하여 부착한다. 즉,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나타낸 평판형상물(작업물(Wn1))의 각 면(양면)이 반송로 즉 반송(X)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부착부재(90)를 통해 간접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반송기구에 대한 전방의 평판형상물(작업물(Wn1))과 후방의 평판형상물(작업물(Wn2))의 부착위치관계는 X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방 평판형상물(작업물(Wn1))의 후단(좌단)과 후방 평판형상물(작업물(Wn2))의 전단(우단)과의 간격(Dn)이 급전하면서 처리될 때의 전기작용상, 외관적으로 1장의 연속면을 이루는 위치관계가 된다.
여기에서 반송기구를 구동하면, 각 평판형상물(작업물(Wn1, Wn2))은 세로 현수 자세를 유지하면서 반송로에 따른 X방향에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표면처리조 내의 반송(이행) 중에 도시하지 않은 급전수단에서 각 평판형상물에 급전된다. 따라서, 각 평판형상물의 표면처리조건을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차가 없는 고품질의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평판형상물(면)의 크기가 일정하다는 보장은 없다. 다양화 시대에 있어서 점점 다양한 종류의 평판형상물(면)이 표면처리대상이 된다. 또, 서로 다른 크기의 평판형상물(면)이 혼재하여 반송기구에 부착되는 경우가 많아지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종래 연속방식의 표면처리장치는 반송기구에 소정 피치[예를 들면 도 7의 (b)의 피치(p, d, p, d, …)]에서 고착된 부착부재(90)를 이용하여 평판형상물을 세로 현수 자세로 유지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전방의 평판형상물(면) 및 후방의 평판형상물(면)의 쌍방 또는 한쪽 크기가 바뀐 경우, X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방 평판형상물의 후단과 후방 평판형상물의 전단과의 간격이 확장수축되어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a)에 나타낸 X방향의 길이가 표준적인 작업물(Wn(Wn1, Wn2))을 연속적으로 세로 현수 자세로 하여 부착한 경우의 표준적인 간격이 Dn이라고 하면,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나타낸 X방향의 길이가 짧은 작업물(Ws)이나 긴 작업물(Wl)이 부착되면, 작업물(Ws)과 작업물(Wn)의 간격(Dw)은 간격(Dn)보다 넓고(크고), 작업물(Wl)과 작업물(Wn)의 간격(Ds)은 간격(Dn)보다도 좁아진다(작아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전방 평판형상물[Ws(Wn)]의 후단과 후방 평판형상물[Wn(Wl)]의 전단과의 간격[Dw(Ds)]을 전기작용상, 외관적으로 1장의 연속면을 이루는 위치관계로 유지할 수 없게 되거나, 다른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즉, 전후간격이 넓어진 경우(Dn→Dw)에는 인접하는 전방 평판형상물(Ws)의 후단과 후방 평판형상물(Wn)의 전단에 전력집중이 생기기 때문에, 각 평판형상물(면)의 표면처리조건이 불균일하게 되어 표면처리품질이 열악화된다. 한편, 전후간격이 줄어든 경우(Dn→Ds)에는 인접하는 전방 평판형상물(Wn)의 후단과 후방 평판형상물(Wl)의 전단에 기계적인 충돌이 생기기 쉽다.
그러므로, 상기 부착부재(90)의 반송기구(예를 들면, 체인 컨베이어)로의 부착위치(피치(p))를, 예를 들면 볼트·너트의 조이고 푸는 작업에 의해 적정간격으로 조정변경하는 것으로는 생산능률이 대폭 저하된다. 또, 부착방법이 용접인 경우나 각 클램프와 반송기구 사이에 행어를 개재시킨 기구인 경우에는 더 복잡하고 시간이 걸릴 뿐더러, 조정변경 작업 자체를 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판형상물의 반송방향의 부착간격의 조정용이화 및 평판형상물의 착탈용이화를 꾀하면서 표면처리품질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면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반송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컨베이어, 행어 및 평판형상물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행어착탈수단 및 급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행어착탈수단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7은 종래예에 있어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표면처리조 20: 반송기구
21: 세로부재 22: 가로부재
23: 브래킷 24: 스프로킷
25: 체인 26: 반송모터
31: 평벨트 컨베이어(컨베이어) 32: 구동회전체
33: 구동축 41: 행어
43: 행어본체(피급전부) 45: 착탈면
46: 걸기부 47: 홀더부
48: 클램프 51: 행어착탈수단
52: 제 1 테이프형상 부재(루프재) 53: 제 1 테이프재
54: 루프재 56: 제 2 테이프형상 부재(돌기형상재)
57: 제 2 테이프재 58: 돌기형상재
60: 급전수단 63: 급전바
90: 부착부재 W: 작업물(평판형상물…프린트배선기판)
R: 반송로 X: 반송방향
청구항 1의 발명은 평판형상물의 세로 현수 자세를 유지하면서 당해 평판형상물을 반송로에 따른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갖고, 표면처리조 내를 반송중인 평판형상물에 급전수단에서 급전하면서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반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와, 상기 평판형상물을 상기 세로 현수 자세로 유지가능한 복수의 행어와, 각 행어를 상기 반송방향에 간격을 둔 상태로 해당 컨베이어에 장착가능하고 이탈가능한 행어착탈수단으로 형성하고, 이 행어착탈수단이 컨베이어측 및 각 행어측의 어느 한쪽에 부착된 복수의 루프재와 그 다른 쪽에 부착된 복수의 돌기형상재를 갖고, 루프재 및 돌기형상재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걸어맞춤 분리가능한 동시에 양자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반송방향의 인장력에는 강하고,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력에는 약하게 형성되어 있는 표면처리장치이다.
상기 발명은 행어를 컨베이어에 누르면, 컨베이어측 및 각 행어측의 어느 한쪽에 부착된 복수의 루프재와 그 다른 쪽에 부착된 복수의 돌기형상재가 당접되고, 루프재 및 돌기형상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양자를 걸어맞출 수 있다. 즉, 행어를 컨베이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평판형상물의 반송방향의 부착간격 조정이 용이해진다. 장착 자체도 매우 간단하다.
이 장착작업 후에 행어에 평판형상물을 세로 현수 자세로 하여 유지시킨다. 미리 행어에 평판형상물을 유지시켜 두고나서, 행어의 장착작업을 실행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컨베이어를 운전하면, 각 평판형상물의 세로 현수 자세를 유지하면서 반송로에 따른 반송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양자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반송방향의 인장력에는 강하기 때문에, 행어가 컨베이어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표면처리조 내를 반송중인 평판형상물에 급전수단에서 급전하면서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전후의 평판형상물(면)의 크기가 바뀌어도 인접하는 전방의 평판형상물의 후단과 후방의 평판형상물의 전단과의 간격을 전기작용상, 외관적으로 1장의 연속면을 이루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위치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평판형상물의 표면처리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차가 없는 고품질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표면처리 종료 후의 평판형상물은 당해 행어를 컨베이어로부터 뗀다. 양자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력은 반송방향의 인장력의 경우에 비교하여 약하기 때문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또 신속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평판형상물의 반송방향의 부착간격의 조정용이화 및 평판형상물의 착탈용이화를 꾀하면서 표면처리품질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컨베이어가 평벨트 컨베이어,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 중에서 선택되어 있는 표면처리장치이다.
상기 발명은 컨베이어를 평벨트 컨베이어,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 중에서 선택한다. 평벨트 컨베이어는 행어와의 걸어맞춤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는 반송정밀도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체인컨베이어는 구조가 간단하다.
따라서, 청구항 1의 발명의 경우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데 더하여, 또한 피처리대상물의 종류·형태, 장치의 레이아웃, 처리품질 등에 대한 적응성이 넓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행어착탈수단이 표면쪽에 탄성변형가능한 복수의 상기 루프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고, 또 이면측이 상기 컨베이어에 접착가능한 제 1 테이프형상 부재와, 표면측에 복수의 상기 돌기형상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고, 또 이면측이 상기 행어에 접착가능한 제 2 테이프형상 부재로 형성된 표면처리장치이다.
상기 발명은 행어착탈수단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 1 테이프형상 부재를 그 이면측을 컨베이어에 접착하여 컨베이어에 장착한다. 이 제 1 테이프형상 부재의 이면측에는 탄성변형하는 복수의 루프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부분을 구성하는 제 2 테이프형상 부재를 그 이면측을 행어에 접착하여 행어에 장착한다. 이 제 2 테이프형상 부재의 표면측에는 복수의 돌기형상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컨베이어에 장착된 제 1 테이프형상 부재의 루프재에 행어에 장착된 제 2 테이프형상 부재의 돌기형상재를 밀어넣고, 제 1 테이프형상 부재와 제 2 테이프형상 부재를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행어에 부착된 평판형상물의 반송방향 간격을 선택된 간격으로 하여 컨베이어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에 탄성변형하는 복수의 루프재가 설치된 제 1 테이프형상 부재를 컨베이어에, 돌기형상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된 제 2 테이프형상 부재를 행어에 장착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복잡하고 비교적 고가인 제 1 테이프형상 부재의 반복사용을 할 수 있어 수명이 길고, 다수를 필요로 하는 제 2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조간단하고 비교적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 및 청구항 2의 각 발명의 경우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한 경제적이고 내구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급전수단이 상기 반송방향으로 반송중인 상기 각 행어에 아래쪽에서 접촉가능하고 당해 각 행어에 급전가능한 급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중인 상기 각 행어에 연속급전가능하게 형성된 표면처리장치이다.
상기 발명에서 각 행어는 아래쪽에서 급전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급전바에 접촉유지된다. 여기에서, 컨베이어에 의해 행어를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 행어는 급전바 상에서 접촉반송되고, 또 이 반송중에 급전바를 통해 연속하여 급전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및 행어착탈수단의 평판형상물의 상하방향 유지력을 경감할 수 있고, 급전바의 표면부도체화를 방지하면서 원활급전할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까지의 각 발명의 경우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또한 행어착탈수단, 급전수단 등의 소형화 및 구조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표면처리장치는 도 1~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기구(20)를 반송(X)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31)와, 평판형상물(작업물(W))을 세로 현수 자세로 유지가능한 복수의 행어(41)와, 각 행어(41)를 X방향에 간격을 둔 상태로 컨베이어(31)에 장착가능하고 이탈가능한 행어착탈수단(51)으로 형성하고, 이 행어착탈수단(51)이 컨베이어측(또는 행어측이어도 좋다)에 부착된 복수의 루프재(54)와 각 행어측(또는 컨베이어측이어도 좋다)에 부착된 복수의 돌기형상재(58)를 갖고, 루프재(54) 및 돌기형상재(58)의 쌍방(또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어도 좋다)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걸어맞춤 분리가능한 동시에 양자(54, 58)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X방향의 인장력에는 강하고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력에는 약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표면처리장치의 기본적 구성·기능은 평판형상물(이 실시형태에서는 프린트배선기판…작업물(W))의 세로 현수 자세를 유지하면서 작업물(W)을 반송로(R)에 따른 반송(X)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기구(20)를 갖고, 표면처리조(10) 내를 반송중인 평판형상물(W)에 급전수단(60)으로부터 급전하면서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표면처리장치는 프린트배선기판에 도금을 실시할 수 있는 도금처리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의 (b)에 있어서, 복수의 표면처리조(10)는 반송기구(20)에서 작업물(W)을 반송시키는 X방향에 따라 즉 타원(원호·직선) 궤적형상의 반송로(R)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표면처리조(10) 중에는 전처리조, 도금조, 후처리조 등을 포함한다. 도 1의 (a)는 반송로(R)의 직선부분에 대응하는 반송기구(20)의 일부를 나타낸다.
반송기구(20)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로(R)의 방향과 같은 X방향(도 2에서 지면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31)와, 평판형상물(프린트 배선기판…작업물(W))을 세로 현수 자세로 유지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행어(41)와, 각 행어(41)를 X방향에 간격을 둔 상태로 컨베이어(31)에 장착가능하고 이탈가능하게 형성된 행어착탈수단(5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31)는 양측 직선용 및 길이방향 양단원호용의 4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양측직선용은 X방향으로 주행가능한 평벨트 컨베이어(31)로 구성되고, 도 1~도 3에 나타낸 표면처리조(10)의 양측에서, 또한 반송로(R)를 따라 연장하는 세로부재(21)와, 이 세로부재(21) 사이에 가설된 복수의 가로부재(22)로 이루어진 지지기구(21, 22)에 장착되어 있다.
평벨트 컨베이어(31)는 도 2에 나타낸 가로부재(22)와 일체적인 브래킷(2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도 2에서 지면수직방향에 대향배치된 구동회전체(3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도설되고, 적어도 한쪽 구동회전체(32)는 이것에 직결된 구동축(33), 스프로킷(24(24B, 24A)), 체인(25)을 통해 가로부재(22) 상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26)에서 반송운전된다.
또, 컨베이어(31)를 행어(41)와의 걸어맞춤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는 평벨트 컨베이어(31)를 선택하여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송정밀도를 더욱 향상할 수 있는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구조가 더욱 간단한 체인 컨베이어 또는 그 외 구조의 컨베이어를 선택(채용)해도 좋다.
행어(41)는 평판형상물(작업물(W))의 세로 현수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어 본체(43)의 상부에 상향평면형상의 이탈면(45)을 갖고, 하부에 작업물(W)을 끼우기 위한 클램프(48)가 부착되어 있다.
또, 행어(41)에는 나사고정된 하향 걸기면을 갖는 걸기부(46) 및 행어본체(43)와 평행한 홀더부(47)가 설치되고, 급전바(63)의 상부를 넘어서 포위한다. 급전바(63)는 X방향에 슬라이딩 가능하다.
즉, 행어 본체(43)는 걸기부(46) 및 홀더부(47)와 함께 피급전부를 형성하고, 도 4의 급전수단(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종단면이 레일형상의 급전바(63)와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 급전바(63)로부터 급전을 받아 클램프(48)를 통해 당해 클램프(48)로 끼운 작업물(W)로 급전할 수 있다.
그리고, 급전수단(60)은 X방향으로 반송중인 각 행어(41)(걸기부(46)의 하향걸기면)에 하향측에서 접촉가능하고, 각 행어(41)(행어 본체(43))에 급전가능한 급전바(63)를 포함, 컨베이어(31)에 의해 반송중인 각 행어(41) 즉 평판형상물(작업물(W))에 연속급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또, 급전바(63)가 각 행어(41)(걸기부(46))에 아래쪽부터 접촉하기 때문에, 반송기구(20) 및 행어착탈수단(51)에 부가되는 행어(41)(작업물(W))측에서의 부하를 대폭 경감할 수 있다. 즉, 반송기구(20) 및 행어착탈수단(51)을 소형경량화할 수 있다.
또, X방향으로 연장하는 급전바(63)는 브래킷(23A)에 볼트로 조여 도 4에 나타낸 자세로 부착고정되어 있다.
행어착탈수단(51)은 각 행어(41)를 X방향에 간격을 둔 상태로 컨베이어(평벨트 컨베이어(31))에 장착가능하고 이탈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도 5의 (a)에 나타낸 표면측(하면측)에 복수의 탄성변형가능한 루프재(54)가 제 1 테이프재(53)에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고, 이면측(상면측)이 컨베이어(표면…하측면)에 접착가능한 제 1 테이프형상 부재(52)와, 표면측(상면측)에 도 5의 (b)에 나타낸 복수의 돌기형상재(58)가 제 2 테이프재(57)에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고, 이면측(도면에서 하면측)이 행어(41)(착탈면(45))에 접착가능한 제 2 테이프형상 부재(56)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돌기형상재(58)는 도 5의 (b)에 나타낸 버섯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좁은 형상)이어도 좋다. 루프재(54)의 형태에 대해서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 1 테이프형상 부재(52)는 연속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X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속편 형상인 것이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면에 직각방향(도 5에서 상하방향)에는 비교적 작은 인장력으로 벗어나고, 테이프면에 평행한 방향(도 5에서 지면수직방향)의 작은 인장력으로는 벗어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 것에 착안하여 매직 테이프(크라레사의 등록상표)의 LOOP(테이프재) 및 HOOK(돌기형상재)를 이용했다.
또, 매직 테이프(행어착탈수단(51))을 부착하는 컨베이어(31)측의 면 및 각 행어(41)측의 면은 도 3~도 5에 나타낸 수평면이 아니라 수직면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의 실시형태는 행어(41)를 도 3에서 아래로부터 위쪽을 향해 평벨트 컨베이어(31)에 누르면, 도 5에 나타낸 컨베이어(31)쪽에 부착된 복수의 루프재(54)와 행어(41)쪽에 부착된 복수의 돌기형상재(58)가 당접되고, 루프재(54) 및 돌기형상재(58)의 쌍방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양자(54, 58)를 걸어맞출 수 있다.
상세하게는 행어착탈수단(51)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 1 테이프형상 부재(52)를 그 이면측을 평벨트 컨베이어(31)에 접착하여 평벨트 컨베이어(31)에 장착한다. 이 제 1 테이프형상 부재(52)의 표면측에는 탄성변형하는 복수의 루프재(54)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 외 부분을 구성하는 제 2 테이프형상 부재(56)를 그 이면측을 행어(41)에 접착하여 행어(41)에 장착한다. 이 제 2 테이프형상 부재(56)의 표면측에는 복수의 돌기형상재(58)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평벨트 컨베이어(31)에 장착된 제 1 테이프형상 부재(52)의 루프재(54)에 행어(41)에 장착된 제 2 테이프형상 부재(56)의 돌기형상재(58)를 밀어넣고, 제 1 테이프형상 부재(52)와 제 2 테이프형상 부재(56)를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행어(41)에 부착된 평판형상물(W)의 X방향의 간격을 선택된 간격(Dn)으로 하여 평벨트 컨베이어(31)로 반송이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즉, 행어(41)를 평벨트 컨베이어(31)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평판형상물(작업물(W))의 X방향의 부착간격(도 7을 참조)의 조정이 용이하다. 장착 자체도 매우 간단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변형하는 복수의 루프재(54)가 설치된 제 1 테이프형상 부재(52)를 평벨트 컨베이어(31)에 돌기형상재(58)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된 제 2 테이프형상 부재(56)를 행어(41)에 장착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복잡하고 비교적 고가인 제 1 테이프형상 부재(52)의 반복사용을 할 수 있어 수명이 길고, 다수를 필요로 하는 제 2 테이프형상 부재(56)를 구조간단하고 비교적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이고 내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이 장착작업 종료 후에 행어(41)에 평판형상물(작업물(W))을 유지시킨다. 미리 행어(41)에 평판형상물(작업물(W))을 유지시켜 두고나서 행어(41)의 장착작업을 실행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평벨트 컨베이어(31)를 운전하면, 각 평판형상물(작업물(W))의 세로 현수 자세를 유지하면서 반송로(R)를 따른 X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양자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X방향의 인장력에는 강하기 때문에, 행어(41)가 평벨트 컨베이어(31)에서 탈락할 염려는 없다.
그리고, 표면처리조(10) 내를 반송중인 평판형상물(작업물(W))에 도 4에 나타낸 급전수단(60(63))에서 급전하면서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전후의 평판형상물(면)의 크기가 변해도 인접하는 전방의 평판형상물의 후단과 후방의 평판형상물의 전단과의 간격을 전기작용상, 외관적으로 1장의 연속면을 이루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위치조정할 수 있다.
즉, 도 7의 (b)의 경우에서 말하면, 예를 들면 표준적 작업물(Wn) 및 그 외 작업물(Ws, Wl)을 혼재시켜 부착하는 경우에도 각 작업물(W)의 각 인접 전후단의 간격을 이상적(표준적)인 Dn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평판형상물(W)의 표면처리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편차가 없는 고품질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각 행어(41)는 걸기부(46)를 통해 아래쪽부터 급전수단(60)의 일부를 구성하는 급전바(63)에 접촉되어 유지된다. 여기에서 평벨트 컨베이어(31)에 의해행어(41)를 X방향으로 반송하면, 행어(41)는 급전바(63)와 접촉반송되고 이 반송중에 당해 급전바(63) 및 행어 본체(43)를 통해 세로로 매단 작업물(W)에 연속하여 급전할 수 있다.
따라서, 평벨트 컨베이어(31) 및 행어 착탈수단(51)의 평판형상물(W)의 상하방향 유지력을 경감할 수 있고, 접촉에 의해 닦을 수 있기 때문에 급전바(63)의 표면부도체화(녹발생)을 방지하면서 원활급전할 수 있다. 즉, 행어착탈수단(51), 급전수단(60) 등의 소형화 및 구조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표면처리종료 후에 행어(41)를 평벨트 컨베이어(31)에서 뗀다. 양자(루프재(54), 돌기형상재(58))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반송(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력은 X방향의 인장력의 경우에 비교하여 약하기 때문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또 신속하게 행어(41)를 평벨트 컨베이어(31)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또, 행어(41)를 평벨트 컨베이어(31)에 부착한 채로 행어(41)에서 작업물(W)을 떼어낼 수도 있다.
따라서, 평판형상물(W)의 X방향의 부착간격의 조정용이화 및 평판형상물의 착탈용이화를 꾀하면서 표면처리품질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컨베이어가 평벨트 컨베이어(31)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행어(41)와의 걸어맞춤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또, 반송정밀도를 더욱 향상할 수 있는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또는 구조가 간단한 체인 컨베이어를 선택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피처리대상물(W)의 종류·형태, 장치의 레이아웃, 처리품질 등에 대한 적응성이 넓다.
또, 본 표면처리장치가 평판형상물(W)인 프린트 배선기판에 도금을 실시한 도금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품질 프린트 배선기판을 확실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행어착탈수단(51)이 LOOP(테이프재) 및 HOOK(돌기형상재)를 갖는 매직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 행어착탈수단(51)은 컨베이어(31)쪽 및 각 행어(41)쪽의 어느 한쪽에 부착된 복수의 루프재(54)와 그 다른쪽에 부착된 복수의 돌기형상재(58)를 갖고, 루프재(54) 및 돌기형상재(58)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걸어맞춤 분리가능한 동시에 양자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반송(X) 방향의 인장력에는 강하고 반송바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력에는 약하게 형성할 수 있는 한, 상기 매직 테이프가 아니라, 상기 매직 테이프의 경우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구조의 테이프 등을 채용해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반송기구를 반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와, 평판형상물을 세로 현수 자세로 유지가능한 복수의 행어와, 각 행어를 반송방향에 간격을 둔 상태로 컨베이어에 장착가능하고 이탈가능한 행어착탈수단으로 형성하고, 이 행어착탈수단이 컨베이어측 및 각 행어측의 어느 한쪽에 부착된 복수의 루프재와 그 다른쪽에 부착된 복수의 돌기형상재를 갖고, 루프재 및 돌기형상재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걸어맞춤 분리가능한 동시에 양자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반송방향의 인장력에는 강하고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력에는 약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형상물의 반송방향의 부착간격의 조정용이화 및 평판형상물의 착탈용이화를 꾀하면서 표면처리품질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가 평벨트 컨베이어,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 중에서 선택되기 때문에 청구항 1의 발명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또한 피처리대상물의 종류·형태, 장치의 레이아웃, 처리품질 등에 대한 적응성이 넓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행어착탈수단이 표면측에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루프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고 이면측이 컨베이어에 접착가능한 제 1 테이프형상 부재와, 표면측에 복수의 돌기형상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고 이면측이 컨베이어에 접착가능한 제 2 테이프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 1 및 청구항 2의 각 발명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또한 경제적이고 내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급전수단이 반송중인 각 행어에 아래쪽에서 접촉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고 급전가능한 급전바를 포함하고,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중인 각 행어에 연속급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및 행어착탈수단의 피처리물의 상하방향 유지력을 경감할 수 있고, 급전바의 표면부도체화를 방지하면서 원활급전할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까지의 각 발명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또한 행어착탈수단, 급전수단 등의 소형화 및 구조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4)

  1. 평판형상물의 세로 현수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기 평판형상물을 반송로에 따른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갖고, 표면처리조 내를 반송중인 평판형상물에 급전수단으로부터 급전하면서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반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와, 상기 평판형상물을 상기 세로 현수 자세로 유지가능한 복수의 행어와, 각 행어를 상기 반송방향에 간격을 둔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에 장착가능하고 이탈가능한 행어착탈수단으로 형성하고,
    이 행어착탈수단이 컨베이어측 및 각 행어측의 어느 한쪽에 부착된 복수의 루프재와 그 다른 쪽에 부착된 복수의 돌기형상재를 갖고, 루프재 및 돌기형상재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걸어맞춤 분리가능한 동시에 양자의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반송방향의 인장력에는 강하고,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력에는 약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평벨트 컨베이어,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착탈수단이 표면측에 탄성변형가능한 복수의 상기 루프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고, 또 이면측이 상기 컨베이어에 접착가능한 제 1 테이프형상 부재와, 표면측에 복수의 상기 돌기형상재가 조밀하게 심어져 설치되고, 또 이면측이 상기 행어에 접착가능한 제 2 테이프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수단이 상기 반송방향으로 반송중인 상기 각 행어에 아래쪽에서 접촉가능하고 상기 각 행어에 급전가능한 급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중인 상기 각 행어에 연속급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장치.
KR10-2001-0022264A 2001-03-23 2001-04-25 표면처리장치 KR100388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84869 2001-03-23
JP2001084869A JP2002285397A (ja) 2001-03-23 2001-03-23 表面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163A KR20020075163A (ko) 2002-10-04
KR100388748B1 true KR100388748B1 (ko) 2003-06-25

Family

ID=1894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264A KR100388748B1 (ko) 2001-03-23 2001-04-25 표면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85397A (ko)
KR (1) KR100388748B1 (ko)
CN (1) CN11465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686B1 (ko) 2007-03-15 2008-10-30 (주)포인텍 급전부를 갖는 표면처리장치
CN101524882B (zh) * 2009-04-08 2011-06-01 中国化工橡胶株洲研究设计院 一种乳胶制品的浸胶方法及浸胶装置
JP5613499B2 (ja) * 2010-08-25 2014-10-22 アルメックスPe株式会社 表面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522C (zh) 2004-04-21
CN1376624A (zh) 2002-10-30
JP2002285397A (ja) 2002-10-03
KR20020075163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3499B2 (ja) 表面処理装置
JP2013011009A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TWI750378B (zh) 搬運支架及使用該搬運支架的表面處理裝置
JP2009287100A (ja) めっき処理用ワーク保持治具
CN1865520A (zh) 片状制品的镀覆方法
JP2006117979A (ja) 電気メッキ装置におけるワークハンガー
JP5865958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KR100388748B1 (ko) 표면처리장치
CN114829680A (zh) 用于垂直型连续镀覆设备的基板移送设备
JP4257897B2 (ja) メッキ装置
JP3025254B1 (ja) めっき装置およびめっき方法
JP6117891B2 (ja) 表面処理装置
JP2943070B1 (ja) 均一メッキ処理を可能にした電気メッキ処理システム
WO2020008662A1 (ja) めっき装置
JP6342538B2 (ja) 表面処理装置
JP3170766U (ja) クランプ搬送による薄板状被処理物の水平連続メッキ処理装置
JP6687592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JP2014177713A (ja) 表面処理装置
JP3754262B2 (ja) 表面処理装置
KR20050042627A (ko) 도금 처리장치용 반송장치
KR200195590Y1 (ko) 다종 기판 도금용 지그
JP2007138194A (ja) メッキ装置
JP2004211118A (ja) 液中搬送式電気メッキ装置におけるワーク搬送装置
KR101607915B1 (ko) 피도금물 이송용 캐리어
JP2004149858A (ja) 均一メッキ処理を可能にした電気メッキ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1230

Effective date: 2009083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102

Effective date: 201004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