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075B1 - 흡수성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075B1
KR100386075B1 KR1019950705277A KR19950705277A KR100386075B1 KR 100386075 B1 KR100386075 B1 KR 100386075B1 KR 1019950705277 A KR1019950705277 A KR 1019950705277A KR 19950705277 A KR19950705277 A KR 19950705277A KR 100386075 B1 KR100386075 B1 KR 10038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line polyolefin
weight
absorbent article
shee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291A (ko
Inventor
사카이요시히로
마에다가쯔시
구마모토요시아키
오다지마신고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8Composite has more than two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47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47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 Y10T442/651Plural fabric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10T442/678Olefin polymer or copolymer sheet or film [e.g., polypropylene, polyethylene, ethylene-butylene copolymer,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액투과성의 표면재, 방루성(防漏性)의 이면재 및 이들 양면재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이면재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30∼90중량부와,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혼화성이 있어 용해하고,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는,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상분리를 일으키는 화합물 70∼10중량부를 용융혼합하여, 용융혼합액을 얻고, 얻은 용액으로부터 시트를 성형한 후, 각 시트를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신하여 미세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는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은,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율이 Hw/Mn > 6.0의 관계에 있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강도 및 성형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투습도, 내수압 등이 우수한 다공성 시트(sheet)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종래의 흡수성 물품용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으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을레핀계 수지 중에 40중량% 이상의 무기 충전재를 용융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 1축방향으로 또는 2축방향으로 연신하여 다공성 시트를 얻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은 다공성 시트는, 통기성 및 투습도가 우수하여 수분응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벽지 및 포장용 시트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의 우수한 성질에 유연성이 부가된 다공성 시트는,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의 이면재 등의 흡수성 물품의 형성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한 올레핀계 수지로서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의 우수한 특성에 부가된 유연성을 갖는 다공성 시트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다공성 시트는,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의 형성재료로서 사용되는데, 하기의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다용되는 일회용 기저귀는, 소변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 각 흡수체의 표면을 덮어 직접적으로 피부에 닿는 표면재 및 상기 흡수체의 뒷면을 덮어 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이면재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세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기저귀의 허리부(waist portion) 및 가랑이부(crotch portion)에 해당하는 상단 및 하단과 측면에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에 꼭 맞도록 신축기능을 가진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는 사용자에게 기저귀를 장착시킬 때 테이프 등의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한 다공성 시트는 이면재로서 사용된다.
고정용으로 제공되는, 상술한 테이프(이하 '고정테이프(fastening tapes)' 라 한다)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약 25∼35mm의 폭을 가진다. 그러나, 착용중 몸에 꼭 맞게 기저귀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배변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정테이프를 벗길 때, 이면재의 강도가 부족하여 유연한 이면재가 찢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저귀를 새 것으로 교환하여야 한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이면재 앞쪽에 박리면을 갖는 폭이 넓은 테이프(이하, 랜딩테이프(landing tape) 또는 타겟테이프(target tape)라 한다)를 제공하여, 그 위에 고정테이프를 제거가능하도록 부착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랜딩테이프의 사용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기저귀의 구성부품 및 제조방법의 종류가 증가된다. 랜딩테이프는 기저귀 구성부품 어느 것보다 비싸기 때문에, 충분한 폭을 갖는 랜딩테이프의 사용으로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폭이 넓은 랜딩테이프의 경우에도, 착용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서는, 고정테이프가 렌딩테이프 면이외의 이면재에 접착되여, 벗겨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5-98057호에는, 특정의 올레핀계에 충전재, 특정의 가소제 및 라디칼 발생제를 배합하여 블로성형하고, 블로막을 인취방향(引取方向; machine direction)으로 1축 연신함으로써 얻은 고강도의 다공성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다공성 시트는, 종래의 제법(올레핀계 수지에 무기 충전재를 용융혼련하고 연신하여 시트 형성)에 의해 얻은 다공성 시트에 비하여 2배의 강도를 가지지만, 이러한 개선은 랜딩테이프의 필요성을 제거하기에 불충분하다. 또한, 라디칼 발생제를 사용하여, 성형된 수지조성물의 용융유동특성을 성형전의 조성물과 다르게 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반복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고, 생산성이 감소된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5-38011호(미국특허 제 4,539,256호에 해당)에는, 특정의 결정성 중합체와 이와 혼합가능한 특정의 화합물을 용융-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시트로 성형시키며, 냉각단계동안 상분리를 일으키고, 이 시트를 연신시키는 것이 포함된 제조방법에 의한 미세한 다공질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미세한 다공성 시트는 종래의 제법(올레핀계 수지에 무기 충전재를 용융혼련하고 연신하여 시트 형성)에 의해 얻은 시트에 비하여 2∼3배의 강도를 가지지만, 여전히 랜딩테이프를 필요치 않을 정도로는 강도가 불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테이프의 제거에 견딜 수 있는 다공성 시트는, 종래의 제법에 의해 얻은 다공성 시트의 강도에 비하여 적어도 4배, 바람직하게는 5배의 강도를 가질 필요가있다.
또한, 다공성 시트를 제조하는 종래의 제법과 비교하여, 상기한 특허에 개시된 미세한 다공성 시트의 제조방법은, 결정성 중합체와 혼합가능한 화합물의 산란이 작업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 스크류가 마모되거나 중합체가 타서, 성형을 중단하여 성형기를 자주 분해하여 청소해야하므로 공업적인 생산성을 감소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강도 및 성형생산성이 우수하고, 투습도, 내수압 등이 우수한 다공성 시트를 이면재로서 구비하고, 랜딩테이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착용자의 체형과는 무관하게 이면재의 어느 위치에도 고정테이프를 접착시켜 사용하기에 용이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심도깊게 검토한 결과, 특정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다공성 시트를 흡수성 물품의 이면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이 달성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액투과성의 표면재, 방루성(防漏性)의 이면재 및 이들 양면재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한 이면재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30~90중량부와,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혼화성이 있어 용해하고,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는,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상분리를 일으키는 화합물 70∼10중량부를 용융혼합하여, 용융혼합액을 얻고, 얻은 용액으로부터 시트를 성형한 후, 상기 시트를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신하여 미세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는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은,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율이 Mw/Mn > 6.0의 관계에 있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 일부의 파단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이의 이면재가 상기한 다공성 시트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공성 시트에 사용된 결정성 폴리올레핀은,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율이 Mw/Mn > 6.0, 바람직하게는 Mw/Mn > 6.3의 관계에 있는 폴리프로필렌이다.
Mw/Mn 비율은 분자량 분포의 측정이다. 폴리프로필렌이 Mw/Mu > 6.0의 관계에 있는 한, 폴리프로필렌이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등의 상기한 화합물과 적어도 20중량%로 용융혼련될 때, 이들이 안정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미네랄 오일이 폴리프로필렌 내에서 급속도로 용해된다.
Mw/Mn 비율이 6.0이하일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 분포가 좁다는 것을 의미하며, 미네랄 오일 등의 상기한 화합물과의 용해성이 불안정하다. 이러한 경우에, 폴리프로필렌과 미네랄 오일을 소정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2축-혼련기(twin-screw extruder)를 사용하는 경우에, 가스배출(vent-up)현상이 일어나서 효과적인 혼합이 진행되지 않고, 안정한 압출(押出)이 실행되지 않는다.
상기한 특정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은, 상술한 촉매하에 다단계의 공정으로 프로필렌을 중합시킴으로써 쉽게 얻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또는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의 반응생성물과, 에틸에테르를 사염화티탄과 함께 반응시켜 고체 반응생성물을 얻고, 이를 에틸에테르와 사염화티탄으로 더 반응시켜 고체 반응생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고체 반응생성물을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방향족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a)와 조합시켜 고체 반응생성물(b)에 대한 방향족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a)의 몰비율 (a/b)이 0.1∼10.0인 촉매계를 제조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촉매계 존재하에,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을, 제1단계에서 전체 중합체의 35∼65중량%를 제조하고, 제 2단계 이상에서 65∼35중량%를 제조하는 방법 등의 다단중합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00∼6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이의 융점은 155∼17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으로는, 단독중합체(homopolymer),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 또는 랜덤공중합체(random copolymer),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손상이 없는 한, 폴리프로필렌을 폴리에틸렌 등의 다른 중합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Mw/Mn 비율이외에도, 폴리프로필렌은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P는 이소택틱팬던트(isotactic pendant) 분율, 및 MI는 용융지수(melt index)이다.
이소택틱팬던트 분율 (P)는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상기한 P와 MI와의 관계가 식 1.00≥P≥0.015 logMI + 0.955를 만족시킬 때, 폴리프로필렌은 고결정성을 나타내고, 강성이 향상된다. P가 0.015 logMI + 0.955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의 강성이 감소되어 이면재로서 필요한 강성을 얻기 위해 두꺼운 다공성 시트를 만들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된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의 MI는, 0.03∼2.0g/10 min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MI가 0.03미만인 경우에는, 조립(造粒) 또는 성형가공시에 용융물의 유동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용융된 중합체가 증가된 동력을 필요로 하여, 비경제적일 뿐만아니라 생산속도의 증가를 방해한다. MI가 2.0 초과인 경우에는, 용융된 수지의 장력이 감소하여,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의 관형(管形)막을 블로막 압출로 들어올리기 어려워서 시트 성형이 불안정하다.
상기한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고공보 제 64-5051호(구체적으로, 제 7페이지 13란 44행∼제 8페이지 15란 9행)에 개시된방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다공성 시트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상기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융점이상에서는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혼화성이 있어 용해하고,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융점미만에서는 상분리를 일으키는 화합물이다.
상기한 화합물로는 상기의 특성을 갖고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유동파라핀 등의 미네랄 오일, 합성윤활유,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에틸, 트리에틸렌글리콜, 프탈산디부틸 및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또는 지방족다염기 카르복시산과 알킬알코올의 에스테르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성 시트는, 상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과 상기한 화합물을 용융혼합하여, 결정성 폴리올레핀 30∼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80중량부와, 상기한 화합물 70∼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20중량부로 구성된 용융혼련용액을 얻어, 상기 용융혼련용액으로부터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를 적어도 한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미세공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다공성 시트이다.
상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배합비율이 3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매트릭스 수지의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연신하여 얻은 시트의 제작성이 불량하고, 물체에 감을 때 미세공이 붕괴되거나 미네랄 오일 등의 화합물이 유출된다. 이러한 비율이 9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하더라도 투습도가 제공된 미세공을 형성할 수 없다.
용융혼합에 적합한 온도는, 상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80∼250℃의 범위이다. 상기한 용융혼련용액을 얻기 위하여, 2축-혼련기를 사용하여 용융혼련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펠릿(pellet)을 정량하여 깔때기로 주입하고, 상기한 2축-혼련기의 벤트(vent) 내로 상기한 화합물을 주입한다.
시트를 성형할 때, 상기한 용융혼련용액을 일단 냉각하여 혼합물의 펠릿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펠릿들을 단축 혼련기의 원형 다이(die)를 통하여 압출에 의해 블로성형하거나, 기어 펌프를 경유하여 2축-혼련기의 선단에 접속된 원형 다이를 통하여 압출에 의해 블로성형한다.
이러한 시트를 성형할 때, 필요에 따라서, 하기의 각종 첨가제를 상기한 용융혼련용액 전체에 대하여 하기의 첨가량 범위로 첨가할 수 있다.
a) p-tert-부틸안식향산알루미늄염, 1,2,3,4-디벤질리덴소르비톨 또는 1,2,3,4-디-(p-에틸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폴리프로필렌의 결정 크기를 조절하는 결정조핵제(結晶造核劑)(nucleating agent) 0.5중량% 이하;
b) 무수실리카 또는 지올라이트 등의 파열방지용 무기 충전제 1중량% 이하;
c) 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또는 활석 등의 은폐성 무기 충전재 20중량% 이하;
d) 프탈로시아닌블루(Phthalocyanine Blue), 퀴나크리돈레드(QuinacridoneRed), 디옥산바이올렛(Dioxane Violet) 또는 이소인돌리논(Isoindolinone) 등의 착색제 0.05중량% 이하.
결정조핵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결정조핵제마스터뱃치(masterbatch)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결정조핵제마스터뱃치는, 결정조핵제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를 용매와 혼합하여 펠릿화한 혼합물이다.
상기한 시트의 연신비율은 1.2∼3배, 연신시 온도 10∼80℃에서 시트의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신 방향은 1축방향으로 또는 2축방향으로 실시한다.
연신하여 형성된 미세공은, 그 크기가 0.0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시트의 밀도는 0.7∼0.85g/㎤, 평량은 10∼60g/㎡, 두께는 20∼7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공성 시트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더욱 구체적인 예로, 하기의 형성방법 ①을 들어 설명한다.
형성방법 ① :
2축-혼련압출기(직경:45mm ; L/D:33.5)에 의해, 소정의 조성의 폴리프로필렌 및 화합물로 구성된 용융혼련용액(필요에 따라 상기한 각종 첨가제 배합)을 온도 230℃에서 섬유상으로 압출하고 수중에서 냉각시킨 후, 펠리타이저(pelletizer)로 펠릿화시켜 혼련된 펠릿을 제작한다. 폴리프로필렌을 깔때기로 주입하고, 화합물을 다이어프램(diaphragm)펌프로 압출기의 가운데 부분에 주입한다.
또한, 혼련된 펠릿을 공기냉각식 블로막 압출기에 공급하고, 온도 210℃로 직경 200mm의 원형 다이에서 압출하며, 인취속도 6m/ min로 인취하면서 에어링으로 부터의 20℃의 공기에 의해 냉각하고, 블로 비율 2, 평탄한 폭 약 630mm 및 두께 약 50㎛인 시트를 형성한다. 결정조핵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먼저 결정조핵제 마스터뱃치 및 폴리프로필렌을 소정의 비율로 건조혼합한 후, 블로막 압출기에 공급하여 시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시트를 롤러 연신기로 시트성형방향으로 50℃에서 1.5배로 1축연신하고, 120℃에서 단련하여 다공성 시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다공성 시트의 두께는 약 40㎛이다.
이렇게 하여 얻은 다공성 시트의 투습도는 0.5∼4.0 g/100㎠·h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다공성 시트의 항복강도(인장시험에서, 응력-변형 곡선의 제1굴곡점의 응력)는, 항복 강도가 낮은 값을 나타내는 방향(MD 또는 CD)으로 측정된다면, 90∼180kgf/㎠가 바람직하다.
이하, 제 1도 및 제 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에서 보여주는 일회용 기저귀 일부의 파단전개도이다.
제 1도 및 제 2도에서 보여주는 일회용 기저귀는, 액투과성의 표면재 2, 방루성의 이면재 3 및 이들 양면재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4로 구성되며, 상기한 이면재 3은 상기한 다공성 시트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도 및 제 2도에서 본 바와 같이, 각각 모래시계형상으로 형성된, 표면재 2, 이면재 3 및 흡수체 4에서, 일회용 기저귀 1의 후측 허리부 5', 전측 허리부 5, 가랑이 부분 9 및 측면날개 8을 제작한다.
전측 허리부 5, 후측 허리부 5', 측면날개 8 각각에서 표면재 2와 이면재 3과의 사이에 탄성체 7을 제공한다. 후측 허리부 5'의 양쪽단에 한쌍의 테이프 고정체 10을 제공하여 기저귀의 기능 및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표면재 2가 폭과 길이면에서 이면재와 거의 동일하도록 구성한다.
표면재 2로서는, 일반적으로 평량이 15∼40g/㎡인 부직포가 사용되고, 액투과성이 있으면, 막, 네트(net)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주변부는 발수성, 중앙부는 친수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4로서는, 일반적으로 침엽수의 크라프트 펄프를 분쇄한 선상체를 흡수지로 싸서 사용하는데, 특히 고흡수성의 중합체 입자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선상체의 중량은 대략 10∼40g이다. 흡수체에 사용된 고흡수성의 중합체의 위치는, 흡수체 중의 상층, 중층, 하층이거나 펄프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의 중합체로서는, 스타치(starch)계, 셀룰로오스계 및 합성중합체계가 포함되며, 예를 들어, 스타치-아크릴산(염) 그라프트공중합체, 스타치-아크릴로니트릴 비누화공중합체, 카르복시메틸나트륨 셀룰로오스의 가교물 및 아크릴산(염) 중합체가 적당하다. 이러한 고흡수성의 중합체는 자체중량의 20배 이상의 액흡수성 보유력을 갖고 갤화하는 성질을 갖는다.
탄성체 7로서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천연고무 등의 리본형상 및 선상의 것 또는 물에 젖었을 때 신축성을 갖는 선상의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개까지의 갯수로 이루어진다. 또한, 탄성체 7의 길이는 기저귀 길이의 약 30∼60%이고, 자체길이의 1.3∼2.0배로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평평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밖의 물품 예를 들어, 실금 패드, 생리대, 팬티기저귀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및 2
[표 1]에 나타낸 폴리프로필렌 70중량부, [표 2]에 나타낸 화합물 25중량부 및 결정조핵제마스터뱃치[결정조핵제(EC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EC∼1"; 2중량%)] 5중량부를 사용하여 상술한 형성방법 (1)에 의해 다공성 시트를 형성한다.
형성된 다공성 시트를 이면재로서 사용하여 제 1도 및 제 2도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한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낸 폴리프로필렌 65중량부 및 [표 2]에 나타낸 화합물 35중량부를 사용하여 상술한 형성방법 (1)에 의해 다공성 시트를 형성한다.
형성된 다공성 시트를 이면재료서 사용하여 제 1도 및 제 2도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한다.
실시예 4~8
[표 1]에 나타낸 폴리프로필렌 70중량부 및 [표 2]에 나타낸 화합물 30중량부를 사용하여 상술한 형성방법 (1)에 의해 다공성 시트를 형성한다.
형성된 다공성 시트를 이면재로서 사용하며 제 1도 및 제 2도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한다.
비교예 1 및 2
[표 1]에 나타낸 폴리프로필렌 65중량부, [표 2]에 나타낸 화합물 30중량부 및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결정조핵제마스터뱃치 5중량부를 사용하여 상술한 형성방법 (1)에 의해 다공성 시트를 형성한다.
형성된 다공성 시트를 이면재료서 사용하여 제 1도 및 제 2도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한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하기의 시험 (1)∼(3)을 행하고, 이러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서 형성된 다공성 시트에 대하여 하기의 시험 (4)∼(9)를 행한다. 시험 (1)∼(3)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고, 시험 (4)∼(9)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1) 용융지수(Melt Iudex; MI) : ASTM D-1238에 따라 2.16Kg의 하중하에서 측정
(2) 이소택틱팬던트(Isotactic Pendant) 분율(P) : 매크로몰레큘(Macromolecules) 8,687(1975)에 따라,13C-NMR로 측정된 폴리프로필렌 분자사슬 중의 이소택틱 분율을 팬던트 분율단위로 구한다.
(3) Mw/Mn : GPC(140℃, o-디클로로벤젠 용액 중)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Mw)과 수평균분자량(Mn)을 구한다.
(4) 투습도 : JIS Z0208로 측정
(5) 내수압 : JIS L1093B로 측정.
(6) 항복강도 : 연신방향에 직각방향으로 10mm폭으로 절단한 시트를 텐실론(Tensilon)인장시험기로 척(chuck)들 사이의 거리 50mm, 인장속도 300mm/ min에서 측정하여 구한다.
(7) 찢김강도 : 60mm×30mm의 시험편을, 이의 장변이 시트의 연신방향과 평행하게 절단하고, 시험편의 중심으로부터 한 단부까지 장변과 평행하게 칼집을 넣는다. 또한, 단변의 2개의 말단을 각각 척에 고정하여 시험편을 T-자형으로 만들고 인장속도 300mm/min로 시트의 연신방향으로 잡아당겨 파열하여 측정하고, 이러한 측전도표에서 평균하중을 구하여 찢김강도를 얻는다.
(8) 혼련의 안정도 : 2축-혼련기의 가운데 개방상태의 배럴(barrel)에 화합물을 공급하여 폴리프로필렌 및 화합물을 혼합한다. 이의 안정성에 대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E...혼련물의 가스배출, 모터 부하의 맥동 또는 압출량의 맥동이 없어 안정
F... 혼련물의 가스배출, 모터 부하의 맥동 또는 압출량의 맥동이 있으나 혼련가능
P...혼련물의 가스배출, 모터 부하의 맥동 또는 압출량의 맥동이 나타나 혼련불가능
(9) 테이프의 떼냄성 : 고정테이프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일회용 기저귀의 다공성 시트(이면재)에 부착시킨 다음 떼어보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상기한 고정테이프는 Kanebo NSC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형 Panel Master AM936을 바 코터(bar coater)로 80㎛ 두께의 폴리에틸렌 시트에 바르고,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얻어진, 접착제 두께 30㎛, 접착면 크기 30×25㎟의 고정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E...이면재의 파손 또는 연신없이 떼냄이 양호
F...떼냄시 이면재에 약간의 찢김이 발생
P...떼냄시 이면재가 파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인장속도 및 성형생산성이 우수하고, 투습도, 내수압 등이 우수한 다공성 시트를 이면재로서 구비한다. 따라서, 랜딩테이프를 제공할 필요가 없고, 저렴한 가격으로 착용자의 체형에 무관하게 이면재의 어느 위치에도 고정 테이프를 부착시킬 수 있는 사용이 용이한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않는 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모든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액투과성의 표면재, 방루성(防漏性)의 이면재 및 이들 양면재 사이에 배치된 홈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한 이면재는, 결정성 폴리올레핀 30∼90중량부와,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혼화성이 있어 용해하고,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는, 전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상분리를 일으키는 화합물 70∼10중량부를 용융혼합하여, 용융혼합액을 얻고, 얻은 용액으로부터 시트를 성형한 후, 상기 시트를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신하여 미세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는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한 결정성 폴리올레핀은,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율이 Mw/Mn > 6.0의 관계에 있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이 다음의 관계식:
    을 만족시키는 이소택틱팬던트(isotactic pendant) 분율(P) 및 용융지수(melt index)(MI)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합물이 유동파라핀등의 미네랄 오일, 합성윤활유,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에틸, 트리에틸렌글리롤, 프탈산디부틸 및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또는 지방족다염기 카르복시산과 알킬알코올과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성 시트는 그의 투습도가 0.5∼4.0g/100㎠ · hr의 범위에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19950705277A 1994-03-25 1995-03-20 흡수성물품 KR100386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632694A JP3511398B2 (ja) 1994-03-25 1994-03-25 吸収性物品
JP1994-56326 1994-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291A KR960702291A (ko) 1996-04-27
KR100386075B1 true KR100386075B1 (ko) 2003-08-14

Family

ID=1302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277A KR100386075B1 (ko) 1994-03-25 1995-03-20 흡수성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804518A (ko)
EP (1) EP0700306B1 (ko)
JP (1) JP3511398B2 (ko)
KR (1) KR100386075B1 (ko)
CN (1) CN1152719C (ko)
AU (1) AU682761B2 (ko)
DE (1) DE69522518T2 (ko)
ES (1) ES2161871T3 (ko)
HK (1) HK1010991A1 (ko)
MY (1) MY114668A (ko)
TW (1) TW312625B (ko)
WO (1) WO19950262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107A (ko) * 2013-01-31 2015-10-07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올레핀 중합용 촉매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451A1 (de) * 1996-09-30 1998-04-02 Kimberly Clark Gmbh Absorbierender Artikel
JP3763652B2 (ja) * 1997-11-05 2006-04-05 花王株式会社 透湿フィルム
US6649808B1 (en) 1997-12-19 2003-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microporous polymer films with registered graphics
BR9714917A (pt) * 1997-12-19 2000-10-10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e pelìcula de artigo
JP2002253604A (ja) * 2001-03-03 2002-09-10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EP1484041A1 (en) 2003-06-06 2004-1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stening film system and assembly comprising a fastening film system and a substrate
CN106457807B (zh) * 2014-06-12 2021-02-0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多层膜以及由其制造的物品
BR112018010538B1 (pt) * 2015-12-11 2022-02-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aminado ligado por ultrassom
JP7345257B2 (ja) * 2019-01-18 2023-09-15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からなる微多孔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15826A (fr) * 1963-08-07 1968-03-08 Grace W R & Co Séparateur pour batterie et procédé pour sa fabrication
GB1044503A (en) * 1964-03-23 1966-10-05 Grace W R & Co Cold-worked polyolefin compositions
US4206980A (en) * 1978-04-24 1980-06-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versibly transparent-translucent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SE431934B (sv) * 1981-12-11 1984-03-12 Carl Gustaf Kamme Absorptionskropp med semipermeabelt membran
US4539256A (en) * 1982-09-09 1985-09-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Microporous sheet material,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made therewith
CA1226112A (en) * 1982-09-09 1987-09-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porous sheet material,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made therewith
US5085654A (en) * 1982-11-15 1992-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garment with breathable leg cuffs
US4609584A (en) * 1985-09-19 1986-09-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bsorptive devices
US4813950A (en) * 1986-09-15 1989-03-21 Branch Wilma J Sanitary menses panty
US4726989A (en) * 1986-12-11 1988-0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Microporous materials incorporating a nucleating agent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5151091A (en) * 1988-10-24 1992-09-29 Mcneil-Ppc,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multiple canals
CA1316804C (en) * 1988-11-22 1993-04-27 Sylvie Boisse Absorbent liner for impermeable clothing
US5246432A (en) * 1989-07-17 1993-09-21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5106383A (en) * 1989-07-28 1992-04-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losure systems for diaper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5169712A (en) * 1991-08-23 1992-12-08 Amoco Corporation Porous film composites
US5260360A (en) * 1991-10-18 1993-11-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il, water and sweat repellent microporous membrane materi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107A (ko) * 2013-01-31 2015-10-07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올레핀 중합용 촉매 조성물
KR102123471B1 (ko) * 2013-01-31 2020-06-17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올레핀 중합용 촉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0991A1 (en) 1999-07-02
CN1152719C (zh) 2004-06-09
DE69522518T2 (de) 2002-04-18
AU682761B2 (en) 1997-10-16
AU1960995A (en) 1995-10-17
ES2161871T3 (es) 2001-12-16
CN1124459A (zh) 1996-06-12
DE69522518D1 (de) 2001-10-11
TW312625B (ko) 1997-08-11
US5804518A (en) 1998-09-08
EP0700306B1 (en) 2001-09-05
JP3511398B2 (ja) 2004-03-29
JPH07255775A (ja) 1995-10-09
KR960702291A (ko) 1996-04-27
WO1995026208A1 (en) 1995-10-05
MY114668A (en) 2002-12-31
EP0700306A1 (en)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470B1 (ko) 재생가능한 전분 중합체를 함유하는 탄성 필름
US5722969A (en) Disposable diaper
KR20160018797A (ko)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KR20120126066A (ko) 열가소성 셀룰로오즈의 용융 가공형 필름 및 미생물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KR100386075B1 (ko) 흡수성물품
KR101854581B1 (ko) 이축 연신 다공성 필름
JP3474677B2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H07216120A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MXPA02006465A (es) Composiciones adhesivas solubles en agua.
JP3462303B2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4052698B2 (ja) 吸収性物品
JP2000001557A (ja) 透湿フィルム及び吸収性物品
JPH1148410A (ja) 伸縮フィルム積層体
JP2000001556A (ja) 透湿フィルム及び吸収性物品
KR20190063779A (ko) 부직포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JP3356357B2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H07149937A (ja) 多孔性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衛生用品
JPH11158303A (ja) 透湿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H09206331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100189265B1 (ko) 통기성 필름
JP3805493B2 (ja) 伸縮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JPH093224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3507114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880767B2 (ja) 多孔性フィルム
JPH11106536A (ja) 透湿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