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916B1 - 복합기 - Google Patents

복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916B1
KR100385916B1 KR10-2000-0085191A KR20000085191A KR100385916B1 KR 100385916 B1 KR100385916 B1 KR 100385916B1 KR 20000085191 A KR20000085191 A KR 20000085191A KR 100385916 B1 KR100385916 B1 KR 10038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coupled
housing
lift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931A (ko
Inventor
조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9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04Sound-deadening or shock-absorbing devices or measures therein
    • B41J19/06Resilient mounting of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45Printers integrated in other types of apparatus, e.g. printers integrated in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3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driven by motors independently of the machin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 B41J7/50Type-face selected by combinations of two movements of type carrier
    • B41J7/52Type-face selected by combinations of two movements of type carrier by combined rotary and sliding movement

Landscapes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복합기는 스캔 유니트가 설치된 상부하우징, 상부하우징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하우징,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결합되어 상부하우징의 개폐시에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되, 지지부재는 하단부가 하부하우징에 결합된 원통형상의 승강실린더와 승강실린더 내부에 삽입 장착되되 상단이 상부하우징에 축 결합된 승강피스톤과 승강실린더의 내부중의 승강피스톤의 하단에 상단이 지지되어 승강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피스톤의 상단에는 축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축홀을 통하여 결합핀이 관통 결합되되 상기 결합핀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회동각을 따라 굴곡지게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굴곡진 장공이 형성된 회동판이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는 상부하우징의 개폐 작업시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피스톤구조와 회동각 조절구조, 그리고 완충구조로써 구현하여 상부하우징의 작용상태가 보다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복합기의 사용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기{A multiple office machine}
본 발명은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기의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개선하여 상부하우징의 개폐동작시 상부하우징에 대한 지지와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복합기의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는 스캐너, 복사기, 팩스 또는 프린터의 기능을 복합한 것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복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적인 구조가 상부에 스캔 작용을 위한 스캔 유니트가 구비되고, 인쇄와 팩스 전송을 위한 프린팅 장치 등이 내장된 본체(10)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는 그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 부품의 수리 및 교체 또는 토너 내지는 잉크 등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일단이 축 결합된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부하우징(11)의 개방시 상부하우징(11)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복합기에 마련된 지지부재는 하단이 하부하우징(12)의 상측에 축지지 되어 상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된 받침대(20)로 되어 있다.
이 받침대(20)는 본체(10) 내부 부품의 수리 및 잉크 또는 토너의 교체시에 상부하우징(11)을 작업자가 들어올려 그 결합부분을 축심으로 하여 회동시킨 후 받침대(20)의 상단이 상부하우징(11)의 하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부하우징(11)의 상향 개방상태의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후 상부하우징(11)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때에는 사용자가 상부하우징(11)을 잡은 상태에서 받침대(20)를 접어 하부하우징(12)의 원래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부하우징(11)을 하향 복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지부재인 받침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1)의 개방시 항상 사용자가 상부하우징(11)을 잡고 받침대(20)를 펼치거나 접어야만 하므로, 작업상의 불편한 점이 크다.
더욱이 크기가 큰 복합기의 경우는 상부하우징(11)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상부하우징(11)의 개폐작업에 상당한 작업 노동력을 요구하게 되고, 또한 급격한 상부하우징(11)의 개폐작업으로 발생하는 충격으로 복합기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하우징의 개폐작업이 보다 쉽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동각 조절구조와 완충작용구조가 포함된 지지부재를 가진 복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복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지지부재
210...승강실린더
220...승강피스톤
230...완충스프링
240...회동판
250...고정브라켓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단에 축결합된 하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개폐시에 상기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복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된 원통형상의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 내부에 삽입 장착되되 상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에 축결합된 승강피스톤과 상기 승강실린더의 내부중의 상기 승강피스톤의 하단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승강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피스톤의 상단에는 축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축홀을 통하여 결합핀이 관통 결합되되 상기 결합핀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회동각을 따라 굴곡지게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굴곡진 장공이 형성된 회동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판의 상측에는 하측부가 상기 회동판과 축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피스톤은 외주면에 상하로 절개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승강피스톤의 구동방향을 지지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의 함체 형태로 된 본체(100)를 구비한다. 이 본체(100)의 하측은 내부에 잉크 또는 토너 및 그 외의 전장품과 용지 트레이 등이 내설된 하우징(120)(130)과 이 하우징(120)(130)의 상측에 마련되어 데이터 문서의 스캔을 위한 스캔 유니트(110)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20)(130)은 전술한 스캔 유니트(110)가 상측에 마련된 상부하우징(120)과 상부하우징(120)의 뒷면 단부와 축결합되어 있는하부하우징(130)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부하우징(120)은 하부하우징(130)에 대해 후단부 축으로 상향개방과 하향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고, 스캔 유니트(110) 또한 상부하우징(120)의 상측 후방 모서리 부분에 축 결합되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30)의 사이에는 이들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각각의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재(200)가 마련된다. 이 지지부재(200)는 상부하우징(120)을 하부하우징(130)에 대해 상하로 회동시켜 개폐시킬 때 회동상태에 대한 완충지지로 보다 쉽고 유연한 동작상태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지지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승강실린더(210), 승강피스톤(220), 탄성부재, 회동판(240) 그리고 고정브라켓(250)으로 그 구성이 이루어져 있다.
이들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승강실린더(210)는 외측면의 중간부분에 하부하우징(130)의 내측벽에 볼트 또는 나사로 승강실린더(210)가 결합되도록 고정턱(21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측벽 일부가 절개되어 노출된 대략 원통형상이다. 또한, 내주에는 상하로 연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2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승강피스톤(220)은 승강실린더(210)의 내부로 하측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외주에 승강실린더(2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2)가 끼워지도록 상하로 연장 절개 형성된 가이드홈(221)이 형성되어 승강피스톤(220)이승강실린더(210) 내부에서 승하강할 때 그 구동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승강피스톤(220)의 상단은 중간부가 일부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모서리 부분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향 돌출한 두 개의 결합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222)에는 축홀(2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홀(223)에 끼워지는 결합핀(225)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탄성부재는 완충스프링(240)으로 마련되는데, 이 완충스프링(240)은 승강실린더(2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승강실린더(210) 내부의 바닥에 지지되고 상단이 승강피스톤(220) 하단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피스톤(220)의 하단 외주에는 승강피스톤(220)이 승강실린더(2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승강실린더(210)의 외주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끼워지는 이탈 방지턱(224)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회동판(240)은 대략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있되, 하단부는 일부 굴곡지게 내향 절개된 굴곡부(241)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면에는 이 굴곡부(241)의 원주율과 거의 같은 원주를 가지는 장공(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242)에는 결합핀(225)이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회동판(240)의 상측 단부에는 양 측방으로 돌출한 축돌기(243)가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고정브라켓(250)은 회동판(240)의 축돌기(243)가 끼워지도록 된 두 개의 축홈(251)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의 일측부분에는 상향 돌출한 두 개의 끼움턱(2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측부분으로는 상부하우징(120)에 고정브라켓(25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후크(25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실린더(210)는 하부하우징(130)에 결합되고, 이 승강실린더(210) 내부에 완충스프링(230)과 승강피스톤(220)이 차례로 삽입 설치되며 승강피스톤(220)의 상단으로 회동판(240)이 결합되고 회동판(240)의 상단에 고정브라켓(250)이 설치됨으로써 지지부재(200)의 설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합기의 작동중 사용자가 본체 내부 부속품들의 수리 또는 교체, 내지는 잉크 또는 토너의 교체시에 상부하우징(120)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의 개방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상부하우징(120)의 자유단을 잡고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상부하우징(120)은 하부하우징(130)과의 축결합부분을 축으로 상향 회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200)는 먼저 고정브라켓(250)에 상부하우징(120)의 축 결합부분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상향 회동력이 가해지게된다.
이로 인해 고정브라켓(250)은 회동판(240)과의 축 결합부분을 축으로 상부하우징(1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동작을 하게 되고, 동시에 회동판(240)에도 동일방향에 대한 회동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판(240)은 회동판(240)의 장공(242)에 끼워진 승강피스톤(220)의 결합핀(225)이 장공(242)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브라켓(250)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이 결합핀(225)을 통하여 승강피스톤(210)에 상향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승강피스톤(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완충스프링(230)의 압착으로 상향 탄성 지지된 상태이다.
그러므로, 상부하우징(120)이 개방됨과 동시에 완충스프링(230)에 의한 탄성 복원력으로 보다 유연하고, 안정되게 상부하우징(120)이 개방되도록 하며, 승강피스톤(210)의 가이드홈(221)이 승강실린더(2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2)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동일한 방향으로 상향 승강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상부하우징(120)의 개방동작으로 회동판(240)의 굴곡부(241)는 승강피스톤(220)의 상단을 일측으로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120)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피스톤(220)이 완충스프링(23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고, 동시에 회동판(240)에 의하여 개방 각도로 경사지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힘이 상부하우징(120)에 가해지지 않으면 상부하우징(120)은 그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부하우징(120)의 개방동작후 사용자는 필요한 작업을 적절히 수행하고, 이후 상부하우징(120)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 닫게 된다.
이때 상부하우징(120)의 복원동작은 사용자가 상부하우징(12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부하우징(120)은 이 외력으로 하향 이동하면서 고정브라켓(250)을 회동시킴과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회동판(240) 또한 고정브라켓(25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면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 동작상태는 회동판(240)의 장공(242)에 결합핀(225)이 축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핀(225)이 장공(242)에서 슬라이딩 동작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회동판(240)의 회전 하향 동작으로 승강피스톤(220)의 상부로 수직 하향 복원력이 제공되게 되어 승강피스톤(220)은 승강실린더(2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며 동시에 완충스프링(230)은 압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승강피스톤(220)의 하향 동작은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과 상부하우징(120)의 자중이 함께 가해지게 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작은 힘으로 쉽고 부드럽게 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계속된 승강피스톤(220)의 하향 동작으로 상부하우징(120)이 개방되기 전 최초 상태로 복원하여 닫히게 되면 이후 상부하우징(120)에 하부하우징(130)을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등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시키면 상부하우징(120)의 복원이 완료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지지부재는 스프링과 피스톤구조 그리고 상부하우징의 회동각에 따라 조절되는 회동판으로 상부하우징의 쉽고 안정된 개폐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공압피스톤 및 유압피스톤 등의 피스톤구조와 각도 조정이 가능한 회동판으로 된 일부 변형된 다른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는 상부하우징의 개폐 작업시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피스톤구조와 회동각 조절구조, 그리고 완충구조로써 구현하여 상부하우징의 작용상태가 보다 유연하고 부드러우며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복합기의 사용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개폐시에 상기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복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된 원통형상의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 내부에 삽입 장착되되 상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에 축결합된 승강피스톤과 상기 승강실린더의 내부중의 상기 승강피스톤의 하단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승강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피스톤의 상단에는 축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축홀을 통하여 결합핀이 관통 결합되되 상기 결합핀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회동각을 따라 굴곡지게 슬라이딩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굴곡진 장공이 형성된 회동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의 상측에는 하부가 상가 회동판과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된 고정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피스톤은 외주면에 상하로 절개 형성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승강피스톤의 구동방향을 지지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KR10-2000-0085191A 2000-12-29 2000-12-29 복합기 KR10038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191A KR100385916B1 (ko) 2000-12-29 2000-12-29 복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191A KR100385916B1 (ko) 2000-12-29 2000-12-29 복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931A KR20020055931A (ko) 2002-07-10
KR100385916B1 true KR100385916B1 (ko) 2003-06-02

Family

ID=2768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191A KR100385916B1 (ko) 2000-12-29 2000-12-29 복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9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640A (ja) * 1986-02-24 1987-08-31 Sharp Corp 複写機の原稿押えカバ−取付部構造
JPH11305358A (ja) * 1998-04-17 1999-11-05 Murata Mach Ltd 原稿圧着板開閉機構
KR20000047121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복사기기의 커버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640A (ja) * 1986-02-24 1987-08-31 Sharp Corp 複写機の原稿押えカバ−取付部構造
JPH11305358A (ja) * 1998-04-17 1999-11-05 Murata Mach Ltd 原稿圧着板開閉機構
KR20000047121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복사기기의 커버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931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425B1 (ko) 사무기기의 커버 개폐용 힌지장치
KR100609059B1 (ko) 스톱퍼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580794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06696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227370A5 (ko)
US7747208B2 (en) Cover structure for scan device
KR100385916B1 (ko) 복합기
KR920006821B1 (ko)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
KR20070111748A (ko) 커버개폐용 힌지장치
JP4161496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125056A (ja) ヒンジ装置
JP3202814B2 (ja) 複写機の原稿押え装置
JPH0548785A (ja) デ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H05297665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06014A (ja) 原稿圧着板の取付装置
JP2022082174A (ja) 画像読取装置
KR101303134B1 (ko) 커버개폐용 힌지장치
KR20070031733A (ko) 개선된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521152B1 (ko) 복사기의 커버개폐용 힌지장치
KR100628715B1 (ko) 다기능 프린터
KR20050076126A (ko)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22085726A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事務機器
JP2000201241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H08106135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072009A (ko) 화상형성기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