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661B1 - 기록및/또는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및/또는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661B1
KR100385661B1 KR1019950038023A KR19950038023A KR100385661B1 KR 100385661 B1 KR100385661 B1 KR 100385661B1 KR 1019950038023 A KR1019950038023 A KR 1019950038023A KR 19950038023 A KR19950038023 A KR 19950038023A KR 100385661 B1 KR100385661 B1 KR 10038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recording
reproducing
inpu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519A (ko
Inventor
아라이도시오
꾸보다까시
나까시마가즈따까
이찌무라기미노부
이다미쯔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1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테이프 레코더 등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본체부 내에 내장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전기-음향 변환부, 조작 입력 유니트, 제1 및 제2 연결 코드 조립체 및 제1 및 제2 코드 권취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는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상에 또는 그로부터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한다. 전기-자기 변환기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의해 재생된 정보 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입력 유니트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기록 또는 재생 상태를 설정 또는 절환한다. 제1 연결 코드 조립체는 이들 사이에서 정보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조작 입력 유니트를 상호 연결한다. 제2 연결 코드 조립체는 전기-음향 변환유니트와 조작 입력 유니트를 상호 연결한다. 제1 권취 유니트는 제1 연결 코드 조립체를 권취하기 위한 본체부 내에 제공된다. 제2 권취 유니트는 제2 연결 코드 조립체를 권취하기 위한 조작 입력 유니트 내에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본 발명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 부재 권취 기능을 갖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레코더, 테이프 플레이어, 디스크 레코더 또는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지금까지 제안되어 왔다.
이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들 사이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정보 신호를 위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가 본체부 내부로 수용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연결 부재로서 작동시키는 코드를 거쳐 연결되는 원격 제어기가 구비된 것이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는 테이프 카세트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 광 픽업 장치 및 자기 헤드 장치와 같은 기록 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유니트를 갖는다.
원격 제어기는 수동 조작에 반응하여 동작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작동 신호를 코드를 거쳐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전송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는 기록, 재생, 음악 방송 선택 또는 작동의 정지와 같은 다양한 작동을 수행하도록 제공된 동작 신호에 반응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의해 출력된 음향 신호는 코드를 거쳐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연결된 전기-음향 변환기에 의해 음향으로 변환되며, 그것이 바로 헤드폰 유니트이다.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 및 원격 제어기를 상호 연결한 코드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 및 헤드폰 장치를 상호 연결한 코드는 본체부 내에 수납되도록 본체부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코드 릴에 의해 서로 합쳐져서 권취된다.
상술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 및 헤드폰 장치를 상호 연결한 코드의 중간에 원격 제어기가 제공된다면, 본체부에 제공된 코드 릴 상의 그 전체에 코드를 권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나의 코드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 및 원격 제어기의 상호 연결을 이용하고 다른 분리 코드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 및 헤드폰 장치의 상호 연결을 이용하는 것과 각각의 코드를 권취하도록 분리 코드 릴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코드 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체부 내에 수납하게 되면 본체부가 복잡해지고 대형화된다. 또한, 릴 풀림 또는 권취 작동 중에 코드가 얽힐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 본체부, 전기-음향 변환 유니트, 연결 유니트 그리고 제1 및 제2 권취 유니트를 포함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는 정보 신호를 기록 수단 상에 또는 그로부터 기록 및/또는 재생한다. 본체부는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내장한다. 전기-음향 변환 유니트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의해 재생된 정보 신호를 제공한다. 연결 수단은 전기-음향 변환기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상호 연결한다. 제1권취 유니트는 연결 수단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본체부에 제공된다. 제2 권취 유니트는 연결 수단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연결 수단 상의 일부에 걸쳐 제공된다. 제2 권취 유니트는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다.
테이프 레코더와 같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는 본체부에 내장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 전기-음향 변환 유니트, 조작 입력 유니트, 제1 및 제2 연결부 그리고 제1 및 제2 코드 권취 유니트를 포함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는 자기 테이프와 같은 기록 수단 상에 또는 그로부터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한다. 전기-자기 변환기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의해 재생된 정보 신호가 공급된다.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입력 유니트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기록 및/또는 재생 상태를 설정 또는 절환한다. 제1 연결부는 조작 입력 유니트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 사이의 정보 신호를 교환하도록 이들을 상호 연결한다. 제2 연결부는 전기-음향 변환 유니트 및 조작 입력 유니트를 상호 연결한다. 제1권취 유니트는 제1연결부를 권취하도록 본체부 내에 제공한다. 제2 권취 유니트는 제2 연결부를 권취하도록 조작 입력 유니트 내에 제공된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기록 수단으로서 자기 테이프를 내장한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와 같은 테이프 플레이어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 설명된다. 본 실시예는 아래의 순서로 설명된다.
(ⅰ)본체부
(ⅱ)원격 제어기
(ⅲ)제1 코드 릴
(ⅳ)헤드폰 장치
(ⅴ)제2 코드 릴
(ⅵ)원격 제어기 홀더
(ⅶ)헤드폰 홀더
(ⅷ)테이프 플레이어의 작동
(ⅰ)본체부
테이프 플레이어는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를 갖는다. 본체부(1)는샤시(2)를 갖는 외부 케이싱, 샤시(2)의 전방면 상에 장착된 전방 패널(3) 및 샤시(2)의 후방면 상에 장착된 카세트 뚜껑(4)으로 구성된다.
전방 패널(3)은 예컨데, 도시되지 않은 고정 나사에 의해 샤시(2)상에 장착된다.
카세트 뚜껑(4)은 샤시(2)에 대해 측면상에 회전 지지된다. 카세트 뚜껑(4)은 뚜껑(4)의 대향 측면이 제1도의 화살표 "C"로 나타낸 것처럼, 샤시(2)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방향으로 대향 샤시(2)에 접하는 위치와 샤시(2)에서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카세트(4)는 샤시(2)에 대향하여 접촉하도록 샤시(2) 내부로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뚜껑 로크 기구에 의해 고정된다. 샤시(2) 상에 제공된 걸림 해제 레버(10)의 작동에 의해서, 카세트 뚜껑(4)은 제1도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의 샤시(2)에서 떨어지게 회전하도록 상술한 뚜껑 고정 기기에 의해 고정이 해제된다.
샤시(2)와 전방 패널(3) 사이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구성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자 회로를 수반한 회로 물질은 샤시(2) 상에 장착되고 본체부(1) 내에 수용된다.
샤시(2)와 카세트 뚜껑(4)의 배면 사이의 공간은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부(1a)로서 작용한다. 샤시(2)의 배면 상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구성한 릴 구동 샤프트(48, 49)가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부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샤시 상에 배열된 작동기에 의해 회전하여 작동하는 이들 릴 구동 샤프트(48, 49)는 이들 테이프 릴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부에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테이프 카세트의 한 쌍의 테이프 릴과 결합된다.
샤시(2)의 배면 상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캡스턴 샤프트(51, 51) 및 한 쌍의 카세트 위치 결정 핀(50, 50)이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부(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열된다. 이들 카세트 위치 결정 핀(50, 50)은 테이프 카세트를 위치시키기 위한 테이프 카세트의 본체부 내에 형성된 위치 구멍에 결합된다. 캡스턴 샤프트(51, 51)는 샤시(2) 내부에 배열된 도시되지 않은 작동기에 의해 회전 작동하고, 전후방으로 자기 테이프를 이송하도록 테이프 카세트 내부에 내장된 자기 테이프에 대향하여 접촉한다.
카세트 뚜껑(4)의 측방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핀치 롤(54, 54)과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52)가 장착된다.
헤드(52)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나오는 음향 신호를 읽어내기 위해 자기 테이프와 활주 접촉한다. 핀치 롤(54, 54)은 고무와 같은 고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캡스턴 샤프트(51)로서 유도된 자기 테이프의 이송 작동을 고정하기 위해 캡스턴 샤프트(51, 51)와 협동하여 자기 테이프를 끼운다.
한 쌍의 테이프 안내 부재(53, 53)는 헤드(52)의 양쪽 측방향 측면상에 장착된다. 이들 테이프 안내 부재(53, 53)들은 헤드(52)에 대해 자기 테이프의 작동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자기 테이프가 중심 요홈을 지나도록 허용한다. 샤시(2) 및 카세트 뚜껑(4)은 서로 회전 관계로 연결된 링크 부재(55, 56)에 의해 연결된 중간부를 갖는다.
이들 링크 부재(55, 56)들은 샤시(2)와 카세트 뚜겅(4) 사이의 개방각을 조정하기 위해 샤시(2) 및 카세트 뚜껑(4)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후술될 원격 제어기 홀더(17)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패널(3)의 측방향 에지 중 하나에 근접하게 수용되어 고정된다. 원격 제어기 홀더(17)는 후술된 것처럼 내부에 원격 제어기를 수용하도록 정상 상태로 원격 제어기에 대응하는 요홈으로 형성된다.
(ⅱ)원격 제어기
원격 제어기(4)는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케이싱(76) 및 하부 케이싱(77)이 서로 접촉하여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서 자동 조정 수용되도록 전자 회로를 수용한 회로 기판(79)을 갖는다.
회로 기판(79)은 후술된 것처럼 제1 코드 조립체(5) 및 제1 코드 릴(29)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제1 코드 조립체(5)의 복수의 코드들은 회로 기판(79)의 회로 패턴 상의 프리세트 랜드부(81)의 한쪽 단부에 납땜된다
제1 코드 조립체(5)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79) 사이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의해 출력된 음향 신호를 교환하고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로 들어가는 신호를 작동하는데 이용된다.
회로 기판(79) 상에는 신호 작동을 위한 제2 접점으로서 작동하는 복수의 다이아프램 스위치, 홀드 스위치(80), 음량 조절부(9) 및 한 쌍의 로크 홈 부재(46,46)가 배열된다.
다이아프램 스위치들 상에는 조작 스위치(6)를 구성한 복수의 관련 푸시 버튼이 배열된다. 이들 푸시 버튼들은 소직경의 지지 로드를 구비한 가요성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푸시 버튼은 일체식 부재로서 배열되고 지지 로드를 거쳐 원호 형태로 배열된다.
푸시 버튼으로 구성된 자동 스위치(6)는 원격 제어기(4)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거쳐 원격 제어기(4) 상의 공간을 향한다. 이들 푸시 버튼을 원격 제어기(4) 위로부터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가압된 푸시 버튼과 관련된 다이아프램 스위치는 가압되어 동작된다.
푸시 버튼으로 구성된 조작 스위치(6)는 제4도에서 ▷, ◁로 표시된 재생 스위치(PLAY), 되감기(REW) 스위치, 급속 이송(FF) 스위치 및 □로 표시된 정지 스위치(STOP)로 사용된다. 즉, 원격 제어기(4)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 내에 가압된 푸시 버튼과 관련된 작동 신호가 들어간다.
즉, 재생 스위치를 누르면 작동 신호는 헤드(52)로서 음향 신호를 읽어내고 전향 또는 후향으로 캡스턴 샤프트(51)의 회전 속도와 프리세트 속도를 관련시켜 자기 테이프를 공급하여 재생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공급된다.
되감기 스위치를 누르면 고속 되감기로 자기 테이프를 공급하도록 되감기 모드를 수행하는 작동 신호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공급되어 되감기 작동을 수행한다.
정지 스위치를 누르면 최근에는 작동을 정지하도록 세트함으로써 재생, 급속 이송 및 되감기 모드 중 하나에 대응하여 작동을 취소하는 작동 신호는 재생, 급속이송 또는 되감기 모드를 취소시키도록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공급된다.
홀드 스위치(80)는 지속적으로 현행 모드를 유지하는 스위치이다. 홀드 스위치(80)는 원격 제어기(4)의 상부 커버(76) 상에 장착된 활주 가능한 홀드 스위치 슬라이더(8)에 의해 동작된다.
음량 조절기(9)는 후술된 것처럼 음향 신호가 제1 코드 조립체(5)를 거쳐 전기-음향 변환기로 되어 있는 헤드폰 장치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회로 기판에 도달하여 음향 신호의 레벨이 조절되도록 사용된다.
한 쌍의 로크 홈 부재(46, 46)는 금속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작동 신호를 회로 기판(79) 상의 회로와 교환하도록 제1 코드 중 하나에 평행하게 연결된다. 이들 로크 홈 부재(46, 46)들은 원격 제어기(4)의 양 측면상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 구멍을 거쳐 외부로 노출된다. 이들 관통 구멍들은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및 하부 커버(76, 77)의 모든 측방향 측면상에 형성된 차단부(92, 92, 91,91)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이들 로크 홈 부재(46, 46)들은 원격 제어기(4)에 대해 외향 대면한 부재들 측면 상의 홈형 리세스로 형성된다.
(ⅲ)제1 코드 릴
본체부(1) 내에는,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부(1)의 내부에 제1 코드(5)를 내장하도록 제1 코드 조립체(5)가 권취되는 제1 코드 릴(29)이 장착된다.
제1 코드 릴(29)은 고정 나사(75)에 의해 전방 패널(3)의 배면 상에 차례로장착된 릴레이 기판(73)상에 장착된 피봇(22)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제1 코드 릴(29)은 릴레이 기판(73)과 전방 패널(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코드 릴(29)의 허브는 제1 코드 조립체(5)의 대향 단부를 고정한다. 제1 코드 조립체(5)를 구성한 코드의 대향 단부는 제1 코드 릴(29)에 제공된 복수의 단자 링에 연결된다. 이들 단자 링들은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제1 코드 릴(29)에 대해 동심으로 장착된다.
제1 코드 릴(29)에 장착된 단자 링들은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 상에 제공된 복수의 브러시(65)와 활주 접촉하고 따라서, 복수의 브러시(65)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전기 접속된다. 즉, 제1 코드 조립체(5)의 코드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제1 코드 릴(29)은 제1 래칫 휘일(28)과 끼워 맞춰진다.
제1 코드 릴(29)은 제1 코드(5)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제1 코드 릴(29)을 편의하도록 제1 권취 스프링과 끼워 맞춤된다.
제1 권취 스프링(30)은 나선식으로 권취되고 제1 코드 릴(29)의 허브에 의해 유지된 외부 외주 단부를 가지며, 피봇(22)에 형성된 슬릿(74)에 의해 유지된 내부 외주 단부를 갖는다.
제1 권취 스프링(30)은 제2도의 화살표 "F"로 도시된 것처럼, 제1 코드 릴(29)을 제1 코드 릴(29) 상에서 제1 코드(5)의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식으로 편의시킨다.
본체부(1)의 내부에는 회전을 다시 허용하는 걸림 해제 가능성을 갖는 제1 코드 릴(29)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한 제1 걸림 기구가 배열된다. 제1 걸림 기구는 걸림 레버(31) 및 걸림 해제 레버(35)로 이루어진다.
걸림 레버(31)는 레버(31)의 인접 단부 내의 지지 구멍(32)을 통해 전방 패널(3)의 배면 상에 수직하게 장착된 피봇(23)을 지남으로써 회전 지지된다. 걸림 레버(31)는 제1 래칫 휘일(28)의 이와 결합하도록 선단부에 후크형 걸림부(31a)를 갖는다.
제2도의 화살표 E로 도시된 것처럼, 래칫 휘일(28)의 이를 갖는 걸림부(31a)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판부 및 인장 코일 스프링(63)에 의해 회전 편의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63)은 걸림 레버(31)의 말단부의 걸림핀(64) 및 전방 패널(3)의 배면 사이에서 인장하에 장착된다.
걸림 레버(31)는 제1 권취 스프링(30)이 편의하여 제1 코드 릴(29)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해 제1 래칫 휘일(28)의 이와 결합한 걸림부(31a)를 갖는다. 걸림 레버(31)가 제1 레칫 휘일(28)의 이와 결합된 걸림부(31a)를 갖고 있는 반면, 걸림레버(31)는 제1 코드 릴(29)이 제1 스프링(30)의 편의에 대향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 코드 릴(29)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제1 래칫 휘일(28)과 활주 접촉하는 걸림부(31a)를 갖는다.
걸림 해제 레버(35)는 안내 슬릿(36, 37)을 갖는다. 걸림 해제 레버(35)는 이들 안내 슬릿(36, 37)을 통과한 전방 패널(3)의 배면 상에 수직한 안내 샤프트 세트를 가짐으로써 활주 지지된다.
걸림 해제 레버(35)는 걸림 레버(31)의 최전방에 형성된 결합 슬릿(34)에 결합된 단부 결합핀(41)을 갖는다. 제2도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낸 것처럼, 걸림 해제레버(35)는 인장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제1 래칫 휘일(28)의 이를 걸림 레버(31)의 걸림부에 결합시키도록 걸림 레버(31)의 회전 방향으로 편의된다.
제2도에서 화살표 D로 도시한 것처럼, 걸림 해제 레버(35)는 걸림 레버(31)를 회전시키기 위해 인장 코일 스프링(40)의 편의에 대향하여 제1 래칫 휘일(28)에서 떨어지게 걸림 레버(31)의 걸림부(31a)를 회전시키도록 활주된다.
걸림 해제 레버(35)는 결합 돌출부(39)를 갖는다. 걸림 해제 레버(35)는 전방패널(3) 내부에 활주 장착된 제1 코드 인입 슬라이더(20)와 돌출부(39)를 결합시킨다. 즉, 제1 코드 인입 슬라이더(20)가 전방 패널(3)의 전방 및 후방 측면 모두와 대면하도록 전방 패널(3)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에지에 의해 지지된다. 슬라이더(20)는 걸림 해제 레버(35)의 결합 돌출부(39)와 결합된다.
코드 인입 슬라이더(20)는 걸림 레버(31)의 걸림부(31a)를 제1 래칫 휘일(28)에서 떨어지도록 치환시키기 위해 걸림 레버(31)가 걸림 해제 레버(35)를 거쳐 회전하도록 인장 코일 스프링(40)의 편의에 대향하여 제2도에 표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활주된다.
걸림 레버(31)의 걸림부(31a)가 제1 래칫 휘일(28)에서 떨어지게 분리될 때, 제1 코드 릴(29)은 제1 권취 스프링(30)의 편의로 회전된다.
(ⅳ)헤드폰 장치
헤드폰 장치(57)는 후술된 것처럼 제2 코드 조립체(61) 및 제2 코드 릴(15)을 거쳐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에 연결된다.
헤드폰 장치(57)는 제2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것처럼 좌, 우 유니트(58, 59)를 갖는다. 이들 유니트(58, 59)들은 스피커(68)에 각각 마련된다. 각각의 스피커(68)는 다이아프램, 다이아프램에 부착된 음향 코일 및 음향 코일을 치환하기 위한 자기 회로를 갖고, 출력된 입력 전기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한다.
제2 코드 조립체(61)는 각각의 유니트(58, 59)와 관련하여 두개의 코드로 구성된다. 제2 코드 조립체(61)는 원격 제어기(4)의 상부 커버(76)의 측방향 표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13)을 거쳐 원격 제어기(4) 외부로 안내된다.
유니트(58, 59)에는 스피커 유니트(68)의 외부 표면을 덮어씌우기 위한 커버(66)가 각각 제공된다. 커버(66)는 음향 라디에이터로서 작동하는 스피커(68)의 전방 표면을 대면시키기 위해 외부에 음향 라디에이터 개구(67, 마우스피스)를 갖는다.
음향 신호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표면으로부터 제2 코드(61) 및 제1 코드 조립체(5)를 거쳐 헤드폰 장치(57)에 제공된다.
(ⅴ)제2 코드 릴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원격 제어기(4) 내에는 제2 코드 조립체(61)를 권취하기 위한 제2 코드 릴(15)이 제2 코드(61)를 원격 제어기(4) 내에 내장하도록 회전장착된다.
제2 코드 릴(15)은 원격 제어기(4)의 상부 커버(76)의 하부 표면 상에 수직하게 고정된 지지 샤프트(82)에 의해 원격 제어기(4)의 내부 측면을 향하여 회전지지됨으로서 원격 제어기(4) 내부에 내장된다. 제2 코드 조립체(61)는 제2 코드 릴(15)의 허브로서 고정된 한쪽 단부를 갖는다. 제2 코드 조립체(61)의 각각의 코드는 제2 코드 릴(15)에 제공된 복수의 단자 링과 관련하여 연결된 한쪽 단부를 갖는다. 이들 단자 링들은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제2 코드 릴에 대하여 동심으로 장착된다.
제2 코드 릴(15)에 제공된 각각의 단자 링은 회로 기판(79)상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브러시와 활주 접촉하고, 이들 브러시에 의해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과 연결된다.
제2 코드 조립체(61)의 각각의 코드는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에 연결되고 회로 기판(79) 및 제1 코드 조립체(5)를 거쳐 본체부(1)의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제2 코드 릴(15)은 제2 래칫 휘일(14)을 수반한다. 제2 코드 릴(15)은 제2 코드 조립체를 제2 코드(61)의 권취하는 방향으로 편의시키도록 제2 권취 스프링(16)과 끼워 맞춰진다.
제2 권취 스프링(16)은 나선식으로 권취되고 제1 코드 릴(15)의 허브에 의해 유지된 외부 외주 단부를 가지며, 지지축(82)에 형성된 슬릿(74)에 의해 유지된 내부 외주 단부를 갖는다. 제2 권취 스프링(30)은 제4도에서 화살표 "G"로 표시된 것처럼, 제2 코드 릴(15)을 제2 코드 릴(15) 상에서 제2 코드(5)의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식으로 편의시킨다.
원격 제어기(4) 내부에는 걸림을 해제할 가능성을 갖는 제2 코드 릴(29)의회전을 방해하기 위한 제2 걸림 기구가 릴 회전을 다시 허용하도록 배열된다. 제2 걸림 기구는 걸림 슬라이더(7)로서 구성된다.
걸림 슬라이더(7)는 원격 제어기(4)의 측방향 표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93)의 에지에 의해 활주 지지된다. 걸림 슬라이더(7)는 일체식 스프링판부를 거쳐 제2 래칫 휘일(14)의 이(95)와 결합하도록 걸림부(7a)를 갖는다.
걸림 슬라이더(7)는 원격 제어기(4) 내부로 수직하게 고정된 접촉핀(89)에 대향하여 일체식 스프링판부를 접촉시킴으로서 제2 래칫 휘일(14)의 이(95)와 결합되지 않는 걸림부(7a)를 편의시킨다. 걸림부(7a)는 제2도에서 화살표 "L"로 표시된 그에 대향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장착된다.
걸림 슬라이더(7)는 제2 권취 스프링(16)의 편의력하에 제2 코드 릴(15)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해 그 유지부(7a)가 제2 래칫 휘일(14)의 이(95)와 결합되게 한다. 걸림 슬라이더(7)는 제2 래칫 휘일(14)의 이(95)와 결합된 유지부(7a)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코드 릴(15)이 제2 권취 스프링(16)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회전하면 걸림 슬라이더(7)의 유지부(7a)는 제2 코드 릴(15)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제2 래칫 휘일(14)과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걸림 슬라이더(7)는 제4도에 화살표 L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7)의 스프링판부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미끄럼 이동하여 슬라이더(7)의 스프링판 부분은 맞닿음핀(89)에 맞닿게 되어 유지부(7a)를 제2 래칫 휘일(14)로부터 멀리 변위시키도록 탄성 변형된다.
걸림 슬라이더(7)의 유지부(7a)가 제2 래칫 휘일(14)로부터 멀리 이동하면제2 코드 릴(15)은 제2 권취 스프링(16)의 편의력하에서 회전된다.
원격 제어기(4) 내에는 제2 코드 릴(15)의 측면에 대향하는 권취 레버(84)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 레버(84)는 그 말단부에 지지 구멍(85)을 갖고, 이 지지 구멍에는 제2 코드 릴(15)에 근접 또는 이격 이동될 수 있도록 원격 제어기(4)의 하부 커버(77)에 의해 지지되게 원격 제어기(4) 내에 제공된 직립 지지축(87)이 통과하게 된다. 권취 레버(84)의 선단부에는 롤(86)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롤(86)의 회전측은 제4도에 화살표 N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코드 릴(15)의 회전측에 평행한 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 권취 레버(84)는 제2 코드 조립체가 제2 코드 릴(15)에 의해 권취될 때 제2 코드 조립체(61)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제2 코드 릴(15) 주위에 배치된 제2 코드 조립체(61)에 대해 롤(86)을 추력 지지한다.
원격 제어기(4)가 본체부(1) 내에 제공된 원격 제어기(4)에 대해 홀더(17)에 의해 끼워져 유지되게 되면 제1 코드 릴(29)의 회전의 방해를 해제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제1 권취 기구는 제2 코드 릴(15)의 회전의 방해를 해제하는 해제 동작과 관련하여 제2 걸림 기구를 작동시킨다.
즉, 코드 인입 슬라이더(20)가 제2도에 화살표 B로 도시한 방향으로 인장 코일 스프링(40)의 편의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상기 걸림 해제 레버(35)는 홀더(17) 내에 위치한 원격 제어기(4)의 걸림 슬라이더(7)의 미끄럼 운동 방향으로 대향 단부에 형성된 조작 갈고리(38)를 이동시킨다.
조작 갈고리(38)는 홀더(17)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거쳐서 홀더(17)내로 진입한다.
이리하여, 원격 제어기(4)가 홀더(17) 내의 예정 위치에 배치되면 조작 갈고리(38)는 걸림 슬라이더(7)의 스프링판부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걸림 슬라이더(7)를 이동시킨다.
(ⅵ) 원격 제어기 홀더
본체부(1)의 외부 측면 상에서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접속된 조작 신호용 접점이 되는 한 쌍의 로크 바아(24, 24)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7) 내에 제공된다. 이들 로크 바아(24, 24)는 홀더(17)의 양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 구멍(18, 18)을 거쳐 서로 대향 배치된다.
이들 로크 바아(24, 24)는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중앙 축경부(71) 및 양단 축경부(70, 70)가 형성된다. 이들 로크 바아(24, 24)는 축방향 단부가 홀더(17)의 저면에 평행 연장되며, 상기 단부 축경부(70, 70)는 관통 구멍(18, 18)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통 구멍(18,18)의 양측에서 연장된다.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바아(24, 24)는 홀더(17) 내측 방향, 즉 제8도, 제10도 및 제11도에 화살표 H로 도시한 관통 구멍(18, 18)을 거쳐서 외향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전방 패널(3)의 이면에 장착된 한 쌍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5, 25)에 의해 편의된다.
각 코일 스프링(25)은 하나의 아암(27)이 전방 패널(3)의 이면에 의해 보유되고 대향측 아암(26)이 중앙 축경부(71)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원격 제어기(4)가 홀더(17)의 내측에 끼워지면 로크 바아(24, 24)는 제11도에 도시한 원격 제어기(4)의 양측부로부터 로크 홈 부재(46, 46)의 요홈 내에 결합된다.
이 때, 원격 제어기(4)는 로크 바아(24, 24)에 의해 홀더(17)에 대해 유지된다.
로크 홈 부재(46, 46)는 로크 바아(24, 24)에 연결되어서, 조작 신호가 이들 로크 홈 부재(46, 46)와 로크 바아(24, 24)를 거쳐서 로크 홈 부재(46, 46)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 사이에서 교환된다.
(ⅶ) 헤드폰 홀더
전방 패널(3)의 전방면 상에는 제2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헤드폰 홀더(42, 43)가 장착되어 본체부(1)의 외측면으로서 작용한다.
각 헤드폰 홀더(42, 43)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패널(3)의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전방 패널(3)의 전방면 상에 전방 패널(3)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또는 합성 수지 재료로 된 대응 형상 부재를 접착시켜서 각 유니트(58, 59)의 정면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짧은 기둥형으로 형성된다.
헤드폰(42, 43)에는 플랜지(42a)가 각 전방측 주변에 연장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42a, 43a)의 전후방은 각각 R 표면(62) 및 C 표면(47)으로서 형성된다. R표면(62)은 구면의 일부에 해당하는 토릭면(toric surface)으로 되어 있고 C 표면은 원추면의 일부에 해당하는 면이다.
헤드폰 홀러(42, 43) 각각의 전방측(69)은 스피커 유니트(68)의 전방면의 볼록형에 맞는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헤드폰 홀더(42, 43)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커버(66)의 마우스피스(67)에 플랜지(42a, 43a)를 끼워서 유니트(58, 59)를 유지한다.
커버(66)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랜지(42a, 43a) 각각에 대해 추력 방향으로 마우스피스(67)의 내부 림을 갖고 있어서 헤드폰 홀더(42, 43)에 의해 유지되며, 이 때 마우스피스(67)의 내부 림이 탄성 변형하게 된다.
이리하여, 홀더(58, 59)는 제14도에 화살표 J로 도시한 방향으로 헤드폰 홀더(42, 43)를 향해 추력 지지하도록 헤드폰 홀더(42, 43)에 의해 유지된다. 홀더(58, 59)는 또 헤드폰 홀더(42, 43)로부터 멀리, 즉 헤드폰(42, 43)으로부터 분리되는 제14도의 화살표 J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홀더(42, 43)로부터 분해된다.
(ⅷ) 테이프 플레이어의 작동
상술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원격 제어기(4)는 홀더(17) 내에 유지될 수 있고, 유니트(58, 59)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폰 홀더(42, 43)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코드 인입 슬라이더(20)는 제1 권취 스프링(30)의 편의력하에서 제1 코드 릴(29) 상에 제1 코드 조립체(5)를 권취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제2 코드 조립체(61)는 제2 권취 스프링(16)의 편의력하에 제2 코드 릴(15) 상에 권취되게 할 수 있다.
이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에서는 유니트(58, 59)는 헤드폰 홀더(42, 43)로부터 분리되어 제2 코드 릴(15)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권취 스프링(16)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회전할 때 제2 코드 조립체(61)를 제2 코드 릴(15)로부터 견인할수 있다.
이 상태에서 유니트(58, 59)에 가해진 견인력이 해제되면, 걸림 슬라이더(7)는 제2 권취 스프링(16)의 편의력하에 제2 래칫 휘일(14)의 회전을 방해하도록 제2 래칫 휘일(14)과 결합된다. 이 때, 제2 코드 조립체(61)는 인출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코드 인입 슬라이더(20)가 작동되면, 걸림 슬라이더(7)는 걸림 해제 레버(35)에 의해 작동되어 제2 코드 조립체(61)는 제2 권취 스프링(16)의 편의력하에서 제2 코어 릴(15)에 의해 권취된다.
이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원격 제어기(4)는 홀더(17)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1 코드 릴(29)로부터 제1 코드 조립체(5)를 인출하도록 견인되고 제1 코드 릴(29)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취 스프링(30)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회전될 때 제1 코드 릴(29)을 인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만일 원격 제어기(4)의 견인이 중지되면, 걸림 레버(31)는 제1 래칫 휘일(28)과 결합되어 제1 권취 스프링(30)의 편의력하에 제1 래칫 휘일(28)의 회전을 방해하고, 이 때 제1 코드 조립체(5)는 인출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 때 코드 인입 슬라이더(20)가 동작하고, 걸림 레버(31)는 걸림 해제 레버(35)에 의해 작동되어 제1 코드 조립체(5)가 제1 권취 스프링(30)의 편의력하에 제 1 코드 릴(29)에 의해 권취된다.
이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만일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하우징부(1a) 내에 삽입하고 카세트 뚜껑(4)을 샤시(2)와 맞닿도록 회전시킨 채 원격 제어기(4)의 재생 스위치 "PLAY"를 작동시켜 원격 제어기(4)의 재생 스위치 "PLAY"가 작동되면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로부터의 음향 신호 판독 재생 모드가 실행된다.
윈격 제어기(4)가 홀더(17) 내에 유지되면 원격 제어기(4)의 각 스위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조작 신호가 제1 코드 조립체(5) 뿐만 아니라 로크 홈 부재(46, 46)를 거쳐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공급된다. 따라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서 제1 코드 조립체(5)의 코드 파단이 일어나도 조작 신호의 수신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된다.
원격 제어기(4)가 홀더(17)로부터 분리되면, 원격 제어기(4)의 각 스위치의 작동을 표시하는 작동 신호는 제1 코드 조립체(5)를 거쳐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공급된다.
자기 테이프를 독출하는 음향 신호는 샤시(2)의 측면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출력 잭 및 헤드폰 장치(57)에 전기 신호로서 공급되게 된다.
헤드폰 장치(57)는 제1 및 제2 코드 조립체(5, 61)를 거쳐서 기록 및/재생 유니트로부터의 음향 신호로서 유니트(58, 59)에 공급되며 이들 음향 신호를 스피커(58, 59)의 각 잭(68, 68)에 의해 청취 가능한 음향으로 변환시킨다.
출력 잭은 전방 패널(3)의 측면에 형성된 헤드폰 잭 개구(44)를 거쳐 외향 대향하고 상술한 헤드폰 장치(57)와는 다른 헤드폰 장치에 연결된다.
급속 이송 및 되감기 모드에서, 테이프 플레이어는 자기 테이프 상의 재생위치를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고속에서 자기 테이프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테이프 플레이어뿐만 아니라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디스크 레코더 또는 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각종 기록/재생 장치도 포함한다.
또 디스크 레코더나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된 기록 매체로는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가 포함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서 테이프 레코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레코더 본체부의 외부 케이싱의 배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레코더의 배열을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원격 제어기의 배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부의 외부 케이싱의 배열을 도시한 하부 평면도.
제6도는 헤드폰 장치를 인출한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레코더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헤드폰 장치 및 원격 제어기를 인출한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레코더 를 도시한 평면도.
제8도는 외부 커버를 제거한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부에 대한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외부 커버를 제거한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부에 대한 외부 케이싱의 대향 측면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10도는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부에 대한 외부 케이싱의 배열중 주요부를 도시한 종방향 횡단면도.
제11도는 원격 제어기가 끼워진 제1도의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부에 대한 외부 케이싱의 주요부를 도시한 종방향 횡단면도.
제12도는 제1도의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폰 장치의 유니트부의 배열을 도시한 일부 절결 측면도.
제13도는 제1도의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폰 장치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14도는 헤드폰 장치 홀더에 의해 고정된 헤드폰 장치의 유니트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부 2 :샤시
3 : 전방 패널 4 : 원격 제어기
5 : 제1 코드 조립체 6 : 조작 스위치
7 : 걸림 슬라이더 9 : 음량 조절기
10 : 걸림 해제 레버 14 : 제2 래칫 휘일
15 : 제2 코드 릴 16 : 제2 권취 스프링
17 : 원격 제어기 홀더 20 : 제1 코드 인입 슬라이더
22 :피봇 28 : 제1 래칫 휘일
29 : 제1 코드 릴 30 : 제1 권취 스프링
31 : 걸림 레버 32 : 지지 구멍
34 :슬릿 35 : 걸림 해제 레버
36, 37 : 안내 슬릿 39 : 돌출부
40 : 인장 코일 스프링 41 : 결합핀
46 : 로크 홈 부재 48, 49 : 릴 구동축
50 : 카세트 위치핀 51 : 캡스턴 축
52 :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 53 : 테이프 안내 부재
54 : 핀치 롤 55, 56 : 링크 부재
57 : 헤드폰 장치 58, 59 : 유니트
61 : 제2 코드 63 : 인장 코일 스프링
64 : 걸림핀 66 :커버

Claims (10)

  1. 기록 매체상에 또는 그로부터 정보 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둘러싸는 본체부와,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정보 신호가 공급되는 전기-음향변환 수단과,
    상기 전기-음향 변환 수단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 제공된 제1 권취 수단과,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도록 상기 연결부 상에 일부 걸쳐서 제공된 제2 권취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권취 수단은 상기 본체부상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제1 권취 수단이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게 하는 조작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제1 권취 수단 및 상기 제2 권취 수단이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게 하며,
    상기 제1 권취 수단은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기 위한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1 회전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권취 수단은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는 제2 권취부와 상기 제2 권취부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2 회전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제1 회전 걸림부에 의한 상기 제1권취부의 회전 걸림 상태와 상기 제2 회전 걸림부에 의한 상기 제2 권취부의 회전 걸림 상태를 해제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권취 수단을 둘러싸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으로부터의 정보 신호를 상기 권취 수단을 거쳐서 상기 전기-음향 변환 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권취 수단은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정보 신호가 공급되어 입력 신호를 상기 전기-음향 변환 수단에 공급하는 입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권취 수단은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의 기록 또는 재생 조작을 선택 및 입력하기 이한 조작 입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권취 수단이 상기 본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와 조작 입출력 수단 사이에서 정보 신호를 교환하는 입출력 수단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권취 수단을 둘러싸는 하우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수단은 상기 제2 권취 수단이 상기 본체부 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으로부터의 정보 신호를 상기 권취 수단을 거쳐서 상기 전기-음향 변환 수단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 내에 제공된 제1 입출력부와, 상기 제1 입출력부로부터의 입력 정보 신호를 상기 전기-음향 변환 수단에 공급하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정보 신호를 상기 입출력 수단에 출력하기 위해 상기 권취 수단에 제공된 제2 입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6. 기록 매체상에 또는 그로부터 정보 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둘러싸는 본체부와,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정보 신호가 공급되는 전기-음향변환 수단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의 동작 상태를 설정 및 절환하고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한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 사이에서 정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제1 연결 수단과,
    상기 전기-음향 변환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 수단과,
    상기 제1 연결 수단을 권취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 내에 제공된 제1 권취 수단과,
    상기 제2 연결 수단을 권취하기 위해 상기 조작 입력 수단 내에 제공된 제2 권취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권취 수단이 상기 본체부 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조작 입출력 수단 사이에 정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입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권취 수단을 둘러싸는 하우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수단은 상기 제2 권취 수단이 상기 본체부 내에 둘러싸였을 때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으로부터의 정보 신호를 상기 제2 권취 수단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 내에 제공된 제1 입출력부와, 상기 제1 입출력부로부터의 입력 정보 신호를 상기 전기-음향 변환 수단에 공급하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정보 신호를 상기 제1 입출력 수단에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2 권취 수단 내에 제공된 제2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정보 신호는 상기 입출력 수단을 거쳐서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으로 공급되고 또 상기 제1 연결 수단을 거쳐서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취 수단이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게 하는 조작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제1 권취 수단 및 제2 권취 수단이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췬 수단은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한 제1 회전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권취 수단은 상기 연결 수단을 권취하는 제2 권취부와 상기 제2 권취부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2 회전 걸림부를 구비하고, 작동되고 있는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제1 회전 걸림부에 의한 상기 제1 권취부의 회전 걸림 상태와 상기 제2 회전 걸림부에 의한 상기 제2 권취부의 회전 걸림 상태를 해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1019950038023A 1994-10-31 1995-10-30 기록및/또는재생장치 KR100385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66814 1994-10-31
JP26681494A JP3555198B2 (ja) 1994-10-31 1994-10-31 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519A KR960016519A (ko) 1996-05-22
KR100385661B1 true KR100385661B1 (ko) 2003-08-06

Family

ID=1743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023A KR100385661B1 (ko) 1994-10-31 1995-10-30 기록및/또는재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06353A (ko)
EP (1) EP0709850B1 (ko)
JP (1) JP3555198B2 (ko)
KR (1) KR100385661B1 (ko)
CN (1) CN1131316A (ko)
DE (1) DE69522776T2 (ko)
SG (1) SG54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355A (en) * 1994-11-30 1999-02-02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external controller and headset and separate take-up reels therefor
JP3303568B2 (ja) * 1994-11-30 2002-07-2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US5988812A (en) * 1997-10-27 1999-11-23 Sony Corporation Headphone eyeglasses
JP3322849B2 (ja) * 1999-06-03 2002-09-09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伝導スピーカー付モバイル通信装置
DE10025941B4 (de) * 2000-05-26 2005-03-17 Micronas Gmbh Kompaktes Gerät mit einer Kabel-Aufnahmevorrichtung
US7151912B1 (en) * 2000-11-07 2006-12-19 Morrison Mark D Cable retra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US6642629B2 (en) * 2000-12-28 2003-11-04 Intel Corporation Audio system with removable, active faceplate
US6542757B2 (en) * 2001-01-11 2003-04-01 Youngbo Engineering, Inc. Headset docking device
US6434249B1 (en) * 2001-11-16 2002-08-13 Jose Wei Earphone wire winding box with coaxial and dual wheels
US20080120436A1 (en) * 2002-01-31 2008-05-22 Sigmatel, Inc. Expansion Peripheral Techniques for Portable Audio Player
TW549777U (en) * 2002-09-19 2003-08-21 Jia-Hung Gau Portable voice control device
TW568484U (en) * 2003-04-11 2003-12-21 Guo-Yang Wei Wire collection device of wire material
GB0308414D0 (en) * 2003-04-11 2003-05-21 Man Nin Shing Company Ltd Audio device with retractable earpieces
US6847724B1 (en) * 2003-12-01 2005-01-25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storable earphone
US7945934B2 (en) * 2004-06-15 2011-05-17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Portable media device and method for presenting viewing content during travel
CN2831659Y (zh) * 2005-09-05 2006-10-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耳机组件
US7712696B2 (en) * 2005-10-17 2010-05-11 Creative Technology Ltd Cable coil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70154048A1 (en) * 2005-12-30 2007-07-05 Lee Bou Label Enterprise Co., Ltd. Protective case for electro product with apparatus to receive earphone
US8019451B2 (en) * 2006-11-22 2011-09-13 Target Brands, Inc. Financial transaction product with media player
CN101868923B (zh) 2007-09-24 2015-04-01 松下航空电子公司 用于在旅行期间在移动平台上接收广播内容的系统和方法
US20090197649A1 (en) * 2008-02-05 2009-08-06 Rebelvox, Llc Mobile phone with headset docking station
CN101754068A (zh) * 2008-12-09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US8509990B2 (en) * 2008-12-15 2013-08-13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real-time data analysis
JP2012530296A (ja) * 2009-06-11 2012-11-29 パナソニック・アビオ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移動プラットフォームにセキュリティを搭載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05200B1 (ko) * 2009-07-23 2012-01-1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내염소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나노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WO2011041797A1 (en) * 2009-10-02 2011-04-07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information systems
US9016627B2 (en) 2009-10-02 2015-04-28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system at a seat
EP2514062B1 (en) 2009-12-14 2017-11-01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power management
US8704960B2 (en) 2010-04-27 2014-04-22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devices
JP2013542114A (ja) 2010-09-10 2013-11-21 パナソニック・アビオ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統合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03274B1 (ko) * 2010-11-04 2013-09-03 신지앙 티안디 그룹 내장형 신축 이어폰 구조 및 단말 설비
JP5481433B2 (ja) * 2011-06-17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電源線収納具およびこの収納部を保管できる機能門柱
US8590703B2 (en) * 2012-03-12 2013-11-26 Bose Corporation Case for headphones
US11412627B2 (en) 2012-03-30 2022-08-09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Llc Multipurpose accessory and storage system
US9392349B2 (en) 2012-03-30 2016-07-12 Hybrid Skillz Inc. Cable retraction system
US8774446B2 (en) 2012-03-30 2014-07-08 Hybrid Skillz Inc. Retractable storage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0237990B2 (en) 2012-03-30 2019-03-19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storage system
US11432641B2 (en) 2012-03-30 2022-09-06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storage system
US10225639B2 (en) 2012-03-30 2019-03-05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Llc Cable retraction system
US20140185820A1 (en) * 2013-01-03 2014-07-03 Headlogic Llc Ear Bud Retraction Mechanism Having a Break Away Dust Door
CA2841685C (en) 2013-03-15 2021-05-18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ode wireless data distribution
WO2014182784A1 (en) 2013-05-10 2014-11-13 Tebo Glenn J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3085097B1 (fr) * 2018-08-14 2022-02-04 Mohand Larabi Dispositif de rangement et de transport pour ecouteu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7589A (ja) * 1987-03-05 1988-09-09 Sony Corp テ−プレコ−ダ
KR930007420Y1 (ko) * 1991-06-28 1993-10-25 윤태혁 콜프타켓의 현가이동장치
JPH0652095U (ja) * 1992-12-16 1994-07-1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携帯用オーディオ装置
KR950020932U (ko) * 1993-12-16 1995-07-26 미니카세트의 이어폰수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003A (en) * 1977-03-24 1993-04-06 Andreas Pavel High fidelity stereophonic reproduction system
US4646987A (en) * 1985-08-30 1987-03-03 Peterson Edwin R Take-up reel for tape containing conductors
JPS6282824A (ja) * 1985-10-08 1987-04-16 Citizen Watch Co Ltd 携帯型通信機器
US4942617A (en) * 1988-12-22 1990-07-17 Mark Boylan Earphone cord take-up device
JP2792217B2 (ja) * 1990-09-07 199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GB9125552D0 (en) * 1991-11-30 1992-01-29 Robertson Alexander R Cable mana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7589A (ja) * 1987-03-05 1988-09-09 Sony Corp テ−プレコ−ダ
KR930007420Y1 (ko) * 1991-06-28 1993-10-25 윤태혁 콜프타켓의 현가이동장치
JPH0652095U (ja) * 1992-12-16 1994-07-1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携帯用オーディオ装置
KR950020932U (ko) * 1993-12-16 1995-07-26 미니카세트의 이어폰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519A (ko) 1996-05-22
DE69522776T2 (de) 2002-07-04
JPH08130789A (ja) 1996-05-21
JP3555198B2 (ja) 2004-08-18
EP0709850B1 (en) 2001-09-19
EP0709850A3 (en) 1997-07-16
CN1131316A (zh) 1996-09-18
EP0709850A2 (en) 1996-05-01
DE69522776D1 (de) 2001-10-25
US5706353A (en) 1998-01-06
SG54979A1 (en) 199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661B1 (ko) 기록및/또는재생장치
EP0064859B1 (en) Tape cassette
EP0223529B1 (en) Audio adaptor
US5867355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external controller and headset and separate take-up reels therefor
JP3603493B2 (ja) 接続装置
JP3500731B2 (ja) 記録再生装置
JP3303568B2 (ja) 再生装置
JPS58242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407437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390132B1 (ko) 기록및/또는재생장치
JP3448992B2 (ja) 電子機器用クリップ
US4152732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and playback by a tape recorder
JPH08129799A (ja) 記録再生装置
JP319387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リールロック解除装置
US5182688A (en) Tape cassette winder and rewinder
KR100203851B1 (ko) 브이씨알의 밴드브레이크
JPH08163685A (ja) 電子機器
JP3642074B2 (ja) 電子機器用筐体
JPH08161879A (ja) 電子機器
JPH08161945A (ja) 信号ケーブル
KR100206100B1 (ko)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JP3900190B2 (ja) テープカセットを用いた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405796B2 (ja) テープの形の記録担体用の、記録および再生の少なくとも一方のための装置
JPS6317088Y2 (ko)
JPH044142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