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100B1 -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 Google Patents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100B1
KR100206100B1 KR1019950044010A KR19950044010A KR100206100B1 KR 100206100 B1 KR100206100 B1 KR 100206100B1 KR 1019950044010 A KR1019950044010 A KR 1019950044010A KR 19950044010 A KR19950044010 A KR 19950044010A KR 100206100 B1 KR100206100 B1 KR 10020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cassette
tape
cassette re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9330A (ko
Inventor
이천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5004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100B1/ko
Publication of KR97002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데크를 사용하여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데크에 오디오 카세트가 안치된 보조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즉, 비디오 데크의 릴 구동모터와 음성발생회로 등을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재생하는데 공동으로 사용케 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의 복합화 추세에 부응하면서도 관련부품 수를 대폭 감소시켜 제품생산 가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가 장착된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의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제3b도의 A-A선을 전단한 단면도이다.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비디오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제5a도는 제3a도의 실시예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제5b도는 제3b도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오디오 카세트 4 : 비디오 데크
8 :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10 : 보조카트리지
22 : 서플라이 로딩 포스트 30 : 안치부
34 : 제2릴구동축 38 : 기록재생헤드
40 : 플레이트 42 : 누름부
45 : 오디오재생헤드 47 : 핀치롤러
48 : 헤드드럼 50 : 당김테이프
55 : 제2중계기어 57 : 제1전달기어
60 : 제2전달기어 64 : 레버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재록재생하는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VT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데크(deck)를 사용하여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O/VT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Cassette Tape Recorder)는 카세트에 내장된 자기 기록용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고 재현하는 장치로서 크게 음성신호만을 기록재생하는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이하 '카세트 플에이어'라 한다)와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모두 기록재생하는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이하 '비디오'라 한다)로 구분된다.
즉, 카세트 플레이어와 비디오는 모두 강자성체 분말을 도포 한 자기 테이프에 자기장을 걸어 신호를 기록하고, 이 자기장에 의해 형성된 잔류자기를 판독하여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라는 점에서 유사하나 카세트 플레이어는 음성신호만을 기록재생하는 반면에 비디오는 영상신호까지 기록재생하는 장치로서 그 사용목적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기기의 복합화 추세에 따라 카세트 플레이어와 비디오를 하나의 장치 내에 일체화한 오디오/비디오 일체형 카세트 테이프 레코드가 출현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오디오/비디오 일체형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는 단지 별개의 카세트 플레이어와 비디오를 하나의 케이스 내에 결합시킨 것에 불과한 것으로 오디오 데크와 비디오 데크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품들 예를 들어, 릴 구동모터와 음성발생회로 등이 중복설치 되어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데크로 오디오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모두 기록재생할 수 있는 복합제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즉, 일반적으로 비디오의 오디오 기록방식은 일반 카세트 플레이어의 경우와 같이 음성신호를 고주파 바이어스 전류(60-100kHz)에 중첩하여 직접 기록하는 방식이며, 또한 비디오의 오디오 헤드도 고정헤드로서 상대속도가 일반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기 때문에 비디오의 음성발생회로와 릴 구동모터를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재생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디오에 별도의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용 데크를 설치하지 않고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 카세트를 비디오 데크에 장착할 수 있는 보조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오디오 카세트 레코드 겸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하는데 사용하는 비디오의 음성발생회로와 릴 구동모터를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는데 공유하여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디오에 사용되는 비디오용 카세트와 오디오용 카세트의 형태 및 크기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오디오용 테이프 카세트와 VHS방식 비디오용 테이프 카세트의 외형 규격은 국제적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오디오용 카세트는 가로가 100.4㎜이고, 세로는 63.8㎜이며, 두께는 두꺼운 부분이 12㎜인 반면에 오디오용 카세트는 가로가 188㎜이고, 세로는 104㎜이며, 두께는 24㎜로서 오디오용 카세트가 비디오용 카세트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비디오용 데크에 오디오 카세트를 직접 장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 카세트를 비디오 데크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보조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오디오 카세트를 비디오 데크에 장착할 수 있게 하고, 비디오의 릴 구덩모터로 오디오 카세트의 릴을 구동하게 하며 비디오의 음성발생회로로 오디오의 음성신호를 기록재생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와 카세트 플레이어를 일체화한 복합제품에 있어서, 비디오 데크와 카세트 데크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비디오 데크 하나로 비디오 카세트와 오디오 카세트를 기록재생할 수 있게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효과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공지의 비디오 카세트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안치부와, 비디오용 릴 구동축의 회전력을 오디오 카세트의 릴에 전달하도록 상기 안치부의 저면의 하부에 설치된 동력전달부와,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안치부의 저면 상부와 접촉되어 전후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플레이트와, 오디오 카세트의 테이프와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된 녹음재생헤드와 핀치롤러, 그리고 상기 녹음재생헤드로 부터 독출된 음성신호를 비디오의 음성발생회로에 전달하는 리드선 및 접속콘넥터 등을 구비한 보조카트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이 보조카트리지는 비디오 데크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비디오와 별도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비디오 데크의 일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조카트리지를 비디오 데크에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나 비디오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 비디오 카세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M로딩방식의 비디오에 노멀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가 장착된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일예를 보요주는 사시도이다. 도면번호 10은 보조카트리지이다. 이 보조카트리지(10)는 오디오 카세트(2)를 비디오의 데크(4)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것은 일반 비디오 카세트와 동일한 크기와 외형을 갖는다. 즉, 이 보조카트리지(10)의 전면에는 로오딩 포스트(22,24)와 캡스턴 축(26)이 삽입되는 요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저면에는 카세트를 제위치에 안치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폴들이 삽입되는 가이드 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카트리지(10)의 일측에는 오디오 카세트가 안치되는 안치부가 설치된다. 도면번호 30은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가 안치되는 안치부이다. 이 안치부(30)는 오디오 카세트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한편 이 안치부(30)는 보조카트리지(10)의 중심에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안치부(30)의 설치위치에 따라 동력전달부의 구조와 기록재생헤드의 이동방법이 다달라지게 된다.
상기 안치부(30)의 저면 일측에는 비디오의 릴 구동축(51)에 의해 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제1릴구동축(28)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측에는 다음에 상술하는 동력전달부의 제2전달기어의 제2릴구동축(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치부(30)에 안치되는 오디오 카세트(2)의 두 개의 릴(5,7)은 상기 제1릴구동축(28)과 제2릴구동축(34)에 각각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안치부의 전면에는 오디오 카세트용 캡스턴 축(33)과 테이프 가이드 폴(35)이 돌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치부(30)의 전면 즉, 안치되는 오디오 카세트(2)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면에는 다음에 상술하는 기록재생헤드(38)와 핀치롤러(39)가 이동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안치부(30)의 측면에는 테이프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핀(31, 제3a도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안치부(30)의 후면에는 안치된 오디오 카세트(2)를 전면 쪽으로 밀어 주는 탄성편(36)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번호 40은 안치부(30)의 저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플레이트이다. 이 플레이트(40)의 전면 일측에는 비디오의 핀치롤러(47)와 대응하도록 누름부(42)가 돌설되어 있고, 소정위치에는 안치부(30)의 캡스턴 축(33)과 가이드 폴(35)에 대응하는 가이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40)의 전면 일측에는 기록재생헤드(38)와 핀치롤러(3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록재생헤드(38)은 플레이트(40)의 이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어 오디오 테이프 면(8)에 착탈되어 음성신호를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러(39)는 플레이트(40)의 이동에 따라 테이프 면(8)에 접촉되어 테이프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10)의 릴 구동축(34)은 별도의 동력전달 장치에 의해 비디오의 릴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하 첨부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10)의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10)의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제3b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번호 50와 51은 비디오의 릴 구동축이다. 이 비디오 릴 구동축(50,51)은 구동모터(54)와 전달기어(52)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비디오 릴 구동축 중 51은 제1 릴구동축(28)이 일체로 형성된 보조카트리지(10)의 제1중계기어(55)의 중계로 오디오 카세트(2)의 릴(5)에 동력을 직접 전달한다. 반면에 비디오 릴 구동축 50은 비디오 테크(4)와 오디오 카세트(2)의 크기 차이로 인하여 직접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고 다음에 설명하는 제1 및 제2 전달기어에 의해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도면번호 56은 제2중계기어이다. 이 제2중계기어(56)은 제1중계기어(55)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이 제2중계기어(56)는 기어의 중심부에 비디오 릴 구동축(50)이 삽입되어 축합되도록 원통형의 통공에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중계기어(56)의 외주부에는 제1전달기어(57)와 맞물리도록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전달기어(57)는 제2중계기어(5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상부기어(58)와 지름이 작은 하부기어(59)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번호 60은 제2전달기어이다. 이 제2전달기어(60)는 제1전달기어(57)의 하부기어(59)와 맞물리며 그 중심축에는 상부로 제2릴구동축(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디오의 릴 구동축(50)의 동력은 제2중계기어(56)와 제1전달기어(57) 그리고 제2전달기어(60)를 거쳐 오디오 카세트의 릴(7)에 전달된다. 미 설명번호 61은 제2전달기어(6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아이들기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10)는 안치홈(30)의 설치위치에 따라 기록재생헤드(38)의 구동방법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제3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치홈(30)이 왼쪽으로 치우쳐 설치된 경우에는 누름부(42)에 의해 구동되고,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홈(30)이 오른쪽으로 치우쳐 설치된 경우에는 당김테이프(50)에 의해 구동된다.
제3a도 및 제3b도를 참조하여 이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면번호 42는 플레이트(40)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누름부이다. 이 누름부(42)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테크의 펀치롤러(47)와의 접촉을 좋게 하기 위해 핀치롤러(47)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부(42)는 보조카트리지(10)가 안착될 당시에는 이격되어 있으나 핀치롤러(47)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피치롤러(47)에 밀려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누름부(42)가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40)도 후방으로 이동하므로써 플레이트(40)의 일측에 고정된 기록재생헤드(38)가 오디오 테이프 면(8)에 접촉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인 제3b도를 참조하면, 도면번호 50은 내구력이나 인장력이 강한 섬유질의 당김테이프이다. 이 당김테이프(50)는 소정이 길이, 예를 들어 로오딩 포스트(22)가 당김테이프(50)를 어느 정도는 자유롭게 끌고 갈 수 있으나 특정지점 이상에서는 당김테이프(50)의 일단이 플레이트(40)에 연결된 레버(64)를 끌게 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당김테이프(50)의 일단은 인장테이프를 감아 두는 권취릴(62)에 결합되어 있다. 이 권취릴(62)에는 인장력이 해제된 당김테이프(50)를 감을 수 있도록 스프링이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단에는 한쪽 끝이 플레이트(40)와 연결되며 중간에 힌지축(66)을 갖는 레버(6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비디오의 서플라이 로오딩 포스트(22)가 당김테이프(50)를 잡아당기면, 초기에는 권취릴(62)에 감겨져 있던 당김테이프(50)가 서서히 풀리다가 당김테이프(50)의 소정길이가 끝나는 일정 시점이후에는 당김테이프(50)가 상기 레버(64)를 잡아당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64)는 지렛대 작용을하여 상기 플레이트(40)를 후방을 밀게 된다. 그러면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던 기록재생헤드(38)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테이프 면(8)에 접촉하게 된다.
이어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제4도를 참조하여 공지의 M로딩방식 비디오의 작용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4도는 공지의 비디오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비디오 테크(4)에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20)를 밀어 넣으면, 카세트가 앞으로 전진한 후, 하강하여 데크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비디오 카세트(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요부에는 서플라이 로오딩 포스트(22)와 테이크업 로오딩 포스트(24)와, 캡스턴 축(26) 등이 삽입된다. 따라서 이것들은 비디오 카세트 의 외부로 노출된 테이프(21)의 뒤에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카세트(20)가 안착된 후, 별도의 로딩모터(49)에 의해 서플라이 로오딩 포스트(22)와 테이크업 로오딩 포스트(24)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들이 외부로 노출된 테이프를 끌어 당겨 헤드드럼(48) 주위에 감아 붙인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로딩모터(49)는 릴 구동모터(54)와 다른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헤드드럼(48)에 테이프를 감아 붙임으로써 테이프는 영상기록재생헤드와 접촉되어 기록재생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를 로딩상태라고 한다. 이러한 로딩상태에서 헤드드럼(48)과 비디오 카세트의 권취릴(23)을 회전시키면, 비디오 테이프가 빠른 상대속도로 이동하면서 헤드드럼(48)의 영상기록재생헤드와 접촉되어 영상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딩 상태에서는 오디오헤드(45)도 테이프와 접촉되어 음성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이때 오디오헤드(45)는 고정헤드이므로 그 상대속도는 일반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다.
한편 상기 로딩 상태에서는 핀치롤러(47)가 비디오 테이프를 누르게 된다. 즉, 로오딩 포스트(22, 24)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핀치롤러(47)는 후방(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프를 캡스턴 축(26)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 핀치롤러(47)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캡스턴 축(26)은 일반적으로 릴 구동모터(54)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비디오 테이프는 캡스턴 축(26)과 핀치롤러(47)사이에 끼어 인장력과 회전력을 부여받게 된다.
끝으로 모든 기록 및 재생작업이 완료된 경우에는 별도의 제어장치의 작용으로 서플라이 로오딩 포스트(22)와 테이크업 로오딩 포스트(24) 및 핀치롤러(47)가 원위치(화살표의 반대방향)로 복귀되고 비디오 카세트는 도시되지 않은 이젝트 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비디오에 오디오 카세트가 장착된 보조카트리지를 삽입하여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 제5a도 및 제5b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5a도는 누름부(42)를 이용한 실시예의 작용을 보여주는 것이고, 제5b도는 당김테이프(50)를 이용한 실시예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우선 보조카트리지(10)에 오디오 카세트(2)를 안치시킨 후 비디오 데크(4)에 이 보조카트리지를(10)을 살짝 밀어 넣으면, 공지의 비디오에서와 같이 보조카트리지가(10) 앞으로 전진한 후 하강하여 장착되게 된다. 이때 제5a도의 경우에는 핀치롤러(47)가 누름부(42)와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되고, 제5b도의 경우에는 서플라이 로오딩 포스트(22)가 당김테이프(5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보조카트리지(10)가 비디오 데크(4)에 안착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카트리지(10)의 제1 및 제2중계기어(55,56)는 비디오의 릴 구동축(50,51)과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아직까지 오디오 테이프(8)와 오디오 헤드(38)는 분리되어 있어 재생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상태를 안착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안착상태에서 비디오 데크(4)의 로딩모터(49)에 의해 서플라이 로오딩 포스트(2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5b도의 실시예의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당김테이프(50)가 로오딩 포스트(22)에 이끌려 전방으로 끌려가게 된다. 그러면 초기에는 권취릴(62)에 감겨 있던 당김테이프가 서서히 풀어지기 때문에 로딩 포스트(22)가 자유롭게 이동하지만 거의 끝지점에 다다르면 당김테이프(50)가 소정길이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당김테이프(50)에 강한 인장력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서플라이 로오딩 포스트(22)에 의해 당김테이프(50)에 강한 인장력이 생기면, 사기 당김테이프(50)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64)의 일단이 힌지축(66)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힌지축(66)을 중심으로 레버(64)의 일단이 회전하면, 다른 타단은 후방을 향하여 회전된다. 이 때 레버(64)의 타단에는 보조카트리지(10)의 안치부(30)에 설치된 플레이트(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40)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는 오디오 헤드(38)와 핀치롤러(39)도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오디오 헤드(38)와 핀치롤러(39)가 보조카트리지(10)의 안치부(30)에 고정되어 있는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8)에 접촉되어 재생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로딩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제5a도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당김테이프(50) 대신에 누름부(42)가 오디오 헤드(38)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로오딩 포스트(22)의 이동은 아무제한없이 자유롭다. 반면에 로오딩 포스트(22)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비디오의 핀치롤러(47)가 누름부(42)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이 누름부(42)는 보조카트리지(10)의 안치부(30)에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40)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4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오디오 헤드(38)와 핀치롤러(39)가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8)에 접촉되어 재생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로딩상태에서 오디오 테이프를 회전시키면 기록된 음성신호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때 오디오 테이프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스위치는 비디오의 스위치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의 재생버튼이나 빨리감기버튼 또는 되감기버튼 등의 스위치를 조작하면, 비디오의 릴 구동모터(54)와 직·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오디오 카세트의 릴(5,7)이 일정한 방향 또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어 재생 및 빨리감기작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디오 헤드(38)가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읽게 되면, 그 신호는 도선과 콘넥터(11)를 통해 연결된 비디오부의 음성발생회로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특정한 음을 발하게 된다. 상기 콘넥터(11)는 보조카트리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보조카트리지(10)가 비디오 데크(4)에 안착될 때 접속되게 된다.
재생 및 기록작업이 완료된 후, 비디오의 스톱 버튼을 누르게 되면, 비디오의 제어장치에 의해 서플라이 로오딩 포스트(22)와 테이크업 로오딩 포스트(24) 및 피치롤러(47)가 원위치로 복귀되고, 로오딩 포스트(22)에 의해 당겨지거나 핀치롤러(47)에 의해 눌려져 있던 당김테이프(50)나 누름부(42)가 해제되게 된다.
그러면 도시되지 않은 복원 스프링에 의해 플레이트(40)가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40)가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오디오 헤드(38)와 핀치롤러(47)도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오디오 헤드(38)가 오디오 테이프에서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비디오의 이젝트 버튼을 누르면, 별도의 장치에 의해 보조카트리지(10)가 비디오 데크(4)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끝으로 배출된 보조카트리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카세트 이젝트 버튼(12)을 누르면, 보조카트리지(10)의 도어(13)가 열리면서 오디오 테이프(2)가 배출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데크를 사용하여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M로링방식의 비디오 데크에 오디오 카세트를 안치한 보조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종래의 비디오 데크로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비디오 데크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카트리지에 적용된 기술적 사상을 이용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종래의 비디오의 구조를 거의 변형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얻기 위해 보조카트리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종래의 비디오의 구성을 약간 바꾼다면,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는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더욱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간명하게 하기 위해서, 플레이트에 오디오 헤드만을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소거용 헤드도 같이 설치하여 음성신호의 소거 및 기록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오디오 헤드를 보조카트리지에 장치시킨 경우를 기술하였으나, 비디오의 구조를 변경하여 비디오 자체 예를 들어, 로딩포스트나 핀치롤러 등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명세서에서는 상기 보조카트리지가 비디오 데크와 분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조카트리지가 비디오 데크의 일부 예를 들어, 비디오 데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 카세트를 비디오에서 재생 또는 기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의 복합화 추세에 부응하면서도 관련부품의 수를 대폭 감소시켜 제품생산 가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공지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공지의 비디오 카세트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보조카트리지(10)에 있어서, 상기 보조카트리지(10)의 내부 일측에 오디오 카세트(2)가 안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치부(30)와, 상기 안치부(30)에 안치된 오디오 카세트의 테이프(8)와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 기록재생헤드(38), 상기 녹음재생헤드(38)로부터 독출된 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음성발생회로에 접속되도록 설치된 리드선 및 접속콘넉터(11), 상기 안치부(30)저면과 접촉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플레이트(40), 상기 플레이트(40)의 일측에 상기 비디오 카세트의 핀치롤러(47)에 의해 눌려지도록 설치된 누름부(42) 및, 상기 안치부(30) 저면의 하부 일측에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릴구동축(50,51)의 회전력을 상기 오디오 카세트의 릴(5,7)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30)는 전면 일측에 상기 기록재생헤드(38)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개방부와, 측면 일측에 상기 오디오 카세트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된 이젝트핀(31)과, 후면 일측에 상기 오디오 카세트를 전면쪽으로 밀착시켜주기 위해 설치된 탄성편(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0)는 안치부(30)의 저면에 형성된 캡스턴 축(33)과 가이드폴(35)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44) 및 상기 안치된 오디오 카세트의 테이프(8)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핀치롤러(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42) 대신에 로딩시에 서플라이 로오링 포스트(22)에 의해 이끌리는 당김테이프(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비디오 릴 구동축(50)과 맞물리는 제2중계기어(56)와 상기 제2중계기어(56)와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57)와 상기 제1전달기어(57)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60) 및 오디오 카세트의 릴(7)에 결합되는 오디오 릴 구동축(3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테이프(50)는 그 일단이 당김테이프(50)를 감도록 형성된 권취릴(62)에 연결되고 타단은 플레이트(40)와 연결되며 한지축(6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64)의 일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카트리지(10)가 비디오 데크(4)의 일측에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겸용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KR1019950044010A 1995-11-27 1995-11-27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KR10020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010A KR100206100B1 (ko) 1995-11-27 1995-11-27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010A KR100206100B1 (ko) 1995-11-27 1995-11-27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330A KR970029330A (ko) 1997-06-26
KR100206100B1 true KR100206100B1 (ko) 1999-07-01

Family

ID=1943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010A KR100206100B1 (ko) 1995-11-27 1995-11-27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1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330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6353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CA1289662C (en) Cassette adapter for playback device, such as a compact disk player
US303709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215377A (en) Multi-speed tape cassette system
US4309729A (en) Magnetic tape cassette reproducing and/or recording system
CA1072676A (en) Tape recorder
US6373653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302787A (en) Tape cassette and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206100B1 (ko)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겸용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US3894699A (en) Cartridge tape player system having reverse and fast-forward modes of operation
JPS58242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4346415A (en) Cassette tape recorder
JP3500731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27586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어댑터
JPS6346912Y2 (ko)
KR96000667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모드 진행방법
US5737143A (en) Apparatus for movably mounting a full erase head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GB2130551A (en) Magnetic tape cassette containing two tapes
JPS61199361A (ja) 留守番電話機用の録音再生装置
JPH04321960A (ja) テープ巻取り装置
JPH0710967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リ−ル台制動装置
JPS58125261A (ja) アダプタと結合できる情報の記録又は再生装置
JPS6357865B2 (ko)
JPH09212832A (ja) 音声ヘッド清掃装置
JPH11110848A (ja) 編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