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492B1 -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492B1
KR100385492B1 KR10-2000-0046416A KR20000046416A KR100385492B1 KR 100385492 B1 KR100385492 B1 KR 100385492B1 KR 20000046416 A KR20000046416 A KR 20000046416A KR 100385492 B1 KR100385492 B1 KR 100385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nner mold
manufacturing
pipe connec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058A (ko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지
한국토지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지, 한국토지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지
Priority to KR10-2000-004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4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29C48/9105Heating, e.g. for cross link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출기(10)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PE 시트(20)를 압출 제조하는 단계와, 압출기(10)로부터 압출되는 PE 시트(20)를 롤러(30)에 장착된 내측 금형(40)에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때까지 감는 단계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는 PE 시트(20)가 감겨 있는 내측 금형(40)을 외측 금형(41)과 결합시켜 PE 시트(20)를 압축함으로써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성형하는 단계와,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내측 금형(40)과 외측 금형(41)의 내부로 각각 공급하여 압축 성형 완료된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급랭시키는 단계, 및 내측 금형(40)과 외측 금형(41)을 탈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서,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제조하기 위한 전체 소요 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파이프 연결 소켓(21)의 강도를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 METHOD OF MANUFACTURING A PIPE CONNECTING SOCKET }
본 발명은 파이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하수도관 등으로 사용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도록 된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관 등으로 주로 많이 이용되는 파이프는 콘크리트나 폴리에틸렌(PE)으로 제조되며, 파이프 연결 소켓을 사용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연결 소켓도 역시 콘크리트나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며,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는 파이프 연결 소켓은 사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출법으로 PE 파이프 연결 소켓을 제조할 경우에는, 고가의 사출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1회의 사출 작업으로 파이프 연결 소켓을 제조 완료하기 위한 금형 제작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사출용 PE 원료는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사출법에 의해 제조된 PE 파이프 연결 소켓의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압출기와 사출용 금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내외측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기에 의해 압출 제조되는 얇은 PE 시트를 내측 금형에 여러 겹으로 감은 후, 외측 금형으로 압축 성형하여 PE 파이프 연결 소켓을 제조하도록 된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은 압출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PE 시트를 압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PE 시트를 롤러에 장착된 내측 금형에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때까지 감는 단계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는 PE 시트가 감겨 있는 내측 금형을 외측 금형과 결합시켜 상기 PE 시트를 압축함으로써 파이프 연결 소켓을 성형하는 단계와,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상기 내측 금형과 외측 금형의 내부로 각각 공급하여 압축 성형 완료된 상기 파이프 연결 소켓을 급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측 금형과 외측 금형을 탈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출기 20: PE 시트
21: 파이프 연결 소켓 30: 롤러
31: 모터 40: 내측 금형
41: 외측 금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은 5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제 1 단계에서는 압출기(10)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PE 시트(20)를 압출 제조한다.
이때, 상기 압출기(10)는 PE 원료를 가열 압출하여 얇은 PE 시트(20)를 제조하며, 상기 PE 시트(20)의 두께는 제조 완료된 파이프 연결 소켓(21)의 강도를 고려하여 대략 1∼2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압출기(10)로부터 가열된 PE 시트(20)가 압출되면, 제 2 단계에서는 압출되는 상기 PE 시트(20)를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롤러(30)에 장착된 내측 금형(40)에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때까지 감는다.
이때, 상기 내측 금형(40)에 감겨지는 PE 시트(20)의 두께는 제조 완료할 파이프 연결 소켓(21)의 두께에 따라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출기(10)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압출되는 PE 시트(20)가 상기 PE 시트(20)의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 상태에 있는 내측 금형(40)에 감길 경우에는, 상기 PE 시트(20)가 내측 금형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떨어진 상태에서 감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불량한 파이프 연결 소켓(21)이 제조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PE 시트(20)가 내측 금형(40)에 소정 횟수만큼 감길 때까지, 가열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된 열전도 유체(예컨대, 열전도 오일)가 상기 내측 금형(4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내측 금형(40)을 가열시킨 후 완전히 배출된다.
실제로, 상기 내측 금형(40)을 열전도 유체로 가열하는 시간은 제조 완료할 파이프 연결 소켓(21)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내측 금형(40)에 PE 시트(20)를 감는 총 횟수에 비례하여 가변되며, 상기 PE 시트(20)가 내측 금형(40)에 감기는 총 횟수가 13∼15회일 경우 최초 1회 감기는 동안 상기 내측 금형(40)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내측 금형(40)에 소정 두께의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제조하기에 적당한 두께로 상기 PE 시트(20)가 감기고 나면,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내측 금형(40)을 롤러(30)와 분리시킨 후 외측 금형(41)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PE 시트(20)는 지속적으로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외측 금형(41)은 별도의 외측 금형 다이에 설치되어 상기 PE 시트(20)를 압축함으로써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내외측 금형(40,41)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 성형 작업이 완료되면, 제 4 단계에서는 압축 성형 완료된 파이프 연결 소켓(2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냉각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상기 내측 금형(40)과 외측 금형(41)의 내부로 각각 공급하여 상기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급랭시킨다.
이때, 상기 내외측 금형(40,41)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급랭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순환 공급되며, 급랭 작업 완료 후 완전히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파이프 연결 소켓(21)에 대한 급랭 작업이 완료되면, 제 5 단계에서는 상기 내측 금형(40)과 외측 금형(41)을 탈거시킴으로써, 압축 성형하여 제조 완료한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상기 내외측 금형(40,41)으로부터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은 사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압출기와 사출용 금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내외측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기에 의해 압출 제조되는 얇은 PE 시트를 내측 금형에 여러 겹으로 감은 후, 외측 금형으로 압축 성형하여 PE 파이프 연결 소켓을 제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 연결 소켓을 제조하기 위한 전체 소요 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제품을 제조 시에도 최소한의 경비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파이프 연결 소켓의 강도를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압출기(10)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PE 시트(20)를 압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압출기(10)로부터 압출되는 PE 시트(20)를 롤러(30)에 장착된 내측 금형(40)에 일정한 두께를 형성할 때까지 감는 단계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는 PE 시트(20)가 감겨 있는 내측 금형(40)을 외측 금형(41)과 결합시켜 상기 PE 시트(20)를 압축함으로써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성형하는 단계와,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상기 내측 금형(40)과 외측 금형(41)의 내부로 각각 공급하여 압축 성형 완료된 상기 파이프 연결 소켓(21)을 급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측 금형(40)과 외측 금형(41)을 탈거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금형(40)은 상기 PE 시트(20)가 특정 횟수만큼 감길 때까지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열전도 유체가 상기 내측 금형(40)의 내부로 공급되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KR10-2000-0046416A 2000-08-10 2000-08-10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KR100385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416A KR100385492B1 (ko) 2000-08-10 2000-08-10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416A KR100385492B1 (ko) 2000-08-10 2000-08-10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058A KR20020013058A (ko) 2002-02-20
KR100385492B1 true KR100385492B1 (ko) 2003-05-27

Family

ID=1968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416A KR100385492B1 (ko) 2000-08-10 2000-08-10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4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146Y1 (ko) * 1984-07-28 1986-06-14 이주형 합성수지제 접속관의 제조장치
WO1992019438A1 (en) * 1991-04-30 1992-11-12 Oy Kwh Pipe Ab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joint pipe
KR950008468A (ko) * 1993-09-02 1995-04-17 프리돌린 클라우스너·롤란드 보러 방향족 카복실산 유도체
KR19990046131A (ko) * 1999-03-27 1999-06-25 김선홍 삼중관소켓과그제조장치
KR200178703Y1 (ko) * 1999-10-12 2000-04-15 김선홍 삼중관 소켓 제조장치
KR20000060637A (ko) * 1999-03-18 2000-10-16 김선홍 삼중관 소켓과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290302B1 (ko) * 1998-12-12 2001-05-15 김선홍 삼중관과삼중관제조장치및그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146Y1 (ko) * 1984-07-28 1986-06-14 이주형 합성수지제 접속관의 제조장치
WO1992019438A1 (en) * 1991-04-30 1992-11-12 Oy Kwh Pipe Ab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joint pipe
KR950008468A (ko) * 1993-09-02 1995-04-17 프리돌린 클라우스너·롤란드 보러 방향족 카복실산 유도체
KR100290302B1 (ko) * 1998-12-12 2001-05-15 김선홍 삼중관과삼중관제조장치및그방법
KR20000060637A (ko) * 1999-03-18 2000-10-16 김선홍 삼중관 소켓과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19990046131A (ko) * 1999-03-27 1999-06-25 김선홍 삼중관소켓과그제조장치
KR200178703Y1 (ko) * 1999-10-12 2000-04-15 김선홍 삼중관 소켓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058A (ko)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806956B1 (fr) Procede et ligne de fabrication en continu de tubes en matiere plastique avec etirage bi-axial, et tube en matiere plastique obtenu
KR100385492B1 (ko) 파이프 연결 소켓 제조 방법
JP3916728B2 (ja) 二次電池用パッキンの製造法
EP08070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hollow molded product
KR100614687B1 (ko) 내 마찰층을 갖는 다공관 제조장치
KR20110100512A (ko) 다중관체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60888B1 (ko) 다이스
JP3661641B2 (ja) 整流子片用異形銅条の製造方法
JPH0688354B2 (ja) Peek樹脂パイプの製造方法
US20060255488A1 (en) Hollow plastic-profile with internal plastic-foam-filling
KR100484007B1 (ko)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용 다중 프로파일과 그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나선관
CN111234408A (zh) 厚度为15-18mm的高亮度免漆板
CN205588599U (zh) 低成本导光板的生产设备
JP4261113B2 (ja) 合成樹脂製チューブ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合成樹脂製チューブ
KR100429014B1 (ko)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제 튜브의 제조장치 및 그합성수지제 튜브
KR200311881Y1 (ko) 고강도 합성수지관
CN212860375U (zh) 一种保温板成型机辅助冷却装置
JPH0315296Y2 (ko)
CN216832331U (zh) 一种胶条结构
CN219188371U (zh) 一种用于整体式弹性扶正器的模压模具
JP3723188B2 (ja) 暖房用マットにおける温水流通用チューブ構造
JP4896753B2 (ja) 伝動ベルトの製造方法
JP2002122272A (ja) 二重コルゲート管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096096B1 (ko) 전기 및 통신선로용 합성수지제 튜브
EP141987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tion symmetrical objects made of polymeric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