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650B1 -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650B1
KR100384650B1 KR10-2001-0023032A KR20010023032A KR100384650B1 KR 100384650 B1 KR100384650 B1 KR 100384650B1 KR 20010023032 A KR20010023032 A KR 20010023032A KR 100384650 B1 KR100384650 B1 KR 100384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haft
wiper arm
connecto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922A (ko
Inventor
이치마루다카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10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88Means for mounting wiper arms on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3Wipe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88Means for mounting wiper arms onto the vehicle
    • B60S1/3493Means for mounting the wiper shaft in the wiper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을 연결시키는 연결구를 적절하게 플라스틱 성형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일단측(1)에, 와이퍼 구동축(J)이 끼워지는 축구멍(3)과, 상기 축구멍(3)에 끼워져서 이것에서 돌출되는 와이퍼 구동축(J)에 체결되는 너트(N)가 조여 붙여지는 안착면(4)을 구비하고 있다. 타단측(2)에, 와이퍼 암(100)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106)가 설치되는 측의 반대측 단부(101)에 형성된 오목부(103)에 끼워맞춰져서, 와이퍼(W)의 구동에 수반하여 윈도 글라스의 글라스면을 따라서 와이퍼 암(100)이 이동되도록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체(8)를 구비하고 있다. 축구멍(3)이 형성된 일단측(1)과 축체(8)가 구비된 타단측(2)에 각각 게이트를 구비한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에 의해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connector for wiper arm and wiper driving shaft}
본 발명은,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연결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은 일반적으로 암 헤드라 칭하는 연결구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는, 그 일단측에 보디 패널에서 돌출되는 와이퍼 구동축이 끼워지는 축구멍을 가지며, 이 축구멍에 끼워진 와이퍼 구동축의 선단에 너트를 조여 붙임으로써 상기 와이퍼 구동축에 조립된다. 또, 상기 연결구는, 그 타단측에 와이퍼 암의 일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축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와이퍼 암을 상기 축체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와이퍼 구동축과 와이퍼 암을, 와이퍼 구동축의 구동에 수반하여 와이퍼 암에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로 윈도 글라스를 닦아내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닦아내는 동작의 과정에서 윈도 글라스의 글라스면을 따라서 상기 축체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퍼 암이 회동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기한 연결구에 경량성, 내부식성 등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그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연결구를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러나, 상기한 연결구를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함에 있어서는, 첫째로, 상기 와이퍼 구동축에 임팩트 렌치 등을 사용하여 너트를 조여 붙일 때에 상기 연결구의 상기 축구멍 근방에 큰 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 축구멍 근방의 강성을 충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고, 둘째로, 와이퍼의 구동에 수반하여 와이퍼 암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축체 및 그 근방에 빈번하게 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 축체 및 그 근방의 강성을 충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연결구를 적절하게 플라스틱 성형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연결구(R)와 와이퍼 암(100)과 와이퍼 구동축(J)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연결구(R)에 의해 와이퍼 암(100)과 구동축(J)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연결구(R)에 의해 와이퍼 암(100)과 구동축(J)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연결구(R)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연결구(R)의 저면도
도 6은 상기 연결구(R)의 측면도
도 7은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본 상기 연결구의 측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과 다른 방향에서 본 상기 연결구의 측면도
도 9는 연결구(R)의 단면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연결구(R)의 일부 구성의 다르게 한 연결구(R)의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와이퍼 J - 와이퍼 구동축
100 - 와이퍼 암 101 - 단부(端部)
103 - 오목부 106 - 와이퍼 블레이드
R - 연결구 1 - 일단측
2 - 타단측 3 - 축구멍
4 - 안착면 8 - 축체
N -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는,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를, 일단측(1)에, 와이퍼 구동축(J)이 끼워지는 축구멍(3)과, 상기 축구멍(3)의 주위에, 상기 축구멍(3)에 끼워져서 이것에서 돌출되는 상기 와이퍼 구동축(J)에 체결되는 너트(N)가 조여 붙여지는 안착면(4)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타단측(2)에, 와이퍼 암(100)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106)가 부착되늑 측의 반대측 단부(101)에 형성된 오목부(103)에 끼워맞춰져서, 들어가 와이퍼(W)의 구동에 수반하여 윈도 글라스의 글라스면을 따라서 상기 와이퍼 암(100)이 이동되도록 상기 와이퍼 암(10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체(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축구멍(3)이 형성된 일단측(1)과 상기 축체(8)가 구비된 타단측(2)에 각각 게이트를 구비한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축체 및 상기 축체 근방 및 상기 축구멍 근방에,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흐름의 말단이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연결구를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구동축에 너트를 조여 붙일 때 및 상기 와이퍼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서 빈번하게 외력이 작용하는 상기 축구멍 근방과, 와이퍼의 구동에 수반하여 회동되는 와이퍼 암에 의해서 빈번하게 외력이 작용하는 상기 축체 및 상기 축체 근방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따라서, 상기한 연결구를 용융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한 일체 성형품으로서 지장없이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와이퍼 구동축의 축구멍 근방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금속제의 칼라 등을 별도로 연결구의 일단측에 형성시켜둘 필요가 없으며, 또, 자동차의 구성재료를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연결구를 직접 수지재료로서 재이용하는데 제공할 수 있다.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가, 금속제 칼라(16)가 끼워지는 삽입구멍(1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구멍(15)에 끼워진 상기 금속제 칼라(16)에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이 끼워지는 축구멍(13)을 형성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와이퍼 구동축이 조립되는 연결구의 일단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멍 근방의 강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또한 축구멍에 끼워지는 상기 와이퍼 구동축에 체결되는 너트를 상기 금속제 칼라의 상면에 안정하게 조여 붙일 수 있다. 또, 자동차의 구성재료를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 너트를 밀어내어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너트와 플라스틱 성형품 부분을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다.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가, 축체(8)가 1쌍의 측판(9,9)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고, 와이퍼 암(100)에 있어서의 오목부(103)가 형성된 끼움부(102)를 상기 1쌍의 측판(9,9) 사이로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축체(8)가 상기 오목부(103)에 끼워맞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1쌍의 측판(9,9)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퍼 암(100)의 끼움부(102)의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104)와 간격(9c)을 두고서 대향하는 단면(9a)이, 상기 축체(8)를 중심으로 한 상기 와이퍼 암(100)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축체(8)가 마모되어 상기 단차부(104)의 단차면(104a)과 상기 단면(9a)이 서로 맞닿게 되었을 때에, 상기 단면(9a)에 의해서 상기 단차면(104a)을 안내하여 상기 와이퍼 암(100)의 회동을 확보하도록 형성된 만곡면(9b)으로 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와이퍼 암의 회동에 의해서 항시 상기 오목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상기 축체가 점차 마모되어 상기 와이퍼 암측의 단차면과 연결구의 타단측의 측판의 단면과의 사이의 간격이 없어진 경우에도, 상기 만곡면으로 된 측판의 단면에 의해서 와이퍼 암의 단차면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와이퍼 암의 원활한 회동을 전과 다름없이 확보할 수 있다.(발명의 실시형태)이하,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상기한 연결구(R) 및 이 연결구(R)를 통해서 연결되는 와이퍼 암(100)과 와이퍼 구동축(J)을 분리하여 사시상태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이것들의 연결상태를 단면으로, 도 3은 그 연결상태를 측면에서 본 상태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 내지 도 9는 상기 연결구(R)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연결구(R)의 일부 구성을 다르게 한 연결구(R)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R)는, 와이퍼 암(100)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106)가 부착되는 측의 반대측 단부(101)와 와이퍼 구동축(J){와이퍼(W)를 전체로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와이퍼(W)로 전달시키기 위한 축, 대부분의 경우 피벗}과의 사이에서,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구동에 수반하여 상기 와이퍼 암(100)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와이퍼 암(100)과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을 연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암 헤드라 칭한다).상기 와이퍼 구동축(J)은 보디 패널(P)에 형성된 구멍(30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와이퍼(W)가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구동에 의해서 전체로서 회동됨으로써, 윈도 글라스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6)로 닦아내도록 기능한다.또, 상기 와이퍼 암(100)은 상기 와이퍼 구동축(J)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구(R)에 지지되며, 와이퍼(W)의 구동에 수반하여 윈도 글라스의 글라스면을 따라서 이동되도록{즉, 윈도 글라스의 만곡이나 경사에 관계없이 와이퍼(W)의 구동과정에서 항시 와이퍼 암(100)과 윈도 글라스의 글라스면간의 간격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즉, 상기 연결구(R)는, 우선 그 일단측(1)에,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이 끼워지는 축구멍(3)과, 상기 축구멍(3)의 주위에, 이 축구멍(3)에 끼워져서 이것에서 돌출되는 상기 와이퍼 구동축(J)에 체결되는 너트(N)가 조여 붙여지는 안착면(4)을 구비하고 있다.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구(R)의 축구멍(3)은, 와이퍼 구동축(J)의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200)를 이 연결구(R)의 상면측에서 돌출시킴과 아울러, 이 와이퍼 구동축(J)의 수나사부(200)의 하측에 연이어 접속되며 이 수나사부(200)와 접속되는 연접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선단측이 좁아지게 되는 테이퍼 둘레면을 구비한 기부(201)를 연결구(R)의 하면측에서 끼워넣을 수 있는 크기와 깊이를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본체부(202)는 상기 기부(201)보다도 큰 지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본체부(202)와 기부(20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면(203)이 상기 연결구(R)의 하면측에 있는 상기 축구멍(3)을 둘러싸는 구멍 가장자리면(5)에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을 상기 축구멍(3)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또,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축구멍(3)에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져서 상기 연결구(R)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와이퍼 구동축(J)의 수나사부 (200)에 대해서, 상기 연결구(R)의 상면측에 있는 상기 축구멍(3)을 둘러싸는 구멍 가장자리면(6)에 너트(N)의 일면이 안착되는 위치까지 너트(N)를 조여 붙일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너트(N)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너트(N)와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단차면(203)과의 사이에 연결구(R)의 일단측(1)이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구동에 수반하여 연결구(R)측이 회동되도록 상기 와이퍼 구동축(J)과 연결구(R)를 조립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또한,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연결구(R)의 하면측에 있어서, 상기 축구멍(3)과의 사이에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단차면(203)이 맞닿는 구멍 가장자리면(5)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축구멍(3)을 둘러싸는 환형상의 리브(7)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디 패널(P)에 형성된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이 돌출되는 구멍(300) 주위에 부착된 고무제의 서포트(301)의 상면에 상기 환형상의 리브(7)의 선단을 맞닿게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구동에 의해서 연결구(R)측이 회동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또, 상기 연결구(R)는 그 타단측(2)에, 와이퍼 암(100)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106)가 부착되는 측의 반대측 단부(101)에 형성된 오목부(103)에 끼워맞춰져서, 와이퍼(W)의 구동에 수반하여 윈도 글라스의 글라스면을 따라서 상기 와이퍼 암(100)이 이동되도록 상기 와이퍼 암(10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체(8)를 구비하고 있다.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연결구(R)는 1쌍의 측판(9,9)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결구(R)의 일단측(1)에 있어서, 1쌍의 측판(9,9) 사이에 걸쳐지도록 일체로 형성된 횡판부(10)에 상기 축구멍(3)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연결구(R)의 타단측(2)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판(9,9)의 내면 사이에 걸쳐지도록 봉형상을 이루는 상기 축체(8)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측판(9,9)은, 그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보디 패널(P)의 패널면과 상기 서포트(301)의 상면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패널면과 거의 평행한 곧은 가장자리로 함과 아울러, 그 상측 가장자리가 상기 축구멍(3)이 형성된 일단측(1)에서 상기 축체(8)가 형성된 타단측(2)을 향해서 점차 높아지는 가장자리가 되도록 일단측(1)에서 타단측(2)을 향해서 판폭이 넓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또, 상기 축체(8)와 상기 축구멍(3)이 형성된 횡판부(10)와의 사이에는, 하단부를 상기 횡판부(10)에 일체로 연접시킨 종판부(11)가 상기 1쌍의 측판(9,9) 사이에 걸쳐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체(8)와 축구멍(3)과의 사이가 칸막이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그리고, 상기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와이퍼 암(100)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106)가 부착되는 측의 반대측 단부(101)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R)의 1쌍의 측판(9,9)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102)에 형성된 오목부(103)를 상기 축체(8)에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연결구(R)에 의해서 상기 와이퍼 암(100)을 상기 축체(8)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즉, 상기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와이퍼 암(100)의 오목부(103)는, 상기 연결구(R)의 1쌍의 측판(9,9)과 대향하는 상기 끼움부(102)의 측면(102a)에 있어서 홈단을 외측으로 개방시킨 홈형상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그 내면(103a)을 상기 축체(8)를 중심으로 한 와이퍼 암(100)의 회동방향에 있어서 원호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또, 상기 연결구(R)의 축체(8)는, 상기 와이퍼 암(100)의 끼움부(102)에 형성된 오목부(103)에 틈새없이 끼워지는 두께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03)의 내면(103a)에 접하는 둘레면을 상기 오목부(103)의 내면(103a)의 만곡을 따르는 원호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또,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연결구(R)에 있어서의 상기 축체(8)와 상기 종판부(11)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판(9,9)에 각각 형성된 투시구멍(12)에 양단이 각각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상기 1쌍의 측판(9,9)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핀(13)에 일단을 걸고 또한 타단을 상기 와이퍼 암(100)측에 걸어서 상기 와이퍼 암(100)을 항시 윈도 글라스측으로 누르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107)이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퍼(W)의 구동과정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07)의 탄지력에 의해서 와이퍼 블레이드(106)가 항시 윈도 글라스의 글라스면에 눌려 맞닿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윈도글라스의 글라스면을 따라서 상기 스프링(107)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와이퍼 암(100)을 상기 축체(8)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다.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연결구(R)를, 상기 축구멍(3)이 형성된 일단측(1)과 상기 축체(8)가 구비된 타단측(2)에 각각 게이트를 구비한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연결구(R)를, 이 연결구(R)의 일단측(1)이 되는 개소와 타단측(2)이 되는 개소에서 각각 상기 게이트를 통해서 금형 내로 주입되는 용융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구(R)의 일단측(1)에 있어서, 상기 축구멍(3)을 둘러싸는 만곡판부(14)를 통해서 1쌍으로 연접된 상기 1쌍의 측판(9,9)의 일측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판부(14)의 외면측에 게이트가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1쌍의 측판(9,9)의 타측에 있어서의 상기 축체(8)의 형성위치 근방의 외면측에 게이트가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도 4 내지 도 8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가 배치되는 위치를 화살표 G로 나타낸다).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축체(8) 및 이 축체(8) 근방, 및 상기 축구멍(3) 근방에,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흐름의 말단이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연결구(R)를 성형할 수 있다.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R)에 있어서는, 상기 와이퍼 구동축(J)에 너트(N)를 조여 붙일 때 및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구동에 의해서 빈번하게 외력이 작용하는 상기 축구멍(3) 근방과, 와이퍼(W)의 구동에 수반하여 회동되는 와이퍼 암(100)에 의해서 빈번하게 외력이 작용하고 또한 상기 스프링(107)에 의해서 상기 와이퍼 암(100)의 오목부(103)의 내면(103a)에 항시 눌려지면서 끼워맞춰지는 상기 축체(8) 및 상기 축체(8) 근방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따라서, 상기 연결구(R)를 용융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한 일체 성형품으로서 지장없이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의 축구멍(3) 근방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금속제의 칼라 등을 별도로 연결구(R)의 일단측(1)에 형성시켜둘 필요가 없으며, 또, 자동차의 구성재료를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연결구를 직접 수지재료로서 재이용하는데 제공할 수 있다.또,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기 1쌍의 측판(9,9)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퍼 암(100)의 끼움부(102)의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104)와 간격(9c)을 두고서 대향하는 단면(9a)이, 상기 축체(8)를 중심으로 한 상기 와이퍼 암(100)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축체(8)가 마모되어 상기 단차부(104)의 단차면(104a)과 상기 단면(9a)이 서로 맞닿게 되었을 때에, 상기 단면(9a)에 의해서 상기 단차면(104)을 안내하여 상기 와이퍼 암(100)의 회동을 확보하도록 형성된 만곡면(9b)으로 되어 있다.구체적으로는, 이 예에 있어서는, 상기 와이퍼 암(100)의 끼움부(102)의 양측면(102a,102a)이 와이퍼 암(100)의 주체부(105)의 측면(105a)보다도 낮게 되도록 각각 형성됨으로써, 이 끼움부(102)의 측면(102a)과 주체부(105)의 측면(105a)과의 사이에 단차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104)의 단차면(104a){즉, 상기 양 측면(102a,105a)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면}이 상기 축체(8)측을 만곡내측으로 하도록 와이퍼 암(100)을 측방에서 본 상태에서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또, 상기 축체(8)를 상기 와이퍼 암(100)의 끼움부(102)의 오목부(103)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연결구(R)의 타단측(2)에 있는 상기 1쌍의 측판(9,9)의 단면(9a)이 각각 상기 단차부(104)의 단차면(104a)과 간격(9c)을 두고서 대향됨과 아울러, 상기 단면(9a)을 각각 상기 축체(8)를 중심으로 한 상기 와이퍼 암(10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단차면(104a)의 만곡을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면(9b)으로 하고 있다.이 결과,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와이퍼 암(100)의 회동에 의해서 항시 상기 오목부(103)에 미끄럼 접촉하는 상기 축체(8)가 점차 마모되어 상기 와이퍼 암(100)측의 단차면(104a)과 연결구(R)의 타단측(2)의 측판(9)의 단면(9a)과의 사이의 간격(9c)이 없어진 경우에도, 상기 만곡면(9b)으로 된 측판(9)의 단면(9a)에 의해서 와이퍼 암(100)의 단차면(104a)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와이퍼 암(100)의 원활한 회동을 전과 다름없이 확보할 수 있다.도 10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연결구(R)의 구성을 일부 변경한 연결구(R)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도 10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연결구(R)의 일단측(1)에 금속제 칼라(16)가 끼워지는 삽입구멍(1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삽입구멍(15)에 끼워진 상기 금속제 칼라(16)에 상기 와이퍼 구동축(J)이 끼워지는 축구멍(3)을 형성하고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외경을 상기 삽입구멍(15)보다 약간 크게 한 통형상의 금속제 칼라(16)가 상기 삽입구멍(15)을 탄성적으로 밀어 넓히면서 이 삽입구멍(15)에 끼워지도록 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끼워진 금속제 칼라(16)의 내측이 상기 축구멍(3)이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도 10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와이퍼 구동축(J)이 조립되는 연결구 (R)의 일단측(1)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멍(15) 근방의 강성을 크게 확보하면서 또한 축구멍(3)에 끼워지는 상기 와이퍼 구동축(J)에 체결되는 너트(N)를 상기 금속제 칼라(16)의 상면에 안정하게 조여 붙일 수 있다. 또, 자동차의 구성재료를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삽입구멍(15)으로부터 너트(N)를 밀어내어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너트(N)와 플라스틱 성형품 부분을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연결구에 의하면, 일단측을 와이퍼 구동축에 너트체결에 의해서 조립하고 또 타단측에 와이퍼 암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 상기 연결구를 적절하게 플라스틱 성형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일단측에, 와이퍼 구동축이 끼워지는 축구멍과, 상기 축구멍의 주위에, 이 축구멍에 끼워져서 이것에서 돌출되는 상기 와이퍼 구동축에 체결되는 너트가 조여 붙여지는 안착면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타단측에, 와이퍼 암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부착되는 측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맞춰져서, 와이퍼의 구동에 수반하여 윈도 글라스의 글라스면을 따라서 상기 와이퍼 암이 이동되도록 상기 와이퍼 암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축구멍이 형성된 일단측과 상기 축체가 구비된 타단측에 각각 게이트를 구비한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제 칼라가 끼워지는 삽입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진 상기 금속제 칼라에 상기 와이퍼 구동축이 끼워지는 축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와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축체가 1쌍의 측판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고, 와이퍼 암에 있어서의 오목부가 형성된 끼움부를 상기 1쌍의 측판 사이로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축체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1쌍의 측판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퍼 암의 끼움부의 양측에 형성된 단차부와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단면이, 상기 축체를 중심으로 한 상기 와이퍼 암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축체가 마모되어 상기 단차부의 단차면과 상기 단면이 서로 맞닿게 되었을 때에, 상기 단면에 의해서 상기 단차면을 안내하여 상기 와이퍼 암의 회동을 확보하도록 형성된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
KR10-2001-0023032A 2000-05-01 2001-04-27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 KR100384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2179 2000-05-01
JP2000132179A JP2001315622A (ja) 2000-05-01 2000-05-01 ワイパーアームとワイパー駆動軸との連結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922A KR20010100922A (ko) 2001-11-14
KR100384650B1 true KR100384650B1 (ko) 2003-05-22

Family

ID=1864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032A KR100384650B1 (ko) 2000-05-01 2001-04-27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315622A (ko)
KR (1) KR100384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8382B2 (ja) * 2000-08-25 2010-07-21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ーアームヘッド
DE10313536A1 (de) * 2003-03-26 2004-10-07 Robert Bosch Gmbh Gelenkarm aus Kunststoff für einen Scheibenwischer
JP2005297879A (ja) * 2004-04-15 2005-10-27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アーム及びワイパーアーム用連結部材
DE102005053395A1 (de) 2005-11-09 2007-05-10 Robert Bosch Gmbh Gelenkarm aus Kunststoff
JP5952686B2 (ja) * 2012-09-03 2016-07-13 株式会社ミツバ アーム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922A (ko) 2001-11-14
JP2001315622A (ja) 200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7B1 (ko) 연료도어의 하우징 장치
US901174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 joint
JPH09178333A (ja) 把手装置
US20060103063A1 (en) Hook pin unit having weld slag protection
KR100384650B1 (ko) 와이퍼 암과 와이퍼 구동축과의 연결구
KR100889958B1 (ko) 와이퍼 블레이드
EP2032754B1 (en) A household device
JP632809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US7232534B2 (en) Method of producing a molded product comprising an insert
KR101503758B1 (ko) 다목적 차량과 같은 차량의 외부 후사경을 지지하기 위한 유지 힌지 부품 및 상기 유형의 유지 힌지 부품을 포함한 다목적 차량용 외부 후사경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KR200376545Y1 (ko) 차량 도어 체커 구조
CN210013907U (zh) 一种柜体连接机构
JP2000346106A (ja) スライド部材のストッパー装置
JP5180131B2 (ja) 射出成形機の固定プラテン
KR200439376Y1 (ko) 와이퍼 암 조립체
US6116122A (en) Ratchet tool
JPH0222257Y2 (ko)
KR200377273Y1 (ko) 교환식 휠 고무장갑 금형용 회전 브라켓
KR200286558Y1 (ko) 금형셋팅용 클램프
CN219685332U (zh) 一种压装防护工装
US20030140723A1 (en) Bearing sphere for a gear shift lever
KR940002861Y1 (ko) 사출금형의 사출물 고정장치
KR200331373Y1 (ko) 사출부품 결합체
JPH07309212A (ja) ボールジョイン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