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015B1 - 동화상 송신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동화상 송신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015B1
KR100382015B1 KR10-2000-0055155A KR20000055155A KR100382015B1 KR 100382015 B1 KR100382015 B1 KR 100382015B1 KR 20000055155 A KR20000055155 A KR 20000055155A KR 100382015 B1 KR100382015 B1 KR 10038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ignal
data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450A (ko
Inventor
니시까와쯔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3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카메라(100)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1)와, 화상 신호의 좌표 변환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202)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03)와,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204)와,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205)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203)에의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부(206)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화상을 계속 송신하는 경우에는 점진적으로 화상이 개선되는 것을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을 보전하고, 그 화상을 계속 송신함으로써, 송신하는 화상은 점진적으로 화질이 개선되어 서서히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 통신을 행한다.

Description

동화상 송신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장치{MOVING PICTURE TRANSMITT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COMMUNIC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동화상 송신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통신에 있어서는 비교적 좁은 대역에서 동화상을 통신할 수 있도록, 동화상 압축 및 압축 해제를 행하게 되어 있다. 할당된 대역의 상한을 넘지 않은 정보량으로 필요한 매수의 동화상을 통신하기 위해, 동화상 압축 및 압축 해제와 동시에 레이트 제어도 행하고 있다. 레이트 제어를 행함으로써 화질은 나빠진다.
따라서, 종래의 동화상 통신 장치에 있어서는, 통신하는 데에 쓰이는 정보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크게 감소된 매수의 프레임을 갖는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을 보내든지, 낮은 화질의 화상을 보내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특정한 화상을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으로 통신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 요구에 따르기 위해서는, 동화상 통신 장치에 스위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를 눌렀을 때에 본래 행하던 레이트 제어를 중단하고, 예외 처리로 전환하여 특정 정지 화상을 송신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원활한 사용법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예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예외 처리용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필요해지고, 이는 갑자기 프레임 레이트가 저하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화상 통신 장치에서는, 통신량이 한정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을 통신하는 경우에는 크게 감소된 매수의 프레임을 갖는 화상을 보내든지, 보통 매수의 프레임을 갖는 낮은 해상도의 저품질 화상을 보내야 했다. 한편, 예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예외 처리용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였다. 예를 들어, 정보 통신 단말기에 사용하는 경우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증가를 회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동화상 송신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화상 송신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와, 화상 신호의 좌표 변환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와,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의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가 수취된 화상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인 메모리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을 송신할 때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증가를 저감시켜,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동화상 송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제2 실시예의 메모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3 실시예의 메모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8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송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제9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메라
200 : 전송 제어부
201 :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202 : 좌표 변환부
203 : 메모리
204 : 화상 처리부
205 : 출력 인터페이스부
206 : 메모리 제어부
207 : 카메라 정지 신호 출력부
208 : 동기 신호 전환부
209 : 동기 신호 생성부
211, 221 : 입력 제어부
212 : 신호 입력부
214 : 출력 제어부
223 : 갱신 제어부
300 : 통신 인터페이스
400 : 네트워크
500 : 통신 네트워크
600 : 수신 제어부
700 : 표시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의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축약하였음을 밝혀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의 동화상 송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동화상 송신 장치는, 카메라(100)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1)와, 화상 신호의 좌표 변환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202)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03)와,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204)와,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205)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203)에의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부(206)를 포함한다.
카메라(100)는, 동화상을 수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CCD (Charged Coupled Device)나 CMOS 센서 등을 이용한 것이 포함된다. 카메라(100)는 동화상을 수취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화상 신호에는 실제의 화상 신호(예를 들면 YCBCR 신호) 외에,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클럭 신호 등이 포함해도 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1)는, 카메라(100)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입력한다.
좌표 변환부(202)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1)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의 좌표 변환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좌표 변환에서는, 어느 한 좌표계에서 표현된 화상 신호를 다른 좌표계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00)에기초를 둔 좌표계인 화상 신호로부터 메모리(203)에 기초를 둔 좌표계인 화상 데이터로 변환 조작을 행한다.
메모리(203)는, 화상 데이터의 저장을 행하고, 소정의 조건에 따라 저장한 화상의 출력을 행한다.
화상 처리부(204)는, 메모리(203)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에는, 예를 들면 비교적 좁은 대역에서 동화상을 통신할 수 있도록 동화상 압축을 행한다. 예에서는, ITU 권고의 H.263이나 MPEG4 등이 해당한다.
출력 인터페이스부(205)는, 화상 처리부(204)의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 출력한다. 처리가 끝난 데이터에는 MPEG4나 H263등의 전방 예측을 이용하는 규격에 따른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규격에서는, 원화상에 대해 디코드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참조 화상을 준비하고, 그 참조 화상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행하여 얻을 수 있는 화상에 대한 차분을 표현하고, 그 차분을 부호로 하여 압축하고, 통신함으로써 화상 처리를 행하고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00)는 이 장치의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한다. 예를 들면, 모뎀, 터미널 어댑터 등이 포함된다.
메모리 제어부(206)는,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리(203)의 입출력 제어를 행한다. 입력이란 이 장치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이 장치의 조작자로부터의 입력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장치에 버튼을 준비하여 조작자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입력 신호를 수취한 경우에는, 메모리 제어부(206)는, 현재 화상 처리부(204)로 송신하는 메모리(203)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계속해서 화상 처리부(204)로 송신하도록 한다. 화상 처리부(204)는 동일한 화상을 송신하게 되므로, 점진적으로 화상이 개선되는 것이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화상 처리부(204)에서는 원화상에 대해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기준 화상을 준비하고, 그 기준 화상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행하여 얻은 화상과 기준 화상과의 차분을 표현하고, 그 차분을 부호로서 압축하고, 송신함으로써, 화상 처리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화상을 계속 송신하는 경우에는 점진적으로 화상이 개선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메모리(203)에 저장된 화상을 보전하여, 그 화상을 계속 송신함으로써, 송신하는 화상은 점진적으로 화질이 개선되어 서서히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로 되는 정지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특정한 정지 화상을 화질을 향상시켜 보내고 싶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를 준비하여 조작자에게 누르게 한다. 그 경우에는 메모리 제어 신호가 메모리로 송신되어 상술된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스위치를 누르는 기간만, 현재 화상 처리부(204)로 송신하는 화상을, 계속해서 화상 처리부(204)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정지 화상을 송신하는 경우라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외적인 레이트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터럽트, 메모리, 회로, 프로그램 등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보다 적은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2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도면은 특히 메모리(203)및 메모리 제어부(206)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203)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 포함하는 구성이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한쪽의 영역이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영역으로부터 출력을 행하는 영역(203a 및 203b)을 포함한다. 한편, 메모리 제어부(206)는,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입력부(212)와, 좌표 변환부(202)(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신호 입력부(212)가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역(203a) 혹은 영역(203b)으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211)와, 신호 입력부(212)가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역(203a) 혹은 영역(203b)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214)를 포함한다.
도 3은, 제2 실시예의 메모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 제어부(211)는, 좌표 변환부(202)(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우선 영역(203a)에 기입하고, 이 기입이 끝난 곳에서, 다음의 화상을 영역(203b)에 기입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영역(203a)과 영역(203b)을 교대로 전환하여 기입을 행한다. 출력 제어부(214)는 입력 제어부(211)가 기입을 행하지 않은 영역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출력을 행한다. 즉, 입력 제어부(211)가 영역(203b)에 기입을 행하는 경우에는 출력 제어부(214)는 영역(203a)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출력을 행하고, 입력 제어부(211)가 영역(203b)에 기입을 행하는 경우에는 출력제어부(214)는 영역(203a)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출력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신호 입력부(212)로부터 메모리 제어 신호를 수취하면, 입력 제어부(211) 및 출력 제어부(214)는 상술된 바와 같은 전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어떤 한쪽 영역에 저장된 화상이 출력 제어부(214)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영역에 저장된 화상을 보전하여, 그 화상을 계속 송신함으로써, 송신하는 화상은 점진적으로 화질이 개선되어 서서히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정지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환 동작을 행하지 않고 끝나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4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도면은 특히 메모리 제어부(206)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203)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1개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메모리 제어부(206)는, 입력이 있던 경우에는 메모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입력부(212)와, 좌표 변환부(202)(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갱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역(203)으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221)와, 메모리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영역(203)에 하나의 화면 분을 수취하는 것이 종료하고 나서 갱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갱신 제어부(223)를 포함한다.
도 5는, 제3 실시예의 메모리 제어부(20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 제어부(221)는 좌표 변환부(202)(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203)에 기입하고, 어떤 타이밍에서 그 데이터가 판독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신호 입력부(212)로부터 메모리 제어 신호를 수취하면, 갱신 제어부(223)는 메모리(203)에 1화면 분의 수취가 종료를 검지한다. 이 검지는 예를 들면, 좌표 변환부(202)가 수취 화상의 최대의 X, Y 좌표의 화소 입력이 행해진 타이밍을 전달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다. 하나의 화면 분의 수취가 종료한 시점에서 갱신 제어 신호를 입력 제어부(221)로 출력한다. 입력 제어부(221)는 메모리(203)에의 기입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메모리(203)에 저장된 화상이 출력 제어부(214)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영역에 저장된 화상을 보전하여, 그 화상을 계속 송신함으로써, 송신하는 화상은 점진적으로 화질이 개선되어 서서히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로 되는 정지 화상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환 동작을 행하지 않고 끝나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어서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도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에 카메라 정지 신호 출력부(207)를 더한 것이다. 카메라 정지 신호 출력부(207)는, 메모리 제어부(206)로부터 출력된 메모리 제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카메라(100)에 카메라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카메라(100)는 카메라 정지 신호를 수취한 경우에는 카메라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카메라(100)를 정지시킴에 따라,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 실시예의 메모리의 경우의 카메라 정지 신호 출력부(207)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즉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카메라 정지 신호로서 메모리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이미 어느 한 영역에 하나의 화면이 보전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제3 실시예의 메모리 경우의 카메라 정지 신호 출력부(207)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 즉 단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카메라 정지 신호로서, 갱신 제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메모리(203)에 하나의 화면이 보존된 시점에서 카메라(100)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제5 실시예>
이어서, 제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도 1에서 상기 제4 실시예에 동기 신호 생성부(209) 및 동기 신호 전환부(208)를 추가한 구성이다. 동기 신호 생성부(209)는,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동기 신호에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가 포함된다. 동기 신호 전환부(208)는, 동기 신호 생성부(209)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 및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1)에서 출력되는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카메라(10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01)의 동기 신호를 출력하고, 카메라(100)가 정지하는 경우에는 동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를 화상 처리부로 출력한다.
도 6은,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고, 카메라(100)의 동작이 정지한 경우에는, 동기 신호도 정지한다. 이 경우우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 신호 생성부(209)가 동기 신호를 생성하므로, 동기 신호가 필요한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경우라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100)가 정지한 경우라도 동기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예>
이어서 제6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처리부(204)의 실시예이다.
도 7은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시간 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I 픽쳐란 전후의 화면 정보 없이 생성 가능한 화면을 말한다. 또한, P 픽쳐란 I 픽쳐 혹은 P 픽쳐로부터의 차분 정보로 생성 가능한 화면을 말한다.
수취된 화상 갱신 정지 기간에 들어 간 경우에는 I 픽쳐를 송신하지 않고 프레임간 압축을 행하는 화상 P 픽쳐만을 송신하도록 한다. 이 경우, P 픽쳐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압축을 행하는 화상 B 픽쳐를 송신해도 된다.
수취된 화상을 고정할 때에는, 점진적인 효과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P 픽쳐와 같은 프레임간 압축된 화상의 송출만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구간에 I 픽쳐와 같은 한 프레임 내 압축된 화상이 삽입된 경우, 화상은 초기 상태의 저 해상도의 저품질 상태로 복귀하는데, 이는 회피해야만 한다.
<제7 실시예>
이어서 제7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화상 처리부(204)의 기능이 다르다.
도 8은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시간 축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수취된 화상 갱신 정지 기간이 종료한 경우에는 I 픽쳐를 송신하도록 한다. 즉, 화상 갱신 재개 후의 최초의 수취된 화상의 송출은 I 픽쳐로 한다.
예를 들면, 화상을 보여 주고 수신자의 확인을 취하는 등의 사용 방식인 경우, 화상의 수취를 재개하기까지의 정지 시간 간격은 프레임 간격에 비교하여 충분히 길고, 따라서 정지 기간 전후의 화상들은 서로 매우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움직임 보상 등을 행하지 않고, 한 프레임 내 압축을 행한 화상을 송신함으로써 송신 화상을 초기화하는 것이 소비 전력과 처리 시간 면에서 유리하게 기능하는 것이다.
<제8 실시예>
이어서 제8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8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화상 데이터는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의 도시한 구성 중, 메모리(231)를 외부에 설치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메모리를 제거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메모리를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메모리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유연한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200으로 나타낸 부분을 IC (Integrated Circuit)화해도 좋다. 또한, 도 9의 200으로 나타낸 부분을 IC 화해도 좋다. 또한, 외부 메모리(231)를 IC 화해도 좋다.
<제9 실시예>
도 10은, 상기된 실시예를 전송 제어부(200)로서, 구성한 경우의 동화상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동화상 통신 장치는 동화상을 수취하기 위한 카메라(100)와, 카메라의 동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전송 제어부(200)와, 외부 네트워크(400)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300)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500)와, 수신한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수신 제어부(600)와, 처리를 행한 데이터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전송 제어부(200)는 상술된 실시예 1 내지 8 중의 어느 것에 기초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쌍방향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높은 해상도의 고품질 화상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특정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의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특허청구범위의 문언 및 균등 범위 내에 드는 모든 변형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동화상 송신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와,
    화상 신호의 좌표 변환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와,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의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화상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영역과,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동화상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좌표 변환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영역 혹은 상기 제2 영역으로 화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와,
    상기 제1 영역 혹은 상기 제2 영역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 제어부 및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전환을 정시시키는 동화상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좌표 변환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갱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으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영역에 1화면 분의 수취가 종료하고 나서 상기 갱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갱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갱신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동화상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메모리 제어를 입력한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에 카메라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정지 신호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카메라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의 신호를 출력하고, 카메라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를 화상 처리부로 출력하는 동기 신호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압축을 행하고, 압축이 종료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간 예측을 이용하여 동화상 압축을 행하고, 압축이 끝난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송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는 기간에 들어간 경우에는, 전후의 화상 없이 생성 가능한 화상의 생성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동화상 송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화상 갱신 재개 후의 최초의 생성 화상은, 전후의 화상 없이 생성 가능한 화상인 동화상 송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MPEG4 혹은 H.263에 기초하여 동화상 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는 기간에 들어간 경우에는, 전후의 화상 없이 생성 가능한 화상인 I픽쳐의 생성을 행하지 않도록 한 동화상 송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화상 갱신 재개 후의 최초 생성 화상은, 전후의 화상 없이 생성 가능한 화상인 I픽쳐인 동화상 송신 장치.
  14. 동화상 송신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와,
    화상 신호의 좌표 변환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와,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의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는 이 동화상 송신 장치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화상 송신 장치.
  15. 동화상 통신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수취하기 위한 카메라와,
    카메라의 동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전송 제어부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수신한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수신 제어부와,
    처리를 행한 데이터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와,
    화상 신호의 좌표 변환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와,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의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화상 통신 장치.
  16. 동화상 통신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수취하기 위한 카메라와,
    카메라의 동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전송 제어부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수신한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수신 제어부와,
    처리를 행한 데이터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와,
    화상 신호의 좌표 변환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와,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와,
    처리가 끝난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의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는 이 동화상 통신 장치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화상 통신 장치.
KR10-2000-0055155A 1999-09-20 2000-09-20 동화상 송신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장치 KR100382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66130 1999-09-20
JP26613099A JP2001094989A (ja) 1999-09-20 1999-09-20 動画像送信装置及び動画像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50A KR20010030450A (ko) 2001-04-16
KR100382015B1 true KR100382015B1 (ko) 2003-05-01

Family

ID=1742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155A KR100382015B1 (ko) 1999-09-20 2000-09-20 동화상 송신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16192B1 (ko)
EP (1) EP1085755B1 (ko)
JP (1) JP2001094989A (ko)
KR (1) KR100382015B1 (ko)
DE (1) DE600353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462B2 (ja) * 2000-02-22 2006-03-0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記録媒体
JP2002207708A (ja) * 2001-01-12 2002-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演算装置
JP3366906B2 (ja) * 2001-03-01 2003-01-14 長瀬産業株式会社 Mpeg変換装置
US20030072365A1 (en) * 2001-03-01 2003-04-17 Nagase & Co., Ltd MPEG conversion system for converting digital video signals, MPEG convers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memorizing a software of the MPEG conversion system
JP3579403B2 (ja) * 2001-09-06 2004-10-20 株式会社セル・コーポレーション 映像伝送ユニット及び映像伝送システム
DE10160527A1 (de) * 2001-12-10 2003-06-26 Siemens Ag Sensoranordnung mit Auslesemitteln zur Differenzbildung
US20040162637A1 (en) 2002-07-25 2004-08-19 Yulun Wang Medical tele-robotic system with a master remote station with an arbitrator
US6925357B2 (en) * 2002-07-25 2005-08-02 Intouch Health, Inc. Medical tele-robotic system
US7813836B2 (en) 2003-12-09 2010-10-12 Intouch Technologies, Inc. Protocol for a remotely controlled videoconferencing robot
US8077963B2 (en) 2004-07-13 2011-12-13 Yulun Wang Mobile robot with a head-based movement mapping scheme
US9198728B2 (en) 2005-09-30 2015-12-01 Intouch Technologies, Inc. Multi-camera mobile teleconferencing platform
JP2007240741A (ja) * 2006-03-07 2007-09-20 Canon Inc 画像制御装置及び画像制御方法
US8849679B2 (en) 2006-06-15 2014-09-30 Intouch Technologies, Inc. Remote controlled robot system that provides medical images
US9160783B2 (en) 2007-05-09 2015-10-13 Intouch Technologies, Inc. Robot system that operates through a network firewall
US10875182B2 (en) 2008-03-20 2020-12-29 Teladoc Health, Inc. Remote presence system mounted to operating room hardware
US8179418B2 (en) 2008-04-14 2012-05-15 Intouch Technologies, Inc. Robotic based health care system
US8170241B2 (en) 2008-04-17 2012-05-01 Intouch Technologies, Inc. Mobile tele-presence system with a microphone system
US9193065B2 (en) 2008-07-10 2015-11-24 Intouch Technologies, Inc. Docking system for a tele-presence robot
US9842192B2 (en) 2008-07-11 2017-12-12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robot system with multi-cast features
US8340819B2 (en) 2008-09-18 2012-12-25 Intouch Technologies, Inc. Mobile videoconferencing robot system with network adaptive driving
US8996165B2 (en) 2008-10-21 2015-03-31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robot with a camera boom
US9138891B2 (en) 2008-11-25 2015-09-22 Intouch Technologies, Inc. Server connectivity control for tele-presence robot
US8463435B2 (en) 2008-11-25 2013-06-11 Intouch Technologies, Inc. Server connectivity control for tele-presence robot
US8849680B2 (en) 2009-01-29 2014-09-30 Intouch Technologies, Inc. Documentation through a remote presence robot
US8897920B2 (en) 2009-04-17 2014-11-25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robot system with software modularity, projector and laser pointer
US11399153B2 (en) 2009-08-26 2022-07-26 Teladoc Health, Inc. Portable telepresence apparatus
US8384755B2 (en) 2009-08-26 2013-02-26 Intouch Technologies, Inc. Portable remote presence robot
US11154981B2 (en) 2010-02-04 2021-10-26 Teladoc Health, Inc. Robot user interface for telepresence robot system
US8670017B2 (en) 2010-03-04 2014-03-11 Intouch Technologies, Inc. Remote presence system including a cart that supports a robot face and an overhead camera
US10343283B2 (en) 2010-05-24 2019-07-09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robot system that can be accessed by a cellular phone
US10808882B2 (en) 2010-05-26 2020-10-20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robotic system with a robot face placed on a chair
US9264664B2 (en) 2010-12-03 2016-02-16 Intou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CN103459099B (zh) 2011-01-28 2015-08-26 英塔茨科技公司 与一个可移动的远程机器人相互交流
US9323250B2 (en) 2011-01-28 2016-04-26 Intouch Technologies, Inc. Time-dependent navigation of telepresence robots
US10769739B2 (en) 2011-04-25 2020-09-08 Intou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information among medical providers and facilities
US20140139616A1 (en) 2012-01-27 2014-05-22 Intouch Technologies, Inc. Enhanced Diagnostics for a Telepresence Robot
US9098611B2 (en) 2012-11-26 2015-08-04 Intouch Technologies, Inc. Enhanced video interaction for a user interface of a telepresence network
US8836751B2 (en) 2011-11-08 2014-09-16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system with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different communication links
US9251313B2 (en) 2012-04-11 2016-02-02 Intou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telepresence devices in healthcare networks
US8902278B2 (en) 2012-04-11 2014-12-02 Intou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telepresence devices in healthcare networks
US9361021B2 (en) 2012-05-22 2016-06-07 Irobo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touchpad driving interfaces for telemedicine devices
EP2852881A4 (en) 2012-05-22 2016-03-23 Intouch Technologies Inc GRAPHIC USER INTERFACES CONTAINING TOUCH PAD TOUCH INTERFACES FOR TELEMEDICINE DEVICES
US9699271B2 (en) * 2013-01-29 2017-07-0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screen sharing during confidential data entry
KR20150081765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862302B2 (en) 2017-04-24 2024-01-02 Teladoc Health, Inc. Automated transcription and documentation of tele-health encounters
US10483007B2 (en) 2017-07-25 2019-11-19 Intouch Technologies, Inc. Modular telehealth cart with thermal imaging and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11636944B2 (en) 2017-08-25 2023-04-25 Teladoc Health, Inc. Connectivity infrastructure for a telehealth platform
US10617299B2 (en) 2018-04-27 2020-04-14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health cart that supports a removable tablet with seamless audio/video switching
CN111147754B (zh) * 2019-12-31 2021-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399A (en) * 1990-05-09 1994-05-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freezing a displayed image
JP3222456B2 (ja) * 1990-07-30 2001-10-29 株式会社東芝 映像監視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映像監視方法
US5164824A (en) * 1990-10-12 1992-11-17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freezing signal-processing apparatus
KR930010618B1 (ko) * 1990-10-31 1993-10-30 주식회사 금성사 캠코더의 흔들림 녹화방지 제어방식
US5469210A (en) * 1991-03-01 1995-11-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with control for output of non-vibrating images
JP3450505B2 (ja) * 1994-05-20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
CA2145914A1 (en) 1994-05-27 1995-11-28 Alexandros Eleftheriadis Model-assisted coding of video sequences at low bit rates
US5684538A (en) * 1994-08-18 1997-11-04 Hitachi,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ding/decoding using motion compensation
JPH08102939A (ja) * 1994-09-29 1996-04-16 Sanyo Electric Co Ltd 圧縮動画像復号装置
US5550595A (en) * 1994-12-16 1996-08-27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estimation with enhanced camera interface
JP3625955B2 (ja) * 1996-04-16 2005-03-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用半導体メモリ回路
JP3448169B2 (ja) * 1996-11-14 2003-09-16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全画素読出し式電子内視鏡装置
US6108027A (en) * 1996-12-17 2000-08-22 Netergy Networks, Inc. Progressive still frame mode
MY129589A (en) * 1997-02-28 2007-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tion picture converting apparatus
JPH10248063A (ja) 1997-03-04 1998-09-14 Toshiba Corp 携帯型情報端末装置
US6044416A (en) * 1997-09-19 2000-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ble first-in first-out memory interface
JPH11308585A (ja) 1998-04-20 1999-11-05 Fujitsu General Ltd テレビ電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5755B1 (en) 2007-07-04
DE60035390T2 (de) 2008-03-13
EP1085755A2 (en) 2001-03-21
JP2001094989A (ja) 2001-04-06
DE60035390D1 (de) 2007-08-16
US6816192B1 (en) 2004-11-09
EP1085755A3 (en) 2002-07-10
KR20010030450A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015B1 (ko) 동화상 송신 장치 및 동화상 통신 장치
US5751445A (en)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US200402041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US6446155B1 (en) Resource bus interface
JP200123819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処理方法
US72338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JP2006516868A (ja) ディジタルビデオデータを処理するための繰り返し使用可能なフロントエンドを有するモジュラアーキテクチャ
KR100650251B1 (ko) 비디오 처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처리 방법
US20050104979A1 (en) Image recorder
US20140184642A1 (en) Display control device
US9609215B2 (en) Moving-image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WO2002089470A1 (fr) Dispositif camera et dispositif electronique comprenant ce dispositif camera
KR1008151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선택영역을확대하기 위한 방법
JP426647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S63217783A (ja) テレビジヨン電話装置
JP3122445B2 (ja) 通信装置
JP2918877B2 (ja) 画像処理装置
CA2338195C (en) Video conferencing interface
KR10054788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영상데이터 표시장치 및방법
KR100223590B1 (ko) 다기능 텔레비전
JPS63105588A (ja) テレビジヨン信号の符号化復号化装置
KR100540249B1 (ko) 처리 영상을 복수개의 lcd에 표시하는 단말기
JPH036189A (ja) 画像通信装置
JPH03234187A (ja) 画像伝送装置
KR20020026754A (ko) 디지털 영상 시스템의 다 채널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