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580B1 - 에이엠밴드패스필터를이용한에프엠스테레오복조기 - Google Patents

에이엠밴드패스필터를이용한에프엠스테레오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580B1
KR100380580B1 KR1019950026693A KR19950026693A KR100380580B1 KR 100380580 B1 KR100380580 B1 KR 100380580B1 KR 1019950026693 A KR1019950026693 A KR 1019950026693A KR 19950026693 A KR19950026693 A KR 19950026693A KR 100380580 B1 KR100380580 B1 KR 10038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filter
output signal
frequency
controlled oscillator
voltage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640A (ko
Inventor
이한승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2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580B1/ko
Publication of KR97001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2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detecting phase difference between two signals obtained from input signal
    • H03D3/24Modifications of demodulators to reject or remove amplitude variations by means of locked-in oscillator circuits
    • H03D3/241Modifications of demodulators to reject or remove amplitude variations by means of locked-in oscillator circuits the oscillator being part of a phase locked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covered by H03D
    • H03D2200/0041Functional aspects of demodulators
    • H03D2200/0045Calibration of demod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에프 엠 모드(FM MODE)시 에이 엠(AM) 중간 주파수 필터 블록(Filter Block)을 이용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를 구현하여 종래의 단점을 보완한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AM BAND PASS FILTER)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FM STEREO DEMODULATOR)에 관한 것이며,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이 엠 회로의 구성 회로인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에프 엠 모드시, 상기 밴드 패스 필터를 전압 제어 발진기로 이용 기준 주파수를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간단한 회로의 구현을 하였으며 따라서, 회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는 효과를 가진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
이 발명은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에프 엠 모드(FM MODE)시 에이 엠(AM) 중간주파수 필터 블록(Filter Block)을 이용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를 구현하여 종래의 단점을 보완한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AM BAND PASS FILTER)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FM STEREO DEMODULATOR)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튜너 시스템(TUNER SYSTEM)에서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피엘엘 시스템(PLL SYSTEM, PHASE LOCKED LOOP SYSTEM)의 구성 요소로서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는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 할 회로이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를 구현하는 방법은 저항과 콘덴서와 같은 수동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과, 공진기(RESONATOR)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에이 엠 튜너 시스템과,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와, 공진기를 이용한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블럭도의 구성은,
진폭 변조를 하는 에이 엠 회로(12)와,
일정 주파수를 검출하는 밴드 패스 필터(11)와,
주파수 변조를 하는 에프 엠 회로(13)와,
상기 에프 엠 회로(13)에서 수신된 주파수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복조하는스테레오 복조기(14)와,
상기 스테레오 복조기(14)의 주팟 발진 부분에 해당하는 콘덴서(C15)와 저항(R16)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구성은,
진폭 변조를 하는 에이 엠 회로(22)와,
일정 주파수를 검출하는 밴드 패스 필터(21)와,
주파수 변조를 하는 에프 엠 회로(23)와,
상기 에프 엠 회로(23)에서 수신된 주파수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복조하는 스테레오 복조기(24)와,
상기 스테레오 복조기(24)의 주파수 발진 부분에 해당하는 공진기(RE25)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스테레오 피엘엘 회로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스테레오 피엘엘 회로의 구성은,
외부에서 아날로그 신호(VIN)를 입력받고, 분주 신호를 입력받는 주파수 합성 회로(SU31)와
주파수 합성 회로(SU31)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의 정상 유무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32)와,
위상 검출기(3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일정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로우 패스 필터(33)와,
로우 패스 필터(3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34)와,
전압 제어 발진기(34)에서 공진 작용을 하는 저항(R36), 콘덴서(C35)와,
전압 제어 발진기(34)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 검출기(32)에 조합이 될 수 있는 주파수를 발생시켜, 주파수 합성 회로(SU31)에 입력하는 분주기(46)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한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공진기를 이용한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의 구성은,
외부에서 아날로그 신호(VIN)를 입력받고, 분주 신호를 입력받는 주파수 합성 회로(SU41)와,
주파수 합성 회로(SU41)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의 정상 유무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42)와,
위상 검출기(4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일정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로우 패스 필터(43)와,
로우 패스 필터(3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44)와,
전압 제어 발진기(44)에서 공진 작용을 하는 공진기(RE45)와,
전압 제어 발진기(44)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 검출기(42)에 조합이 될 수 있는 주파수를 발생시켜, 주파수 합성회로(SU41)에 입력하는 분주기(4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과,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과,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스테레오 피엘엘 회로와,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한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에 대한 블럭도는 일반적인 튜너 시스템이다.
상기 튜너 시스템에서 스테레오 복조기(14,24)를 구현함에 있어서 내부에는 반드시 위상을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피엘엘(PLL) 회로가 장치되어야 한다. 또한 피엘엘(PLL) 회로는, 일정한 전압 주파수를 필요로 함으로 전압 제어 발진기를 구현하여 장치하여야 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16)과 콘덴서(C15)를 이용하여 공진 회로를 구성하거나, 수정과 같은 발진 소자를 사용하는 리조내이터(RE25)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스테레오 피엘엘 회로와, 공진기를 이용한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에서,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스테레오 피엘엘 회로는 저항값을 일일이 손으로 조절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조절한 가변 저항값이 시간이 오래 가면 가변 저항의 기계적인 특성에 의해서 조정값이 바뀌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진기를 이용한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는 공진기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실제 회로로 구현할 경우에는 원가의 부담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튜너 시스템은 에이 엠 모드와 에프 엠 모드가 병용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이 엠 모드의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에프 엠 모드시에 상기 에이 엠 모드의 밴드 패스 필터를 전압 제어 발진기 블럭으로 공유함으로써 종래의 회로가 갖는 단점을 보완한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응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복조기를 구성한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스테레오 피엘엘 회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4는 종래의 공진기를 이용한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외부의 아날로그 신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주파수 합성기와,
상기 제1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의 정상 유무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를 검출하는 작용을 하는 로우 패스 필터와,
상기 로우 패스 필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전압 제어 발진기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합성 작용을 하는 제2 주파수 합성기와,
상기 제2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주파수 비교기와,
상기 주파수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받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업다운 카운터와,
상기 업다운 카운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출력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와,
반전 입력단은 접지되는 오피 앰프와,
상기 오피 앰프의 비반전 입력단과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오피 앰프의 출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는 밴드 패스 필터와,
상기 오피 앰프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주파수 합성기로 출력하는 분주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이 엠, 에프 엠 튜너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복조 피엘엘 회로의 구성은,
외부의 아날로그 신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파수 합성기(SU72)와,
상기 주파수 합성기(SU7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의 정상 유무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71)와,
상기 위상 검출기(7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를 검출하는 작용을 하는 로우 패스 필터(70)와,
상기 로우 패스 필터(7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전압 제어 발진기(69)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69)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합성 작용을 하는 주파수 합성기 (SU64)와,
상기 주파수 합성기(SU64)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주파수 비교기(65)와,
상기 주파수 비교기(65)의 출력을 입력받는 스위치(66)와,
상기 스위치(66)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업다운 카운터(67)와,
상기 업다운 카운터(67)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69)에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68)와,
반전 입력단은 접지되는 오피 앰프(OP62)와,
상기 오피 앰프(OP62)의 비반전 입력단과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오피 앰프(OP62)의 출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는 밴드 패스 필터(61)와,
상기 오피 앰프(OP6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파수 합성기(SU64)로출력하는 분주기(6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밴드 패스 필터(53)는 455kHz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이며, 상기 밴드 패스 필터(53)를 이용하여 피엘엘(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VCO)를 구성한다. 에이 엠 모드(AM MODE)시에는 스위치(66)가 "A"에 연결되어 있어 밴드 패스 필터의 기능을 하고, 에프 엠 모드(FM MODE)시 스위치(66)가 "B"로 연결되어 스테레오 복조기를 동작시킨다.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일단 오피 앰프(OP62)와 455kHz의 밴드 패스 필터로 구성된 증폭 회로는 출력단의 피드 백 라인이 비반전 입력단으로 연결되어 있어 정궤환 증폭기로 작용을 하여 발진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진하는 주파수를 스테레오 발진기의 발진 회로의 제1 기준 주파수로서 이용한다. 상기 기준 주파수(S1)는 분주기(63)를 통하여 분주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주된 신호(S2)는 합성기(SU64)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69)에서 발진된 신호(S3)와 합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된 신호(S4)는, 상기 양 신호(S2, S3)의 차에 대한 1/2 되는 신호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신호(S4)는 주파수 비교기(65)에 입력이 되고, 여기에서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낮음에 따라서 업, 다운 카운터가 업 또는 다운 신호(S5)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S5)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68)로 입력이 되어 직류 전압으로 바뀌게 된다. 이후에 입력된 직류 전압은 전압 제어발진기(69)의 전류를 조정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 때 기준 신호와 위상이 같아지면 주파수 비교기(65)의 출력에 의해 스위치(66)를 오픈 시켜 회로를 차단한다. 만일 회로를 차단하지 않으면 무한 루프로 계속되어 입력 신호가 고정되지 못하고,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69)의 발진 회로를 외부에 콘덴서(C73) 하나로 구성을 하여, 프리런잉(FREE RUNNING) 주파수가 변동될 경우에도 기준 주파수(S1)가 있어 항상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이 엠 회로의 구성 회로인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에프 엠 모드시, 상기 밴드 패스 필터를 전압 제어 발진기로 이용 기준 주파수를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간단한 회로의 구현을 하였으며 따라서, 회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는 효과를 가진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에이 엠 및 에프 엠 수신 모드가 있는 모든 오디오 기기에서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외부의 아날로그 신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주파수 합성기와,
    상기 제1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의 정상 유무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를 검출하는 작용을 하는 로우 패스 필터와,
    상기 로우 패스 필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전압 제어 발진기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합성 작용을 하는 제2 주파수 합성기와,
    상기 제2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주파수 비교기와,
    상기 주파수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받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업다운 카운터와,
    상기 업다운 카운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와,
    반전 입력단은 접지되는 오피 앰프와,
    상기 오피 앰프의 비반전 입력단과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오피 앰프의 출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는 밴드 패스 필터와,
    상기 오피 앰프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주파수 합성기로 출력하는 분주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패스 필터와 상기 오피 앰프는 에프 엠 모드시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 엠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한 에프 엠 스테레오 복조기.
KR1019950026693A 1995-08-26 1995-08-26 에이엠밴드패스필터를이용한에프엠스테레오복조기 KR10038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693A KR100380580B1 (ko) 1995-08-26 1995-08-26 에이엠밴드패스필터를이용한에프엠스테레오복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693A KR100380580B1 (ko) 1995-08-26 1995-08-26 에이엠밴드패스필터를이용한에프엠스테레오복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640A KR970013640A (ko) 1997-03-29
KR100380580B1 true KR100380580B1 (ko) 2003-07-10

Family

ID=3741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693A KR100380580B1 (ko) 1995-08-26 1995-08-26 에이엠밴드패스필터를이용한에프엠스테레오복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51B1 (ko) * 2004-10-01 2007-05-0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발진 주파수 제어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51B1 (ko) * 2004-10-01 2007-05-0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발진 주파수 제어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640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2791B2 (ja) 高周波受信装置
EP0944172A3 (en) Phase-locked loop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in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JP2729028B2 (ja) Fm搬送波の復調方法および復調回路
TW200419914A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presetting circuit
JPS61251313A (ja) 電子同調式fm受信機
KR100380580B1 (ko) 에이엠밴드패스필터를이용한에프엠스테레오복조기
JPS5912214B2 (ja) 同期信号発生回路
KR100282193B1 (ko) 스테레오신호복조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스테레오신호복조장치
JP2002509684A (ja) 瞬時位相差出力を有する位相周波数検出器
US6140851A (en) PLL synthesizer hav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tuning offset and output tuning controlled
JPH0156580B2 (ko)
KR100293272B1 (ko) 페이저의고주파동조조절회로
SU1589388A1 (ru) Цифровой синтезатор частот с частотной модул цией
JP3433030B2 (ja) ラジオ受信機
JP4618554B2 (ja) Fsk変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JPS637022A (ja) 位相同期発振器
JP2644649B2 (ja) 位相差発振回路
KR0163900B1 (ko) 증폭단이 내장된 위상 동기 루프 방식의 에프엠 검파 회로
JP2810580B2 (ja) Pll検波回路
JPH0697731B2 (ja) 電子同調式受信機
RU2222099C1 (ru) Синхронно-фазовый демодулятор
JPH1117580A (ja) アンテナ整合器
JPH05160644A (ja) 位相差発振回路
JPH01260926A (ja) Pll発振回路
KR940003214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주파수 안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