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132B1 - 밸브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밸브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132B1
KR100379132B1 KR10-2000-0030682A KR20000030682A KR100379132B1 KR 100379132 B1 KR100379132 B1 KR 100379132B1 KR 20000030682 A KR20000030682 A KR 20000030682A KR 100379132 B1 KR100379132 B1 KR 10037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cam
cam membe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231A (ko
Inventor
하라테츠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00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F16K11/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 F16K11/163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only turns
    • F16K11/1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only turns with the rotating spindles parallel to th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 F16K31/5242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7Flow-divert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928Sequentially progressive opening or closing of plural valves
    • Y10T137/87016Lost motion
    • Y10T137/87024Cam determines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고정밀한 나사가공이나 밸브체와 개구의 중심위치 맞춤작업 등이 번잡하지 않아 경험적인 노하우가 필요없고 또한 3방밸브나 4방밸브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밸브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밸브구동장치(1)는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5) 및 유체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관(6a)(6b)에 연결되는 본체부(2)와, 이 본체부(2)의 유출관(6a)(6b)에 연결되는 개구(7a)(7b)를 개폐하기 위해 소정 범위내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밸브체(3a)(3b)와, 이 밸브체(3a)(3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를 갖고 있다. 구동부(4)는, 밸브체(3a)(3b)를 개구(7a)(7b)를 막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돌출부 및 밸브체(3a)(3b)를 개구(7a)(7b)를 여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저면부를 갖는 캠면을 구비한 캠부재(11)와, 이 캠부재(11)를 회전구동하여 캠면의 돌출부 및 저면부를 각각의 밸브체(3a)(3b)에 대해 대향시킴으로써 밸브체(3a)(3b)를 동작시키는 구동원(13)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밸브구동장치{VALVE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구체등으로 구성되는 밸브체를 구동하고, 유로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구동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나 공조기의 냉매의 유로 등을 개폐하여 유로를 지나는 실의 온도제어를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부터 전자밸브(일본국 특개소 62-288780호 공보참조)나 니들밸브를 개폐밸브로서 이용한 밸브구동장치가 있다.
그러나 전자밸브를 이용한 밸브구동장치는 일반적으로 개폐동작시 소리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개방 또는 폐쇄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어서도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자밸브를 통전상태로 해 둘 필요가 있어 소비전력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전자밸브 방식의 밸브구동장치는 구조상 2개의 밸브상태를 양쪽 다 개방상태로 하거나, 양쪽 다 폐쇄상태로 할 수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니들밸브를 이용한 밸브구동장치는 예를들면 스텝핑모터 등을 구동원으로 이용하여 그 스텝핑모터의 회전력을 니들밸브의 추력으로 바꾸고 유로를 폐쇄하는 것으로 전자밸브에 의한 것과 비교하면 동작음의 문제도 적다.
이 니들밸브를 이용한 밸브구동장치는 통상 스텝핑모터의 회전력을 니들밸브의 추력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모터 회전축의 외주와 이 회전축의 외측에 배치되는 통형상 부재의 내주에 서로 맞물리는 나사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모터의 회전축이 통형상 부재에 나합하면서 회전함으로써 모터의 로터가 통형상 부재를 따르는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이 결과 모터 출력축의 선단부분에 부착된 니들밸브가 출력축과 일체적으로 직선운동하게 되고, 이 니들밸브의 직선운동을 이용하여 개구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니들밸브를 이용한 밸브구동장치는 통상 모터와 니들밸브와는 1대 1관계가 되므로 여러개의 밸브체를 하나의 모터로 폐쇄구동할 수 없다. 즉 이와같은 니들밸브를 이용한 밸브구동장치는 여러개의 유로(개구)를 갖는 3방밸브나 4방밸브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 이와같은 니들밸브를 이용한 밸브구동장치는 상술한 통형상 부재와 출력축의 각 나사부의 성형이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즉 모터의 출력축이 통형상 부재에 대해 스무스하게 회전하기 위해서는 통형상부재측의 나사홈과 출력축측의 나사홈이 서로 고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모터 회전축의 선단부분에 부착되는 니들밸브의 중심위치와, 이 니들밸브가 삽입되는 유로(개구)의 중심위치와의 위치맞춤작업도 미묘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고정밀한 설계기술이나 조립시에 있어 경험적인 노하우가 필요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나사가공이나 밸브체와 개구의 중심위치 맞춤작업 등이 번거롭지 않아 경험적인 노하우가 불필요하며 또한 3방밸브나 4방밸브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밸브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은 제 1실시형태인 밸브구동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밸브구동장치를 화살표 II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밸브구동부재의 제 1캠부재를 화살표 II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a)는 원점위치가 되는 제 1모드시의, (b)는 원점위치로부터 화살표 α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가 되는 제 2모드시의, (c)는 원점위치로부터 화살표 α방향으로 270도 회전한 상태가 되는 제 3모드시의 제 1캠부재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밸브구동부재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도 1과 같은 방향에서 본 단면도, (b)는 (a)를 화살표 B방향에서 본 도면, (c)는 (a)를 화살표 C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인 밸브구동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인 밸브구동장치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밸브구동부재의 캠부재를 화살표 VII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a)는 원점위치가 되는 제 1모드시, (b)는 원점위치에서 화살표 β방향으로 110도 회전한 상태가 되는 제 2모드시, (c)는 원점위치로부터 화살표 β방향으로 200도 회전한 상태가 되는 제 3모드시의 캠부재를 각각 도시한 도면.
다음 본 발명의 밸브구동장치의 제 1실시형태의 예를 도 1 내지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밸브구동장치(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그 외관상의 구성을 크게 나누어 설명하면 본체부(2)와, 밸브체로서 2개의 구체(3a)(3b)와, 이들 2개의 구체(3a)(3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로 구성된다. 본체부(2)는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5)과, 유체를 유출하기 위한 2개의 유출관(6a)(6b)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2개의 개구 즉 본체부(2)의 유출관(6a)(6b)의 연결부위에 중심공을 갖는 통형상 밸브부재(7a)(7b)가 각각 끼워진다.
그리고 이들 밸브부재(7a)(7b)의 일단을 구체(3a)(3b)로 개폐함으로써 본체부(2)와 각 유출관(6a)(6b)사이의 개구 즉 상술한 중심공을 개폐하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2)의 밸브부재(7a)(7b)가 끼워넣여진 개구는 후술하는 회전축(24)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180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체부(2)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부(4)는 일측 단면에 캠면(11a)을 구비한 제 1캠부재(11)와, 주면부에 캠면(12a)을 구비한 제 2캠부재(12)와, 이들 제 1 및 제 2캠부재(11)(12)를 회전구동함으로써 구체(3a)(3b)를 본체부(2)내의 소정범위내에서 동작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스텝핑모터(13)를 갖고 있다.
스텝핑모터(13)는 코일(21)이 감겨진 스테이터부(22)와, 이 스테이터부(22) 내측에 대향배치된 로터부(23)와, 이 로터부(23)의 회전중심부분에 삽입된 회전축(24)을 갖는 구성이 된다.
스테이터부(22)는 스테이터부 수납체(26)에 수납되고, 이 스테이터부 수납체(26)는 후술하는 홀더(41)에 의해 본체부(2)에 자유롭게 장착,분리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또한 스테이터부(22)는 코일(21)을 수지에 의해 스테이터부(22)의 극치(極齒)와 일체화함과 동시에 코일(21)을 밀봉한 구조가 된다.
로터부(23)는 PBT(폴리부틸렌 부타레이트)로 구성된 수지성형재료에 마그네트를 인서트성형하여, 마그네트를 스테이터부(22)에 대향배치함과 동시에 중심부분이 제 1 및 제 2캠부재(11)(12)의 회전중심축이 되는 회전축(24)에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 로터부(23)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로터부 수납체(27)에 수납되고, 로터부 수납체(27)에 의해 스테이터부(22)와 공간적으로 격절(隔絶)된다. 이 로터부(23)에 삽입된 회전축(24)은 일단이 로터부 수납체(27)의 저면(27a)의 중심위치에 형성된 베어링 오목부(27b)에, 타단이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본체부(2)의 외틀체(31)의 중심위치에 형성된 베어링 오목부(31b)에 각각 지지되고 있다.
로터부(23)의 일측 단면(23c)은 로터부 수납체(27)의 저면(27a)에 대향하고, 이 단면(23c)과 로터부 수납체(27)의 저면(27a) 사이에는 로터부(23)를 본체부(2)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로서의 가압스프링(28)이 마련된다. 그 때문에 로터부(23)는 본체부(2)측으로 가압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가압스프링(28)에 의해 돌출부(11c)가 밸브체(3)를 밸브부재(7a)(7b)의 개구로 가압하고 있다. 이 가압스프링(28)은 밸브부재(7a)(7b)의 일단을 구체(3a)(3b)로 폐쇄할 때 완전히 폐쇄시키기 위해 구성부품의 치수오차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로터부(23)의 타측 단면에는 제 1캠부재(11) 및 제 2캠부재(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캠부재(11)의 일단측에 형성된 캠면(11a)은 본체부(2)의 개구에 끼워진 통형상 밸브부재(7a)(7b)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제 1캠부재(11)의 캠면(11a)과 밸브부재(7a)(7b)사이에는 밸브부재(7a)(7b)를 개폐하는 밸브체가 되는 구체(3a)(3b)가 배치되고, 상술한 가압스프링(28)에 의해 로터부(23)가 본체부(2)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캠면(11a)이 이들 구체(3a)(3b)에 접촉하며 또한 구체(3a)(3b)가 본체부(2)측으로 가압된다.
한편 제 2캠부재(12)는 회전축(24)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180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2개의 구체(3a)(3b)의 반경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제 2캠부재(12)의 주면에 형성된 캠면(12a)이 양 구체(3a)(3b)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같은 2개의 캠부재(11)(12)가 로터부(23)와 일체로 회전하면 캠면(11a)(12a)의 형상에 따라 구체(3a)(3b)가 회전축(24)의 축방향 및 직교방향으로 동작하여 밸브부재(7a)(7b)를 개폐동작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캠면(11a)(12a)에 의해 동작되는 구체(3a)(3b)는 한쪽에서 가압부재로서 코일스프링(33a)(33b)의 일단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이들 코일스프링(33a)(33b)은 후술하는 본체부(2)의 가이드부재(32)의 밸브부재 수납공(35a)(35b)(도 4참조)안에서 각각 통형상 밸브부재(7a)(7b)의 외주부분에 감겨지고, 그 선단부분이 밸브부재(7a)(7b)의 선단부분에서 돌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 선단부분이 각 구체(3a)(3b)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각 구체(3a)(3b)는 각 코일스프링(33a)(33b)의 가압력에 의해 늘 캠면(11a)측으로 가압되고, 밸브부재(7a)(7b)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할 때에는 각 코일스프링(33a)(33b)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밸브부재(7a)(7b)로부터 멀어진다. 또 이 구성에 의해 구체(3a)(3b)의 캠면(11a)과의 접촉은 상시 확실하게 되고, 구체(3a)(3b)는 캠면(11a)의 면형상을 따라 확실한 동작을 하게 된다.
또 이 코일스프링(33a)(33b)은 제 2캠부재(12)의 캠면(12a)의 돌출부(12b)에 의해 구체(3a)(3b)가 외측을 이동되면(회전축(24)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를 이동전 방향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즉 제 2캠부재(12)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12b)와 구체(3a)(3b)와의 접촉이 풀리면 회전 코일스프링(33a)(33b)의 수축에 의해 구체(3a)(3b)를 이동전 위치인 밸브부재(7a)(7b)의 바로 위로 복귀시킨다. 게다가 코일스프링(33a)(33b)은 대응하는 구체(3a)(3b)의 진동을 방지하는 기능도 아울러 갖는다.
로터부 수납체(27)는 상술한 것과 같이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 본체부(2)의 외틀부재(31)와 TIG(텅그스텐 인너가스)용접(도 1에 있어 접합부분을 T로 한다)으로 일체화되며, 유체를 봉입하기 위한 케이스체(4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냉매용 밸브구동장치는 통상 본체부가 놋쇠로 구성되고 로터부수납체가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양 부재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그 접합부분에 납땜을 행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이 납땜작업은 수작업이 되어 번거롭다. 또 수작업이 아닌 수소환원로 내에서 자동적으로 납땜하도록 하면 놋쇠부분에서 아연가스가 발생하여 다른 용접부분등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밸브구동장치(1)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로터부 수납체(27) 및 외틀부재(31)를 함께 스테인레스강으로 성형했기 때문에 양자를 TIG용접으로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제 1캠부재(11)의 캠면(11a)은 구체(3a)(3b)를 밸브부재(7a)(7b)방향으로 밀어 개구(밸브부재(7a)(7b)의 일단측)에 구체(3a)(3b)를 접촉시킴으로써 개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구체(3a)(3b)를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개구를 열도록 하고 있다.
캠면(11a)은 도 3과 같이 구체(3a)(3b)를 개구를 막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돌출부(11c)와, 구체(3a)(3b)를 개구를 여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저면부(11d)와, 돌출부(11c) 및 저면부(11d)를 연결하기 위한 2개의 사면(11e)(11e)을 갖고 있다. 돌출부(11c)와 저면부(11d)는 회전축(24)과 같은 방향으로 요철로 형성된다. 캠면(11a)의 돌출부(11c)는 도 3과 같이 360도의 캠면(11a) 중 약 200도 정도의 범위로 형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1c)가 저면부(11d)에 대해 0.7mm높이를 갖도록 하고 있지만 이 높이에 대해서는 임의로 해도 좋다. 각 구체(3a)(3b)가 이 돌출부(11c)에 대향하고 있을 때는 밸브부재(7a)(7b)측으로 밀려 개구를 폐쇄한다.
또 저면부(11d)는 캠면(11a)의 남은 160도 중 약 90도 정도범위로 형성된다. 각 구체(3a)(3b)가 이 저면부(11d)에 대향하고 있을 때에는 밸브부재(7a)(7b)에서 멀어지고, 본체부(2)의 개구를 개방한다. 사면부(11e)(11e)는 각각 약 35도씩 범위에서 형성된다.
또 제 1캠부재(11)의 외주면에는 로터부(23)의 회전규제를 행하기 위한 볼록부(11f)가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뻗어나오도록 형성된다. 이 볼록부(11f)는본체부(22)의 제 1캠부재(11)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회전멈춤용 돌기(34)와 접촉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볼록부(11f)와 회전멈춤용 돌기(34)와의 접촉을 본 장치의 원점위치를 구하도록 이용하고 있으며, 그 원점위치로부터 스텝핑모터(13)를 소정스텝 구동함으로써 동작개시점을 정하고, 양 밸브부재(7a)(7b)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 원점위치를 구하는 동작은 매동작 개시후 행하도록 해도 좋고, 몇시간에 한 번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로터부(23)가 역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회전했을 때도 당연히 볼록부(11f)는 회전멈춤용 돌기(34)에 닿는다. 이 볼록부(11f)는 제 1캠부재(11)의 주면에 있어 20도로 형성된다. 한편 본체부(2)측의 회전멈춤용 돌기(34)도 마찬가지로 20도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로터부(23)는 320도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구동장치(1)는 이 320도 범위에 걸치는 로터부(23)의 회전에 의해 양 구체(3a)(3b)가 양 밸브부재(7a)(7b)를 개폐하고, 양 밸브부재(7a)(7b)의 개폐상태를 3개의 상태 즉 양쪽 다 폐쇄가 되는 제 1모터와, 한쪽이 폐쇄이고 다른쪽이 개방이 되는 제 2, 제 3모드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3(a)에 도시하는 제 1모드는 상술한 돌출부(11c)의 양단 근방에서 양 구체(3a)(3b)를 양 밸브부재(7a)(7b)측으로 밀어올려 양 밸브부재(7a)(7b)를 모두 폐쇄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하는 제 1모드는 볼록부(11f)를 회전멈춤용 돌기(34)에 접촉시켜 원점위치를 구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에 도시하는 제 2모드는 돌출부(11c)를 구체(3a)에 접촉시켜구체(3a)로 밸브부재(7a)를 폐쇄하고, 저면부(11d)를 구체(3b)에 접촉시켜 구체(3b)를 밸브부재(7b)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밸브부재(7b)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이 도 3(b)에 도시하는 제 2모드는 제 1모드로부터 제 1캠부재(11)를 화살표 α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c)에 도시하는 제 3모드는 제 2모드로부터 제 1캠부재(11)를 180도 회전(원점위치에서 보면 270도 회전) 시킨 상태, 즉 돌출부(11c)를 구체(3b)에 접촉시키고, 저면부(11d)를 구체(3a)에 접촉시켜 구체(3b)로 밸브부재(7b)를 폐쇄하고, 구체(3a)를 밸브부재(7a)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밸브부재(7a)를 개방하는 상태가 된다.
제 2캠부재(12)는 제 1캠부재(11)와 동 축 상에 배치되어 회전축(24)에 지지되고, 제 1캠부재(11)와 마찬가지로 로터부(23)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 제 2캠부재(12)의 주면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b)를 갖는 캠면(12a)이 형성된다. 이 캠면(12a)의 돌출부(12b)는 제 1캠부재(11)의 저면부(11d)의 대략 중앙부분과 일치한 각도를 향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 2캠부재(12)는 구체(3a)(3b)가 제 1캠부재(11)의 캠면(11a)의 저면부(11d)에 대향하고 있을 때 그 구체(3a)(3b)를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이 된다. 이 구성에 의해 구체(3a)(3b)가 저면부(11d)에 대향하여 밸브부재(7a)(7b)로부터 멀어질 때에는 제 2캠부재(12)의 캠면(12a)에 의해 구체(3a)(3b)가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동작방향(도 1에 있어 좌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 2캠부재(12)는 구체(3a)(3b)의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수단이 된다. 이에 따라 구체(3a)(3b)는 확실하게 밸브부재(7a)(7b)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본체부(2)는 이 제 1실시형태에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스테인레스강제로 된 외틀체(31)와, 이 외틀체(31)의 내측에 끼워진 놋쇠제의 가이드부재(32)와, 상술한 밸브부재(7a)(7b)로 구성된다. 외틀체(31)는 드로잉가공으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되고, 그 저면에는 상술한 3개의 개구가 마련된다. 이들 3개의 개구에는 유입관(5) 및 유출관(6a)(6b)이 각각 니켈 납땜으로 접합된다(도 1 및 도 2에 있어 접합부분을 N으로 나타낸다). 또한 외틀체(31) 바닥면 중심에는 후술하는 스텝핑모터(13)의 회전축(24)의 일단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오목부(31b)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재(32)는 2개의 구체(3a)(3b)의 동작 범위를 소정범위로 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부재(32)는 도 4와 같이 원통형상의 측벽(32a)과, 저면(32b)을 구비하며 대략 컵형상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재(32)는 외틀체(31)의 내측에 회전이 멈춘 상태에서 끼워넣여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32)를 놋쇠로 형성했지만 PBT등의 수지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측벽(32a)의 내측에는 로터부(23)의 회전규제를 행하기 때문에 제 1캠부재(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11f)와 접촉할 수 있는 회전멈춤용 돌기(34)가 마련된다.
또 저면(32b)에는 각 밸브부재(7a)(7b)를 삽입고정하기 위한 밸브수납공(35a)(35b)과, 유입관(5)에 삽입하는 삽입공(36)과, 회전축(24)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37)이 형성된다. 이들 각 구멍(35a)(35b)(36)(37)은 당연히 상술한 외틀부재(31)에 형성되는 각 구멍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밸브수납공(35a)(35b)은 각 밸브부재(7a)(7b)를 삽입고정하기 위한 소경의 고정용 소공(38a)(38b)과, 이들 고정용 소공(38a)(38b)에 연속하는 대경의 대경공(39a)(39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밸브부재(7a)(7b)는 일단이 가이드부재(32) 및 외틀체(31)를 삽입하여 본체부(2) 외측의 양 유출관(6a)(6b)내에 돌출하고, 타단이 대경공(39a)(39b)의 단부보다 약간 돌출하도록 고정용 소공(38a)(38b)에 압입고정된다. 또한 대경공(39a)(39b)내의 밸브부재(7a)(7b)의 외주면과 대경공(39a)(39b)의 내벽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된다. 이 틈은 밸브부재(7a)(7b)에 감겨진 코일스프링(33a)(33b)을 위한 스페이스이다.
또한 대경공(39a)(39b)에는 각 구체(3a)(3b)의 동작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구멍(40a)(40b)이 연속 형성된다. 각 가이드구멍(40a)(40b)은 그 중심위치가 밸브부재(7a)(7b) 중심공의 각 중심위치보다 외측에 배치되며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각 구체(3a)(3b)는 상술한 제 2캠부재(12)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면 이들 각 가이드구멍(40a)(40b)내의 외측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이들 밸브부재(7a)(7b)의 중심공은 각각 구체(3a)(3b)가 접촉함으로써 개구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형상이 된다. 즉 각 밸브부재(7a)(7b)의 구체(3a)(3b)와 대향하는 측의 개구는 구체(3a)(3b)와 대략 동일형상의 원호형상 받이면이 된다.
그러나 스테이터부 수납체(26)를 본체부(2)에 부착할 때 스테이터부 수납체(26)는 탄성력을 갖는 홀더(41)에 의해 본체부(2)에 대해 자유롭게 장착,분리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스테이터부 수납체(26)에는 홀더(41)의 선단부에 마련된 결합갈고리(41c)가 걸리는 단부(26a)가 형성된다.
홀더(41)는 본체부(2)에 대해 그 탄성력으로 본체부(2)의 외주를 조이는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 때 돌기(도시생략)가 본체부(2)로 파고들어가는 상태가 되므로 둘레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아 확실한 고정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이 본체부(2)에 홀더(41)가 부착된 상태에서 스테이터부 수납체(26)를 본체부(2)에 부착할 때 본체부(2)에 미리 접합된 로터부 수납체(27)를 스테이터부 수납체(26)의 중앙 공간부에 삽입하도록 하여 스테이터부 수납체(26)를 본체부(2)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간다.
이에 따라 그 스테이터부 수납체(26)에 마련된 단부(26a)에 홀더(41)의 결합갈고리(41c)가 그 탄성력에 의해 떨어지고, 스테이터부 수납체(26)는 본체부(2)에 고정된다. 또한 이 스테이터부 수납체(26)를 본체부(2)로부터 분리할 때는 스테이터부 수납체(26)를 본체부(2)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강하게 인장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이와같이 스테이터부 수납체(26)는 본체부(2)에 대해 원터치로 장착,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부(22)나 코일(21)부분 또한 이들에 접속된 전원공급부(25) 부분 등의 메인터넌스 시에는 편리하게된다.
다음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제 1실시예의 밸브구동장치(1)의 밸브개폐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장치를 냉매유통로 등의 소정위치에 부착한 후 스텝핑모터(13)를 소정스텝 구동하여 원점위치를 구하는 동작을 한다. 즉 도 3에 있어 소정스텝(320도 회동하기 위한 풀스텝) 만큼 화살표 α방향과 역측으로 로터부(23)를 회전함으로써 원점위치까지 회전하면 제 1캠부재(11) 주면에 형성된 볼록부(11f)가 본체부(2)측에 형성된 회전멈춤용 돌기(34)에 닿는다. 이 위치를 원점위치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 원점위치에 있어 상술한 제 1모드 즉 밸브부재(7a)(7b)가 모두 구체(3a)(3b)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된다(도 3(a)참조). 이 상태에서 상술한 제 2모드 즉 유출관(6b)측만을 개방하고 유출관(6a)측은 그대로 폐쇄상태를 유지할 경우 다음과 같이 구동한다.
도 3(a)에 있어 로터부(23)를 원점위치로부터 화살표 α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구동하면 제 1 및 제 2캠부재(11)(12)는 로터부(2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도 3(b)의 상태가 된다. 제 1모드로부터 제 2모드에 걸쳐 구체(3a)는 제 1캠부재(11)의 돌출부(11c)와의 접촉을 유지하고, 밸브부재(7a)측으로 밀린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밸브부재(7a)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유출관(6a)측에는 유체가 흐르지 않게 된다.
한편 구체(3b)는 로터부(23)의 90도 회전에 의해 돌출부(11c)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저면부(11d)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코일스프링(33b)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부재(7b)로부터 멀어져 밸브부재(7b)는 개방상태가 되므로 유체는 유출관(6b)측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이 제 2모드에 있어서 구체(3b)는 저면부(11d)와 접촉함과 동시에 제 1캠부재(11)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 2캠부재(12)의 돌출부(12b)에 의해 외측(도 3(b)에 있어 오른쪽)으로 밀려나므로 코일스프링(33b)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부재(7b)로부터 멀어지지 않는 경우라도 확실하게 밸브부재(7b)에서 멀어져 밸브부재(7b)는 개방상태가 된다. 이 결과 원점위치로부터 90도 로터부(23)가 회전하면 밸브부재(7a)는 폐쇄하는 것으로 유출관(6a)을 폐쇄상태, 밸브부재(7b)는 개방하는 것으로 유출관(6b)은 개방상태의 제 2모드가 된다.
다음 이 제 2모드로 된 상태에서 개폐상태가 역이 되는 유출관(6a)을 개방상태, 유출관(6b)을 폐쇄상태로 하는 제 3모드로 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구동한다.
제 2상태(원점위치에서 로터부(23)가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화살표 α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하면 제 1 및 제 2캠부재(11)(12)는 로터부(2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제 3모드인 도 3(c)의 상태가 된다.
제 3모드일 때 구체(3a)는 제 1캠부재(11)의 돌출부(11c)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저면부(11d)와 접촉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33a)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부재(7a)에서 멀어져 밸브부재(7a)는 개방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유출관(6a)측에 유체가 흐르게 된다.
또한 이 때 구체(3a)는 제 1캠부재(11)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 2캠부재(12)의 돌출부(12b)에 의해 외측(도 3(c)에 있어 왼쪽)으로 밀려나므로 코일스프링(33a)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부재(7a)에서 멀어지지 않는 경우라도 제 2캠부재(12)에 의해 확실하게 밸브부재(7a)에서 멀어져 밸브부재(7a)는 개방상태가 된다.
한편 구체(3b)는 돌출부(11c)와 접촉함으로써 밸브부재(7b)에 접촉하여 이밸브부재(7b)를 페쇄하므로 유출관(6b)측에는 유체가 흐르지 않는다.
이와같이 원점위치에서 보아 로터부(23)가 270도 회전하면 밸브부재(7a)를 개방함으로써 유출관(6a)을 개방상태, 밸브부재(7b)를 폐쇄함으로써 유출관(6b)을 폐쇄상태의 제 3모드로 한다.
이와같이 형성한 제 3모드로부터 다시 제 1모드로 할 경우는 지금까지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약 270도 로터부(23)를 회전하면 된다. 또한 270도 회전하면 제 1캠부재(11)의 볼록부(11f)가 본체부(2)측의 회전멈춤용 돌기(34)에 닿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260도 정도 회전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 그 상태로부터 제 2모드로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동작보다 10도 적은 회전 즉 제 1모드에서 80도 회전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밸브구동장치의 제 2실시형태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 2실시형태는 상술한 제 1실시형태의 밸브구동장치(1)와는 스텝핑모터(13)와 제 1 및 제 2캠부재(11)(12)사이에 배치되는 감속치차열(45)을 갖는 구성만 다르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또 제 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부분에는 제 1실시형태에 이용한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감속치차열(45)은 스텝핑모터(13)의 로터부(23)의 한쪽 단면(23d)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단면치차부(45a)와, 이 단면치차부(45a)에 맞물리는 제 1감속치차(45b)와, 이 제 1감속치차(45b)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피니온(45c)과, 이 피니온(45c)에 맞물리는 제 2감속치차(45d)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2감속치차(45d)는 상술한 제 1 및 제 2캠부재(11)(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부 수납체(27)와 본체부(2)의 가이드부재(32) 사이에 지판(46)이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 지판(46)은 외주단의 일부가 만곡된 형상으로, 이 만곡된 부분을 이용하여 제 1감속치차(45b) 및 피니온(45c)을 지지하는 축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감속치차열(45)을 갖고 있기 때문에 로터부(23)가 회전하면 그 회전이 단면치차부(45a), 제 1감속치차(45b), 피니온(45c) 및 제 2감속치차(45d)를 거쳐 제 1 및 제 2캠부재(11)(12)에 감속되어 전달된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캠부재(11)(12)는 로터부(23)의 회전속도에 비해 느린 속도로 또한 강한 토오크로 회전되게 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제 1실시형태의 밸브구동장치(1)에 비해 구체(3a)(3b)를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캠부재(11)(12)의 구동토오크가 상승되고, 밸브부재(7a)(7b)의 개폐가 보다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 제 1실시형태의 밸브구동장치(1)와 마찬가지의 토오크로 밸브부재(7a)(7b)의 개폐동작을 행할 경우는 모터토오크를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텝핑모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다음 본 발명의 밸브구동장치의 제 3실시형태를 도 6 및 도 7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 3실시형태는 상술한 제 1실시형태의 밸브구동장치(1)와 스텝핑모터의 구성에 관해서는 공통되므로 이 부분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 1실시형태의 구성을 갖는 부재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제 3실시형태의 밸브구동장치(61)는 도 1에 도시한 밸브구동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 6과 같이 그 외관상의 구성을 크게 나누어 설명하면 본체부(62)와, 밸브체로서의 2개의 구체(3a)(3b)와, 이들 2개의 구체(3a)(3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64)로 구성된다.
구동부(64)는 일측 단면에 캠면(71a)을 구비한 캠부재(71)와, 이 캠부재(71)를 회전구동함으로써 구체(3a)(3b)를 본체부(2)내의 소정 범위내에서 동작시키는 구동원이 되는 스텝핑모터(13)를 갖고 있다. 또한 캠부재(71)는 스텝핑모터(13)의 단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캠부재(71)는 한쪽 단면에 형성된 캠면(71a)을 갖고 있고, 이 캠면(71a)에 의해 구체(3a)(3b)를 밸브부재(7a)(7b)방향으로 밀어붙여 개구(밸브부재 7a,7b의 일단측)에 구체(3a)(3b)를 접촉시킴으로써 개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구체(3a)(3b)를 개구에서 멀어지게 함으로써 개구를 열게 된다. 캠면(71a)은 도 7과 같이 구체(3a)(3b)를 개구를 막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돌출부(71c)와, 구체(3a)(3b)를 개구를 여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저면부(71d)와, 돌출부(71c) 및 저면부(71d)를 연결하기 위한 2개의 사면(71e)(71e)을 갖고 있다. 캠면(71a)의 돌출부(71c)는 밸브부재(7a)(7b)의 중심공(개구)을 향해 뻗어나오도록 형성된다.
또 각 구체(3a)(3b)가 이 저면부(71d)에 대향하고 있을 때에는 밸브부재(7a)(7b)로부터 멀어져 본체부(62)의 개구를 개방한다.
또 제 1캠부재(71)의 다른쪽 단면의 외주에는 로터부(23)의 회전규제를 행하기 위한 볼록부(71f)가 형성된다. 이 볼록부(71f)는 본체부(62)측에 형성된 회전멈춤용 돌기(64)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제 1실시형태의 밸브구동장치(1)와 공통되므로 생략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제 1모드는 상술한 캠부재(71)의 돌출부(71c)에 의해 한쪽 구체(a)가 밸브부재(7a)측으로 밀어올려지고, 다른쪽의 구체(3b)가 저면부(71d)에 의해 밸브부재(7b)에서 멀어지는 상태가 된다. 즉 밸브부재(7a)는 폐쇄상태, 밸브부재(7b)는 개방상태가 된다. 또한 이 도 7(a)에 도시하는 제 1모드는 볼록부(71f)를 회전고정용 돌기(64)에 접촉시키고, 원점위치를 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에 도시하는 제 2모드는 상술한 제 1모드에서 캠부재(71)를 β방향으로 110도 회전시킨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캠부재(71)의 저면부(71d)를 양 구체(3a)(3b)에 접촉시킴으로써 양 밸브부재(7a)(7b)를 모두 개방상태로 한 것이다. 즉 이 제 3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실시형태와 달리, 밸브부재(7a)(7b)를 양쪽 다 개방상태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쪽 다 폐쇄상태는 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양쪽 다 폐쇄상태가 되지 않는 구성이므로 진동이나 맥동(脈動)에 의해 내압이 변화하고, 밸브부재(7a)(7b)가 양쪽 다 폐쇄상태로 개방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제 3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및 제 2실시예와 같은 제 2캠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도 7(c)와 같이 제 3모드는 제 2모드에서 캠부재(71)를 β방향으로 90도(원점위치에서 보면 200도) 회전시킨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상술한 캠부재(71)의 저면부(71d)에 의해 한쪽의 구체(3a)가 밸브부재(7a)에서 멀어진 상태가 되고, 다른쪽의 구체(3b)가 돌출부(71c)에 의해 밸브부재(7b)측으로 밀린상태가 된다. 이때문에 밸브부재(7a)는 개방상태, 밸브부재(7b)는 폐쇄상태가 된다.
이 제 3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62)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놋쇠제의 외틀부재(63)와, 이 외틀부재(63)의 내측에 압입으로 끼워넣여진 PBT제의 가이드부재(67)와, 상술한 밸브부재(7a)(7b)로 구성된다. 본체부(62)의 저면(62a)에는 3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이들 3개의 개구에는 유입관(5) 및 유출관(6a)(6b)이 각각 수소환원로에 의한 은납땜으로 접합되고 있다(도 6에 있어 접합부분을 W로 나타낸다). 또한 외틀체(63)의 저면 중심에는 후술하는 스텝핑모터(13)의 회전축(24)의 일단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오목부(63b)가 형성된다.
또 본체부(2)의 후단부분에는 본체부(62)에 대해 수소환원로에 의한 은납땜에 의해 접합된 스테인레스강제 플랜지 형상 플레이트(70)가 마련되고(접합부분을 W로 나타낸다), 그 플랜지형상 플레이트(70)에는 스텝핑모터(13)의 로터부(23)를 수납하는 스테인레스강제의 바닥이 있는 로터부 수납체(27)가 TIG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스테이터부(22)는 이 로터부 수납체(27)의 외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부재(67)는 PBT에 유리재료를 15%혼입한 혼합수지재료로 형성된다. 즉 이 가이드부재(67)의 내측에는 로터부(23) 단면에 형성된 캠부재(71)와, 이 캠부재(71)에 의해 동작되는 밸브체로서의 구체(3a)(3b)가 배치되고, 이 가이드부재(67)는 외틀체(63)의 내측에 압입 등으로 끼워넣여지게 된다. 또한 이 가이드부재(67)의 내측에는 로터부(23)의 회전규제를 행하기 위한 회전멈춤용 돌기(64)가 마련되어 상술한 제 1캠부재(71)에 형성된 볼록부(71f)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유출관이 본체부에 대해 2개 연결된다. 이른바 3방밸브 타입의 밸브구동장치가 되지만 본 발명의 밸브구동장치는 유출관이 하나로 이 하나의 유출관에 삽입하는 개구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타입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캠면(11a)(71a)의 돌출부(11c)(71c)에 의해 구체(3a)(3b)를 동작시켜 개구를 막고, 저면부(11d)(71d)에 의해 구체(3a)(3b)를 동작시켜 개구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지만 그 반대로 즉 돌출부(11c)(71c)에 의해 구체(3a)(3b)를 동작시켜 개구를 개방하고 저면부(11d)(71d)에 의해 구체(3a)(3b)를 동작시켜 개구를 막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구체(3a)(3b)를 양 밸브부재(7a)(7b)에 대해 동작시키는 캠부재(제 1 및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캠부재)에 사면부를 마련하고, 변환동작을 매끄럽게 하도록 했지만 스텝핑모터(13)의 토오크가 충분한 경우에는 사면부는 필요없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구체(3a)(3b)를 캠면 측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33a)(33b)을 마련하고, 이 코일스프링(33a)(33b)의 가압력에 의해 캠부재의 저면부와 대향한 상태의 구체(3a)(3b)를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있지만 구체(3a)(3b) 자체의 무게만으로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할 경우는 이 코일스프링(33a)(33b)은 필요없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 1 및 제 3실시형태에서는 로터부(23)의 단면을 캠부재로 구성했지만 제 2실시형태와 같이 캠부재와 단면은 다른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를 막는 밸브체를 구체(3a)(3b)로 했지만 특별한 구체가 아니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밸브구동장치는 구동부에 캠면을 구비한 캠부재를 마련하고, 이 캠부재의 캠면에 의해 밸브체를 동작시켜 본체부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밸브구동부재에서 이용되는 나사부가 필요없다. 그 결과 고정밀한 나사가공이나 밸브체와 개구의 중심위치맞춤 작업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단순한 구성으로 개구를 밸브체로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개수를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원가 등의 생산원가도 낮출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한 저가의 밸브구동장치로 할 수 있다.

Claims (11)

  1.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5) 및 유체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관(6a)(6b)에 연결되는 본체부(2)와, 이 본체부(2)의 상기 유입관(5) 또는 상기 유출관(6a)(6b)에 연결되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소정의 범위내에서 동작이 가능한 밸브체(30a)(30b)와, 이 밸브체(30a)(30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를 갖는 밸브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에 상기 밸브체(3a)(3b)를 동작시키기 위한 캠면(11a)(12a)을 구비한 캠부재(11)(12)와, 이 캠부재를 회전구동하는 로터부(23)와, 이 로터부(23)와 대향배치된 스테이터부(22)를 갖는 모터(13)와, 상기 본체부(2)의 일부로서 상기 로터부(23)를 모두 수납하는 로터부수납체(23)를 갖추고, 상기 캠부재를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동작시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개구를 막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돌출부와, 상기 밸브체를 상기 개구를 여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저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저면부를 각각 상기 캠부재의 회전구동축과 같은 방향의 요철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저면부 사이를 사면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개구에 대향배치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를 향해 뻗어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를 상기 구동원이 되는 모터의 로터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로터부 단면을 상기 캠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를 구체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개구에 이 구체와 대략 동일형상의 원호상 받이면을 형성하고, 상기 캠면에서 상기 구체를 상기 개구방향으로 밀어 상기 개구에 상기 구체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측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캠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를 상기 구동원이 되는 모터의 로터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로터부 단면을 상기 캠면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로터부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캠면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으로서의 가압부재(28)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로터부를 상기 본체측으로 가압하는 또 다른 탄성스프링으로서의 가압부재(33a)(33b)를 상기 구동부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를 상기 본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캠부재를 가압할 때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기 개구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저면부를 각각 상기 캠부재의 회전구동축과 같은 방향의 요철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저면부가 상기 구체에 대향할 때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기 구체의 동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구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의해 상기 유출관에 연결되는 개구측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구동장치.
KR10-2000-0030682A 1999-06-18 2000-06-05 밸브구동장치 KR100379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73159 1999-06-18
JP17315999A JP3786164B2 (ja) 1999-06-18 1999-06-18 バルブ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231A KR20010007231A (ko) 2001-01-26
KR100379132B1 true KR100379132B1 (ko) 2003-04-08

Family

ID=1595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682A KR100379132B1 (ko) 1999-06-18 2000-06-05 밸브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05758B1 (ko)
JP (1) JP3786164B2 (ko)
KR (1) KR100379132B1 (ko)
CN (1) CN1112530C (ko)
GB (1) GB2351142B (ko)
IT (1) IT1320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28Y1 (ko) * 2009-03-24 2009-09-21 (주)한토건설 세면대 상부에서 회전 이탈하면서 급수가 중단되도록 구성된 수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0177B2 (ja) * 2001-05-23 2008-04-2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US6926250B1 (en) * 2001-07-10 2005-08-09 Sankyo Seiki Mfg. Co., Ltd. Valve driving device
JP4004272B2 (ja) * 2001-11-09 2007-11-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開閉駆動装置
WO2003072985A1 (en) 2002-02-27 2003-09-04 Aser Tech Co., Ltd Four-way reversing valve
JP4128894B2 (ja) * 2003-03-25 2008-07-3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弁体駆動装置
US7025329B2 (en) * 2004-04-30 2006-04-11 Sequal Technologies, Inc. Needle valve for flow control
JP4817671B2 (ja) * 2005-02-16 2011-11-16 株式会社不二工機 減速装置付電動弁
JP5239914B2 (ja) * 2009-01-30 2013-07-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5353269B2 (ja) * 2009-01-30 2013-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5634124B2 (ja) * 2010-02-09 2014-12-03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切換弁
JP5634126B2 (ja) * 2010-05-19 2014-12-03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切換弁
JP5715783B2 (ja) * 2010-08-31 2015-05-13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CN204083300U (zh) * 2014-07-25 2015-01-07 厦门建霖工业有限公司 单按钮多功能出水切换结构
US10619654B2 (en) * 2017-05-05 2020-04-1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Fail-fixed hydraulic actuator
US10730060B2 (en) * 2018-09-11 2020-08-04 Xiamen EASO Co., Ltd. Convenient switching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859A (en) * 1956-01-31 Fluid mixing device
US1919234A (en) * 1930-12-17 1933-07-25 Fred A Leigh Mixing valve
US2614851A (en) * 1949-06-15 1952-10-21 Stephen C Peplin Mixing valve
US4220175A (en) * 1978-05-15 1980-09-02 Kel-Win Manufacturing Company, Inc. Anti-scald apparatus for a tub and shower single control faucet
US4177949A (en) * 1978-05-19 1979-12-11 Curtis Dyna Products Corporation Fog generating apparatus
US4570663A (en) * 1983-04-22 1986-02-18 Shasta Industries, Inc. Distribution valve with dual cams to prevent uncontrolled excursions of valve balls
US4930746A (en) * 1988-01-25 1990-06-05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 device
US4957137A (en) * 1989-03-08 1990-09-18 Wang Hong Shang Hot/cool water regulating faucet
US5007446A (en) * 1989-04-21 1991-04-16 Remote Controls, Inc. Temperature actuated flow control device
KR970050871U (ko) * 1996-02-24 1997-09-08 전기압력솥의 증기밸브 자동개폐장치
KR100330004B1 (ko) * 1998-04-13 2002-05-09 윤종용 디씨 모터를 이용한 유량 조절 밸브
US6053472A (en) * 1998-10-16 2000-04-25 Eaton Corporation Rotary solenoid operated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28Y1 (ko) * 2009-03-24 2009-09-21 (주)한토건설 세면대 상부에서 회전 이탈하면서 급수가 중단되도록 구성된 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51142B (en) 2001-06-27
IT1320442B1 (it) 2003-11-26
GB2351142A (en) 2000-12-20
GB0014893D0 (en) 2000-08-09
CN1278587A (zh) 2001-01-03
CN1112530C (zh) 2003-06-25
US6405758B1 (en) 2002-06-18
KR20010007231A (ko) 2001-01-26
JP3786164B2 (ja) 2006-06-14
ITTO20000582A0 (it) 2000-06-16
ITTO20000582A1 (it) 2001-12-16
JP2001004051A (ja) 2001-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132B1 (ko) 밸브구동장치
JP4303162B2 (ja) アクチュエータ
US7793913B2 (en) Valve element opening/closing device
US7284571B2 (en) Valve device
KR20060043634A (ko) 전동밸브
US6682045B2 (en) Valve opening/closing drive device
JP2007024274A (ja) 弁装置
CN108331923B (zh) 电动阀及冷冻循环系统
KR100387974B1 (ko) 유체의 유량제어장치
KR100404640B1 (ko) 밸브구동장치
JP3571938B2 (ja) モータおよび流体の流量制御装置
CN110296222B (zh) 电子膨胀阀
JP2000291817A (ja) 流量制御装置
JPH1030744A (ja) 電動流量制御弁
KR20010051721A (ko) 밸브구동장치
JP5140805B2 (ja)
JP7389867B2 (ja) 電動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2002349740A (ja) バルブ開閉駆動装置
KR100289421B1 (ko) 마찰기구가 장착된 모터 및 이 모터를 이용한 유체의 유량제어장치
JP7320853B2 (ja) 流量制御弁
CN113811708B (zh) 流路切换阀
CN113710937B (zh) 流路切换阀及其组装方法
JP2020068561A (ja) 弁体駆動装置
JPH1089520A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02349742A (ja) バルブ開閉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