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965B1 - 화상전사방법및이것에사용하는피전사체,잉크리본 - Google Patents

화상전사방법및이것에사용하는피전사체,잉크리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965B1
KR100378965B1 KR1019960701545A KR19960701545A KR100378965B1 KR 100378965 B1 KR100378965 B1 KR 100378965B1 KR 1019960701545 A KR1019960701545 A KR 1019960701545A KR 19960701545 A KR19960701545 A KR 19960701545A KR 100378965 B1 KR100378965 B1 KR 10037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image
layer
resin
ink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718A (ko
Inventor
히로시 다께우찌
요시히로 오까모또
히데히꼬 후나야마
세이지로 도미따
사또시 나까무라
미쯔아끼 오기와라
고지 오기와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08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97858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2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e.g. decalcoman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1/00Ink ribbons; Renovating or testing ink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256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the transferable ink pattern being obtained by means of a computer driven printer, e.g. an ink jet or laser printer, or by electrograph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승화성염료화상을 단시간으로 전사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전사용 피전사체 잉크리본 및 화상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구성은, 피전사기체의 표면에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와를 병용하여 수용층을 형성한다. 이 경우, 에폭시계수지층과 아크릴계수지층을 적층하여 수용층으로 하여도 좋고,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를 혼합한 것을 수용층으로 하여도 좋다. 피전사기체에는 도기, 자기등, 임의의 것이 사용가능하며, 예를들면 도자기제의 컵(소위 머그컵) 등에 적용된다. 이와같은 화상전사용 피전사체의 수용층에 승화성염료화상을 가지는 인화시트를 중합하여, 가열·가압함으로써 승화성염료화상을 수용층애 전사한다.

Description

화상전사방법 및 이것에 사용하는 피전사체, 잉크리본
예를들면, 비디오스캐너나 비디오카메라 등으로부터의 화상을 열승화방식의 비디오프린터에 거둬들이고, 이것을 인화지상에 프린트아웃 한 것은 은염사진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고, 그 보급에 의해 여러가지 화상을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중에서, 은염사진과는 다른 손쉬운 방법도 시도되고 있고, 비디오프린터의 출력화상을 임의의 피전사체, 예를들면 도자기제의 컵(소위 머그컵)에 전사한 새로운 상품도 개발되고 있다. 이벤트회 장소 등에 있어서 전자스틸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한 스틸비디오화상을 그 자리에서 머그컵 등에 전사하여 판매할 수 있다면, 상품가치는 상당히 큰 것이 된다.
상술과 같이 비디오프린터의 출력화상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경우, 피전사체의 표면에는 염료를 고정하기 위한 수용층이 필요하며, 다만 단순히 머그컵의 표면에 염료를 전사코저 하여도 염료는 정착되지 않는다.
수용층에는 뛰어난 내후성 등이 요구되고, 지금까지 주로 에폭시계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에폭시계수지는 열경화성의 수지이며, 이것을 예를들면 머그컵의 표면에 도포하고 구워붙이는 것으로 내후성이 뛰어난 수용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의 화상전사방법에 있어서는 수용층의 특성이 얻어지는 화상의 품질등에 큰영향을 주어 그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들면 수용층을 각종 수지를 사용하여 도포형성하는 경우, 지금까지 열풍건조로 등에 의해 그 건조공정이 행하여지고 있으나, 온도제어의 어려움 등의 이유에서 수용층이 변색한다는 문제가 있다.
혹은 에폭시계수지에 의해 수용층을 형성한 경우, 전사에 요하는 시간이 길게 걸린다.
예를들면, 에폭시계수지로 되는 수용층을 가지는 머그컵에 비디오프린터의 출력화상에 의거해서 승화성염료를 전사코저하면, 프레스온도 170℃에서 약 3분의 전사시간이 필요하다.
대량생산을 고려하면, 전사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생산성을 향상하는바, 3분의 전사시간은 짧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특히 이벤트회 장소 등에 있어서 전자스틸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한 스틸비디오화상을 그 자리에서 머그컵 등에 전사하여 판매하는 경우, 전사시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수량이 결정되는데서 전사에 3분의 장시간을 요하는 것은 극히 불리하다.
또한 예를들면, 에폭시계수지로 되는 수용층은 그 자체는 내구성, 내후성이뛰어난 것이나, 이것에 전사되는 염료는 수용층에 부착하고 있을 뿐이며, 그 내후성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퇴색이나 변색의 염려가 있다. 더욱이는 내용제성이나 내약품성의 점에서도 불충분하고, 예를들면 유기용제등에 저촉되면 간단히 염료화상이 소실하게 된다.
또 상기 수용층은 전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그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외광을 반사하는 표면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외관상의 제약에서 용도가 한정되게 되고, 예를들면 건재등과 같이 다종다양한 외관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것을 충분히 대응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비디오프린터 등에서 출력되는 화상을 피전사체에 열전사하기 위한 화상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이는 이것에 사용되는 피전사체나 잉크리본에 관한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화상전사방법에 있어서의 공정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 2도는 비디오프린터에 의한 화상출력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제 3도는 슈퍼인포즈에 의한 화상출력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제 4도는 비디오프린터의 일예의 블록도이다.
제 5도는 일크리본의 1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6도는 제 5도에 나타내는 잉크리본의 평면도이다.
제 7도는 잉크리본에 의해 화상이 프린트되는 인화시트의 단면도이다.
제 8도는 인화시트에 색소가 전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9도는 잉크리본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0도는 잉크리본이 짜넣어진 잉크리본카세트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제 11도는 잉크리본카세트에 짜넣어진 잉크리본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2도는 수용층의 스프레이도포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제 13도는 열프레스기에 의한 전사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제 14도는 승화성염료화상이 전사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제 15도는 각종 수용층에 있어서의 전사시간과 전사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제 16도는 투명필름을 열용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제 17도는 잔주름모양이 형성된 재전사방지시트를 사용한 화상전사체의 형성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제 18도는 그물코모양이 형성된 재전사방지시트를 사용한 화상전사제의 형성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화상전사방법은 제 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대별하여 피전사기체에 대하여 수용층수지를 도포하는 공정(스텝J1)과, 도포한 수지를 전기로에 의해 건조처리하여 피전사체로 하는 공정(스텝J2)으로 이루는 수용층형성공정, 스틸화상을 거둬들여서(스텝P1) 비디오프린터에 의해 인화시트에 승화성염료화상을 출력하는 (스텝P2) 프린터출력공정, 인화시트를 피전사체메 중합시켜서(T1) 열프레스하는 (스텝T2) 전사공정, 더욱이는 필요에 따라서 수용층의 표면에 투명필름을 접합하는 (스텝L) 투명필름 접합공정으로 이룬다.
이하 이들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용층형성
먼저 아크릴수지를 주체로 하는 특수수지(미노넨도사제, 상품명M-II타이프 메줌)을 수용층수지로써 사용한 경우를 예로, 수용층의 형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한 특수수지는 아크릴수지를 주체로하고, 체질안료, 접착촉진제, 소포제를 배합하여 이루는 것이다.
체질안료로써는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나실리케이트, 탄산칼슘, 마이카, 석영분 등이 예시된다. 그 사용량은 조성물의 흐름성을 조정하는데 필요한 양이라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2∼20중량부(바람직하기는 2∼4 중량부정도)이다.
접착촉진제로써는, γ-글리시톡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 β(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 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계커플링제가 예시된다.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5∼5중량부정도(바람직하기는 0.07∼3중량부정도)이다.
소포제로써는 폴리에텔변성메틸알킬폴리실록산, 폴리에스텔변성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공지의 실록산계소포제가 예시된다.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5∼5중량부정도(바람직하기는 0.07∼3중량부정도)이다.
상술의 특수수지를 희석용 유기용제(예를들면 크실렌등)와 혼합하여 점도를 포드컵(JIS규격) 43초∼52초의 범위, 예를들면 포드컵 48초가 되도록 조정한다. 수지의 점도가 이것보다도 낮을 때에는, 수용층이 얇게되어 전사성이 나빠진다. 또 점도가 지나치게 높을 때에는 수용층 표면의 균일성이 나빠진다.
이와같이 혼합비를 조정한 위에서, 예를들면 노드손사제의 에어레스타이프 도장기를 사용하여, 정방향으로 0.12초간, 다시 반전하여 역방향으로 0.29초간, 머그컵을 회전시키면서 이것을 도포한다.
이때, 도포의 시간이 지나치게 길면 도포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게 되어서 수지가 늘어뜨려진 상태로 굳어지고, 반대로 지나치게 짧으면 수용층의 막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져서 전사성이 나빠진다.
또한 도장시에 머그컵을 반전시키는 이유는, 칠얼룩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이 조건은 기온 25℃에서의 조건이며, 기온이 바뀌면 조건도 바뀐다.)
노드손사제의 에어레스타입도장기에 의한 도장시에 사용하는 노즐은, 타이프 #3이거나 타이프#5이라도 양호한 도포는 어렵다.
또, 이때의 도장용 건으로 부터의 수지의 토출압을 35kg/m2±0. 01kg/m2, 도장용 건과 피전사기체와의 거리를 100mm±5mm로 한다.
도포후, 180초이상의 인터벌을 취한후, 170∼180℃의 건조로 속에서 40분 이상의 건조처리를 행한다. 건조로는 전기로이며, 전조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수지가 굳어지지 않는다. 건조시간이 지나치게 길어도 성능에는 영향은 없으나 전력의 낭비이다.
상기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머그컵상에 승화성열전사방식의 화상을 재전사시키기 위한 수용층을 10∼50㎛의 두께로 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층의 두께가 10㎛미만이 되면 전사된 화상이 얇게 된다. 또 50㎛ 이상의 두께가 되면 수지가 늘어뜨려진 상태로 굳어져서 표면이 더러워진다.
이상에 의해, 표면경도가 연필로 세게 긁을 강도(JIS규격에 의함)로 1H정도, 표면의 백색도 기타의 상태에 이상이 없는 수용층이 형성된다.
수용층의 형성재료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와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을 병용하는 형태로써는 크게 나누어서 두가지 있다.
먼저 제 1형태는 에폭시계수지로 되는 층과 아크릴계수지로 되는 층을 중합하여, 이것을 수용층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적층수나 적층순서는 묻지않으나 전사효율 등을 고려하면, 피전사기체상에 에폭시계수지를 도포하고 구워붙인후, 그 위에 아크릴계수지를 도포하고 구워붙이는 것이 좋다.
상술의 적층구조를 채용한 경우, 수용층 전체의 두께(에폭시계수지층의 두께 +아크릴계수지층의 두께)는 1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아크릴계수지층의 두께는 전체의 두께의 10%∼90%정도, 특히 10∼7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수지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도 지나치게 두꺼워도 에폭시계수지층과 병용하는 의미가 적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수지층이나 아크릴계수지층은, 각각 에폭시계수지 혹은 아크릴계수지를 주체로 하는 것이라면 좋고, 예를들면 폴리에스텔계수지등, 에폭시계, 아크릴계이외의 수지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는 예를들면 폴리에스텔계수지 등의 에폭시계, 아크릴계 이외의 수지로 되는 층을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 2형태는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를 혼합하여 피전사기체상에 도포하여 구워붙여서 수용층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수용충의 두께는 역시 1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용층중에 포함되는 아크릴계수지의 비율은 10∼9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70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를 흔함하여 수용층으로 하는 경우, 예를들면 폴리에스텔계수지등, 에폭시계, 아크릴계 이외의 수지를 수용층중에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 수용층에 예를들면 폴리에스텔계수지등의 에폭시계, 아크릴계 이외의 수지로 되는 층을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전사기체로써는 임의의 것이 사용가능하나 도자기제품, 예를들면 도자기제의 음료용컵(소위 머그컵) 등이 가장 적절하다. 물론 머그컵 이외에 각종 타일이나 식기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전사방법
먼저 비디오프린터로 부터의 출력화상을 머그컵에 전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사에 있어서는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열숭화방식의 비디오프린터(1)에 비디오카메라(2)나 비디오스캐너(3)를 접속하고, 임의의 화상을 거둬들여서 인화시트(4)위에 승화성염료를 전사함으로써, 화상을 프린트아웃한다.
제 3도는 슈퍼인포즈에 의해 피사체의 화상과 슈퍼인포즈화와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스크린(5)의 앞의 피사체(6)를 비디오카메라(2)에 의해 촬영한다. 그리고 몇종류인지 준비한 슈퍼인포즈화(8)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고, 슈퍼인포즈장치(9)에 의해 비디오카메라(2)의 화상에 선택한 슈퍼인포즈화 (8)를 슈퍼인포즈하여 비디오프린터(1)에 출력한다. 이때 모니터(10)에 의해 출력화상을 확인할 수 있고, 좋아하는 화상을 인화시트(4)상에 프린트아웃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프린터(1)는 제 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구성을 가진다. 이 비디오프린터(1)에 있어서, 아날로그 입력단자(30)에 공급된 아날로그 입력신호는,A/D 변환기(31)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이 A/D변환기(31)로 부터의 디지탈 입력신호는 전환기(33)의 한편의 접점에 공급된다. 또 디지탈 입력단자(32)에 공급된 디지탈 입력신호는, 전환기(33)의 다른편의 접점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전환기(33)는 아날로그 입력단자(30)에 공급된 아날로그 입력신호와 디지탈 입력단자 (32)에 공급된 디지탈신호와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 아날로그 입력단자(30) 또는 디지탈 입력단자(32)에는 비디오카메라에서 아날로그 입력신호 또는 디지탈 입력신호가 공급된다.
컬러열전사잉크리본(34)에는, 측면으로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35)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비디오프린터에는 투광부 및 수광부를 갖춘 반사형의 광센서(3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컬러열전사 잉크리본(34)이 비디오프린터에 장착되면, 광센서 (36)는 투광부에서 반사체(35)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체(35)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한다.
이것에 의해 광센서(36)는 온상태가 되고, 컬러열전사 잉크리본(34) 및 인화시트(4)가 전사미디어라는 데이터를 제어기(37)에 공급한다. 이때 컬러열전사 잉크리본(34) 및 인화시트(4)가 비전사용 인쇄미디어일 경우에는, 컬러열전사 잉크리본 (34)의 측면에 반사체(35)론 설치하지 않고, 광센서(36)가 오프상태를 유지한채이며, 비전사용 인쇄미디어인 것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38)는 전환기(33)로 전환된 디지탈 입력신호를 기억하고, 소경의 타이밍에서 독출을 행하는 것이다.
제어기(37)는 이 열전사프린터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CPU로 구성되는 것이다. 제어기(37)는 메모리(38)로부터의 데이터를 특출하여 D/A변환기(40)에 의해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후에 모니터(41)에 공급한다.
모니터(41)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화상 및 슈퍼인포즈된 문자정보로 표시하고, 이들이 좌우반전을 필요로 하는 신호인지 아닌지를 시각에 의해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기(37)에는 키보드(39)가 접속되어 있고, 모니터(41)에 의해 판별된 디지탈 입력신호가 좌우반전을 필요로하는 신호인지 아닌지의 지시를 입력한다.
제어기(37)는 광센서(36)로 부터의 전사용 인쇄미디어인지 아닌지의 판별 데이터 및 키보드(39)로 부터의 입력신호가 좌우반전을 필요로 하는 신호인지 아닌지의 입력데이터에 의거해서, γ보정회로(42)의 보정의 동작을 제어한다.
γ보정회로(42)는 열전사잉크리본(34)을 서멀헤드에 의해 가열가압하여 인화시트(4)에 인쇄를 행할 때에, 전사후의 전사화상의 농도를 적정하게 하기 위해 컬러열전사잉크리본(34) 및 인화시트(4)로 되는 전사용 인쇄미디어의 발색특성 등에 영향되지 않는 γ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컬러열전사잉크리본(34) 및 인화시트(4)가 전사용 인쇄미디어인지 비전사용 인쇄미디어인지, 더욱이는 입력신호가 좌우반전을 필요로 하는 신호인지 아닌지에 의해, γ보정의 특성을 바꾼다.
디지탈 입력신호는, 이 γ보정회로(42)에 의해 인쇄미디어에 따른 적정한 γ보정이 실시된 후에, 서멀헤드드라이버(43)를 거쳐서 서멀헤드(44)에 공급된다. 서멀헤드(44)는 컬러열전사잉크리본(34)을 가열하여, 인화시트(4)에 화상을 인쇄한다.
비디오프린터(1)에 사용되는 잉크리본은 임의이나, 전사성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서는 제 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띠형기체(51)상에, 나타나는 색이 다른 복수의 색소함유층(52)이 소정의 순번으로 병렬형성되어서 이루는 잉크리본에 있어서, 최후에 인쇄되는 색소함유층에 윤활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색소함유층(52)은 옐로, 마젠타 혹은 시안색 등의 각 색소가 임의의 수지재료에 함유되어서 이루는 것이며, 예를들면 제 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옐로색소함유층(Y), 마젠타색소함유층(M), 시안색소함유층(C)의 순번으로 띠형기체 (51)상에 반복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잉크리본에서는 3종의 색소함유층중, 특히 최후에 인쇄되는 시안색소함유층(C)에 인화시트표면의 미끄럼을 좋게 하기 위한 윤활제가 함유되어 있다.
즉, 이 잉크리본(53)에서는, 각 색소함유층(Y, M, C)을 그 늘어선 순번으로 순차 인화시트상에 중합하고, 이 중합된 색소함유층과 인화시트와를 비디오프린터에 거둬들여진 영상정보에 따라서 옐로색소, 마젠타색소 혹은 시안색소가 인화시트상의 필요한 부분에 전사되도록 부분적으로 가열·가압하는 것으로 화상을 프린트한다.
한편, 이 잉크리본(53)으로 화상이 전사되는 인화시트(56)는, 제 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기판(54)상에 색소가 전사되는 수용층(55)을 가지고 구성된다.
이 인화시트(56)와 잉크리본(53)의 색소함유층을 가열·가압하면, 제 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색소함유층으로 부터의 각 색소(y, m, c)가 이 수용층(55)에 중합되어서 전사되게 된다.
여기서 최후에 인쇄되는 시안색소함유층(C)에 윤활제가 함유되어 있으면, 이 시안색소함유층(C)이 인화시트(56)에 중합되어 가열·가압될 때에, 함유되어 있는 윤활제도 인화시트(56)표면으로 이행하여 부착하고, 인화시트(56) 표면에 미끄럼의 양호성이 부여된다.
이 미끄럼의 양호성이 부여된 인화시트(56)에서는, 머그컵 등의 피전사체와 중합화상을 재전사 하는데 있어서, 당해 인화시트(56)와 피전사체와의 사이에 들어간 기포가 밖으로 도망치기 쉽고, 주름도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인화시트(56)의 위를 주걱으로 문지르는 조작을 하지 않아도 미전사부분이 없는 양호한 화상이 피전사체에 재전사되게 된다.
또한 인회시트표면이나 피전사체 표면에 직접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미끄럼의 양호성이 부여되는 것도 고려되는바, 공정수가 늘고 또 작업자의 손이 윤활제로 오염된다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불편을 회피하면서 상술한 이점이 얻어지고, 상당히 유리한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윤활제로써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중 색소의 전사나 발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선택되고, 예를들면 실리콘오일이 적당하다. 이외 예를들면 미리스트산, 팔미틴산, 스테어린산, 올레산 등의 고급지방산류 및 이들 고급지방산류의 금속염이나 아민염류, 지방산과 알코올류와의 에스테르화합물, 알킬인산에스테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및 그 변성물 등을 사용할 수있다.
또한 이 잉크리본(55)이나 인화시트(56)에는, 기체(51, 54)의 색소함유층(52) 혹은 수용층(55)이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면에 서멀헤드에 의한 열에서 기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57, 58)이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잉크리본으로써는 최후에 인쇄되는 색소함유층에 윤활제를 함유시키는 대신에, 제 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색소함유층과는 별개로 하여, 최후에 인쇄되는 색소함유층 다음에 (이 경우에는 시안색소함유충(C)의 다음에), 윤활제함유층 (59)이 형성된것 이라도 좋다.
이 윤활제함유층(59)이 설치된 잉크리본(53)에서는, 옐로색소함유층(Y), 마젠타색소함유층(M), 시안색소함유층(C)이 순차 인화시트상에 중합되고, 가열·가압된후, 최후에 윤활제함유층(59)이 인화시트에 중합되어 가열·가압된다. 이때에, 윤활제함유층(59)에 함유되어 있는 윤활제가 인화시트(56)표면으로 이행하여 부착하고, 인화시트 표면에 미끄러짐의 양호성이 부여되게 된다. 색소함유층에 윤활제를 함유시킨 경우에서는 가열·가압이 영상정보에 따라서 부분적이기 때문에, 인화시트(56)로 이행하는 윤활제량에 다소 불균일이 생기는 것이 염려되는바, 이와같이 윤활제함유층(59)을 별개로 설치하면, 전면 균일하게 가열·가압을 실시할 수 있고, 인화시트(56)상에 불균일없이 윤활제를 이행시킬 수 있다.
이 윤활제함유층(59)에 함유시키는 윤활제로써도, 상술한 것과 같은 관점에서 선택되고, 역시 실리콘오일이 적당하다.
상기 잉크리본은 잉크리본카세트에 내장되어서 취급되는바, 잉크리본카세트는 제 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잉크리본(61)이 건너질러진 푸는 릴(62) 및 감는 릴(63)이 카세트쉘(64)에 짜넣어져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리본(61)은 대형기체상에 옐로, 마젠타 혹은 시안색의 각 승화성 색소가 임의의 수지에 함유되어서 이루는 것이며, 제 1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옐로색소함유층(Y), 마젠타색소함유층(M), 시안색소함유층(C)이 이 순번으로 반복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3종의 색소함유층중 최후에 인쇄되는 시안색소함유층 (C)에는 실리콘오일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이 잉크리본(61)에는 최초에 인쇄되는 옐로색소함유층(Y)의 직전에 리본의 선두를 나타내는 마크(65)가 부여되고, 또 옐로색소함유층(Y)과 마젠타색소함유층(M)의 사이 및 마젠타색소함유층(M)과 시안색소함유층(C) 사이에 각각 색두마크(66)가 부여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쉘(64)은 창부(67)를 가지는 판형의 상대향하는 양단부에 대략 원통형의 한쌍의 릴수용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한쌍의 릴수용부(68)에는, 서로 대향하는 측에 잉크리본(61)이 통과하기 위한 슬릿(68a)이 형성되어 있다. 잉크리본(61)이 건너질러진 상기 푸는 릴(62) 및 감는 릴(63)은 잉크리본(61)의 색소함유층측이 카세트쉘(64)의 창부에서 노견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쌍의 롤수용부(68)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카세트쉘(64)에 짜넣어진 잉크리본(61)은 순번이 최초인 옐로색소함유층(Y)이 카세트쉘의 창부(67) 전면에서 노견할 때까지, 리본 선두를 나타내는 마크(65)를 지표로 하여 주행된다. 그리고 창부(67)에서 노견한 옐로색소함유층(Y)과, 그 창부(67)에 맞춰서 카세트된 인화시트가 중합되고, 잉크리본(61)의 배면측에 서멀헤드가 닿아서, 옐로색소함유층(Y)의 옐로색소가 인화시트의 필요한 부분에 열전사된다.
이와같이 옐로색소가 전사된후, 이번은 색두마크(66)를 지표로 하여 2번째에 위치하는 마젠타색소함유층(M)이 창부 전체에서 노견할 때까지 잉크리본(61)이 주행되고 인화시트에 중합된다. 그리고 같게 서멀헤드에 의해 마젠타색소함유층(M)의 마젠타색소가 인화시트가 필요한 부분에 열전사된다.
최후에, 색두마크(66)를 지표로 하여, 시안색소함유층(C)이 창부(67) 전체에서 노견할 때까지 잉크리본(61)이 주행되어 인화시트에 중합된다. 그리고 서멀헤드에 의해 시안색소함유층(C)의 색소가 인화시트가 필요한 부분에 열전사되어 화상이 완성한다.
여기서, 이 잉크리본(61)에서는 시안색소함유층(C)에 실리콘오일이 함유되어 있음으로, 시안색소함유층(C)을 열전사할 때에 있어서 함유되어 있는 실리콘오일도 인화시트에 이행하고, 인화시트표면에 미끄러짐의 양호성이 부여되게 된다.
한편, 피전사기체인 머그컵(11)의 표면에는 제 1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미리 스프레이건(12)에 의해 에폭시계수지 및 아크릴계수지를 혼합한 것을 도포하고, 구워붙이기를 행하여 수용층을 형성하여 둔다.
혹은 머그컵(11)의 표면에 에폭시계수지를 스프레이건(12)에 의해 도포하고 구워붙이기를 행한후, 계속하여 아크릴계수지를 스프레이건(12)에 의해 도포하고 구워붙임으로써, 수용층을 에폭시계수지층과 아크릴계수지층의 2층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어서, 제 l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프린트아웃한 인화시트(4)를 승화성염료에 의한 화상이 수용층과 대향하여 중합되도록 머그컵(11) 표면에 첩부하고, 열프레스기(13)(엑스프레스사제, 상품명 머그프레스300X)에 의해 가열·가압하고, 숭화성염료를 전사한다.
열프레스기(13)는 머그컵(11)의 외주면 형태에 대응하여 원통을 2분할한 형태로 된 머그컵지지부(l3a)를 가지며, 조작레버(l3b)를 조작하는 것으로 이 머그컵지지부(l3a)의 머그컵(11)에 대한 압착조작이 행하여 진다. 또 머그컵지지부(l3a)는 가열기구를 가지고 있고, 임의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열프레스기(13)에는 타이머가 짜넣어져 있고, 상기 머그컵지지부(13a)에 의한 가열·가압시간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열프레스기(13)에 머그컵(11)을 장착하고, 소정의 압력과 열을 가하면 제 1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들 압력과 열에 의해 인화시트(4)상의 승화성염료가 머그컵(11)표면의 수용층으로 전이한다.
수용층의 검토
머그컵에 이하의 4종류의 수용층을 형성하고, 그 전사효율을 조사하였다.
전사효율은 전사농도와 전사시간에 의해 평가하였다. 형성한 수용층은 하기와 같으며, 또 전사효율의 측정결과를 표1 및 제 15도에 나타낸다.
수용층A: 에폭시수지
수용층B: 에폭시수지층 + 아크릴수지층( 2층 도포)
수용층C: 에폭시수지와 아크릴수지의 혼합층(에폭시수지:아크릴수지=5:5)
수용층D: 아크릴수지
또한, 사용한 에폭시수지는 아사히덴까공업사제, 제품번호EP-4100이다. 또수용층의 두께는 어느것이나 약30㎛ 이다. (단, 수용층B는 에폭시수지층 15㎛+아크릴수지층15㎛)
이들 표1 및 제 15도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수용층에 아크릴수지를 사용한 경우(수용층B, 수용층C, 수용층D)에 전사효율이 뛰어나고 있고, 2분의 가열·가압에서도 전사농도 1. 55이상(맥베스농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DMAX)으로 충분히 전사가 진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에폭시수지만을 사용한 경우(수용층A)에는, 2분의 가압·가열에서는 전사농도가 부족하고 있고, 충분한 전사를 행하기 위해서는 3분이상을 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각 수용층의 내후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내후성은 머그컵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후, 이것을 순수중에서 10분간, 99%에탄올중에서 10분간, 각각 초음파 세정하고, 그대로 에탄올중에 1시간 담거서 수용층의 변화를 보는 것으로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아크릴수지만을 사용한 경우(수용층D)에는, 주름이나 벗겨짐이 생겨있고, 내주성이 부족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에폭시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시험후에도 변화가 적고, 내후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었다.
이들의 검토 결과에서, 전사스피드와 내후성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에폭시수지를 병용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투명필름의 접합
상술과 같이 화상의 전사를 행한후, 필요에 따라서 수용층 표면에 투명필름을 접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투명필름으로써는 아크릴수지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두꼐는 바람직하기는 5∼100 (보다 바람직하기는 5∼20㎛)이다.
여기서는 제 l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투명필름(14)을 수용층상에 첩부하고, 이것을 가열·가압하여 접합한다. 본 예에서는 투명필름(14)에 자외선 흡수제가 들은 아크릴필름(가네후지가가꾸공업사제,상품명 산듀렌)을 사용하고, 약 l40℃에서 2초간 가열·가압하여 열용착시켰다.
또한, 상기 투명필름(14)의 열용착에 있어서는, 표면에 승화성염료화상이 전사된 머그컵(11)에 투명필름(14)을 겹쳐서 첩부하게 되는바, 이때 열용착하기 위한프레스기축에 염료가 재전이 한다던지 프레스기측의 진애 등이 부착 하지 않도록, 투명필름(14)상에 재전사방지시트(15)를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화상전사머그컵은, 내후성, 내용제성, 내약품성이 대폭으로 강화되고, 예를들면 자외선에 의한 퇴색이나 색빠짐이 억제된다.
또 세제로 씻어도 변색이나 색이 빠지지 않는다.
또, 승화성염료화상의 전사효율을 올리기 위해, 머그컵(11)의 표면은 평활하게 되어 있으나, 요철을 설치한 재전사방지시트(15)를 사용함으로써, 투명필름(14)의 표면을 요철가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 1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머그컵(11)상에 잔주름모양을 가지는 화상전사체를 형성하는 경우는, 소망하는 잔주름모양에 대응한 요철이 형성된 재전사방지시트(l5a)를 사용하여, 이것을 거쳐서 투명필름(14)을 열용착하면 좋다. 혹은 제 1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타일(16)상에 그물코모양을 가지는 화상전사체를 형성하는 경우는, 소망하는 그물코모양에 대응한 요철이 형성된 재전사방지시트 (l5b)를 사용하여, 이것을 거쳐서 투명필름(14)을 열용착하면 좋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품질의 전사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한 화상전사방법을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승화성염료화상을 단시간으로 전사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전사방법 및 피전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표면에 한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표면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외관상의 여러가지 요구에 응할 수 있는 화상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전사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피전사기체의 표면에 수지를 도포하여 수용층을 형성하고, 이 수용층을 전기로에 의해 건조처리하여 피전사체로 한후, 상기 피전사체의 수용층에 승화성염료화상을 가지는 인화시트(예를들면 인화지)를 겹쳐 가열압접함으로써, 상기 숭화성염료화상을 상기 수용층에 전사한다.
이와같이 수용층의 건조처리에 전기로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밀한 온도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수용층의 변색이 억제되고, 품질이 높은 전사화상이 얻어진다. 또 동시에 열풍건조로에 의한 건조처리시에 문제가 되는 이질물의 혼입도 해소되고, 이것에 의해 품질저하도 억제된다.
수용층의 도장에 있어서는, 피전사기체로써 도자기제컵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것을 반전하면서 수지를 도장용 건에 의해 도포하여 수용층을 형성한다.
특히 수용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써 아크릴수지를 주체로 하는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건조처리 온도를 170∼180℃, 수지의 점도를 포드컵 43초∼52초, 도장용건으로 부터의 수지의 토출압을 35kg/m2±0.01kg/m2, 도장용 건과 피전사기체와의 거리를 100mm±5mm로 한다. 상술과 같이 형성되는 수용층의 두께는 10∼50㎛로 한다. 이것에 의해 균일한 수용층의 형성이 가능하다.
상술과 같이 승화성염료화상을 수용층에 전사한후, 수용층의 위에 투명필름을 접합하여도 좋다.
투명필름으로써는, 예를들면 아크릴필름이 사용된다. 또 이 투명필름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특히 투명필름에 요철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여러가지의 표면상태가 실현된다.
예를들면 비디오프린터에서 출력된 숭화성염료화상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경우, 염료화상은 피전사체의 표면에 형성된 수용층에 부착하고 있을뿐이므로, 내후성이나 내용제성, 내약품성이 뒤떨어지고, 퇴색이나 변색이 일어난다.
아크릴수지필름 등의 투명필름을 커버코트로써 수용층상에 적층하여 접합함으로써, 이것이 보호층으로써 기능하고, 내후성이나 내용제성, 내약품성이 대폭으로 개선된다.
수용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임의이나, 예를들면 피전사기체의 표면에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와를 병용한 수용층이 형성되어서 화상전사용 피전사체가 구성된다.
이 경우, 에폭시계수지를 주체로 하는 제 1수용층상에 아크릴계수지룬 주체로 하는 제 2수용층이 적층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의 양자를 함유하는 수용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에폭시계수지는 내구성이나 내후성의 점에서는 뛰어난 특성을 발휘하나, 이것을 수용층으로 하였을 때에는 전사스피드가 부족하다.
아크릴계수지는 전사스피드는 양호하나, 내후성의 점에서 불만이 남는다.
이것에 대하여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를 병용함으로써, 이들이 서로 보완하는 형태로 양자의 장점이 생겨서, 전사스피드와 내후성이 양립된다.
한편, 인쇄시트에 승화성염료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리본으로써는 띠형기체상에 나타나는 색이 다른 복수의 색소함유층이 소정의 순번으로 병렬로 형성된 잉크리본이 사용되는바, 이때 최후로 인쇄되는 색소함유층에 실리콘오일 등의 윤활제가 함유되어 있으나, 최후에 인쇄되는 색소함유층의 다음에, 윤활제함유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형기체상에 나타나는 색이 다른 복수의 색소함유층이 소정의 순번으로 병렬로 형성되어서 이루는 잉크리본에 있어서, 최후에 인쇄되는 색소함유층에 윤활제를 함유시키던가, 혹은 최후에 인쇄되는 색소함유층의 다음에 윤활제함유층을 형성하면, 이 잉크리본을 인화시트에 가열·가압하여 화상을 프린트하였을 때에, 색소함유층 혹은 윤활제함유층에 함유된 윤활제가 인화시트표면으로 이행하여 부착한다.
이와같이 윤활제가 부착된 인화시트는, 윤활제에 의해 미끄러짐이 양호하게 부여되고, 머그컵 등의 피전사체와 중합화상을 재전사하는데 있어서, 당해 인화시트와 피사체와의 사이에 들어간 기포가 밖으로 도망치기 쉽고, 주름도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인화시트의 위를 주걱으로 문지르는 조작을 하지않아도 미전사부분이 없는 양호한 화상이 피전사체에 재전사되게 된다.

Claims (22)

  1. 피전사기체의 표면에 수지를 도포하여 수용층을 형성하고, 이 수용층을 전기로에 의해 건조처리하여 피전사체로 하고, 상기 피전사체의 수용층에 승화성염료화상을 가지는 인화시트를 겹쳐서 가열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성염료화상을 수용층애 전사하는 화상전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사기체로써 도자기제컵을 사용하고, 이 도자기제컵을 회전하면서 수지를 도장용건에 의해 도포하여, 상기 수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써는 아크릴수지를 주체로하는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건조처리를 행하는 온도론 170∼l8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의 점도를 포드컵 43초∼52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용건으로 부터의 수지의 토출압을 35kg/m2±0. 01kg/m2으로 하고, 상기 도장용건과 상기 피전사기체와의 거리를 100mm ± 5m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층의 두께를 10∼5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화성염료화상을 상기 수용층으로 전이한후에, 상기 수용층 위에 투명필름을 접합하는 스텝을 다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이 아크릴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이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에 요철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
  11. 피전사기체의 표면에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와를 병용한 수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 피전사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층은 에폭시계수지를 주체로하는 제 1수용층과, 이 제 1수용층 상에 아크릴계수지를 주체로 하는 제 2수용층이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 피전사체.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층은 에폭시계수지와 아크릴계수지의 양자를 함유하는 하나의 수용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 피전사체.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사기체가 도기 또는 자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 피전사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사기체가 도자기제 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 피전사체.
  16. 띠형기체상에, 나타나는 색이 다른 복수의 색소함유층이 소정의 순번으로 병렬로 형성되어서 이루는 잉크리본에 있어서,
    최후에 인쇄되는 색소함유층에 윤활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잉크리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실리콘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 잉크리본.
  18. 띠형기체상에, 나타나는 색이 다른 복수의 색소함유층이 소정의 순번으로 병렬로 형성되어서 이루는 잉크리본에 있어서,
    최후에 인쇄되는 색소함유층 다음에, 윤활제를 함유하는 윤활제함유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 잉크리본.
  19. 제 18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실리콘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용 잉크리본.
  20. 전사하여야 할 화상을 반전하는 스텝(a)과,
    반전된 화상을 승화성잉크리본을 사용하여 인화시트에 전사하는 스텝(b)과,
    피전사기체에 수용층이 되는 수지를 도포하여 전기로에 의해 건조함으로써, 상기 피전사기체를 피전사체로 하는 스텝(c)과,
    상기 인화시트에 전사된 화상이, 상기 피전사체에 전사되는 스텝(d)과,
    상기 인화시트를 상기 피전사체에서 벗기는 스텝(e)으로 되는 도자기로 이루는 피전사기체에 화상을 전사하는 화상전사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b) 뒤에, 상기 승화성잉크리본에 형성된 윤활제함유층을 상기 인화시트에 전사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e) 뒤에, 상기 수용층위에 투명필름을 접합하는 스텝을 다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사방법.
KR1019960701545A 1994-07-26 1995-07-25 화상전사방법및이것에사용하는피전사체,잉크리본 KR100378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419594 1994-07-26
JP94-174195 1994-07-26
JP95-008797 1995-01-24
JP7008797A JPH08197858A (ja) 1995-01-24 1995-01-24 インクリボ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718A KR960704718A (ko) 1996-10-09
KR100378965B1 true KR100378965B1 (ko) 2003-08-21

Family

ID=2634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545A KR100378965B1 (ko) 1994-07-26 1995-07-25 화상전사방법및이것에사용하는피전사체,잉크리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6417138B1 (ko)
EP (1) EP0721848B1 (ko)
KR (1) KR100378965B1 (ko)
CN (2) CN1088656C (ko)
DE (1) DE69527266T2 (ko)
WO (1) WO1996003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200A (ja) 1996-06-19 1998-03-10 Ricoh Co Ltd 転写画像形成方法および転写画像形成体
GB0016724D0 (en) * 2000-07-08 2000-08-30 Bass Machine Holdings Ltd Dispensing a beverage
ES2192922B1 (es) * 2001-01-26 2005-02-16 Desarrollos De Impresion S.L. Procedimiento de impresion sobre superficies no porosas.
GB0113332D0 (en) 2001-06-01 2001-07-25 Ici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rmal transfer printing
AU2003277950A1 (en) * 2002-10-31 2004-05-25 Seiview Australia Pty Limited Panel and method of creation
CN100418789C (zh) * 2004-06-07 2008-09-17 吴云峰 陶瓷影像盘烤制方法
CN101024354B (zh) * 2007-03-29 2010-07-07 李剑平 一种热升华打印介质
JP5151826B2 (ja) * 2008-09-02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CN101961965B (zh) * 2010-08-26 2012-03-07 成都大前门业有限公司 一种热转印印刷工艺
CN102602187B (zh) * 2012-02-22 2013-11-13 河南卓立膜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热升华转印膜进行转印的方法
EP2841510B1 (en) 2012-04-24 2021-08-11 AT Promotions Ltd Anti-microbial drinking or eating vessel
CN103171039B (zh) * 2013-03-20 2015-04-08 广东蒙娜丽莎新型材料集团有限公司 使喷墨图案与模具纹理完全吻合的瓷砖制备方法及系统
GB2525624A (en) * 2014-04-29 2015-11-04 At Promotions Ltd Drinking or eating vessel
EP3193675B1 (en) 2014-12-22 2018-09-19 AT Promotions Ltd Drinking or eating vessel
CN106634403A (zh) * 2016-09-28 2017-05-10 苏州吉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热升华胶粉固化剂
GB201700408D0 (en) 2017-01-10 2017-02-22 A T Promotions Ltd Vacuum decoration of a drinking or eating vessel
CN110978838A (zh) * 2019-12-06 2020-04-10 李岩 一种用于圆柱形状物体表面的热转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4109A (en) * 1977-07-21 1979-02-23 Sumitomo Chemical Co Method of thermal copying
JPS6310307Y2 (ko) * 1979-03-24 1988-03-28
JPS58149048A (ja) 1982-03-02 1983-09-05 Sony Corp 昇華性染料の転写によるカラーハードコピー印画紙の形成方法
DE3332068A1 (de) * 1983-09-06 1985-03-21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ukleosidalkyl-, aralkyl- und arylphosphoniten und -phosphonaten
JPS6073899A (ja) 1983-09-30 1985-04-26 ラムダ美工株式会社 ガラス等の硬質表面を有する物品に模様を転写する方法
JPS6083881A (ja) * 1983-10-14 1985-05-13 Hidehiro Todaka 手描き転写紙の製法
JPS6139197A (ja) 1984-07-31 1986-02-25 セコム株式会社 警備システム
JPS6151391A (ja) * 1984-08-20 1986-03-13 Toshiba Corp 熱転写記録媒体と熱転写装置
JPS6157392A (ja) * 1984-08-29 1986-03-24 Nec Corp 熱転写用記録紙のカバ−フイルム
US4740496A (en) * 1985-12-24 1988-04-26 Eastman Kodak Company Release agent for thermal dye transfer
US4966815A (en) * 1986-01-17 1990-10-30 Foto-Wear, Inc. Transfer sheet for applying a creative design to a fabric
JPS62214990A (ja) * 1986-03-17 1987-09-21 Olympus Optical Co Ltd 熱昇華プリントの退色防止方法
JPS6310307A (ja) 1986-07-02 1988-01-16 Hitachi Ltd 磁気ヘツド
JPS6372583A (ja) 1986-09-16 1988-04-02 Air-Seru:Kk 印刷・複写物の転写方法
JPS63166737A (ja) * 1986-12-26 1988-07-09 Asai Glass Kk 転写印刷装飾ガラス板及びその製造法
JP2615759B2 (ja) 1988-02-15 1997-06-04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
US4943684A (en) * 1988-03-21 1990-07-24 First Eastern Equities, Inc. Ceramic article, process for imprinting ceramic articles and apparatus
DE3824012A1 (de) 1988-07-15 1990-01-18 Nortech Chemie Mit sublimierbaren dispersionsfarbstoffen bedruckten lackbeschichtung, beschichtungsmittel hierfu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bedruckter gegenstaende
CA1335329C (en) 1988-09-06 1995-04-25 Donald C. Berghauser Color sublimation dye transfer from color video prints to ceramic mugs and the like
US5244234A (en) * 1988-09-12 1993-09-14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Image receiving medium
IT1235474B (it) 1989-04-13 1992-08-19 Zincor Italia S P A Varzi Pavi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la verniciatura e decorazione in continuo di laminati metallici e laminato metallico cosi' ottenuto
JP2504574B2 (ja) 1989-08-11 1996-06-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無段変速機駆動系統の制御装置
JP3003938B2 (ja) 1989-08-25 2000-01-31 株式会社リコー 昇華型熱転写体
JPH0386588A (ja) 1989-08-30 1991-04-11 Ricoh Co Ltd 昇華型熱転写体
US4993987A (en) 1989-09-01 1991-02-19 Hull Harold L Doll with photo image face
US5286706A (en) 1990-05-08 1994-02-15 Ricoh Company, Ltd. Sublimation-type thermal image transfer recording medium
US5246518A (en) 1990-07-09 1993-09-21 Nathan Hale Permanent sublimation printing process
US5260256A (en) 1990-07-27 1993-11-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Receptor layer transfer sheet, thermal transfer sheet, thermal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DE4116994A1 (de) 1991-05-24 1992-11-26 Schoeller Felix Jun Papier Mehrschichtiges bildempfangsmaterial fuer thermische farbstoffuebertragungsverfahr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569677A (ja) * 1991-09-12 1993-03-23 Konica Corp 感熱転写記録用受像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344808A (en) 1992-09-09 1994-09-06 Toppa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image-recorded article making use of the same
AU660852B2 (en) * 1992-11-25 1995-07-06 Elan Pharma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of grinding pharmaceutical substances
DE69521445T2 (de) 1994-03-18 2002-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Mehrfarbige farbstoffgebende Schicht für die thermische Übertragung
US6818199B1 (en) * 1994-07-29 2004-11-16 James F. Hainfeld Media and methods for enhanced medical imaging
US5665330A (en) * 1995-02-08 1997-09-09 Nano Systems Llc Dual purposed diagnostic/therapeutic agent having a tri-iodinated benzoyl group linked to a coumarin
US5718793A (en) * 1995-02-28 1998-02-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process and printed article
JP3781383B2 (ja) 1995-04-28 2006-05-31 株式会社アルファ リッド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9377A (zh) 2002-09-18
DE69527266T2 (de) 2003-03-06
WO1996003284A1 (fr) 1996-02-08
KR960704718A (ko) 1996-10-09
EP0721848B1 (en) 2002-07-03
US20030008121A1 (en) 2003-01-09
CN1088656C (zh) 2002-08-07
EP0721848A4 (en) 1997-11-05
US6793988B2 (en) 2004-09-21
CN1135197A (zh) 1996-11-06
EP0721848A1 (en) 1996-07-17
US6417138B1 (en) 2002-07-09
US20030003279A1 (en) 2003-01-02
DE69527266D1 (de) 200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965B1 (ko) 화상전사방법및이것에사용하는피전사체,잉크리본
CA1335329C (en) Color sublimation dye transfer from color video prints to ceramic mugs and the like
US4521785A (en) Image forming device
JPH0452223B2 (ko)
US20080152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igns
JPH06135124A (ja) 事務機用被記録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50870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s printed with phase change inks
EP1264704B1 (en) Method of forming a decorative thermal-transfer film on a flexible backing strip
EP1101627A3 (e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thod
JPS63134261A (ja) 記録装置
WO1985000144A1 (en) Printer
JPH091994A (ja) 画像転写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被転写体
JPS6472893A (en) Thermal transfer sheet
JP2003136898A (ja) 陶磁器・ガラス等の製品表面への絵付け方法及びインクリボン
MXPA96001132A (en) Method to transfer thermally printing on a metal substrate and article manufactured through the mi
JPH04158069A (ja) 記録装置
KR200231399Y1 (ko) 표면에 사진이 인쇄된 씨디 케이스
JPH04156344A (ja) カラー熱転写記録方法
JP2004001299A (ja)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ト方法
JPH0834158A (ja) 画像転写体
JPS63319165A (ja) 昇華型熱転写記録装置
JPH09277730A (ja) 転写リボン
JPH0724994A (ja) 熱転写印刷装置
JPH07242072A (ja) 熱転写記録方法及び装置
JPS61297185A (ja) 印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