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855B1 - 다단 판독 작동 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다단 판독 작동 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855B1
KR100378855B1 KR10-2000-0055775A KR20000055775A KR100378855B1 KR 100378855 B1 KR100378855 B1 KR 100378855B1 KR 20000055775 A KR20000055775 A KR 20000055775A KR 100378855 B1 KR100378855 B1 KR 10037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ircuit
value
latch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592A (ko
Inventor
도가미데쯔지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5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Data out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using charge storage in a floating g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using charge storage in a floating gate
    • G11C11/5642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gital stor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2211/5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1/56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1/564Miscellaneous aspects
    • G11C2211/5642Multilevel memory with buffers, latches, registers at input 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단 판독 회로는 더 작은 회로 크기와 더 빠른 회로 응답을 갖는다. 메모리 셀 (002) 은 2개 이상의 상태 (VT0-VT3) 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상태의 결정은 워드 라인을 상이한 레벨에서 활성화시킴으로써 발생된 다양한 단의 결과를 수반할 수 있다. 감지 증폭기 (003) 는 각 단에서 출력값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떤 배열에서는, 제 2단 값이 메모리 셀 (002) 이 4개의 상태들 중 2개를 가지는지를 결정하여 제 1 래치 회로 (041) 에서 래치될 수 있다. 그 다음, 이러한 제 2단 값은 제 1단 값 또는 제 3단 값이 제 2 래치 회로 (042) 에 래치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제 3의 값은 메모리 셀 (002) 이 제 2단 값에 의해 초기에 결정된 2개의 상태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판독 작동 방법 및 회로{METHOD AND CIRCUIT FOR MULTISTAGE READOUT OPER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판독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multistage) 판독 회로와 반도체 기록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기억 장치는 두가지 상태중 하나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 셀을 포함한다. 그래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회로(판독 회로)는 메모리 셀 데이터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할 수도 있다. 만약, 메모리 셀 데이터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크면, 메모리 셀은 하나의 값(예컨대, "1")을 기억한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메모리 셀 데이터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작으면 메모리 셀은 또다른 값(예컨대, "0")을 기억한다고 한다.
보다 큰 집적도를 달성하기 위해, 몇가지 반도체 장치는 두가지 상태 이상을갖고 있는 메모리 셀을 포함하였다. 어떤 접근 방법에서는 데이터 값이 다단 방식으로 메모리 셀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판독 작업에 있어서, 워드 라인은 상이한 단계에서 상이한 레벨로 구동될 수 있다. 각 워드 라인 레벨(단계)에서 데이터 값이 판독되고 래치된다. 그 다음, 래치된 데이터 값은 인코더 등에 의해서 논리적으로 조합되어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제, 다단 판독 회로를 좀더 이해하기 위해 종래의 다단계 판독 회로의 일례를 도 8 과 도 9 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8 은 종래의 다단계 판독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8 의 회로는 4개의 레벨 중의 하나에 있을 수 있는 데이터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다단 판독 동작은 그 레벨을 2자리 2진 출력값으로 인코드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단 판독 회로는 메모리 셀 (012) 에 접속될 수 있는 판독 회로 (011), 인코더 회로 (017) 및 출력 회로 (018) 를 구비할 수 있다. 판독 회로 (011) 는 감지 증폭기 (013), 제 2단 래치 회로 (141), 제 1단 래치 회로 (142), 및 제 3단 래치 회로 (143) 를 구비할 수 있다. 인코더 회로 (017) 는, 인버터 (241) 와 배타적 OR(XOR) 게이트 (015) 뿐만 아니라 클록 동작 인버터 (251, 252) 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 는 도 8 의 회로 응답을 나타내는 진리표를 예시한다. 도 9 는 VT0 내지 VT3 의 4가지 가능한 메모리 셀 상태를 보여준다. 그러나, 많은 가능한 예중 하나로서 이러한 상태들 (VT0 내지 VT3) 은 VT0 가 가장 낮은 임계 전압이고 VT3 가 가장 높은 임계 전압인 메모리 셀 임계 전압을 나타낸다.
언급된 바와 같이, 4가지 상태의 메모리 셀 값 (VT0 내지 VT3) 은 2자리 2진값으로 인코드될 수 있다. 도 9에서, 2자리의 2진값은 하위 데이터 값과 상위 데이터 값을 포함한다. 또, 메모리 셀의 특정 상태는 하나의 워드 라인을 3개의 상이한 단에서 상이한 레벨로 구동시킴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그 다음, 출력값은 출력값을 발생시키기 위해 조합되는 상이한 단의 값으로 각 단에서 래치될 수 있다.
도 9 는 또한, 메모리 셀이 각 단에서 어떻게 응답하는 지에 대한 일례를 보여준다. 예컨대, 만약 메모리 셀이 VT0의 상태를 갖는다면, 각 단(예컨대, 워드 라인 전압 레벨)은 메모리 셀을 턴온시킬 것이다. 그래서, 제 1단, 제 2단 및 제 3단의 열 모두 "ON"의 값을 갖는다. 또다른 예로, 메모리 셀이 VT2 의 상태를 갖는다면 메모리 셀은 제 1단과 제 2단의 워드 라인 전압에 대해서는 off 상태로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 3단의 워드 라인 전압에 대해서는 메모리 셀이 턴온된다. 그러므로, 제 1단, 제 2단 및 제 3단의 열은 각각 "OFF", "OFF", "ON"의 값을 가지게 된다.
종래의 다단 판독 회로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와 응답을 기술하였으므로, 이제는 회로의 동작을 도 3 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다단 판독 동작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다양한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워드 라인 레벨 신호는 메모리 셀 상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워드 라인이 구동될 수 있는 다양한 레벨을 보여준다. Φ2 신호는 제 2단 래치 회로 (141) 를 활성화시켜, 감지 증폭기 (013) 의 출력을 제 2단 래치 회로 (141) 로 입력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Φ1과 Φ3 신호는 각각 제 1단 및 제 3단 래치 회로 (142, 143) 를 활성화시켜, 감지 증폭기 (013) 의 출력을 이러한 래치 회로에 입력시킬 수 있다.
2개의 제어 신호, AL 과 BL 도 도시되어 있다. 제어 신호 AL 과 BL 이 각각 로우와 하이일 때, 클록 동작 인버터 (252) 는 활성화될 수 있고, 반면에 클록 동작 인버터 (251) 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 신호 AL 과 BL 이 각각 하이와 로우일 때, 클록 동작 인버터 (251) 는 비활성화될 수 있고, 반면에 클록 동작 인버터 (252) 는 활성화될 수 있다. 클록 동작 인버터 (251, 252) 가 번갈아가며 활성화됨으로써, 시 다중화 방식으로 출력 회로 (018) 에 하위 데이터와 상위 데이터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도 3 은 T1 내지 T4 및 T2'으로 도시된 다양한 시간 주기를 포함한다. 이제, 종래의 다단 판독 회로의 동작을 이러한 시간 주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간 주기 T1에서, 워드 라인은 3개의 활성 레벨의 2번째 것(2) 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간 주기는 다단 판독의 제 2단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레벨 2 에서의 워드 라인으로 감지 증폭기 (013) 는 메모리 셀의 특정 산태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출력시킬 수 있다. 기술한 응답에서, 레벨 2 워드 라인값은 그 메모리 셀이 VT0 또는 VT1 상태를 갖는다면 메모리 셀을 ON으로 할 수 있고, 메모리 셀이 VT2 또는 VT3 상태를 갖는다면 OFF로 할 수 있다. 만약, 메모리 셀이 ON이면, 감지 증폭기 (013) 는 하나의 값(예컨대, 하이)을 출력시킬 수 있다. 반대로, 메모리 셀이 OFF이면, 감지 증폭기 (013) 는 또다른 값(예컨대, 로우)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 시간 주기 T1 동안에, Φ2 신호는 로우로 변환하여 감지 증폭기 출력을 제 2단 래치 회로 (141) 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일한 시각에 제어 신호 (AL) 는 하이로 제어 신호 (BL) 는 로우로 되어 클록 동작 인버터 (251)를 턴온시키고 클록 동작 인버터 (252) 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그래서, 제 2단 래치 회로 (141) 의 값은 출력 회로 (018) 로 출력될 수 있고, 인버터 (241) 로부터 미리 암호화된 값의 출력이 클록 동작 인버터 (252) 에 의해 출력 회로 (018) 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래치 회로 (141, 142 또는 143) 및/또는 출력 회로 (018) 는 수신된 입력 신호를 변환 또는 변환할 수 없다는 점을 주목하라.
이렇게 하여, 하위 데이터값은 출력회로 (018) 에 제공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2에서, 워드 라인은 비활성 레벨 (0) 로 구동될 수 있다. 기술한 응답에서 레벨 0의 워드 라인값은 기억 셀 상태와 관계없이 메모리 셀이 OFF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주기 T2동안은 Φ2 신호가 하이로 변환되고 제 2단 래치 회로 (141) 는 판독 동작의 제 2단 결과를 래치할 수 있다. 제어 신호 (AL) 는 하이로 유지되고 제어 신호 (BL) 는 로우로 유지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3에서, 워드 라인은 3개의 활성 레벨 중의 첫번째 것(1) 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간 주기는 다단 판독의 제 1단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레벨 1 에서의 워드 라인으로 감지 증폭기 (013) 는 기억 셀의 특별한 상태에 따라서 하이나 로우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기술한 응답에서 레벨 1 워드 라인값은 만일 메모리 셀이 VT0 의 상태를 가지면, 메모리 셀은 ON이 되고 만일 메모리 셀이 VT1, VT2 또는 VT3 의 상태를 가지면, OFF가 되게끔 할 수 있다.
또, 시간 주기 T3 동안에 Φ1 신호는 로우로 변환되어, 감지 증폭기 출력이 제 1단 래치 회로 (142) 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동일한 시각에, 제어 신호 (AL) 는 로우로 될 수 있고 제어 신호 (BL) 는 하이로 될 수 있어, 클록 동작 인버터 (251) 를 턴오프시키고 클록 동작 인버터 (252) 를 턴온된다. 그래서, 제 2단 래치 회로 (141) 의 값이 출력 회로 (018) 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버터 (241) 로부터의 출력은 출력 회로 (018) 에 제공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4 에서, 워드 라인은 3개의 활성 레벨 중 세번째 것(3) 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시간 주기는 다단 판독의 제 3단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레벨 3 에서의 워드 라인으로, 감지 증폭기 (013) 는 메모리 셀의 특별한 상태에 따라서 하이나 로우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기술한 응답에서, 레벨 3의 워드 라인값은 만약 메모리 셀이 VT0, VT1 또는 VT2 상태를 가지면, 메모리 셀을 ON으로 하고, 만약 메모리 셀이 VT3 의 상태를 가지면 메모리 셀이 OFF가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간 주기 T4 동안은 Φ1 신호는 하이로 복귀될 수 있고 제 1단 래치 회로 (142) 에서 제 1단의 값을 래치한다. 이러한 값은 하나의 입력으로서 XOR 회로 (015) 에 제공될 수 있다. 또, Φ3 신호는 로우로 전환될 수 있고, 제 3단의 값이 제 3단 래치 회로 (143) 에 입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값은 XOR 회로 (015) 에 또다른 입력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시각 T4에서 XOR회로 (015) 는 제 1단과 제 3단 래치 회로 (142, 143) 에서 래치된 값들의 논리적 XOR 조합을 출력할 수 있다. XOR 회로 (015) 의 출력은 인버터 (241) 에 의해 반전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일한 시각에, 제어 신호 (AL) 는 계속해서 로우이고 제어 신호 (BL) 는 계속해서 하이이므로 제 1단과 제 3단 결과의 XOR 논리 조합이 클록 동작 인버터 (252) 에 의해 출력 회로 (018) 에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위 데이터값이 출력 회로 (018) 에 제공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2′에서, 워드 라인은 비활성 레벨 (0) 로 복귀할 수 있다. 또, 시간 주기 T2′동안에 Φ3 신호는 하이로 변환하여 제 3단 래치 회로 (143) 에서의 3단 값을 래치할 수 있다. 제어 신호 (AL) 는 계속해서 로우이며, 제어 신호 (BL) 는 계속해서 하이로 유지될 수 있어서 인버터 (241) 의 출력이 출력 회로 (018) 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술된 종래의 접근에서의 한가지 단점은 그러한 회로가 반도체 장치 상에 차지하고 있을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만약 그러한 종래의 다단 판독 회로가 반도체 기억 장치에 포함되어 있다면, 그러한 판독 회로는 여러번 반복되어야만 할 것이다. 그러므로, 각 감지 증폭기는 3개의 래치 회로, XOR 회로 및 클록 동작 인버터를 수반할 수 있다.
기술된 종래의 접근에서의 또다른 단점은 판독 동작에 필요한 시간일 수 있다. 특히, 판독 동작에 있어서 제 1단과 제 3단 결과는 논리적으로 조합되어(예컨대, XOR됨), 3개의 비교 결과를 2비트의 출력값으로 인코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판독 회로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몇가지 방식과 방법을 도출하는 것이 요망된다. 게다가, 또한 선택적으로 종래의 접근보다 공간을 덜 차지할 수 있는 다단 판독 회로를 도출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알려진 실시예에 의하면, 다단 판독 회로는 2보다 큰 수를 나타내는 N개의 상태들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는 일련의 단 값들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 값은 제 1 래치에서 래치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제 1 래치에서의 값에 따라 제 2 래치에서의 단의 값들중 또다른 것을 선택적으로 래치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양태에 의하면, 다단 판독 회로는 N보다 적은 M개의 출력값들로서 적어도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들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인코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또다른 양태에 의하면, 다단 판독 회로는 단의 값들을 제공하는 감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의 값들은 메모리 셀이 상이한 워드 라인 레벨에 응답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의 또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이한 제어 신호는 각 단의 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제 1 래치에 기억된 값에 따라 제어 신호들중 하나와 제 2 래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나타난 실시예에 의하면, 다단 판독 방법은 2보다 큰 수를 나타내는 N개의 상태들중 하나를 지시킬 수 있는 단 값들의 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N개의 상태들중 하나는 N보다 적은 M개의 데이터 값들에 의해 표시되어질 수 있다. M개의 데이터 값들은 하위 데이터와 상위 데이터 값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 1 단값은 하위 데이터 값으로 기억될 수 있다. 제 2단 값은 하위 데이터 값에 따라 상위 데이터 값으로 기억될 수 있다.
실시예의 일 양태에 의하면, 단의 값들을 수신하는 것은 감지 증폭기의 출력값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증폭기의 출력값들은 메모리 셀이 상이한 워드 라인 레벨에 응답하여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의 또다른 양태에 의하면, 제 2단 값을 기억하는 것은 몇몇 제어 신호 경로들중 하나를 하위 데이터 값에 따라 제 2 래치로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또다른 양태에 의하면, 하위 및 상위 데이터 값들은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다단 판독 회로의 회로도.
도 2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래치 회로의 회로도.
도 3 은 다단 판독 회로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도.
도 4 는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는 진리표.
도 5 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다단 판독 회로의 회로도.
도 6 은 도 5 의 다단 판독 회로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도.
도 7 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하는 진리표.
도 8 은 종래의 다단 판독 회로의 회로도.
도 9 는 도 8 의 회로의 동작을 예시하는 진리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01, 011, 131 : 판독 회로 002, 012, 132 : 메모리 셀
003, 013, 133 : 감지 증폭기
006, 111~113, 161~166, 241 : 인버터
008, 017, 230 : 인코더 회로 009, 018, 191 : 출력 회로
010 : 래치부 015, 201 : EXOR 게이트
041, 211 : 제 1 래치 회로 042, 212 : 제 2 래치 회로
051, 052, 151~156 : 전송 게이트 071 : 제 1 클록 동작 인버터
072 : 제 2 클록 동작 인버터 121 : 입력 전송 게이트
122 : 래치 전송 게이트 141 : 제 2단 래치 회로
142 : 제 1단 래치 회로 143 : 제 3단 래치 회로
181~183, 251, 252 : 클록 동작 인버터
202 : NOR 게이트 203~205 : NAND 게이트
213 : 제 3 래치 회로
이제, 몇 가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정 실시예들은 다단 판독 방법뿐만 아니라, 다단 판독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 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단 판독 회로가 회로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예는 예컨대, 4가지 가능한 값들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 메모리 셀로부터의 입력값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4가지 가능한 값들은 2자리 2진 출력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2진 출력값은 시다중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하위 데이터값이 상위 데이터값보다 먼저 출력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는 메모리 셀 (002), 인코더 회로 (008) 및 출력 회로 (009) 에 접속될 수 있는 판독 회로 (001) 를 포함할 수 있다. 판독 회로 (001) 는 감지 증폭기 (003), 제 1 래치 회로 (041) 및 제 2 래치 회로 (042) 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래치 회로 (041) 는 감지 증폭기 (003) 로부터의 제 2단 값을 래치할 수 있고, 제 2 래치 회로 (042) 는 감지 증폭기 (003) 로부터의 제 1단 또는 제 3단 값을 래치할 수 있다.
또한, 판독 회로 (001) 는 래치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서, 래치 제어 회로는 전송 게이트 (051, 052) 와 인버터 (006) 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제어 회로는, 제 1 래치 회로 (041) 에서 래치된 값에 따라 제 2 래치 회로 (042) 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2단 결과는 제 1단 또는 제 3단 결과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만약 제 1단 래치 회로 (041) 가 로우인 출력값을 산출하는 제 2단 결과를 래치하면, 전송 게이트 (051) 가 인에이블될 수 있고, 전송 게이트 (052) 는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Φ1 신호는 제 2 래치 회로 (042) 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고 제 1단 결과를 제 2 래치 회로 (042) 의 입력이 되게 한다. 역으로, 제 1 래치 회로 (041) 가 하이인 출력값을 산출하는 제 2단 결과를 래치하면, 전송 게이트 (052) 가 인에이블될 수 있고, 전송 게이트 (051) 는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Φ3 신호는 제 2 래치 회로 (042) 의 활성화를 제어할수 있고 제 3단 결과를 제 2 래치 회로 (042) 의 입력이 되게 한다.
도 1 의 래치 제어 회로에서, 전송 게이트 (051, 052) 는 제 1 래치 회로 (041) 의 출력을 직접 또는 인버터 (106) 를 통해 수신하는 상보적 산화 금속 반도체(CMOS)형 전송 게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전송 게이트 (051) 는 입력으로 Φ1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인버터 (006) 의 출력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n채널 트랜지스터와 제 1 래치 (041) 의 출력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p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전송 게이트 (052) 는 입력으로 Φ3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인버터 (006) 의 출력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p채널 트랜지스터와 제 1 래치 (041) 의 출력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n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인코더 회로 (008) 는 제 1 래치 회로 (041) 의 출력과 출력 회로 (009) 사이의 제 1 클록 동작 인버터 (071) 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클록 동작 인버터 (072) 는 제 2 래치 회로 (042) 의 출력과 출력 회로 (009)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클록 동작 인버터 (071, 072) 를 교대로 활성화시켜, 하위 데이터값과 상위 데이터값의 시다중화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도 1 의 예에서, 클록 동작 인버터 (071, 072) 는 서로 상보적이 될 수 있는 제어 신호 (AL, BL) 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물론, 특정 인코더 회로 (008) 는 제 1 및 제 2 클록 동작 인버터 (071, 072) 를 포함하고 다른 배열은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 (041, 042) 를 출력 회로 (009) 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대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인코더 회로 (108) 가 그러한 동작을 위해 전송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는 2개의 래치 회로와 래치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3개의 래치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는 이전에 설명한 종래예와 대조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1 실시예에 따른 다단 판독 회로의 크기는 종래의 접근 방식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인코더 회로에서 더 작게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 의한 인코더 회로는 2개의 클록 동작 인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2개의 클록 동작 인버터 회로, 인버터 및 XOR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이전에 설명한 종래예와 대조적이다.
물론, 크기 축소의 잇점이 4가지 상태의 메모리 셀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그 이상의 상태를 갖는 메모리 셀을 판독할 수 있는 접근 방식도 유리할 수 있다. 한 특정예로, 8개의 상태판에서 다단 판독 회로는 7개의 상이한 레벨을 통해 워드 라인 단계로서의 값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판독 회로는 종래의 접근 방식에 비해 래치 회로의 갯수가 줄어들고 좀더 단순화된 인코더 회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일 특정예가 제 2 실시예로 설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독 회로 (001) 는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 (041, 042)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래치 회로로 이용될 수 있는 래치 회로의 일례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일 특정 접근 방식에서는, 래치 회로 (041, 042) 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상이한 타이밍 신호를 수신한다(예컨대, 제 1 래치 회로 (041) 는 Φ2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 2 래치 회로 (042) 는 Φ1 또는 Φ3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제 도 2 를 참조하면, 래치 회로 (041) 는 입력값 (SA) 과 타이밍 신호 (Φ) 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값 (SA) 은 감지 증폭기의 출력이 될 수 있고 타이밍 신호 (Φ) 는 Φ1, Φ2 또는 Φ3와 같은 특정 단의 결과를 입력시키기 위해 활성화되는 신호일 수 있다. 래치 회로는 입력 전송 게이트 (121), 제어 인버터 (111) 및 래치부 (01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의 특정예에서, 입력 전송 게이트 (121) 는 입력값 (SA) 을 수신하는 CMOS형 전송 게이트일 수 있고, 인버터 (111) 의 출력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n채널 트랜지스터와 타이밍 신호 (Φ) 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갖는 p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래치부 (010) 는 래치 전송 게이트 (122) 및 교차 결합된 인버터 (112, 113) 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전송 게이트 (122) 는 인버터 (113) 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과 입력 전송 게이트 (121) 의 출력에 접속된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인버터 (112) 는 입력 전송 게이트 (121) 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을 인버터 (113) 로 공급하며 또한 이 출력은 출력값 (OUT) 이 될 수 있다.
이제, 제 1 실시예에 의한 여러가지 회로를 기술하여, 도 1 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도 3 과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도 8 의 종래 다단 판독 회로를 참조하여 앞에서 서술한 타이밍도이다.
도 4 는 도 1 회로의 응답을 나타내는 진리표이다. 도 4 는 4개의 가능한 메모리 셀 상태 (VT0 내지 VT3) 를 보여준다. 많은 가능한 예중 하나로서, 이러한 상태 (VT0 내지 VT3) 는 VT0 는 가장 낮은 임계 전압, VT3 는 가장 높은 임계 전압인 메모리 셀 임계 전압을 나타낸다.
4개의 상태 메모리 셀값 (VT0 내지 VT3) 은 감지되어 2자리 2진값으로 인코딩된다. 2자리 2진값은 하위 데이터 값과 상위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메모리 셀의 특정 상태는 하나의 워드 라인을 3개의 상이한 단에서의 상이한 레벨로 구동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3개의 출력값들중 2개는 각 단에서 래치되어 하위 데이터값과 상위 데이터값을 발생시킨다.
도 9 와 같이, 도 4 는 메모리 셀이 각 단에서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관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만약 메모리 셀이 VT0 상태를 갖는다면, 각 단(예컨대, 워드 라인 전압 레벨)은 메모리 셀을 턴온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제 1단, 제 2단 및 제 3단의 열들은 모두 "ON"값을 갖게된다. 또다른 예로서, 만약 메모리 셀이 VT2 상태를 갖는다면, 메모리 셀은 제 1단과 제 2단의 워드 라인 전압에 대해 오프(off)로 남아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 3단의 워드 라인 전압에 대해서는 메모리 셀이 턴온된다. 그러므로, 제 1단, 제 2단 및 제 3단의 열들은 각각 “OFF”,“OFF”,“ON”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시간 주기 T1 에서, 워드 라인은 3개의 활성 레벨들중 2번째 것(2) 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본질절으로 메모리 셀이 4개의 가능한 상태들중 2개를 갖는지를 결정한다. 도 1 내지 도 3 의 특별한 경우에, 시각 T1 에서의 감지 증폭기 출력은 메모리 셀이 ON 또는 OFF 인지를 가리키게 된다. 만약 메모리 셀이 ON 이라면, 메모리 셀은 VT0 내지 VT1 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메모리 셀이 OFF 라면, 메모리 셀은 VT2 내지 VT3 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 2단의 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1 동안에, Φ2신호가 로우로 될수 있어 감지 증폭기 출력이 제 1 래치 회로 (041) 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인 동일한 시각에서는, 제어 신호 (AL) 가 하이로 될 수 있고 제어 신호 (BL) 는 로우가 될 수 있어 클록 동작 인버터 (071) 를 턴온시키고 클록 동작 인버터 (072) 를 턴오프시킨다. 그러므로, 제 1 래치 회로 (041) 에서의 값이 출력 회로 (009) 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 2 래치 (042) 에서 이전에 래치된 값은 클록 동작 인버터 (072) 에 의해 출력 회로 (009) 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하위 데이터값이 출력 회로 (009) 에 공급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2 에서는, 하나의 워드 라인이 비활성 (0) 레벨로 구동될 수 있다. 기술된 응답에서, 레벨 0 워드 라인값은 메모리 셀 상태에 무관하게 메모리 셀을 OFF 로 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주기 T2 동안에 Φ2 신호는 하이로 변환될 수 있다. Φ2 신호가 하이일 때, 제 1 래치 회로 (041) 가 제 2단의 결과를 래치할 수 있다. 이 시간 주기 동안에 제어 신호 (AL) 는 하이로, 제어 신호 (BL) 는 로우로 남아있을 수 있다.
제 1 래치 회로 (041) 에 기억된 제 2단의 결과는, 제 2 래치 회로 (042) 에 의해 어느 신호(Φ1 또는 Φ3) 가 수신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라. 이런 식으로, 한 단의 결과(예컨대, 제 2단 결과)는 몇몇 다른 단의 결과들(예컨대, 제 1단 또는 제 3단 결과)중 어느 것이 래치되어 출력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시간 주기 T3 에서, 워드 라인은 3개의 액티브 레벨들 중 첫번째 것(1) 으로로 구동될 수 있다. 이전의 제 2단 결과와 연관하여, 이러한 동작은 메모리 셀이 2가지 상태중 하나를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 2단의 결과(제 1 래치 (041) 에서 래치된 값)가 메모리 셀이 VT0 내지 VT1 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면, 제 1단의 결과는 메모리 셀이 2가지 상태(VT0 내지 VT1)중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의 예에서, 만약 감지 증폭기가 메모리 셀이 ON인 것을 가리킨다면, 메모리 셀은 VT0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메모리 셀이 OFF라면 메모리 셀은 VT1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제 2단 결과가 메모리 셀이 VT0 또는 VT1 의 상태를 갖는다는 것을 가리킨다면, 제 1 래치 회로 (041) 의 출력은 제 2 래치 회로 (042) 를 제어하는 Φ1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이 상기될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주기 T3 동안에, Φ1신호가 로우일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만약 제 1단의 결과가 메모리 셀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해진다면, 이러한 제 1단 결과는 Φ1 신호의 동작에 의해 제 2 래치 회로 (042) 로 입력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만약 제 2단 결과가 메모리 셀의 상태(즉, 메모리 셀이 VT2 또는 VT3 의 상태에 있다)를 결정하기 위해 제 1단 결과가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하면, 제 1 래치 회로 (041) 의 출력은 하이로 될 수 있어 Φ1 신호가 제 2 래치 회로 (042) 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인 동일한 시각에서, 제어 신호 (AL) 는 로우로 되고 제어 신호 (BL) 는 하이로 될 수 있어 클럭 동작 인버터 (071) 를 턴오프시키고 클럭 동작 인버터 (072) 를 턴온시킨다. 그러므로, 제 1 래치 회로 (041) 에서의 값은 출력 회로 (009) 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반면에 제 2 래치 회로 (042) 로부터의 출력이 출력 회로 (009) 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제 2단 결과가 출력 회로 (009) 에 대한 하위 데이터 값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제 2단 결과는 제 1단 또는 제 3단 결과가 상위 데이터 값을 제공하기 위해 래치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시간 주기 T4 에서, 워드 라인은 3개의 액티브 레벨중 세번째 것(3) 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전의 2 단 결과에 연관하여, 이러한 동작은 메모리 셀이 2개의 상태중 하나를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만약 제 2단 결과가 메모리 셀이 VT2 또는 VT3 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면, 제 3단 결과(워드 라인이 레벨 3에 있을 때의 감지 증폭기 (003) 출력)는 메모리 셀이 2개의 상태 (VT2 또는 VT3) 중 어느 것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의 예에서, 감지 증폭기가 메모리 셀이 ON이라는 것을 가리키면, 메모리 셀은 VT2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메모리 셀이 OFF라면, 메모리 셀은 VT3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제 2단 결과가 메모리 셀이 VT2 또는 VT3 의 상태를 가진다는 것을 가리킨다면, 제 1 래치 회로 (041) 로부터의 출력은 제 2 래치 회로 (042) 를 제어하는 Φ3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주기 T4 동안에, Φ3 신호는 로우일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제 3단 결과가 메모리 셀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이러한 제 3단 결과는 Φ3 신호의 동작에 의해 제 2 래치 회로 (042) 로 입력될 수 있다.
또, 시간 주기 T4 동안에, 제어 신호 (AL) 는 로우로 유지될 수 있고 제어 신호 (BL) 는 하이로 유지될 수 있어 제 2 래치 회로 (042) 의 출력을 출력 회로 (009) 에 접속시킨다.
이러한 식으로, 상위 데이터값이 출력 회로 (009) 로 공급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2′에서, 워드 라인은 비활성 (0) 레벨로 복귀할 수 있다. 제어 신호 (AL) 는 로우로 유지되고 제어 신호 (BL) 는 하이로 유지되어, 제 1 래치 회로 (041) 의 출력이 출력 회로 (009) 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에 의한 다단 판독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였으므로, 이제 도 2 에 의한 래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타이밍 신호 (φ) 가 로우일 때, 로우 값이 입력 전송 게이트 (121) 에서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될 수 있고, 하이 값은 인버터 (111) 의 동작에 의해 입력 전송 게이트 (121) 에서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입력 전송 게이트 (121) 가 턴온될 수 있어, 입력값 (SA) 이 래치부 (010) 내의 인버터 (112) 의 입력으로 인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인버터 (112) 는 출력값 (OUT) 을 발생시키기 위해 입력값 (SA) 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래치는 값 (SA) 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신호 (φ) 를로우로 하여, 로우값이 래치 전송 게이트 (122) 에서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될 수 있고, 한편 하이값은 인버터 (111) 의 동작에 의해 래치 전송 게이트 (122) 에서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래치 전송 게이트 (122) 는 턴오프될 수 있어 입력값 (SA) 이 교차 결합된 인버터 (112, 113) 에 의해 래치되는 것이 방지된다.
타이밍 신호 (φ) 가 하이일 때, 하이값은 입력 전송 게이트 (121) 에서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될 수 있고, 한편, 로우값은 입력 전송 게이트 (121) 에서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입력 전송 게이트 (121) 가 턴오프될 수 있어 입력 신호 (SA) 에서의 순차적인 변화가 출력값 (OUT) 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타이밍 신호 (φ)가 하이일 때, 하이값이 래치 전송 게이트 (122) 에서의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될 수 있고, 한편 로우값이 래치 전송 게이트 (122) 에서의 p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래치 전송 게이트 (122) 가 턴온될 수 있어, 래치부 (010) 에서의 데이터값을 래치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증폭기당 2개의 래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다단 판독 회로를 예시하였다. 이는 더 많은 수의 래치 회로들을 포함하는 접근 방법보다 전반적으로 더 작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치 회로수의 감소는 하위 데이터 값을 래치하여, 그것을 몇몇 단 결과중 어느 것이 상위 데이터 값으로 제공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는 2개의 클록 동작 인버터를 가진 인코더 회로를 가질 수있는 다단 판독 회로를 예시하고 있다. 이는 더 복잡한 인코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접근 방식보다 전반적으로 더 작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코더 회로 크기의 축소는 2개의 래치된 값(예컨대, 제 1 및 제 3 단 결과들)의 논리적인 조합이 반드시 발생하여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코더 회로가 종래의 접근 방식보다 더 적은 논리 동작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더 빨라진 판독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4개의 상태 메모리 셀을 접근할 수 있는 다단 판독 회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별한 적용은 발명을 그것에 한정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한된다. 일례로, 다단 판독 회로는 더 많은 수의 상태를 갖는 메모리 셀에 접근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더 많은 상태의 경우를 예시하기 위해,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제,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의한 다단 판독 회로가 회로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는 예컨대, 8개의 가능한 값들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 메모리 셀로부터의 입력값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8개의 가능한 값들은 3자리 출력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3자리 출력값은 시다중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하위 데이터값 다음에 중위 데이터값이 올 수 있다. 중위 데이터 값 다음에는 상위 데이터값이 온다.
도 5 내지 도 7 의 예에서, 8개의 상태들중 하나는 일련의 판독 동작들에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워드 라인은 제 1단 내지 제 7단 값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7개의 활성 상태들 사이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값들은 하위 데이터, 중위 데이터 및 상위 데이터값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래치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메모리 셀 (132), 인코더 회로 (230) 및 출력 회로 (191) 에 접속될 수 있는 판독 회로 (131) 를 포함한다. 판독 회로 (131) 는 감지 증폭기 (133), 제 1 래치 회로 (211), 제 2 래치 회로 (212) 및 제 3 래치 회로 (213)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래치 회로 (211) 는 제 4단의 값을 래치할 수 있다. 제 2 래치 회로 (212) 는 제 1 래치 회로 (211) 의 출력에 따라 제 2단 또는 제 6 단의 값을 래치할 수 있다. 제 3 래치 회로 (213) 는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 (211, 212) 의 출력에 따라 제 1, 3, 5 또는 제 7 단값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판독 회로 (131) 는 래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래치 제어 회로는 어느 특정 단의 값이 제 2 래치 (212) 와 제 3 래치 (213) 내에서 래치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래치 제어 회로는 제 2 래치 (212) 가 제 2단 값 또는 제 6단 값을 래치할 것인지와, 제 3 래치 (213) 가 제 1, 제 3, 제 5 또는 제 7단 값을 래치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래치 제어 회로는 제 2 래치 제어 회로와 제 3 래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제 2 래치 제어 회로는 2개의 단 제어 신호(φ2 또는 φ6)중 어느 것이 제 2 래치 회로 (212) 에 공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 에서, 제 2 래치 제어 회로는 인버터 (161), 전송 게이트 (151) 및 전송 게이트 (152) 를 포함한다. 전송 게이트 (151) 는 φ2 신호를 제 2 래치회로 (212) 에 공급할 수 있다. 전송 게이트 (152) 는 φ6 신호를 제 2 래치 회로 (212) 에 공급할 수 있다. 제 1 래치 회로 (211) 의 출력은 인버터 (161) 와 연계하여 전송 게이트 (151 또는 152) 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제 3 래치 제어 회로는 4개의 상태 제어 신호(φ1, φ3, φ5 또는 φ7)중 어느 것이 제 3 래치 회로 (213) 에 제공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 에서, 제 3 래치 제어 회로는 전송 게이트 (153, 154, 155 및 156) 와 인버터 (163, 164, 165 및 166) 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게이트 (153, 154, 155 및 156) 는 신호 (φ1, φ3, φ5 및 φ7) 를 제 3 래치 회로 (213) 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디코더 회로들과 연계하여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들 (211, 212) 의 출력들이 전송 게이트 (153, 154, 155 및 156)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XOR 게이트 (201), NOR 게이트 (202), NAND 게이트들 (203, 204, 205) 및 인버터 (162) 를 포함하는 디코드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코드 회로는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들 (211, 212) 로부터의 출력값들의 다양한 조합을 디코드하여 제 3 래치 회로용 (213) 의 특정 제어 신호 (φ1, φ3, φ5 및 φ7) 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5 에서,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 (211, 212) 로부터의 출력들의 특정 조합들은 특정 전송 게이트들 (153, 154, 155 및 156) 을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들 (211, 212) 의 출력들이 둘다 로우일 때, NOR 게이트 (202) 의 출력은 하이로 가서 전송 게이트 (153) 를 인에이블시키며, 제어 신호 (φ1) 으로 하여금 제 3 래치 회로 (213) 를 활성화시킨다. 동시에, XOR 게이트 (201) 의 출력은 로우로 갈 수 있어 NAND 게이트 (203, 204) 의 출력들을 둘다 하이로 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전송 게이트 (154, 155) 는 둘다 턴오프될 수 있다. 유사하게, NAND 게이트 (205) 로의 로우 입력들은 NAND 게이트 (205) 의 출력을 하이로 하여 전송 게이트 (156) 를 턴오프시킨다.
제 1 래치 회로 (211) 의 출력이 로우이고 제 2 래치 회로 (212) 의 출력이 하이일 때, NOR 게이트 (202) 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전송 게이트 (153) 를 턴오프시킨다. 동시에, XOR 게이트 (201) 의 출력은 하이로 갈 수 있어, 하나의 하이 입력을 NAND 게이트 (203, 204) 에 제공한다. 제 1 래치 회로 (211) 의 출력이 로우이므로, 인버터 (162) 는 제 2 하이 입력을 NAND 게이트 (203) 에 제공할 수 있고, NAND 게이트 (203) 의 출력은 로우로 갈 수 있어 전송 게이트 (154) 를 턴온시키며, NAND 게이트 (204) 의 출력은 하이로 갈 수 있어 전송 게이트 (155) 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어 신호 (φ3) 는 제 3 래치 회로 (213) 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 1 래치 회로 (211) 의 출력이 로우인 것으로, NAND 게이트 (205) 의 출력은 하이로 구동될 수 있어 전송 게이트 (156) 를 턴오프시킨다.
제 1 래치 회로 (211) 의 출력이 하이이고, 제 2 래치 회로 (212) 의 출력이 로우일 때, NOR 게이트 (202) 의 출력은 로우로 가고 전송 게이트 (153) 를 턴오프시킨다. 동시에, XOR 게이트 (201) 의 출력은 하이로 가서 하나의 하이 입력을 NAND 게이트 (203, 204) 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래치 회로 (211) 의 출력이 하이이므로, 인버터 (162) 는 로우 입력을 NAND 게이트 (203) 에 제공할 수 있고, NAND 게이트 (203) 의 출력은 하이로 되어 전송 게이트 (154) 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 1 래치 회로 (211) 로부터의 하이 출력은 NAND 게이트 (204) 로의 2개의 하이 입력들을 발생시키고 NAND 게이트 (204) 의 출력은 로우로 가서 전송 게이트 (155) 를 턴온시킨다. 이런 식으로, 제어 신호 (φ5) 는 제 3 래치 회로 (213) 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 2 래치 회로 (212) 의 출력이 로우인 것으로, NAND 게이트 (205) 의 출력은 하이로 구동되어 전송 게이트 (156) 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 (211, 212) 의 출력들이 모두 하이일 때, NOR 게이트 (202) 의 출력은 로우로 가서 전송 게이트 (153) 를 턴오프시킨다. 동시에, XOR 게이트 (201) 의 출력은 로우로 가서 NAND 게이트 (203, 204) 의 출력을 둘다 하이로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전송 게이트 (154, 155) 는 둘다 턴오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 (211, 212) 의 출력이 둘다 하이인 것으로, NAND 게이트 (205) 의 출력은 로우로 구동되어 전송 게이트 (156) 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어 신호 (φ7) 는 제 3 래치 회로 (213) 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인코더 회로 (230) 는 3개의 클록 동작 인버터 (181, 182 및 183) 를 포함할 수 있다. 클록 동작 인버터 (181) 는 하위 데이터값을 출력 회로 (191) 에 공급할 수 있다. 클록 동작 인버터 (182) 는 중위 게이터값을 출력 회로 (191) 에 공급할 수 있다. 클록 동작 인버터 (183) 는 상위 데이터값을 출력 회로 (191) 에 공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한 여러가지 회로들을 설명하였고, 이제 도 5 의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도 6 과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다단 판독 동작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 다양한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워드 레벨 신호는 메모리 셀 상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워드 라인이 구동될 수 있는 다양한 레벨들을 보여준다. φ4 신호는 제 1 래치 회로 (211) 를 활성화시켜 제 4단 결과를 제 1 래치 회로 (211) 에 입력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φ2 또는 φ6 신호는 제 2 래치 회로 (212) 를 활성화시켜 제 2단 또는 제 6단 결과를 제 2 래치 회로 (212) 에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φ1, φ3, φ5 및 φ7) 신호는 제 3 래치 회로 (213) 를 활성화시켜 제 1, 3, 5 또는 제 7 단 결과를 제 3 래치 회로 (213) 에 입력시킬 수 있다.
또, 3개의 제어 신호쌍이 AL/AH, BL/BH 및 CL/CH 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신호쌍 (AL/AH) 이 각각 하이와 로우일 때, 클록 동작 인버터 (181) 는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 신호쌍 (BL/BH) 이 각각 하이와 로우일 때, 클록 동작 인버터 (182) 는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 신호쌍 (CL/CH) 이 각각 하이와 로우일 때, 클록 동작 인버터 (183) 는 활성화될 수 있다. 클록 동작 인버터들 (181, 182 및 183) 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됨으로써, 하위 데이터, 중위 데이터 및 상위 데이터값들을 시다중화 방식으로 출력 회로 (009) 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도 6 은 T1 내지 T8 과 T2′으로 나타낸 다양한 시간 주기를 포함한다. 이제, 이러한 시간 주기를 참조하여 하기에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 은 도 5 의 회로의 응답을 나타내는 진리표를 보여준다. 도 7 은 8개의 가능한 메모리 셀 상태 (VT0 내지 VT7) 를 보여준다. 많은 가능한 예들중하나로, 이러한 상태 (VT0 내지 VT7) 는 VT0 는 가장 낮은 임계 전압을, VT7 은 가장 높은 임계 전압인 메모리 셀 임계 전압들을 나타낼 수 있다.
8가지 상태 메모리 셀값 (VT0 내지 VT7) 은 감지되어 3자리의 2진값으로 인코드될 수 있다. 3자리 2진값은 하위 데이터, 중위 데이터 및 상위 데이터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메모리 셀의 특정 상태는 하나의 워드 라인을 7개의 상이한 단에서 상이한 레벨로 구동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7개의 출력값들중 3개는 래치되어 하위 데이터, 중위 데이터 및 상위 데이터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 은 메모리 셀이 다단 판독 동작의 각 단에서 어떻게 응답할 수 있는지의 일례를 도시한다. 예컨대, 만약 메모리 셀이 VT0 의 상태를 갖는다면, 각 단(예컨대, 워드 라인 전압 레벨)은 메모리 셀을 턴온할 것이다. 그러므로, 제 1 내지 제 7 열들은 모두 “ON”의 값들을 가질 것이다. 또다른 예로, 만약 메모리 셀이 VT4의 상태를 갖는다면, 메모리 셀은 제 1 내지 제 4 단들에 대해 오프로 남아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 5 내지 제 7 단에 대해서는 메모리 셀이 턴온될 것이다. 그러므로, 제 1 내지 제 4 열들은 “OFF”의 값을 가지고 제 5 내지 제 7 의 열들은 “ON”의 값을 가질 것이다.
이제,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시간 주기 T1에서, 하나의 워드 라인은 7개의 액티브 레벨들중 네번째 것(4) 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메모리 셀이 8개의 상태들중 4개를 갖는지를 실질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의 특정 경우에, 감지 증폭기는 메모리 셀이 ON 또는 OFF 인지를 가리키는 값을 출력시킬 수 있다. 만약 메모리 셀이 ON이면, 메모리 셀은 VT0 내지 VT3의 범위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셀이 OFF이면, 메모리 셀은 VT4 내지 VT7 의 범위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 4단의 결과가 발생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1 동안에, φ4 신호가 로우로 될 수 있어 감지 증폭기 출력이 제 1 래치 회로 (211) 에 공급되도록 한다. 일반적인 동일한 시각에, 제어 신호쌍 (AL/BL) 은 클록 동작 인버터 (181) 를 턴온시킬 수 있고, 제어 신호쌍 (BL/BH, CL/CH) 은 클록 동작 인버터 (182, 183) 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래치 회로 (211) 에서의 값이 출력 회로 (191) 에 제공될 수 있고, 한편 제 2 래치 회로 (212) 와 제 3 래치 회로 (213) 에서 이전에 래치된 값들은 클록 동작 인버터 (182, 183) 에 의해 출력 회로 (191) 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하위 데이터값이 출력 회로 (191) 에 제공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2 에서, 하나의 워드 라인이 비활성 (0) 레벨로 구동될 수 있다. 기술된 응답에서, 레벨 0 워드 라인값은 메모리 셀 상태에 무관하게 메모리 셀이 OFF 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주기 T2 동안에, φ4 신호가 하이로 될 수 있다. φ4 신호가 하이가 되어, 제 1 래치 회로 (211) 는 제 4단 결과를 래치할 수 있다. 제어 신호쌍 (AL/AH, BL/BH 및 CL/CH) 은 계속해서 클록 동작 인버터 (181) 를 인에이블시키고, 클록 동작 인버터 (182, 183) 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제 1 래치 회로 (211) 에 기록된 제 4단 결과는, 어느 신호 (φ2 또는 φ6) 가 제 2 래치 회로 (212) 에 제공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라.이런 식으로, 제 1단 결과(예컨대, 제 4단 결과)는 몇몇 다른 단 결과들(예컨대, 제 2단 또는 제 6단 결과)중 어느 것이 래치되어 출력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다른 각도에서 보면, 제 4단 결과는 판독 동작에서 메모리 셀 상태를 더 한정하기 위해 제 2단 결과 또는 제 6단 결과가 필요할지를 가리킬 수 있다.
시간 주기 T3에서, 하나의 워드 라인은 7개의 액티브 레벨들중 두번째 것(2) 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전의 제 4단 결과와 연계하여, 이러한 동작은 메모리 셀이 2개의 상태들중 하나를 가질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만약 제 4단 결과(제 1 래치 (211) 에서의 값)가 메모리 셀이 VT0 내지 VT3 의 범위에 있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면, 첫번째 제 2 결과(워드 라인이 레벨 2에 있을 때 감지 증폭기 (133) 의 출력)는 가능한 값들을 2개의 상태들로 더 한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의 예에서, 만약 제 2 단에서의 감지 증폭기가 메모리 셀이 ON이라는 것을 가리킨다면, 메모리 셀은 VT0 또는 VT1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메모리 셀이 OFF라면, 메모리 셀은 VT2 또는 VT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제 4단 결과가 메모리 셀이 VT0 또는 VT3 상태를 갖는 것을 가리킨다면, 제 1 래치 회로 (211) 로부터의 출력은 제 2 래치 회로 (212) 를 제어하는 φ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이 상기될 것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주기 T3 동안에 φ2 신호는 로우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메모리 셀 상태를 더 한정하기 위해 제 2단 결과가 필요하다면, 이러한 제 2단 결과는 φ2 신호의 동작에 의해 제 2 래치 회로 (212) 의 입력이 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일한 시각에, 제어 신호쌍 (BL/BH) 은 클록 동작 인버터 (182) 를 턴온시킬 수 있고, 제어 신호쌍 (AL/AH) 은 클록 동작 인버터 (181) 를 턴오프시킨다. 그러므로, 제 2 래치 회로 (212) 의 값은 출력 회로 (191) 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신호쌍 (CL/CH) 은 클록 동작 인버터 (183) 를 계속해서 턴오프시킬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 4단 결과는 출력 회로 (009) 에 대한 하위 데이터값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제 4단 결과는 제 2단 또는 제 6단 결과가 중위 데이터값을 제공하기 위해 래치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시간 주기 T4에서, 워드 라인은 7개의 활성 레벨들 중 여섯번째 것(6) 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전의 제 4단 결과와 관련하여, 이러한 동작은 메모리 셀이 2개의 상태들 중 하나를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만약 제 4단 결과(제 1 래치 (211) 에서의 값)가 메모리 셀이 VT4 내지 VT7 의 범위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키면, 제 6단 결과(워드 라인이 레벨 6에 있을 때의 감지 증폭기 (133) 의 출력)는 가능한 값들을 2가지 상태로 더 한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의 예에서, 제 2단에서의 감지 증폭기가 메모리 셀이 ON이라는 것을 가리킨다면, 메모리 셀은 VT4 또는 VT5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메모리 셀이 OFF라면 메모리 셀은 VT6 또는 VT7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제 4단이 메모리 셀이 VT4 내지 VT7 의 상태를 갖는 것을 가리킨다면, 제 1 래치 회로 (211) 의 출력은 제 2 래치 회로 (212) 를 제어하는 φ6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주기 T4 동안에, φ6 신호는로우가 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 6단 결과가 메모리 셀 상태를 더 한정시키기 위해 필요하다면, 이러한 제 6단 결과는 φ6 신호의 동작에 의해 제 2 래치 회로 (212) 에 입력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일한 시각에, 제어 신호쌍 (AL/AH, BL/BH 및 CL/CH) 은 클록 동작 인버터 (181, 183) 를 오프로 유지시키고, 클록 동작 인버터 (182) 를 온으로 유지시킨다. 또, φ2 신호는 하이이다.
시간 주기 T2′에서, 하나의 워드 라인은 재차 비활성 (0) 레벨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주기 T2′동안에, φ6 신호는 하이로 전환될 수 있다. φ2와 φ6 신호 모두 하이이면, 제 2 래치 회로 (212) 는 제 1 래치 회로 (211) 에 래치된 값에 따라 제 2단 또는 제 6단 결과를 래치할 수 있다. 제어 신호쌍 (AL/AH, BL/BH 및 CL/CH) 은 계속해서 클록 동작 인버터 (182) 를 인에이블시키고, 클록 동작 인버터 (181, 183) 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중위 데이터값이 출력 회로 (191) 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래치 회로 (212) 에 기록된 제 2단 또는 제 6단 결과는, 제 1 래치 회로 (211) 에 래치된 제 4단 결과와 연계되어 어느 신호 (φ1, φ3, φ5 또는 φ7) 가 제 3 래치 회로 (213) 에 제공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이전 단의 결과들(예컨대, 제 4단 결과와 제 2단 또는 제 6단 결과)은 몇몇 다른 단의 결과들(예컨대, 제 1단, 제 3단, 제 5단 또는 제 7단 결과)중 어느 것을 래치하고 출력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다른 방식으로 보면, 제 4단과 제 2단/제 6단 결과들은 제 1단, 제 3단, 제 5단 또는 제 7단 결과들중 어느 것이 메모리 셀 상태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데 필요할지를 가리킬 수 있다.
시간 주기 T5에서, 워드 라인은 7개의 액티브 레벨중 첫번째 것(1) 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전의 제 4단과 제 2단/제 6단 결과들과 연계되어 이러한 동작은 메모리 셀이 2개의 상태들중 하나를 가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만약 제 4단과 제 2단 결과들이 메모리 셀이 VT0 또는 VT1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키면, 제 1단 결과(워드 라인이 레벨 1 에 있을 때 감지 증폭기 (133) 의 출력)는 메모리 셀이 2개의 상태들 (VT0 또는 VT1 상태) 중 어느 것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의 예에서, 만약 감지 증폭기가 메모리 셀이 ON이라는 것을 가리킨다면, 메모리 셀은 VT0 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메모리 셀이 OFF이면, 메모리 셀은 VT1 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제 4단과 제 2단/제 6단 결과들이 메모리 셀이 VT0 또는 VT1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키면,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들(211, 212)로부터의 출력들은 제 3 래치 회로 (213) 를 제어하는 φ1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주기 T5 동안에 φ1 신호는 로우로 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만약 제 1단 결과가 메모리 셀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이러한 제 1단 결과는 φ1 신호의 동작에 의해 제 3 래치 회로 (212) 에의 입력이 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6 에서, 워드 라인은 7개의 액티브 레벨들중 세번째 것(3) 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전의 제 4단 및 제 2단/제 6단 결과들과 연계하여, 이러한 동작은 메모리 셀이 2개의 상태들중 하나를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만약 제 4단과 제 2단 결과들이 메모리 셀이 VT2 또는 VT3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키면, 제 3단 결과(워드 라인이 레벨 3 에 있을 때 감지 증폭기 (133) 의 출력)는 메모리 셀이 2개의 상태들 (VT2 또는 VT3) 중 어느 것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의 예에서, 만약 감지 증폭기가 메모리 셀이 ON이라는 것을 가리킨다면, 메모리 셀은 VT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메모리 셀이 OFF 라면, 메모리 셀은 VT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단의 경우에서와 같이, 만약 제 4단 및 제 2단/제 6단 결과들이 메모리 셀이 VT2 또는 VT3 상태를 갖는다는 것을 가리키면, 제 1 및 제 2 래치 회로들(211, 212)로부터의 출력은 제 3 래치 회로 (213) 를 제어할 수 있는 φ3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주기 T6 동안에 φ3 신호는 로우가 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만약 제 3단 결과가 메모리 셀 상태를 결정하는데 필요하다면, 이러한 제 3단 결과는 φ3 신호의 동작에 의해 제 3 래치 회로에의 입력이 될 수 있다.
시간 주기 (T7, T8) 는 시각 T5 와 시각 T6 의 동작들과 유사한 동작들을 가진다. 그러나, 시간 주기 T7 동안에, 만약 이러한 값이 VT4 와 VT5 상태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제 5단 값이 제 3 래치 회로에의 입력이 될 수 있다. 유사하게, 시간 주기 T8 동안에, 이러한 값이 VT6 와 VT7 상태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제 7단 값은 제 3 래치 회로 (213) 에의 입력이 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주기 T5 내지 T8 동안에, 제어 신호쌍 (AL/AH, BL/BH 및 CL/CH) 은 클록 동작 인버터 (181, 182) 를 턴오프시키고 클록 동작 인버터 (183) 를 턴온시킨다.
시각 T8 에서, 제 3 래치 회로는 클록 동작 인버터 (183) 에 의해 출력이 될 수 있는 제 1단, 제 3단, 제 5단 또는 제 7단 결과를 기록할 것이다.
상술한 제 2 실시예는 증폭기당 3개의 래치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는 8개의 값을 가지는 다단 판독 회로를 설명했다. 이는 더 많은 수의 래치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접근보다 전체적으로 더 작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는 오직 3개의 클록 동작 인버터들만을 포함하는 인코딩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8개의 값을 가진 다단 판독 회로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종래의 접근보다 더 작고/또는 빠른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다단 판독 회로들과 방법들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어떻게 N개의 값(여기서 N 은 3보다 큰 수이다)이 적어도 하위 데이터값과 상위 데이터값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N개의 값은 다양한 시각(예컨대, 워드 라인의 활성화)에서 판단될 수 있다(감지 증폭기 등). 하위 데이터 값은 언제 판단된 값이 상위 데이터 값을 제공하기 위해 기억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이러한 값들을 분류할 때 N개의 값들보다 적게 기록하는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더 작은 회로 크기 및/또는 더 빠른 회로 속도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다양한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되었고, 본 발명은 그것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대체 및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 정의되는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으로 된다.

Claims (20)

  1. 3이상을 나타내는 N개의 상태들 중 하나를 가리키는 일련의 단의 값들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노드;
    단의 값들중 하나를 기억시킴으로써 제공된 하위 데이터 값과 상위 데이터 값을 포함하며, N개의 상태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출력값을 제공하는 N개 미만의 기억 회로들; 및
    상이한 단의 값들중 어느 것이, 하위 데이터 값에 따라 상위 데이터 값으로 N개의 기억 회로들에 기억될지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위 및 상위 데이터 값들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인코더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 회로는, 클록 동작 논리 회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갖는 신호 경로들과 전송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노드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감지 증폭기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증폭기 출력은 상이한 워드 라인 레벨들에 대한 메모리 셀의 응답을 가리키는 단의 값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이한 단의 값과 일치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중 하나를, 하위 데이터 값에 따라 래치 회로들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어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억 회로들의 수는 2보다 크고 그 출력값은 제 1단 값에 의해 제공된 제 1 하위 데이터 값과 제 1 하위 데이터 값에 따라 제 2단 값을 선택적으로 기억시킴으로써 제공되는 제 2 하위 데이터 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제 1 및 제 2 하위 데이터 값들에 따라 상이한 단의 값들중 어느 것이 상위 데이터로 기억될 것인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8. 2보다 큰 수를 나타내는 N개의 상태들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는 복수의 단의 값들 중 첫번째 값을 기억시키는 제 1 래치 회로;
    활성화될 때 복수의 단의 값들중 두번째 값을 수신할 수 있는 제 2 래치 회로 및
    제 1 래치 회로의 출력을 수신하여 제 2 래치를 활성화시키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는 제어 신호 입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신호 입력이 액티브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 활성화되며,
    상기 제어 회로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중 하나를 제어 신호 입력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 2 래치의 제어 신호 입력과 각 제어 신호 사이의 신호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제 1 래치 회로의 출력에 따라 신호 경로들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각 단의 값은 상이한 입력 값 레벨에 대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기억 셀의 응답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 단의 값은 상이한 워드 라인 레벨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기록 셀이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는지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13. 제 8 항에 있어서,
    활성화될 때 복수의 단의 값들중 세번째 값을 수신할 수 있는 제 3 래치 회로 및
    제 2 래치 회로의 출력을 더 수신하여 제 3 래치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회로.
  14. 2보다 큰 수를 나타내는 N개의 상태들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는 복수의 단의 값들을 제공하는 단계;
    하위 데이터 값과 상위 데이터 값을 포함하며, N보다 적은 M개의 데이터 값들로서 N개의 상태들중 하나를 나타내는 단계;
    하위 데이터 값으로 복수의 단의 값들중 첫번째 값을 확보하는 단계; 및
    하위 데이터 값에 따라 상위 데이터 값으로 복수의 단의 값들중 두번째 값을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의 값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이한 입력 레벨에 대한 회로 셀 응답에 상응하는 복수의 감지 증폭기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의 값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이한 워드 라인 레벨들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이 온 또는 오프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의 값들중 첫번째 값을 확보하는 단계는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단 값을 입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의 값들중 두번째 값을 선택하는 단계는, 제 1단 값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제어 신호들중 하나에 응답하여 제 2단 값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위 및 하위 데이터 값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위 및 하위 데이터 값들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단계는, 제 1 래치와 출력 노드 사이의 제 1 신호 경로를 인에이블시킨 후에 제 2 래치와 출력 노드 사이의 제 2 신호 경로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판독 방법.
KR10-2000-0055775A 1999-09-24 2000-09-22 다단 판독 작동 방법 및 회로 KR100378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23399A JP2001093289A (ja) 1999-09-24 1999-09-24 多段階読み出し回路および多段階読み出し方法
JP99-270233 199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592A KR20010050592A (ko) 2001-06-15
KR100378855B1 true KR100378855B1 (ko) 2003-04-07

Family

ID=1748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775A KR100378855B1 (ko) 1999-09-24 2000-09-22 다단 판독 작동 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69028B1 (ko)
JP (1) JP2001093289A (ko)
KR (1) KR100378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768A (ko) * 2014-06-04 2015-12-14 인텔 코포레이션 멀티스테이지 메모리 셀 판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6381B1 (en) * 1999-09-28 2003-02-04 Intel Corporation Supplying voltage to a memory module
US6587384B2 (en) * 2001-04-21 2003-07-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function serial I/O circuit
US8935590B2 (en) * 2012-10-31 2015-01-13 Infineon Technologies Ag Circuitry and method for multi-bit cor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657B2 (ja) * 1997-07-31 2001-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090104B2 (ja) * 1997-10-27 2000-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768A (ko) * 2014-06-04 2015-12-14 인텔 코포레이션 멀티스테이지 메모리 셀 판독
KR101684104B1 (ko) 2014-06-04 2016-12-07 인텔 코포레이션 멀티스테이지 메모리 셀 판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93289A (ja) 2001-04-06
KR20010050592A (ko) 2001-06-15
US6269028B1 (en) 200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351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flash write mode of operation
JP3095064B2 (ja) 連想記憶装置
JP2501993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707692B2 (en) Content addressable memory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as binary CAM device or as ternary CAM device and structure method therefor
JP2560020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5963495A (en) Dynamic sense amplifier with embedded latch
US6594194B2 (en) Memory array with common word line
JPH08297982A (ja) 多値メモリセルを有する半導体記憶装置
KR100680520B1 (ko) 프리셋 스위치를 갖는 멀티-포트 메모리 셀
JPS5858760B2 (ja) 読取専用記憶装置
US6762972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of
JP3259764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738306B2 (en) SRAM cell with single-ended and differential read/write ports
KR100578233B1 (ko) 동기식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가변제어장치
KR920006981A (ko) 반도체 메모리
US6539452B2 (en) Semiconductor redundant memory provided in common
KR100378855B1 (ko) 다단 판독 작동 방법 및 회로
JP2009238367A (ja) メモリ装置
JPH09139075A (ja) Dramアレイ
US7034572B2 (en) Voltage level shifting circuit and method
JP4405215B2 (ja) メモリ装置
KR970051151A (ko) 외부 데이타의 입력없이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 반도체 기억 장치
US7508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refresh for global out of range read requests
JPH1021687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826110B2 (en) Cell circuit for multiport memory using dec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