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996B1 -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996B1
KR100376996B1 KR10-2000-0035223A KR20000035223A KR100376996B1 KR 100376996 B1 KR100376996 B1 KR 100376996B1 KR 20000035223 A KR20000035223 A KR 20000035223A KR 100376996 B1 KR100376996 B1 KR 100376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il
coils
inductance
inductanc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427A (ko
Inventor
이청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9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한 쌍의 코일이 병렬로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빔을 편향하도록 하는 수평 편향코일의 인덕턴스 매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수평코일을 두 개로 분리하여 두 쌍의 수평코일을 형성한 후, 이분화되어진 두 쌍의 수평코일 그 각각에 대한 인덕턴스 매칭을 연동시켜 수행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인덕턴스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을 제공하면 수평 편향코일을 구성하는 상하측 수평코일의 인던턴스 매칭이 보다 세밀해짐에 의해 청빔과 적빔이 서로 교차하는 Xv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Improvement method for unbalance control of horizontal coil}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전스의 보상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평코일의 인덕턴스 매칭을 위해 하나의 수평코일을 두 개로 분리하여 즉 한 쌍의 수평코일을 두 쌍의 수평코일로 이분화시킨 후 그 각각에 대한 인덕턴스 매칭을 연동시켜 수행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인덕턴스 매칭을 시킴으로써 수평 코일의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에서 수평코일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코일이 병렬로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빔을 편향하도록 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세들-세들형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장치의 회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참조번호 12a와 12b로 표시되는 부분이 수평 편향코일이며, 참조번호 B/C로 표시되는 부분이 발란스 코일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편향코일 부분만을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독립시켜 살펴보면, 제 1수평코일(HL1)과 제 2수평코일(HL2)의 인덕턴스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 발란스 코일(BC)을 두고 있는데, 첨부한 도 3에서와 같이 불균형의 발생되는 경우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발란스 코일(BC)의 코어(core)를 이동시키므로써 상하 수평 편량코일의 인덕턴스를 매칭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여러 요인에 의해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청빔과 적빔이 서로 교차하는 Xv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억제 및 보정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평코일의 인덕턴스 매칭을 시켜야 하지만, 정밀한 인덕턴스 매칭이 수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평코일의 인덕턴스 매칭을 위해 하나의 수평코일을 두 개로 분리하여 즉 한 쌍의 수평코일을 두 쌍의 수평코일로 이분화시킨 후 그 각각에 대한 인덕턴스 매칭을 연동시켜 수행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인덕턴스 매칭을 시킴으로써 수평 코일의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세들-세들형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중 수평 편향코일 부분의 구성예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코일의 인덕턴스 매칭 회로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예와는 다른 실시 예,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예와는 또 다른 실시 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하 한 쌍의 코일이 병렬로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빔을 편향하도록 하는 수평 편향코일의 인덕턴스 매칭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수평코일을 두 개로 분리하여 두 쌍의 수평코일을 형성한 후, 이분화되어진 두 쌍의 수평코일 그 각각에 대한 인덕턴스 매칭을 연동시켜 수행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인덕턴스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코일의 인덕턴스 매칭 회로의 구성도로서,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제 2수평코일(HL1a, HL2a)와, 상기 제 1, 제 2수평코일(HL1a, HL2a)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 코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제 2수평코일(HL1a, HL2a)의 인덕턴스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 제 1발란스 코일(BCa)로 이루어지는 제 1수평 편향코일부와; 상기 제 1발란스 코일(BCa)에 연동하는 제 2발란스 코일(BCb)과,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타단은 상기 제 2발란스 코일(BCb)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한 쌍의 제 3, 제 4수평코일(HL1b, HL2b)로 구성되는 제 2수평 편향코일부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예와는 다른 실시 예로서,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제 2수평코일(HL1a, HL2a)와, 상기 제 1, 제 2수평코일(HL1a, HL2a)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 코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제 2수평코일(HL1a, HL2a)의 인덕턴스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 제 1발란스 코일(BCa)로 이루어지는 제 1수평 편향코일부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한 구조이다.
또한,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예와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측과 하측의 수평코일을 두 개로 분리하고 그 사이에 내부 코어의 이동에 따라 인덕턴스의 분배비가 변화하는 발란스 코일(BC)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상술한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각각의 실시 예는 동일한 사상에서 출발한 기술로서, 하나의 수평코일을 두 개로 분리하여 즉 한 쌍의 수평코일을 두 쌍의 수평코일로 이분화시킨 후 그 각각에 대한 인덕턴스 매칭을 연동시켜 수행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인덕턴스 매칭을 시키기 위한 것다.
즉, 통상 인덕턴스 매칭을 위해 혹은 병렬로 연결된 회로에 동일한 전류를 흐르게하기 위해 절연트랜스 포머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느 일측의 인덕턴스의 매칭동작이 다른 일측에 영향을 주어 전체적으로 상하 측의 수평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량의 조정함으로써 인덕턴스를 매칭시키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을 제공하면 수평 편향코일을 구성하는 상하측 수평코일의 인던턴스 매칭이 보다 세밀해짐에 의해 청빔과 적빔이 서로 교차하는 Xv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

  1. 상하 한 쌍의 코일이 병렬로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빔을 편향하도록 하는 수평 편향코일의 인덕턴스 매칭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수평코일을 두 개로 분리하여 두 쌍의 수평코일을 형성한 후, 이분화되어진 두 쌍의 수평코일 그 각각에 대한 인덕턴스 매칭을 연동시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
KR10-2000-0035223A 2000-06-26 2000-06-26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 KR100376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223A KR100376996B1 (ko) 2000-06-26 2000-06-26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223A KR100376996B1 (ko) 2000-06-26 2000-06-26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427A KR20020000427A (ko) 2002-01-05
KR100376996B1 true KR100376996B1 (ko) 2003-03-26

Family

ID=1967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223A KR100376996B1 (ko) 2000-06-26 2000-06-26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9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7934A (ja) * 1991-01-21 1992-08-26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
JPH0676761A (ja) * 1992-07-10 1994-03-18 Sony Corp 偏向ヨーク
KR0123344Y1 (ko) * 1992-05-22 1998-10-01 황선두 편향요크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장치
JP2000048739A (ja) * 1998-07-31 2000-02-18 Sony Corp 偏向ヨー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7934A (ja) * 1991-01-21 1992-08-26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
KR0123344Y1 (ko) * 1992-05-22 1998-10-01 황선두 편향요크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장치
JPH0676761A (ja) * 1992-07-10 1994-03-18 Sony Corp 偏向ヨーク
JP2000048739A (ja) * 1998-07-31 2000-02-18 Sony Corp 偏向ヨー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427A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2919C (fi) Bildaotergivningssystem med foerenklad konvergens
JPS63225462A (ja) カラ−受像管
JPS6237849A (ja) 偏向ヨ−ク装置
KR100189286B1 (ko) 편향요크 및 그것을 구비한 음극선관장치
KR100376996B1 (ko) 수평 코일의 불균형 제어 개선 방법
US6097163A (en) Electron beam deflection apparatus using an auxiliary deflection coil and a compensation coil
US5498939A (en) Deflection yoke and cathode ray tube having the same
US6285141B1 (en) Deflection yoke and cathode ray tube
KR20010086319A (ko)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JPS6039742A (ja) 偏向ヨ−ク
KR100487864B1 (ko) 브라운관용편향요크의컨버젼스요크
KR100376995B1 (ko) 인어 핀 개선 회로
JPH0723405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磁偏向ヨーク
KR20020050074A (ko) 편향 요오크 및 음극선관 장치
US6252359B1 (en) Deflection apparatus
JP3482219B2 (ja) 偏向ヨーク
KR960015318B1 (ko) 칼라수상관용 편향장치 및 칼라수상관장치
KR0120082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366786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810001808B1 (ko)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JP2000182538A (ja) 偏向ヨーク
JPH0927282A (ja) 偏向ヨーク
JPH06243801A (ja) 偏向ヨーク
JPS6292595A (ja) ミスコンバ−ゼンス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