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518B1 -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518B1
KR100376518B1 KR10-1999-0042741A KR19990042741A KR100376518B1 KR 100376518 B1 KR100376518 B1 KR 100376518B1 KR 19990042741 A KR19990042741 A KR 19990042741A KR 100376518 B1 KR100376518 B1 KR 100376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charge
deviation
furnace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940A (ko
Inventor
채영근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42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5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입물의 상층레벨에 따라서 장입물 레벨이 낮은 쪽으로 더 많은 량이 장입되도록 선회슈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장입물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연화융착대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로에 장입될 장입물이 수입되고 장입물이 장입기준선에 도달되면 노벽쪽 장입물의 레벨을 원주방향을 따라 검출하고, 검출된 장입물 레벨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편차가 설정된 관리범위이내인지를 체크하여, 장입물레벨편차가 관리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노내 장입영역을 원주방향별로 소정 각도로 등분하여 소정 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검출된 장입물레벨에서 최고레벨과 최저레벨을 평균하여 기준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레벨보다 장입물레벨이 낮은 구간을 편차보상구간으로 설정하여, 편차보상구간에서의 평균 레벨 복귀까지 필요한 노내 체적을 계산한 후, 계산된 체적으로부터 광종별 비중과 유량특성을 근거로 평균레벨 복귀까지 필요한 량 및 그 량에 따라 선회속도를 계산하여, 장입시 편차보상구간에서는 상기 산출된 편차보상용 회전속도로 선회속도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CHARGE CONTROL METHOD HAVING FUNCTION FOR COMPENSATING LEVEL VARIATION OF CHARGE IN BLAS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Blast Furnace)에 연료 및 원료를 장입할 때, 원주방향별 장입물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괴상대 및 연화융착대의 통기저항을 감소시키며 노저의 방향별 용융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철광석을 넣고 코크스를 태워서 철광석중의 산소를 제거하고 용해시켜 선철로 만드는 것으로, 이러한 고로 상부에는 연료인 코크스와 원료인 철광석을 장입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10)의 정상에서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원료장입용 콘베어벨트(5)가 설치되어 있으며, 노의 상부에는 원료를 균등히 배분하여 고로 안으로 넣기 위한 장입장치로서 노정호퍼(6)와, 선회,경동하여 상기 노정호퍼(6)의 연/원료를 고로(10)내에 장입하는 선회슈터(8)를 구비하고, 고로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압력, 온도, 성분 및 장입원료의 하강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계측기등 여러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코크스(1)와 대립소결광(185)과 소립소결광(13)은 콘베어밸트(5)의 지면측 상부에 위치한 호퍼(4)에 각각 저장되고, 상기 호퍼(4)를 통해 일정량이 콘베어밸트(5)로 배출되면, 움직이는 콘베어밸트(5)를 통해 코크스, 대립소결광, 소립소결광등이 차례로 노정호퍼(6)에 저장된다. 이렇게 노정호퍼(6)내에 적정레벨의 연/원료가 저장되면, 노정 장입장치를 이용하여 선회슈터(11)를 선회 및 경동시켜 연료를 장입하는데, 철광석과 코크스를 1차지(charge)(장입원료가 코크스, 대립철광석, 소립철광석 순으로 장입되는 주기) 장입할 때마다 일정한 각도(즉, 60°)씩 경동하고, 6차지씩마다는 정회전(forward), 역회전(reverse)을 반복하면서 1.0~1.2m의 코크스 테라스(terrace)를 형성하고, 그 위에 철광석(페로스라고도 한다)을 장입물하중에 의해서 층이 형성되도록 장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고로(10) 하부의 풍구(9)로 예열된 공기를 불어넣으면, 뜨거운 공기에 의해 코크스가 타면서 철광석을 녹여 용선을 만든다.
이러한 고로조업은 고로(10) 내부의 연,원료 분포상태가 안정되고 가스의 흐름이 전체적으로 양호한 조건하에서 철광석이 환원 및 용융되며 용광로 바닥부에 모여진 용융물(14)이 노외로 양호하게 배출되어야만 경제적인 조업수행이 가능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과 고로수명 연장을 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연료에 비한 비싼 코크스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이렇게 코크스를 연료로 사용하더라도 노정 장입장치의 고장이나, 광석비 변동, 연료/원료 성상 변동, 감풍등으로 인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정의 원주방향별 장입물의 레벨(21,22)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정상적일 때에는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테라스(T)가 형성된 코크스층(l1)위에 철광석이 그 무게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혼합층(l2,l3)이 형성되는데, 앞서 말한 여러가지 문제에 기인하여, 장입물레벨이 달라지면 장입기준선이 원주방향별로 불균일해지고, 소정치 이상(예를 들어, 0.3m) 편차가 발생하면 대립소결광 장입시 낙하궤적으로 인하여 코크스 테라스의 노벽쪽으로 장입되어 선단부에 안착되지 않기 때문에 혼합층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통상 고로조업에서는 입도가 작고 기공이 상대적으로 거의 없는 광석층으로는 가스가 흐르지 못하고 입경이 크고 기공이 상대적으로 많은 코크스층을 통하여 가스가 흐르게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혼합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가스흐름이 불균일해진다.
즉,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크스 테라스가 짧게 형성되는 장입레벨이 낮은 쪽으로 열전달이 더 많아져 연화융착대(31)의 정층(頂層)이 중심에 있지 않고 장입물 레벨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고, 노내 가스의 흐름도 바뀌게 된다.
그리고, 용광로 내부에서 가스와 장입물의 반응이 불균일 해지면 장입물의 용융속도가 변하여 연화융착층 형상이 방향 별로 상이해지며 풍구(9)로 들어가는 풍량이 변화하여, 원주방향별 장입물 레벨이 일정치 않게 되고, 노정의 장입물분포가 불균일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또한, 장입물레벨이 낮은 쪽의 장입물 강하속도가 더 빨라짐으로서 낮은 레벨쪽의 노하부 연화융착대 근부(32)가 비대해지고 쳐져서, 미환원광석 및 저승온광석(33)의 낙하로 인하여 직접 환원이 증대되어 노저부에 모인 용융물의 온도 및 화학적 성분이 출선구별로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이는 결국, 생산성 저하 및 노수명 단축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입물의 상층레벨에 따라서 장입물 레벨이 낮은 쪽으로 더 많은 량이 장입되도록 선회슈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장입물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연화융착대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로에 연료 및 원료를 장입하는 공정을 보이는 개략설비도이다.
도 2는 고로에 연료 및 원료 장입시 장입기준선 변화에 따른 층형상 및 편차발생을 보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장입물의 레벨편차 발생시와 레벨편차가 없는 경우의 연화융착대 형상을 비교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회전속도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고로 내부의 원주방향별 편차 보상 구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 편차 보상 방법이 적용된 장입제어플로우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입제어방법에 따라서 동작하는 장입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우의 고로내부 중심온도 및 용선온도의 변화를 종래와 비교하여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선회슈터
10 : 고로
T : 코크스테라스
d : 장입기준선편차
41 : 장입기준선그래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에 있어서,
고로에 장입될 장입물이 수입되고 장입물이 장입기준선에 도달되면 노벽쪽 장입물의 레벨을 원주방향을 따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장입물 레벨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편차가 설정된 관리범위이내인지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장입물레벨편차가 관리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노내 장입영역을 원주방향별로 소정 각도로 등분하여 소정 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검출된 장입물레벨에서 최고레벨과 최저레벨을 평균하여 기준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레벨보다 장입물레벨이 낮은 구간을 편차보상구간으로 설정하여, 편차보상구간에서의 평균 레벨 복귀까지 필요한 노내 체적을 계산하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계산된 체적으로부터 광종별 비중과 유량특성을 근거로 평균레벨 복귀까지 필요한 량을 계산하고 그 량에 따라 선회슈트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제4단계와;
장입물레벨편차가 관리범위 내일때는 설정된 기준속도로만 선회슈터를 회전시키며 장입하도록 하고, 관리범위를 벗어날때는 편차보상구간이 아닐때에는 상기 기준속도로 편차보상구간에서는 상기 산출된 편차보상용 회전속도로 선회속도를 가변시키면서 장입시키는 제5단계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고로내의 연료 및 원료 장입개념을 설명한다.
고로(10)내 연/원료 장입시 코크스 테라스(T)의 길이를 일정하게 형성하여야 하는 이유는 노내 반경 방향의 총거리중 코크스 테라스가 형성되는 길이는 혼합층(l2)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외란요인에 의해 변화하지 않는 영역이며, 코크스 테라스 길이(T)가 조성된 만큼 소립 소결광(l3)을 장입하기 때문에, 상기 영역은 가스류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이 되며, 가스류의 흐름이 적다는 것은 노벽부의 온도가 낮아서 노벽부 열부하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고로 수명을 연장시키는 바람직한 현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즉, 코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길이(예를 들어, 1.0m)로 코크스테라스를 형성하여 노벽부의온도를 안정치 이하로 관리하여야 한다.
또한, 코크스 테라스를 1.0m 수준으로 형성하면서 대립소결광 장입시에는, 도 2의 우측에 도시한 형상과 같이, 대립소결광이 코크스 선단부에 안착되도록 장입하므로써 중간부와 중심부에서 혼합층을 형성하여 안정된 가스 흐름을 유도하는 조업을 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광석 및 코크스층을 형성해주어 코크스층을 통하여 가스흐름을 유도한 뒤, 이에 더하여 코크스층의 일부와 광석층의 일부가 혼합되는 혼합층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줌으로서, 통기성 개선효과를 더욱 좋게하여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 이상의 테라스가 형성되어 혼합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로 장입물의 상부레벨을 원주방향(360도)으로 검출하고, 그 레벨편차를 보상하도록 선회슈터(8)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이때, 고로(10) 내부의 장입물 상부레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로(10) 상부에 설치된 레벨검출기(7)로 검출한다.
상기와 같이 레벨검출기(7)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서 검출된 고로장입물 상부의 노벽쪽 레벨이 도 4에 도시한 그래프(41)와 같이 나타난다고 할 때, 본 발명에서는 선회방향(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 각도씩 나누어 몇 개의 구간으로 구분한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일실시예에서는 원주방향별 장입물레벨을 60도의 각도로 등분하여 총 6개의 구간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41)에서, 원주방향물 고로장입물의 최고 레벨(h1)과 최저 레벨(h3)을 검출하고, 상기 최고레벨(h1)과 최저레벨(h3)의 중간값을 취하여 평균레벨(h2)을 설정하고, 장입물레벨이 상기 평균레벨(h2) 이하인 빗금친 부분을 편차보상구간(42)으로 지정하여, 상기 편차보상이 필요한 구간수를 산출한다. 이때, 편차보상구간(42)은 최저레벨에서 평균레벨 이하의 모든 구간이 포함되며 구간별로 다중선택이 가능하나 선회슈트(8)의 통상적인 회전속도와 고로(10)의 노구단면적을 고려하였을 때,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구간으로 나누면, 3구간 이상은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그리고, 평균레벨(h2)과 장입물레벨의 편차부분(빗금친부분)이 해당 구간의 50%이상이면 이 구간은 편차보상구간에 포함시키고, 50%미만이면 제외시킨다.
이렇게 편차보상구간이 설정되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편차보상용 구간의 체적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해진 편차보상구간의 체적을 다음 수학식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입물을 비중을 곱한 후 회전수로 나누어 1회전당 편차보상을 위해 장입하여야 할 장입물량을 산출한다.
상기에서, 장입물의 광종에 따른 비중은 다음의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광 종 비 중
코크스 0.5
대립소결광 2.0
그리고, 상기 산출된 장입량만큼 장입시키기 위한 선회슈트(8)의 회전속도를 산출한다. 보통 선회슈트(8)는 일정한 속도(예를 들어, 7.5sec/1회전, 60Hz)로 회전하는데, 장입물레벨이 평균보다 낮은 편차보상구간에서는 더 많은 양을 장입하도록 선회속도를 낮춰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편차보상구간이 1구간일 때와 2구간일 때와 3구간일 때,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회전속도 및 광종 별 장입량을 계산하면 다음의 표 2~표4와 같이 나타난다.
편차보상구간이 1구간일 때의 편차보상테이블
주파수(Hz) 회전속도(rpm) 시간(sec/회전) 전체시간(sec/회전) 구간시간(sec) extra coke량(톤/1회전) extra ore량(톤/1회전)
60 1800 7.50 7.50 0 0 0
55 1650 8.18 7.61 0.11 0.0278 0.1636
50 1500 9.00 7.75 0.25 0.0611 0.3600
45 1350 10.00 7.92 0.42 0.1019 0.6000
40 1200 11.25 8.13 0.63 0.1528 0.9000
35 1050 12.86 8.39 0.89 0.2183 1.2857
30 900 15.00 8.75 1025 0.3056 1.8000
25 750 18.00 9.25 1075 0.4278 2.5200
20 600 22.50 10.00 2.50 0.6111 3.6000
편차보상구간이 2구간일 때의 편차보상테이블
주파수(Hz) 회전속도(rpm) 시간(sec/회) 전체시간(sec/회전) 구간시간(sec) extra coke량(톤/1회전) extra ore량(톤/1회전)
60 1800 7.50 7.50 0 0 0
55 1650 8.18 7.73 0.23 0.0556 0.3273
50 1500 9.00 8.00 0.50 0.1222 0.7000
45 1350 10.00 8.33 0.83 0.2037 1.2000
40 1200 11.25 8.75 1.25 0.3056 1.8000
35 1050 12.86 9.29 1.79 0.4365 2.5714
30 900 15.00 10.00 2.50 0.6111 3.6000
25 750 18.00 11.00 3.50 0.8556 5.0400
20 600 22.50 12.50 5.00 1.2222 7.2000
편차보상구간이 3구간일 때의 편차보상테이블
주파수(Hz) 회전속도(rpm) 시간(sec/회) 전체시간(sec/회전) 구간시간(sec) extra coke량(톤/1회전) extra ore량(톤/1회전)
60 1800 7.50 7.50 0 0 0
55 1650 8.18 7.84 0.34 0.0833 0.4909
50 1500 9.00 8.25 0.75 0.1833 1.0800
45 1350 10.00 8.750 1.25 0.3056 1.8000
40 1200 11.25 9.38 1.88 0.4583 2.7000
35 1050 12.86 10.18 2.68 0.6548 3.8571
30 900 15.00 11.25 3.75 0.9167 5.4000
25 750 18.00 12.75 5.25 1.2833 7.5600
20 600 22.50 15.00 7.50 1.8333 10.8000
단, 상기 표2~표4는 코크스 1챠지 장입량 27.5 T, 1회전, 대립소결광 1챠지 장입량 108 T, 10회전으로 계산한 것으로, 장입량과 회전수 변동시 상기 값은 달라진다.
상기와 같이 편차보상 구간수별 편차보상테이블을 작성하여, 다음 챠지(charge)의 장입광종과 광석량, 편차보상구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작성된 편차보상테이블에서 해당 데이타를 적용하여, 선회슈트를 제어하도록 한다.
일례로, 차기 장입광석이 코크스이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출된 편차보상구간이 2구간이라면 편차레벨을 보상할 수 있는 1회전 량이 자동계산되어 표3에서 계산된 가장 근사치의 코크스량을 적용하여 편차보상을 위한 선회슈트(8)의 회전속도를 얻는다.
그리고, 노정 선회슈트(8)가 회전하면서 광석을 장입하다가 제어계인 노정 PLC(도시생략)로부터 편차보상구간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받으면, 상기 표3에서 선택한 속도로 선회슈트(8)를 회전시키고, 그러다가 다시 노정 PLC에서 편차보상구간 종료 신호를 받으면 선회슈트(8)를 다시 정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장입한다.
여기에서, 고로장입물의 최고레벨(620)과 최저레벨(622)의 차이가 소정 기준치(예를 들어, 0.3m) 이상이 되면, 경보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알수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준값은 해당 고로에서 노정에서의 장입물분포가 흐트러지기 시작하는 레벨편차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고로로의 장입제어과정을 도 5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콘베어밸트(5)를 통해 장입하고자 하는 광석, 코크스 또는 철광석을 장입호퍼(6)에 장입하고, 광석장입을 위한 목표 압력까지 충압시켜(502), 고로(10) 내로 장입물(코크스 또는 철광석)을 소정 기준선까지 장입시킨 후(503), 레벨검출기(7)를 내려 고로(10) 내 장입물의 상부레벨을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검출하여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레벨값중 최대레벨과 최소레벨의 편차가 설정값 이상인지를 체크한다(504).
이때, 장입물의 최대레벨과 최소레벨의 편차가 설정범위 이내라면, 보상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대로 레벨검출기(7)를 상승시킨 후(505), 선회슈터(11)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장입을 계속한다(507).
반대로, 상기 비교에서 장입물의 최대레벨과 최소레벨의 편차가 설정범위를 넘어선다면, 편차보상을 할지를 체크하여(506). 편차보상을 하지 않을 때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레벨검출기(7)를 상승시킨 후, 원래의 일정한 선회속도로 선회슈터(11)를 회전시키면서 장입을 계속한다.
그런데, 상기에서, 편차보상을 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6개로 나눠진 노내의 구간중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을 평균한 평균레벨을 기준으로, 평균레벨이하인 부분이 해당 영역의 50%이상인 구간을 편차보상구간으로 설정하고, 그 수를 산출한다(509).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성된 표2~4와 같은 편차보상 테이블에서 다음 차지에 장입할 장입물의 종류와 상기 단계(509)에서 산출된 편차보상구간수를 각 장입물의 종류별로 편차보상구간에서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1회전당 장입량과, 회전속도를 읽어들인다(510).
그리고, 상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선회슈터(11)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읽어들인 회전속도를 선회슈터제어기(즉, 도 6의 노정PLC(605))에 인가하고(511), 선회슈터(11)를 경동시킨다.
이에, 상기 선회슈터제어기는 최초 설정속도로 선회슈터(11)를 회전시키다가 편차보상구간에 이르면 상기 산출된 속도로 선회슈터(11)를 가속시키고, 편차보상구간이 끝나면 다시 정상속도로 복귀시켜, 레벨이 낮은 부분에서 더 많은 량의 장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507).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선회슈터(11)의 회전속도를 조정한 경우와 종래의 경우를 비교한 것으로서, 도 7a의 (A)는 종래방식에 의한 장입시의 반경방향 장입물의 상부온도를 보인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라서 선회슈터(11)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반경방향 장입물의 상부온도를 보인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노내 온도그래프가 좌우대칭에 가까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b는 노내 장입물의 상부온도를 원주방향별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종래의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각 구간별로 노내온도에 차이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각 구간별 노내온도 차이가 거의 없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7c는 노내에서 만들어진 용선의 방향별 온도편차를 보이는 그래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선온도에 편차가 발생하던 것이, 본 발명에 따라서 선회슈터(11)의 회전속도를 조정한 경우, 편차가 거의 없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수순으로 장입제어할 장치의 실시예를 간단하게 블럭도로 나타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입력부(601)은 기본적인 제어데이타를 입력하거나 편차보상여부를 지시 및 조업지에서 검출된 장입물의 레벨값을 입력하는 수단이고, 프로세스컴퓨터(602)는 상기 표2~표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계산된 편차보상구간수별 편차보상테이블이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된 장입물의 레벨검출값을 입력받아, 그 편차가 설정된 관리범위이내인지를 체크하고, 설정된 관리점위이내가 아닐때, 최고장입레벨과 최저장입레벨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등분되어 각 영역에서 상기 기준레벨보다 낮은 레벨이 50%이상인 구간을 편차보상구간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편차보상구간수를 산출하고, 그 편차보상구간수에 해당하는 편차보상테이블에서 보정선회속도값을 읽어들인다.
그리고, 순차적 전기신호제어기(603)은 상기 프로세스컴퓨터(602)의 산출결과에 따른
노정PLC(605)는 선회속도제어수단으로서, 상기 순차적 전기신호제어기(603)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선회속도를 직접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인버터(606)는 상기 노정PLC(60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선회슈터(8)를 구동하는 구동부(607)의 전원을 제어하여 선회속도를 가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슈터를 항상 일정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노내 장입물의 레벨을 검출하여 낮은 쪽에서 더 많은 량이 장입되도록 속도를 조정하므로서, 연,원료 조건의 변화, 장입설비의 제어상의 문제등으로 인해 원주방향별 노내 장입물의 레벨이 변동되더라도 장입물분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고로 내부의 통기성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 고로로부터 배출되는 용선의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로 생산성과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에 있어서,
    고로에 장입될 장입물이 수입되고 장입물이 장입기준선에 도달되면 노벽쪽 장입물의 레벨을 원주방향을 따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장입물 레벨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편차가 설정된 관리범위이내인지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장입물레벨편차가 관리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노내 장입영역을 원주방향별로 소정 각도로 등분하여 소정 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검출된 장입물레벨에서 최고레벨과 최저레벨을 평균하여 기준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레벨보다 장입물레벨이 낮은 구간을 편차보상구간으로 설정하여, 편차보상구간에서의 평균 레벨 복귀까지 필요한 노내 체적을 계산하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계산된 체적으로부터 광종별 비중과 유량특성을 근거로 평균레벨 복귀까지 필요한 량을 계산하고 그 량에 따라 선회슈트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제4단계와;
    장입물레벨편차가 관리범위이내일때는 설정된 기준속도로만 선회슈터를 회전시키며 장입하도록 하고, 관리범위를 벗어날때는 편차보상구간이 아닐때에는 상기 기준속도로 편차보상구간에서는 상기 산출된 편차보상용 회전속도로 선회속도를 가변시키면서 장입시키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은 상기 노내 장입영역을 원주방향별로 60도씩 등분하여 6개의 구간으로 나눈후 구간내에서 산출된 평균레벨보다 낮은 레벨이 50%이상 존재하는 구간을 편차보상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KR10-1999-0042741A 1999-10-05 1999-10-05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KR100376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741A KR100376518B1 (ko) 1999-10-05 1999-10-05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741A KR100376518B1 (ko) 1999-10-05 1999-10-05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940A KR20010035940A (ko) 2001-05-07
KR100376518B1 true KR100376518B1 (ko) 2003-03-17

Family

ID=1961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741A KR100376518B1 (ko) 1999-10-05 1999-10-05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5236A1 (de) * 2014-06-13 2015-12-16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Regelung der Füllhöhe eines Rohmaterials in einem Hochofen sowie deren Vorrichtung
CN104342529B (zh) * 2014-10-27 2017-07-25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高炉上料布料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808A (ja) * 1982-01-14 1983-07-23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原料装入方法
JPS6274011A (ja) * 1985-09-27 1987-04-04 Kawasaki Steel Corp 高炉の原料装入方法
JPH03264612A (ja) * 1990-03-14 1991-11-25 Nkk Corp 高炉炉頂装入原料の分布制御方法
JPH11158518A (ja) * 1997-11-28 1999-06-15 Yaskawa Electric Corp 炉内シュート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808A (ja) * 1982-01-14 1983-07-23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原料装入方法
JPS6274011A (ja) * 1985-09-27 1987-04-04 Kawasaki Steel Corp 高炉の原料装入方法
JPH03264612A (ja) * 1990-03-14 1991-11-25 Nkk Corp 高炉炉頂装入原料の分布制御方法
JPH11158518A (ja) * 1997-11-28 1999-06-15 Yaskawa Electric Corp 炉内シュート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940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031B1 (ko) 벨레스 고로에 대한 원료 장입 방법
KR20170134701A (ko) 고로에의 원료 장입 장치
KR100376518B1 (ko) 고로 장입물의 레벨 편차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입제어방법
JPS63153385A (ja) 竪型炉の操業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101707375B1 (ko) 고로 내 연화 융착대의 코크스 입경 예측 방법
KR100919028B1 (ko) 고로 화입이후 안정적인 초기 풍량확보를 위한 장입물충진방법
KR100628691B1 (ko)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장입방법
JP3608485B2 (ja) ベルレス高炉における原料装入方法
JPH11269513A (ja) 高炉中心部への装入物装入方法
JP2945820B2 (ja) 高炉装入物分布制御方法
KR20000007444A (ko) 고로 조업법에 있어 장입물의 장입방법
JP2000256712A (ja) 高炉炉口部の装入物分布制御方法
KR100418979B1 (ko) 장입물레벨 복귀시 중심코크스 대체를 위한 다구간장입방법
JP2000008105A (ja) 高炉炉頂装入物の分布制御方法
KR20030038922A (ko) 고로설비의 장입 제어 장치
JPH06271908A (ja) ベルレス高炉の原料多バッチ装入方法
JP2000178615A (ja) 高炉炉床部の湯流れ制御方法
KR20010103139A (ko) 고로용 장입물의 장입시스템
KR100418978B1 (ko) 벨레스고로에서 반경방향별 혼합층형성 방지를 위한층상장입방법
JPH1192808A (ja) 高炉炉頂装入物の水平型テラス形成方法
KR20010002612A (ko) 고로 층상장입에서 중심가스류를 확보 할 수 있는 조업 방법
JP2000282110A (ja) 高炉の操業方法
KR20010011966A (ko) 중괴코크스를 이용한 노내 장입물 분포 제어방법
KR20020004757A (ko) 고로 장비물 각도 추종 장입 장치
JPH11172307A (ja) 高炉内水平型テラス形成困難時の高炉装入物装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