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691B1 -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장입방법 - Google Patents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장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691B1
KR100628691B1 KR1019990059781A KR19990059781A KR100628691B1 KR 100628691 B1 KR100628691 B1 KR 100628691B1 KR 1019990059781 A KR1019990059781 A KR 1019990059781A KR 19990059781 A KR19990059781 A KR 19990059781A KR 100628691 B1 KR100628691 B1 KR 10062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small
light
furnace
small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990A (ko
Inventor
김윤구
여경탁
김신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59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6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9/00Combinations of furnaces of kind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의 노내 상부온도와 노체하부온도 제어에 필요한 소립광을 광석 사용비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대립광 입도선별기의 소립광 발생비율로 대립광 빈 게이트(Bin Gate)를 제어하고, 소립광 빈내의 저장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분율발생량을 제어하며, 노내가스류 편류발생시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하는 분소결광을 일부 특정한 구간에 장입할 수 있도록 한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 장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립광(41) 사용비 입력에 따라 현 총광석량 대비 소립광(41) 사용량을 계산하고, 이 계산값을 원료평량기에 전송하여 평량하는 프로세스 컴퓨터(80)와; 상기 프로세스 컴퓨터(80)로의 전기신호의 제어를 위해 연결된 전기신호 통신제어기(70-2)와; 상기 소립광(41)의 노내 장입을 제어하는 평량제어기(76)와 연결되고, 원료조의 전기신호의 통신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원료 PLC(70-1)와; 상기 원료 PLC(70-1)와 연결되어 노정부(頂部)의 장입 제어를 하는 노정 PLC(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소립광(41) 발생비율과,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분소결광(55) 발생비율을 계산하여 소립광 빈의 관리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 대립광 빈 게이트를 소립광(41) 발생비율에 따라 조정하고, 각 소립광 빈 게이트를 분소결광(55) 발생비율에 따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각 대립광 및 소립광 빈 게이트 하한치에 소립광(41) 발생량과, 분소결광(55) 발생량이 소립광(41) 사용비 미만 일때 빈 게이트를 닫고, 입도선별기를 조업자가 설정한 임의의 시간만큼 공회전시키며, 공회전 완료 후, 빈 게이트를 여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분소결광(55)을 분소결광 저장조에 일시 저장하고, 기설정된 관리치 이상시 소결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분소결광(55)의 고로장입량 결정에 따라 총광석량에서 분소결광 고로장입량을 제외한 값을 대립광 분율발생 비율에 따라 결정하고, 중계조 소립광 입조 벨트 컨베이어 상에 분소결광(55)이 적재되어 중계조 소립광 빈에 저장되며, 그 상부에 소립광(41)이 저장되어 고로내 장입시 분소결광(55)이 먼저 장입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상기 고로(10)의 노정온도와 장입물 상부온도를 이용하여 원주방향별 노내가스 편류지점을 확인하고, 소립광(41) 장입시 선회슈트(13) 회전 시작 각도를 노내가스 편류지점에 맞추어 장입을 시작하며, 분소결광(55) 장입량에 따라 광석유량조절변을 추가로 열어주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방법이 제공된다.
분소결광

Description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 장입방법{POWDER SINTERED ORE CHARGING APPARATUS AND THE METHOD BY USING DIVISION RATE OCCURRENCE QUANTITY AUTOMATIC CONTROL}
도 1은 종래 고로 연,원료 장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 장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상에 배출된 소립소결광과 분소결광의 적상을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소립소결광 벨트 컨베이어 하부와 분소결광 벨트 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된 웨잉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분소결광이 장입된 후의 노내 장입물 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율발생량 및 분소결광 장입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로 10-2 : 풍구
10-3 : 용선 20 : 코크스저장조
20-3,20-4 : 코크스 웨잉 호퍼
20-5 : 코크스 30 : 대립광 웨잉호퍼
30-5 : 대립광 42 : 소립 소결광 웨잉호퍼
55 : 분소결광 70 : 노정 PLC
70-1 : 원료 PLC 70-2 : 전기신호 통신제어기
76 : 평량제어기 80 : 프로세스 컴퓨터
본 발명은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 장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의 노내 상부온도와 노체하부온도 제어에 필요한 소립광을 광석 사용비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대립광 입도선별기의 소립광 발생비율로 대립광 빈 게이트(Bin Gate)를 제어하고, 소립광 빈내의 저장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분율발생량을 제어하며, 노내가스류 편류발생시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하는 분소결광을 일부 특정한 구간에 장입할 수 있도록 한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 장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로 연,원료 장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일반적으로 벨-리스(Bell-less)고로(10)에 있어서의 연,원료 장입방법은 저장조(20)로부터 불출된 코크스(20-5)를 입도선별기(20-1)를 통하여 입도 : 35∼55mm까지 선별하여 하부의 이송 컨베이어 벨트(20-2)를 통해 일정한 량을 코크스 웨잉호퍼(20-3,20-4) 2개조에 분산 저장하고, 대립소결광(대립광,30-5)은 입도 : 12∼30mm까지 입도선별기(30-1)를 통해 선별하여 대립광 웨잉호퍼 8개조에 일정량을 평량하여 분산저장한 후, 대립광 서지호퍼(30-3,30-4)2개조에 분산저장한다.
한편, 소립소결광(소립광,41)은 소립광 빈(Small Sinter Bin)2개조에 분산 저장하고 입도 선별기를 통하여 선별되어진 입도 5∼12mm의 소립광은 소립광 웨잉호퍼(42)1개조에 일시 저장을 시킨다.
참고적으로 고로 장입물의 개념을 설명하면, 2개의 코크스 웨잉호퍼(20-3,20-4)에 저장된 연료를 각각 1배치(Batch)라고 하고, 1배치+1배치를 고로(10)에 투입할 연료의 1차지(Charge)라고 한다.
대립광 서지호퍼(30-3,30-4)2개조에 저장된 원료인 대립광(30-5)도 상기 연료의 배치와 차지 개념은 동일하고, 입도별 장입을 위한 소립광 웨잉호퍼(42) 1개에 저장된 광석을 1차지라고 하며 상기 3가지 종류를 장입물의 1 Charge 라고 한다.
상기한 과정을 고로(10)에서 요구하는 연료 및 철광석 설정값의 평량 과정이라고 하며, 이렇게 하여 평량된 연,원료는 대형 장입 컨베이어 벨트(17)를 통하여 노정 장입 호퍼(11,11-1)로 수입되어 대기한 후, 노내부의 장입물이 철광석의 환원 반응을 통해 장입물이 강하되어 장입 기준선(10-4)에 도달하게 되면 장입 개시 신호를 발생함으로서 코크스(20-5) 1차지, 대립광(30-5) 1Charge, 소립광(41) 1차지를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장입을 하게 된다.
상기한 장입물은 노상부의 중심에 위치한 선회 슈트(13)를 통하여 노벽부를 기준점으로 해서 로 중심까지를 반경방향으로 1∼11 노치(Notch)까지 일정하게 분할하여 장입물을 뿌리고 있으며, 노내부에서의 노황여건상 노 내부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별로 통기성 및 가스이용율이 우수한 연화융착대(10-1)를 만들고, 노벽측에는 환원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소립광(41)을 안착시켜 노벽부 불활성대 생성을 방지하고, 노벽보호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고로(10) 상부에서 교대로 장입하여 층을 이루도록 하여 장입 선회 슈트(13)는 매 차지마다 60°씩 진보하고 6 차지마다 정회전(Forward), 역회전(Reverse) 되면서 장입한다.
상기 고로(10) 하부에는 열풍로 설비에서 보내온 고온의 열풍을 풍구(10-2)를 통해 고로(10)내부에 송풍하여 노내 상부로부터 예열, 환원, 용융, 적하의 단계를 거치면서 용융물인 용선(10-3)이 생성되어 노저에 모이고 출선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고로조업은 고로(10)내부의 연,원료 분포상태(이하 "프로필(Profile)"이라 함)가 안정되어야 가스의 흐름(이하 "통기성"이라 함)이 전체적으로 양호한 조건하에서 철광석이 환원 및 용융되어 경제적 조업수행이 가능함과 동시에 생산성향상과 고로(10)의 수명 연장을 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최근 고로(10)의 경제적 조업을 위해 값비싼 연료인 코크스(20-5)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일반탄을 분쇄하여 만든 미분탄의 사용비율을 점차적으로 늘려가면서 고로(10) 조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세계의 고로에서는 경쟁적으로 취입량 증대를 위해 노력을 하지만 미분탄 취입량 증대에 따른 노내 광석비의 증가로 연화 융착대(10-1)에서 최소한의 코크스(20-5) 부족과 미분탄 연소성 불량으로 인한 풍구(10-2) 앞에서의 난투과층 형성으로 통기장애를 받고 있다.
또한 장입물 괴상대(10-5)에서 소립광(41) 사용비 변동에 의한 스킨플로우(Skin Flow) 온도 변동으로 노벽 내화물 수명에 지대한 영향을 초래하는 노체하부 변동에 의해 미환원된 광석이 용융물로 적하하여 용융물 온도를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이고, 미환원된 광석중에 있는 산화철(FeO) 노저연와중의 카본(Carbon)이 반응하여 노저연와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소립광(41) 사용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편, 노벽내화물의 마모와 장입레벨의 저하등으로 노내 가스류가 편류발생시 연화융착대(10-1) 정층이 장입물레벨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노내 가스류는 계속 불균일하게 흐르고, 한번 이동된 연화융착대(10-1) 정층은 쉽게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노내가스류 편류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고로(10) 상부 및 하부온도 변동으로 인해 고로(10) 노내상황의 불안정이 야기되고, 결국 생산량 저하 및 각종 조업 불안정이 일어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소립광(41) 사용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분율발생량 제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노내가스 편류발생 해소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고로(10)에 장입되는 소립광(41)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소립광(41) 발생량에 따라 고로(10)에 장입되는 총 광석량을 조정하여 장입하였으며, 총광석량 조정이 불가능할때는 소립광(41) 발생량 이 적을 경우 대립광(30-5)을 소립광(41)에 혼합해서 장입하고, 반대로 소립광(41) 발생량이 많을 경우 소립광(41)을 대립광(30-5)에 대체해서 장입하는 방법으로 조업을 행하고 있고, 노내가스 편류발생시는 소립광(41)을 추가로 평량하여 편류가 발생하는 부위에 장입하는 형식으로 조업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조업방법은 소립광(41) 장입비율에 따라 총광석량을 변동시키므로 잦은 노내가스기류 변동을 초래하고, 소립광(41)과 대립광(30-5)의 입도차이에 의한 노정 장입 호퍼(11,11-1)에서의 편적, 장입 선회 슈트(13)에서의 배출속도의 차이, 고로(10) 상부에서의 경사각, 인식각의 차이, 소립광(41)의 환원성 및 통기성 양호로 노내 가스 편류가 발생하고, 이의 해소가 어려워 노내 프로필이 불안정하게 되고, 통기성 악화 등 조업 불안정 요인이 되어 생산량 저하 및 고로 수명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에 장입되는 소립광과 분소결광의 발생량을 제어하고,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하는 분소결광을 노내가스류 편류 발생시 일부 특정한 구간에 장입할 수 있도록 한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립광 사용비 입력에 따라 현 총광석량 대비 소립광 사용량을 계산하고, 이 계산값을 원료평량기에 전송하여 평량하는 프로세스 컴퓨터와; 상기 프로세스 컴퓨터로의 전기신호의 제어를 위해 연결된 전기신호 통신제어기와; 상기 소립광의 노내 장입을 제어하는 평량제어기와 연결되고, 원료조의 전기신호의 통신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원료 PLC와; 상기 원료 PLC와 연결되어 노정부(頂部)의 장입 제어를 하는 노정 PL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소립광 발생비율과,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분소결광 발생비율을 계산하여 소립광 빈의 관리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 대립광 빈 게이트를 소립광 발생비율에 따라 조정하고, 각 소립광 빈 게이트를 분소결광 발생비율에 따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각 대립광 및 소립광 빈 게이트 하한치에 소립광 발생량과, 분소결광 발생량이 소립광 사용비 미만 일때 빈 게이트를 닫고, 입도선별기를 조업자가 설정한 임의의 시간만큼 공회전시키며, 공회전 완료 후, 빈 게이트를 여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분소결광을 분소결광 저장조에 일시 저장하고, 기설정된 관리치 이상시 소결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분소결광의 고로장입량 결정에 따라 총광석량에서 분소결광 고로장입량을 제외한 값을 대립광 분율발생 비율에 따라 결정하고, 중계조 소립광 입조 벨트 컨베이어 상에 분소결광이 적재되어 중계조 소립광 빈에 저장되며, 그 상부에 소립광이 저장되어 고로내 장입시 분소결광이 먼저 장입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상기 고로의 노정온도와 장입물 상부온도를 이용하여 원주방향별 노내가스 편류지점을 확인하고, 소립광 장입시 선회슈트 회전 시작 각도를 노내가스 편류지점에 맞추어 장입을 시작하며, 분소결광 장입량에 따라 광석유량조절변을 추가로 열어주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업자가 고로의 조업 특성과 노내상황을 고려하여 소립광 사용비를 입력하면 현 총광석량 대비 소립광 사용량을 계산하고, 이 계산값을 원료평량기에 전송하여 평량하는 프로세스 컴퓨터(80)가 설치되고, 설정값과 실적값의 편차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관리용 프린터(8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스 컴퓨터(80)로의 전기신호의 제어를 위해서 전기신호 통신제어기(70-2)를 연결시켜서 소립광 관리치와 분소결광 관리치를 조업자가 임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하였으며, 소립광 노내 장입을 제어하기 위한 평량제어기(76)가 연결되어지고, 자동으로 원료조의 전기신호의 통신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원료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70-1)와 노정부(頂部)의 장입 제어를 위한 노정 PLC(70)가 상호 통신 관계를 가질 수 있는 상태로서 제어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립광(41)의 사용비율에 따른 소립광(41) 발생량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소립광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의 각 대립광 게이트 하부와 분소결광(55)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60)의 하부에 웨잉시스템(Weighing System)(61)이 연결되어지고, 대립광 빈 게이트 8개소와 소립광 빈 게이트 2개소에 각각 게이트 조정용 전동모터(미도시)와 개도계(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 컴퓨터(80)에 링크(Link)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 행해지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립광 빈 #1,#2측에 저장된 소립광(41) 량의 관리치에 따라 각 대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소립광(41)의 발생비율과,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분소결광(55) 발생비율을 계산하여, 고로(10)에 장입하는 소립광(41) 량과 비교하여 소립광 빈 #1,#2의 관리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 대립광 빈 게이트를 소립광(41) 발생비율에 따라 조정하고, 설정값도 소립광(41) 발생비율에 따라 자동 변경되도록 하여 각 소립광 빈 게이트를 분소결광(55) 발생비율에 따라 조정한다.
이후, 각 대립광 및 소립광 빈 게이트 하한치에도 소립광(41) 발생량과 분소결광(55) 발생량이 고로(10)에 장입되는 소립광(41) 사용비 미만일때는 해당 입도선별기 청소를 위해 평량완료후 빈 게이트를 닫고, 입도선별기를 조업자가 설정한 임의의 시간만큼 공회전시키며 공회전 완료 후, 빈 게이트가 이전값으로 열리도록 한다.
이후,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분소결광(Fine Sinter)(55)을 분소결광 저장조에 일시 저장하고, 기설정된 관리치 이상시 소결공정으로 이송하도록 체인지오버 슈트(Change Over Chute)가 소결측 벨트컨베이어(52) 측으로 이동되며, 노내가스 편류발생으로 인한 분소결광(55)을 고로(10)에 장입시 선택기능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분소결광(55)의 고로장입량이 결정되면 총광석량에서 분소 결광 고로장입량을 제외한 값을 대립광 분율발생 비율에 따라 각 설정값이 결정되어지고, 중계조 소립광(41) 빈 하부에 분소결광(55)이 저장되도록 분소결광 고로측 벨트 컨베이어가 기동되어 중계조 소립광 입조 벨트 컨베이어 상에 적재되어 중계조 소립광 빈에 저장되고, 그 상부에 소립광(41)이 저장되어 고로내 장입시 분소결광(55)이 먼저 장입된다.
또한, 고로(10)의 노정온도와 장입물 상부온도(Above Burden Probe)를 이용하여 원주방향별 노내가스 편류지점을 확인하고, 소립광(41) 장입시 선회슈트(13) 회전 시작 각도를 노내가스 편류지점에 맞추어 장입을 시작하며, 분소결광(55) 장입량에 따라 광석유량조절변을 추가로 열어준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소립광 발생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여건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로 노내가스 편류를 분소결광(55)과 소립광(41)을 같이 장입하여 해소함으로써 노내 통기성 개선은 물론 고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소립광(41)은 스킨 플로우(Skin Flow)와 노체하부 온도 제어용으로 장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량 변경시 노내가스 기류가 변동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립광(41) 다음 차지에 장입되는 코크스 테라스(18)가 불균일 해지는 현상으로 인해 고로조업에서는 최대한 소립광(41) 사용비를 일정하게 조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분소결광(55)을 노내에 장입하는 이유는 노체상부 연와의 불균형 마모, 장입설비 이상으로 인한 장입물레벨 저하시 원주방향별 장입물 레벨이 상이하여 노내가스가 일부구간으로 통과하는 소위 편류가 발생하여 연화융착대(10-1) 정층이 변화되고, 용융물 온도가 주상별로 변동되며 심한 경우 노하부 용융물의 원활한 배출 불량으로 대형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비교적 고로(10)에 장입되는 장입물중에서 통기성이 불량한 분소결광(55)을 노내가스 편류가 심한 구간에 선회슈트(13)를 이용하여 장입하므로써 가스 편류를 억제 하였다.
한편, 분소결광(55)의 고로(10) 장입량에 따라 광량조절밸브를 자동조정하는 이유는 분소결광(55)과 소립광(41)의 입도차이로 인한 선회슈트(13)에서의 배출속도가 상이하고 분소결광(55)을 노내가스 편류지점에 장입하는 효과를 최대한 만족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량을 한 구간(Point)에 장입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소립광(41)이 대립광(30-5) 상부에서 지나치게 길어지면 다음 차지에 장입물 코크스 테라스(18)가 불안정해지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조업에서 현재의 고출선비와 고미분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소립광 사용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제어하고, 발생된 분소결광을 소립광과 같은 호퍼에 수입하여 우선 장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내가스 편류를 억제하여 괴상대와 연화융착대에서의 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노황안정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함께 고로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립광(41) 사용비 입력에 따라 현 총광석량 대비 소립광(41) 사용량이 계산되고, 이 계산값을 원료평량기에 전송하여 평량하는 프로세스 컴퓨터(80)와;
    상기 프로세스 컴퓨터(80)로의 전기신호의 제어를 위해 연결된 전기신호 통신제어기(70-2)와;
    상기 소립광(41)의 노내 장입을 제어하는 평량제어기(76)와 연결되고, 원료조의 전기신호의 통신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원료 PLC(70-1)와;
    상기 원료 PLC(70-1)와 연결되어 노정부(頂部)의 장입 제어를 하는 노정 PLC(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2. 대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소립광(41) 발생비율과,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분소결광(55) 발생비율을 계산하여 소립광 빈의 관리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 대립광 빈 게이트를 소립광(41) 발생비율에 따라 조정하고, 각 소립광 빈 게이트를 분소결광(55) 발생비율에 따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각 대립광 및 소립광 빈 게이트 하한치에 소립광(41) 발생량과, 분소결광(55) 발생량이 소립광(41) 사용비 미만 일때 빈 게이트를 닫고, 입도선별기를 설정된 시간만큼 공회전시키며, 공회전 완료 후 빈 게이트를 여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소립광 입도선별기에서 발생한 분소결광(55)을 분소결광 저장조에 일시 저장하고, 기설정된 관리치 이상시 소결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분소결광(55)의 고로장입량 결정에 따라 총광석량에서 분소결광 고로장입량을 제외한 값을 대립광 분율발생 비율에 따라 결정하고, 중계조 소립광 입조 벨트 컨베이어 상에 분소결광(55)이 적재되어 중계조 소립광 빈에 저장되며, 그 상부에 소립광(41)이 저장되어 고로내 장입시 분소결광(55)이 먼저 장입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 상기 고로(10)의 노정온도와 장입물 상부온도를 이용하여 원주방향별 노내가스 편류지점을 확인하고, 소립광(41) 장입시 선회슈트(13) 회전 시작 각도를 노내가스 편류지점에 맞추어 장입을 시작하며, 분소결광(55) 장입량에 따라 광석유량조절변을 추가로 열어주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방법.
KR1019990059781A 1999-12-21 1999-12-21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장입방법 KR10062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781A KR100628691B1 (ko) 1999-12-21 1999-12-21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장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781A KR100628691B1 (ko) 1999-12-21 1999-12-21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장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990A KR20010062990A (ko) 2001-07-09
KR100628691B1 true KR100628691B1 (ko) 2006-09-28

Family

ID=1962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781A KR100628691B1 (ko) 1999-12-21 1999-12-21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장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50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입도선별기의 자동 손상 검지방법
CN101962695B (zh) * 2010-10-29 2013-04-03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高炉槽上原燃料智能供应系统的控制方法
CN104818382B (zh) * 2015-06-01 2016-09-21 连云港宝翔铸造有限公司 镍矿烧结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711A (ja) * 1995-09-26 1997-03-31 Kawasaki Steel Corp 小粒径焼結鉱増減配方法
KR20010037725A (ko) * 1999-10-19 2001-05-15 이구택 고로의 입도별 장입 휴지방지를 위한 소립광 자동 혼합 장치 및 방법
KR20010063523A (ko) * 1999-12-22 2001-07-09 이구택 고로 장입물 실시간 배치 콜 자동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711A (ja) * 1995-09-26 1997-03-31 Kawasaki Steel Corp 小粒径焼結鉱増減配方法
KR20010037725A (ko) * 1999-10-19 2001-05-15 이구택 고로의 입도별 장입 휴지방지를 위한 소립광 자동 혼합 장치 및 방법
KR20010063523A (ko) * 1999-12-22 2001-07-09 이구택 고로 장입물 실시간 배치 콜 자동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990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G60921B2 (bg)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непрекъснато производство на стомана
KR100704691B1 (ko) 벨리스 고로의 원료 장입방법
KR100628691B1 (ko) 분율발생량 자동제어에 의한 분소결광 장입장치 및 그장입방법
KR20150004879A (ko) 고로로의 원료 장입 방법
KR20180058830A (ko) 철 담지체 재료를 장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573780B2 (ja) ベルレス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KR20080087667A (ko) 고로 너트 코크스의 평량장치
JP2000178616A (ja) 高炉へのペレット高配合鉄鉱石の装入方法
KR20000009887A (ko) 고로의 중간부 통기성 개선을 위한 연, 원료 믹싱 장입방법
KR20010037725A (ko) 고로의 입도별 장입 휴지방지를 위한 소립광 자동 혼합 장치 및 방법
JP4759985B2 (ja) 高炉操業方法
KR20010019721A (ko) 펠레트 광석을 사용하여 용선조업시 통기성 향상방법
KR100376514B1 (ko) 고로 너트 코크스의 평량 제어방법
CN103820591B (zh) 一种钟式高炉利用小粒级烧结矿进行冶炼的方法
KR20020037545A (ko) 고로 장입물의 장입방법
KR100376479B1 (ko) 고로의 저실리콘용선 제조방법 및 장치
JPH05156329A (ja) 高炉羽口粉体吹き込み操業法
KR100418979B1 (ko) 장입물레벨 복귀시 중심코크스 대체를 위한 다구간장입방법
KR100703556B1 (ko) 고로 원료 코크스 평량 제어 및 이송 방법
CN110023516B (zh) 铁水制备方法及利用该方法的铁水制备设备
KR20030052726A (ko) 광석과 중괴코크스의 혼합 장입방법
JP2018070954A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JPH09125112A (ja) ベルレス高炉における鉱石、コークス混合装入方法
JP2000144266A (ja) 焼結パレットへの原料装入方法
JPH012809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