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300B1 -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300B1
KR100376300B1 KR10-2000-7007555A KR20007007555A KR100376300B1 KR 100376300 B1 KR100376300 B1 KR 100376300B1 KR 20007007555 A KR20007007555 A KR 20007007555A KR 100376300 B1 KR100376300 B1 KR 10037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film
optical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3970A (ko
Inventor
다카하타가즈히코
하시모토다카오
니시카와가즈히로
야마다신야
쿠스다야스지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주면서 하면에 가동전극부(3)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주면서 상면에 고정전극부(5)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 공간층(7)을 매개로 배치된 투명터치패널(1)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이 배치되고, 액정디스플레이(2)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9)이 배치되며, 상측 필름 광축과 상측 편광판 편광축과의 각도가 약 45˚, 하측 필름 광축과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광의 편광축과의 각도가 약 45˚, 양 필름 광축과의 각도가 약 90˚이다.

Description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OF TOUCH INPUT TYPE, AND METHOD OF MANUFACTURE}
종래의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으로서는, 투명터치패널(1)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2)를 구비하고, 투명터치패널(1)은 가동측 시트(20)와 고정측 시트(21)가 공간층(7)을 매개로 배치되어 있으며, 액정디스플레이(2)의 상하면에는 상측 편광판(8) 및 하측 편광판(9)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도 17 참조).
또한,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해, 액정디스플레이(2)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을 배치하는 대신에, 투명터치패널(1)의 가동측 시트(20)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을 배치한 것이 있다(도 18 참조).
그러나, 상기 구성과 같은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광등(504) 등이 있는 방이나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외에 있어서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갖춘 휴대용 퍼스널컴퓨터(502) 또는 휴대용 단말기(500)에 펜(503 또는 501)에 의해 입력작업을 행할 경우, 액정표시장치의 투명터치패널(1)의 공간층과 고정측 시트의 상면에 시행된 고정전극부와의 경계면 및 투명터치패널(1)의 최상면의 2곳에서의 광의 반사가 있기 때문에, 표시화면을 보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는 굴절률이 낮은 매체로부터 높은 매체로 광이 통과할 경우, 그 굴절률의 차가 큰 만큼 경계면에서의 광의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투명터치패널(1)의 가동측 시트(20)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을 배치하는 구성의 경우, 상측 편광판(8) 상면을 바둑판형상으로 형성하여 반사광을 막는 방법도 있지만, 충분히 반사광을 억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의 형광등 등의 반사광이나 실외에서의 외광에 기인하는 반사광을 억제하여, 콘트라스트(contrast)가 높고, 시인성(視認性)이 높은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의 형광등 등의 반사광이나 실외에서의 외광에 기인하는 반사광을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고, 시인성이 높으면서 표면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상측 편광판으로의 흡습(吸濕)을 방지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TN(Twisted Nematic))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가 억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백라이트 도광판의 설명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STN(Super Twisted Nematic))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반사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 액정표시장치(TN)에 있어서의 투과축방향 및 광축방향의 설명도,
도 9는 상기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TN)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상기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반사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TN)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반사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 액정표시장치(TN)에 있어서의 투과축방향 및 광축방향의 설명도,
도 15는 상기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TN)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상기 제6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반사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일반적인 투명터치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종래의 일반적인 투명터치패널을 구비한 액정디스플레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갖춘 휴대용 퍼스널컴퓨터를 형광등이 있는 방에서 사용할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0은 도 18의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갖춘 휴대용 단말기를 실외에서 사용할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형광등 등이 있는 방이나 실외에서도 저반사로 콘트라스트가 높고, 시인성이 높은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투명터치패널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력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이 공간층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정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며,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에 상기 고정전극부가 직접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전극부와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과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에 상기 고정전극부가 직접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전극부와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ㄹ르름름름과의 사이에 광학등방성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등방성 필름에 상기 고정전극부가 직접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 및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열변형온도가 150℃ 이상인 청구항 2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 및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열변형온도가 170℃ 이상인 청구항 2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열변형온도가 150℃ 이상인 청구항 3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열변형온도가 170℃ 이상인 청구항 3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 및 상기 광학등방성 필름의 열변형온도가 150℃ 이상인 청구항 4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 및 상기 광학등방성 필름의 열변형온도가 170℃ 이상인 청구항 4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명터치패널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이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1~10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학등방성 필름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과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이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4, 9 또는, 10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3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두께가 50㎛ 이상 150㎛ 이하인 청구항 1~12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4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전극부가 직접 형성되어 있는 부재 및 상기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이들과 이들 사이의 모든 부재가 투명점착제층 또는 투명재박리시트에 의해 전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청구항 1~13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5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편광판의 상면에, 투습성(透濕性)이 적어 상태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필름이 맞붙여져 있는 청구항 1~14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6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편광판의 상면에 맞붙여진 상기 투명필름의 상면에 저반사 처리층을 갖춘 청구항 15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7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편광판의 상면에 맞붙여진 상기 투명필름의 상면에 오염방지 처리층을 갖춘 청구항 15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8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측 편광판의 상면에 맞붙여진 상기 투명필름의 상면에 하드코팅 처리층을 갖춘 청구항 15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9특징에 의하면, 투명터치패널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이 공간층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며,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가동전극부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가동전극부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가동측 시트를 얻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고정전극부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고정전극부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고정측 시트를 얻고,
상기 가동측 시트와 상기 고정측 시트를 맞붙이고,
이어서, 상기 가동측 시트의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상면에 상기 상측 편광판을 맞붙인 후에 가압탈포처리를 시행하며,
상기 고정측 시트를 액정디스플레이와 맞붙여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0특징에 의하면, 투명터치패널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이 공간층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며,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가동전극부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 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가동전극부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가동측 시트를 얻고,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 상에 상기 고정전극부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상기 고정전극부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고정측 시트를 얻고,
상기 가동측 시트와 상기 고정측 시트를 맞붙이고,
이어서, 상기 가동측 시트의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상면에 상기 상측 편광판을 맞붙인 후에 가압탈포처리를 시행하며,
상기 고정측 시트를 사이에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을 매개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와 맞붙여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1특징에 의하면, 투명터치패널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이 공간층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며,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인 터치입렵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가동전극부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가동전극부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가동측 시트를 얻고,
광학등방성 필름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고정전극부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고정전극부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고정측 시트를 얻고,
상기 가동측 시트와 상기 고정측 시트를 맞붙이고,
이어서, 상기 가동측 시트의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상면에 상기 상측 편광판을 맞붙인 후에 가압탈포처리를 시행하며,
상기 고정측 시트를 사이에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을 매개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와 맞붙여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2특징에 의하면, 상기 각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150℃ 이상에서 행하는 청구항 19~21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3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100℃ 이상 130℃ 미만에서 행하는 청구항 19~22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4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100℃ 이상 150℃ 미만에서 행하는 청구항 19~23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5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압탈포처리를 40~80℃, 4~9kg/cm2, 10~120분 행하는 청구항 19~24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6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동전극부 및 상기 고정전극부의 적어도 한쪽에 미리 전극인출부분을 설치해 두고, 상기 가동측 시트와 상기 고정측 시트를 맞붙인 후에 이방도전접착제를 매개로 커넥터와 120℃ 이상 170℃ 미만에서 압착하는 청구항 19~25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를 약 45˚로 배치함으로써,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되어 투명터치패널의 공간층에 들어가고, 반사된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이 다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을 통과하여 상측 편광판의 투과축과 수직의 직선편광으로 되기 때문에, 반사광이 억제된다. 여기서,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또는, 흡수축)으로는, 필름소재의 연신방향(延伸方向)에 평행한 축의 것이다. 상측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은 편광되고,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만의 직선편광으로서 상측 편광판에서 출사한다. 더욱이, 흡수축과 직교하는 축을 투과축이라 부른다. 이 상측 편광판에 대해 직선편광을 투과시키기 위해서는, 투과축과 방향이 일치하도록 해야만 한다.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직선편광은 상측 편광판을 투과할 수 없다.
또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을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에 대해 약 90˚의 각도로 되도록, 더욱이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되도록 투명터치패널과 액정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관찰자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표시화면의 색번짐을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고, 색번짐이 없는 표시화면이 얻어진다. 더욱이, 상기 임계치 전압 이하에서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은, 상기 상측 편광판의 편광축과 90˚의 각도를 이루는 관계에 있다.
더욱이,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그 최상면에 저반사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최상면에서의 반사가 억제된다.
이상의 개선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투명터치패널을 구비한 액정디스플레이는, 형광등 등이 있는 방이나 실외에 있어서도 반사가 적어, 높은 콘트라스트로 상당히 시인성이 양호한 표시화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측 편광판 및 그 배후의 각 층에 의해 실내에서의 형광등 등의 반사광이나 실외에서의 외광에 기인하는 반사광을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고, 시인성이 높은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얻어진다.
더욱이, 상측 편광판의 상면에 투명필름을 부착한 경우에는, 투명필름에 의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측 편광판의 상면에 투명필름을 맞붙임으로써, 표면의 내구성이 양호하게 되고, 펜이나 손가락 입력 등으로도 상측 편광판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편광판의 상면에 투명필름을 맞붙임으로써, 상측 편광판의 표면에서 흡습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의한 상측 편광판의 수축이나 팽창, 왜곡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측 편광판에 맞붙인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 값의 변화를 억제하여, 색얼룩을 발생시키지 않고, 더욱이 반사방지기능을 손상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여러가지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항막방식의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가 억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백라이트 도광판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반사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 액정표시장치(TN)에 있어서의 투과축방향 및 광축방향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반사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중, 1은 상기 투명터치패널, 2는 액정디스플레이, 3은 가동전극부, 4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 5는 고정전극부, 6은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 7은 공간층, 8은 상측 편광판, 9는 하측 편광판, 10은 스페이서, 11은 유리기판, 12는 광학등방성 필름, 13은 백라이트 도광판, 14는 광학보상위상차판, 15는 반사판, 16은 투명수지판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백라이트 도광판(13)의 일반적인 구조인 엣지라이트 면발광장치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중 13a는 선광원, 13c는 도광판, 13d는 광반사판, 13e는 광산란층, 13b는 확산시트를 나타낸다. 선광원(13a)에서 도광판(13c) 내로 도입된 광은 도광판(13c)의 하면에 형성된 광산란층(13e) 및 광반사판(13d)에 의해 도광판(13c)의 전면(도 5에서는 상면)에서 광이 출사된다. 더욱이, 도광판(13c)의 상면에 설치된 확산시트(13b)에 의해 도광판(13c)에서 출사된 광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면발광시킨다.
가동전극부(3)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투명도전막(3a)이나 리드선(3b) 등에 의해 구성된다. 가동전극부(3)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안티몬, 산화아연, 산화카드뮴, 또는 인듐틴옥사이드(ITO) 등의 금속산화물, 이들의 금속산화물을 주체로 하는 복합막, 금, 은, 동, 주석, 니켈, 알루미늄, 또는 파리디움 등이 있다.
상측 광학위상차판 필름(4)은, 직선편광을 분해한 서로 직교하는 2성분의 편광에 시간적인 위상의 차를 줌으로써, 직선편광을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바꾸는 기능을 갖고, 한쪽의 편광을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만큼 위상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갖게 한 투명한 필름이다. 즉, 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이용함으로써, 직선편광을 분해한 서로 직교하는 2성분의 편광의 한쪽이, 가시영역의 중심파장 약 550nm의 1/4파장, 즉 약 138nm의 위상지연을 일으킨다. 이 경우, 직교하는 2성분의 편광의 진폭이 같아지면 원편광으로 되고, 그렇지 않으면 타원편광으로 된다. 더욱이, 여기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 약 550nm」로 한 것은, 일예로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을 약 550nm로 한 것이고, 이와 같이 약 550nm로 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을 인간의 시감도곡선과의 관계로 고려하면, 인간의 가시광영역은 약 400nm~700nm이지만, 그 중에서 시감도의 피크는 약 550nm에 있기 때문에, 이 약 550nm의 파장에서의 광반사를 억제함으로써, 인간의 눈에서 반사를 감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은, 터치패널의 펜이나 손가락의 입력부로서의 기능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요성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은, 가동전극부(3)의 형성 및 회로형성의 경우에 고온열처리 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필름소재에 150℃ 이상의 내열성이 요구된다. 열변형온도가 낮은(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150℃ 미만의) 필름소재에서는, 2성분의 편광의 위상지연의 값인 리타데이션 값이 고온처리에 의해 변화하여,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에서는, 표시화면의 시인성이 열화한다. 그렇지만, 열변형온도가 높은(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150℃ 이상의) 필름소재에서는 고온처리시의 리타데이션 값의 변화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까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15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1축 연신(延伸)된 고분자필름, 예컨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슬폰, 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폴리슬폰 등이다. 특히, 필름소재로서는, 17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1축 연신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슬폰, 또는 폴리슬폰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로서 15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필름소재를 이용하는 이유, 더욱이 17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에 대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로서 15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필름소재를 이용하는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의 열변형온도 이상의 열을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에 가하면, 그 열에 의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는 변형, 왜곡 등의 열화를 일으킨다. 그 경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은 1/4파장의 위상차(리타데이션)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반사를 억제하거나, 정확한 화상을 얻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 대해 행해지는 후술하는 각 열처리의 온도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필름소재가 한정되어진다.
더욱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의 열변형온도가 낮아(예컨대, 150℃ 미만)도, 그 낮은 열변형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열처리하면 그 열에 의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의 변형, 열화는 일어나지 않지만, 그 경우, 당연히 상기 열처리하는 의미가 없어져,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은 상기 열처리로 얻어지는 다수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제조할 경우의 열처리에 대해, 공정순, 즉 열처리1에서 열처리3의 순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열처리1
통상은, 액정표시장치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다수매 연속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1매 또는 임의의 매수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 대응하는 1매의 필름소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롤형태의 필름소재가 준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롤형태의 필름소재에, 가동전극부(3)의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도전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를 제거하기 위해, 가능한한 고온에서 열처리를 소정 시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필름소재중에 잔류용제가 존재하면, 투명도전막을 필름소재에 안정하게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를 제거한 후,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고강도를 갖는 투명도전막을 필름소재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150℃ 이상의 고온하에서 소정 시간만큼 잔류용제를 제거하는 열처리를 행한 후, 투명도전막을 필름소재상에 성막할 필요가 있다. 이 이유는 150℃ 미만의 온도하에서는 잔류용제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어, 우수한 안정성 및 고강도를 갖는 투명도전막을 필름소재상에 형성하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해, 상기 필름소재, 즉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열변형온도는 150℃ 이상일 필요가 있다.
열처리2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도전막을 상기 필름소재에 형성한 후, 상기 롤형태의 필름소재에 대해, 이미 형성된 상기 투명도전막에 접속되는 원하는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우선 상기 롤형태의 필름소재를 매엽(枚葉)으로 재단(裁斷)하여,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용의 필름소재 시트로 한다. 그리고, 이 필름소재 시트에 대해, 필요에 따라 회로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가능한한 작게하기 위한 가열처리를 행한다. 이 가열처리는 100℃ 이상 130℃ 미만으로 약 1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필름소재의 열변형온도가 130℃ 이상일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면 충분하다.
열처리3
필름소재 시트에 대한 회로형성시에는, 상기 투명도전막에 접속되는 상기 원하는 회로를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의 제거를 위해 고온건조를 행한다. 이 고온건조는 100℃ 이상 150℃ 미만에서 30~60분 행한다. 따라서, 필름소재의 열변형온도는 150℃ 이상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열처리1에서 열처리3의 각종의 열처리를 행하기 위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로서는, 15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1축 연신된 고분자필름, 예컨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슬폰, 폴리슬폰, 또는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름소재로서는, 특히 17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1축 연신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슬폰, 또는 폴리슬폰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소재의 열변형온도가 150℃ 이상이면, 각종 열처리에 대응할 수 있지만, 투명도전막 형성전에 170℃ 이상으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투명도전막의 결정화(즉, 고강도)가 충분히 행해지기 때문에, 더 안정한 투명전극을 얻을 수 있다. 170℃ 이상으로 열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필름소재의 열변형온도도 열처리온도 이상의 170℃ 이상일 필요가 있다.
또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두께가 150㎛를 초과하면, 상측 편광판(8)과 합쳐진 총두께가 두꺼워져 손가락이나 펜으로의 입력이 무거워지게 되어 문자를 깨끗하게 입력할 수 없어진다. 또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두께가 50㎛ 미만이면 필름 자체에 끈기(腰)가 없어지고, 또한 회로형성시에 필름 주름이나 물결이 발생하여 상측 편광판(8)과의 맞붙임도 곤란해진다. 따라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두께는 50㎛ 이상 150㎛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125㎛ 이하이다.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두께로서 75㎛ 이상 1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이유는 상기 두께가 50㎛ 이상 75㎛ 미만의 범위에서는 필름에 끈기가 가능하고, 필름 주름은 발생하지 않지만, 완만한 산이나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는 물결을 완전하게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측 광학위상차필름(4)의 두께를 75㎛ 이상으로 함으로써, 물결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한, 두께가 125㎛ 이상 150㎛ 미만에서도 펜이나 손가락에 의한 입력은 가벼워지게 되어 깨끗하게 문자를 입력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125㎛보다 얇아지면 특히 깨끗하게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 6, 7, 9, 10중에 도시된 부재(19)는, 가동전극(3)과 고정전극(5) 사이에 끼워진 공간층(7) 주위의 부분은 양전극(3,5)을 지지하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기재를 접착하는 양면테이프(19)이다. 상기 양면테이프(19) 대신에 점착재이어도 된다. 점착재 또는 양면테이프(19)에서 사용하는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 등이 있고, 양면테이프로서는 예컨대 日東電工 제조 532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고정전극부(5)는, 가동전극부(3)와 마찬가지로, 투명도전막(5a)이나 리드선(5b) 등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전극부(5)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안티몬, 산화아연, 산화카드뮴, 또는 인듐틴옥사이드(ITO) 등의 산화물, 이들의 금속산화물을 주체로 하는 복합막, 금, 은, 동, 주석, 니켈, 알루미늄, 또는 파라디움 등이 있다.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기재로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 도 1 참조)을 이용한다.
이에 대해,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기재로서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유리기판(11; 도 6 참조)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는,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기재로서 투명광학등방성 필름(12; 도 7 참조)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기재도,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마찬가지로, 고정전극부(5)의 형성 및 회로형성의 경우에 고온처리된다.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재료로서 요구되는 특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고정전극부(5)의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도전막을 그 위에 설치하는 경우와, 상기 제2,3실시예와 같이 고정전극부(5)의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도전막을 그 위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 구별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고정전극부(5)의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도전막을 그 위에 설치할 경우, 즉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에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할 경우는 이하와 같은 특성이 요구된다.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재료로서는, 15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1축 연신된 투명한 고분자필름, 예컨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슬폰, 폴리슬폰, 또는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열변형온도가 150℃ 미만으로 되면, 터치패널 작성시의 열처리에 의해 터치패널의 액정표시 시인부분(視認部分)에서 리타데이션 변화가 일어나고, 충분히 저반사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리타데이션 변화에 의해 화소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광을 출사시키지 않거나, 반대로 화소를 구성하기 위해 불필요한 광을 출사시켜 버려, 정확한 화상을 형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에 행하는 상기 열처리는,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 대해 기술한 경우와 같은 각 열처리1~열처리3이다. 또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재료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마찬가지로, 17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것이 투명도전막의 결정화를 충분히 행하는데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제2,3실시예와 같이 투명도전막을 그 위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고정전극부(5)가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고정전극부(5)가 광학등방성 필름(12)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이하와 같은 특성이 요구된다.
투명도전막이 설치되지 않은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재료로서는, 13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1축 연신된 투명한 고분자필름,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슬폰, 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폴리슬폰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 경우와 같은 각 열처리1~열처리3은 관계없기 때문에, 15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가질 필요는 없다. 그러나, 그래도 130℃ 이상의 열변형온도는 필요하다. 그것은 열변형온도가 130℃ 미만이면, 리타데이션 값이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고정전극부(5)를 형성하는 광학등방성 필름(12)으로서는, 150℃ 이상의 열변형온도를 갖는 미연신(未延伸)의 고분자필름, 예컨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슬폰, 폴리슬폰, 또는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학등방성 필름(12)은 위상차 값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점의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 경우와 같은 각 열처리1~열처리3을 행하기 때문에, 그것에 견디는 150℃ 이상의 열변형온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3실시예에서는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나 광학등방성 필름(12)을 이용함으로써, 제2실시예에서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을 이용할 경우와 비교하여, 투명터치패널(1)의 전체의 두께가 얇아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예컨대, 고정전극부(5)를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에 형성한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와,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이용한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 또는 광학등방성 필름(12)을 이용한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에서는 두께 0.7mm에 대해,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 또는 광학등방성 필름(12)에서는 두께를 0.075mm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정전극용의 기재로서는 상기 제1실시예 또는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는, 제2실시예의 경우의 약 1/10의 두께로 된다. 한편,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을 이용한 경우에는 제1실시예 또는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손가락이나 펜 등의 억누름의 안정성, 내구성이 보다 안정하다.
또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박형화 보다도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과 마찬가지의 억누름의 안정성, 내구성을 우선시 할 경우에는, 투명터치패널(1)과 액정디스플레이(2)와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을 배치하면 좋다(도 9 참조).
또한, 제3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박형화 보다도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과 마찬가지의 억누름의 안정성, 내구성을 우선시 할 경우에는, 광학등방성 필름(12)과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과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을 배치하면 좋다(도 10 참조).
상기 각 변형예에서의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계, 아크릴계, 폴리슬폰계 등의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가 이용된다.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의 두께는, 예컨대 0.3~5.0mm이다. 0.3mm 미만으로 되면, 억누름의 안정성, 내구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반복입력에 의해 움푹 패임 등의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5.0mm를 초과하면, 유리보다도 무거워져 휴대기기로서는 유효하지 않다.
한편, 대향배치된 가동전극부(3)와 고정전극부(5)와의 사이에 다수의 스페이서(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위로부터 억누름으로써, 스페이서(10)가 없는 영역에서 가동전극부(3)가 고정전극부(5)에 접촉하여 입력이 행해진다.
더욱이, 도면중의 스페이서(10)는 이해하기 쉽도록 과장하여 도시되어 있으며, 실제로는 눈으로 인식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실제의 일예로서, 각 스페이서(10)의 높이는 1~15㎛, 각 스페이서(10)인 원주의 바깥지름은 30~100㎛, 그리고 스페이서(10)는 0.1mm~10mm의 사이의 일정치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상면에는, 상측 편광판(8)을 배치하는데, 그 편광축은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에 대해 약 45˚ 경사지게 배치한다. 여기서 약 45˚라는 것은, 직선편광을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고, ±3˚까지 허용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직교하는 2성분의 편광의 진폭이 같아져,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통과한 직선편광이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된다.
여기서,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에 대해 45˚에 대해 ±3˚까지 허용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에 대해 정확히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 입사한 직선편광은 원편광으로 바뀌지 않고, 타원편광으로 된다.
그 후, 반사에 의해 되돌아 온 원편광은 다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통과함으로써,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상면에서 직선편광으로서 출사하지만, 반사에 의해 되돌아 온 타원편광은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상면에서 직선편광에 가까운 타원편광으로서 출사한다. 완전한 직선편광의 경우, 이 후,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슬릿과 같은 것)에 직교하기 때문에,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서 출사하지 않고, 그 결과 반사광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완전한 직선편광으로 되지 않았던 경우,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에 직교하는 성분에 대해서는 출사를 금지하지만,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에 일치하는 성분은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서 출사한다. 결국, 여분의 반사가 남는다.
단지,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에 대해 정확히 45˚의 각도로 되지 않아도 ±3˚이내이면, 거의 원편광과 동일하고, 최종적으로 상측 편광판(8)의 상면(액정표시장치 상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반사광은 무시할 수 있다.
다음에, 상측 편광판(8)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콜에, 요소 또는 염료 등의 2색성 색소를 함침(含浸)시켜 연신시키고, 표리(表裏)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계의 보호막을 피복한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두께 200㎛의 편광판을 이용한다. 그와 같은 상측 편광판(8)으로서는, 예컨대 「日東電工 제조 HEG1425DU」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저반사 처리를 시행하여 저반사 처리층을 형성해도 된다. 저반사 처리방법으로서는, 불소수지나 실리콘수지 등의 저굴절률 수지를 이용한 저반사재료를 도포하거나, 금속의 다층막을 형성하거나, 저반사 필름을 부착하거나 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전반사중, 약 4%가 터치패널 표면의 반사이고, 이 반사를 1% 미만으로 억제하는 처리를 상기 저반사 처리라 부르고 있다.
손가락이나 펜 등에 의한 억누름에 의한 마모로부터 상측 편광판(8)이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보호하기 위해, 상측 편광판(8) 상에 아크릴수지, 실리콘수지, 또는 UV경화수지 등에 의한 하드코팅층을 형성해도 좋다.
투명터치패널(1) 및 상측 편광판(8)을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하와 같이 하여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에 기인하는 반사광을 억제할 수 있다.
관찰자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은 상측 편광판(8)을 통과하여 직선편광으로 된다. 이 직선편광이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에 대해 광축을 약 45˚ 경사진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주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통과하면, 직선편광은 서로 직교하여 진폭이 같은 2개의 편광성분으로 나누어지고, 그 한쪽의 편광성분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일으킨다. 그 결과, 직선편광으로부터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바뀐다. 그리고, 가장 경계면에서의 굴절률차가 큰 공간층(7)과 고정전극부(5)의 경계면에서 반사된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은, 다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통과한다.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통과한 광은,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부터 직선광으로 바뀌지만, 그 경우 직선편광이 최초에 상측 편광판(8)을 통과한 직선편광에 대해 90˚ 변화하여,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에 대해 거의 수직인 직선편광으로 되기 때문에 광이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반사광이 억제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거의 원편광은 극히 원편광에 가까운 상태이다.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에 대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이 45˚ 각도를 이룰 경우에 원편광으로 되고, 그 이외에는 타원편광으로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에 대해 ±3˚의 허용차를 갖게 하여 상측 편광판(8)과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배치하는 것으로, 여기서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바뀐다는 경우의 「거의 원편광」은, 이 ±3˚의 허용범위에 있는 타원편광이다.
더욱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은, 원료재료로 되는 상측 광학위상차필름(4)의 필름소재의 연신방향에 평행한 축이다.
또한,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또는, 흡수축)은, 필름소재의 연신방향에 평행한 축이다. 상측 편광판(8)을 통과하는 광은 편광되고,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만의 직선편광으로서 상측 편광판(8)에서 출사한다.
더욱이, 흡수축과 직교하는 축을 투과축이라 부른다. 이 상측 편광판(8)에 대해 직선편광을 투과시키는데는, 투과축과 방향이 일치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직선편광은 상측 편광판(8)을 투과할 수 없다.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은, 원래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편광판(이 경우는 하측 편광판)에서 직선편광으로 바뀌고, 그 후 액정디스플레이(2)를 통과함으로써, 예컨대 노멀리 화이트(normally white) 표시모드의 경우, 임계치 전압 이하에서는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과 일치하도록 출사하고, 임계치 전압 이상에서는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과 일치하지 않도록 출사한 것이다. 더욱이, 노멀리 화이트 표시모드의 경우, 역으로 임계치 전압을 초과할 경우는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과 일치하도록 출사하고, 임계치 전압 이하의 경우에서는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과 일치하지 않도록 출사한다.
또한,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 마찬가지로, 하측 편광판(9)의 편광축(또는, 흡수축)은 필름소재의 연신방향에 평행한 축이다. 하측 편광판(9)을 통과하는 광은 편광되고,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만의 직선편광으로서 하측 편광판(9)에서 출사한다.
또한, 관찰자측으로부터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을 본 경우의 색번짐을 억제하기 위해, 투명터치패널(1)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액정디스플레이(2)와의 사이에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주는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배치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정디스플레이(2)의 상면 전면에 하측광학위상차 필름(6)을 투명점착제 등을 매개로 맞붙이면, 표시화면의 색번짐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더 효과적으로 반사광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은 약 90˚로 되도록 배치해 둔다. 여기서 약 90˚라는 것은,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통과후의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을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서 직선편광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고, ±3˚까지 허용된다.
더욱이,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에 대해,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이 45˚로 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약 45˚라는 것은, 직선편광을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고, ±3˚까지 허용된다. 더욱이, 상면에 고정전극부(5)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이용한 구성의 경우는, 표시화면의 색번짐을 억제함과 더불어 투명터치패널(1)의 일부로도 되어 있기 때문에, 새롭게 광학위상차 필름을 부가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임계치 전압 이하에서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은,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 90˚의 각도를 이루는 관계에 있다.
액정디스플레이(2)에 이용되는 액정표시방식으로서는, 투과형 및 반사형 TN액정표시방식이나 투과형 및 반사형 STN표시방식 등이 있지만, 이들중 어느 액정표시방식에 있어서도,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에 대해,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45˚로 되도록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배치하면 좋다.
투과형 및 반사형 STN액정표시방식의 경우, 액정디스플레이(2)의 구성으로서 액정셀(2a) 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표시화면의 색번짐을 없애,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한 광학보상용 위상차판(14)이 액정셀(2a)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TN액정표시의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라이트 도광판(13)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편광판(9)을 통과하여 직선편광으로 된다. 이 직선편광이 임계치 전압 이하에서 액정디스플레이(2)를 통과하면 90˚비틀어진 직선편광으로 된다. 더욱이,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통과한 직선편광은 원편광으로 되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 의해 다시 직선편광으로 되돌려진다. 이 경우, 2매의 광학위상차 필름의 광축의 각도가 약 90˚로 되기 때문에, 이 직선편광의 방향은 노멀리 화이트 표시모드의 경우는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 직교한다. 결국, 투과축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직선편광은 편광판(8)을 통과하여, 관찰자에게 광이 다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상과 같은 구성의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되어 있는 부재 및 액정디스플레이(2) 또는 이들과 이들 사이의 모든 부재를 표시면의 영역 외에서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부착해도 좋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점착제층 또는 투명재박리시트에 의해 전면적으로 부착한다. 더욱이, 투명점착제층 및 투명재박리시트중 어느 한쪽만에 의해 모든 부재간이 부착되어도 좋고, 투명 점착제층에 의해 부착되는 부재간과 투명재박리시트에 의해 부착되는 부재간이 혼재해도 좋다.
투명점착제층은, 일반적인 투명한 점착제를 도포한 것이다. 점착제로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또는 고무계 수지 등이 있다. 투명재박리시트는, 투명한 고분자 점착제를 겔(gel)시트에 형성한 것이다. 고분자 점착제로서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또는 천연고분자재료계 등이 있다. 투명점착제층 또는 투명재박리시트에 의해,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되어 있는 부재와 액정디스플레이(2)와의 사이의 공기층을 배제할 수 있고, 게다가 이들의 투명점착제층이나 투명재박리시트의 굴절률은 공기보다 크고,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 광학등방성 필름(12),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 액정디스플레이(2)를 구성하는 유리판 등의 부재의 굴절률에 가깝기 때문에, 투명점착제층이나 투명재박리시트와 이들의 부재와의 경계면에서의 광의 반사를 억누르고, 최종적으로 양면접착테이프를 이용한 경우 등의 공기층을 갖는 구조보다 투과율이 높아진다. 더욱이, 투명점착제층이나 투명재박리시트의 굴절률이 상기한 각 부재의 굴절률에 가깝기 때문에, 투명점착제층이나 투명재박리시트와 각 부재와의 경계면에서의 광의 굴절을 억눌러, 화면표시에 영향이 없다.
또한, 투명재박리시트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부재끼리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여 떼어지는 힘이나 수평방향으로의 엇갈림의 힘에는 강하고, 단부가 감아 올라가도록 쌍방을 떼어 놓으면 용이하게 분리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실장후에 있어서의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박리의 염려는 없고, 메인티넌스(maintenance)시 등에는 간단히 벗겨질 수 있다. 더욱이, 투명재박리시트의 점착력은, 거듭되는 탈착에 의해서도 저하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고분자 점착제로서 우레탄계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투명재박리시트가 흡수성 및 흡기성을 겸하여 구비한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장한 경우에 부재간에 혼입된 기포를 투명재박리시트가 실온에서 흡수하고, 최종적으로는 특별한 처리없이 기포가 없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특별한 처리라는 것은, 예컨대 투명터치패널(1) 표면의 단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서 롤을 이동하여 기포를 추출하는 등의 처리이다. 이와 같은 특별한 처리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을 이용한 투명터치패널(1)의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고, 상기 실온에서의 기포 흡수작용이 극히 유용하게 된다.
다음에,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터치패널(1)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은, 미연신(未延伸) 상태의 필름소재를 1축 연신시킴으로써, 소정의 위상차를 갖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소재의 광축방향인 x방향의 굴절률과,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의 굴절률 및, 필름소재의 두께방향, 즉 x방향과 y방향에 직교하는 z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하고, 시감도(視感度)가 가장 큰 파장인 일예로서의 약 550nm의 가시광에 있어서 1/4파장의 위상차를 갖게 한 롤형태의 필름소재를 얻고, 이를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 이용한다. 더욱이,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에 위상차를 갖게 할 경우도,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마찬가지이다.
(터치패널(1)의 가동전극부(3))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용의 롤형태 필름소재 위에, 가동전극부(3)의 일부의 투명도전막을 형성시키는데, 그 방법으로서는 스퍼터, 증착, 또는 CVD법이 있다. 투명도전막을 형성하기 전에는,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를 제거하기 위해 가능한한 고온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잔류용제가 존재하면, 안정한 투명도전막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잔류용제의 제거후에 투명도전막의 성막을 행하는데, 투명도전막을 더 안정적이면서 고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150℃ 이상의 고온하에서 성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열변형온도가 150℃ 미만인 필름소재에서는, 150℃ 이상의 열에 의해 변형, 왜곡 등의 열화를 일으키고, 1/4파장의 위상차를 유지할 수 없다. 또한, 150℃ 미만의 열처리에서는 잔류용제의 제거가 불충분하게 되어 안정한 고강도의 투명도전막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투명도전막을 형성하는 필름소재는,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를 제거하기 위해 150℃ 이상의 고온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열변형온도가 150℃ 이상의 필름소재가 아니면 안된다.
이렇게 하여 제작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용의 투명도전막 부착 필름소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 롤형태이기 때문에, 회로형성을 위한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여 매엽(枚葉)의 필름소재 시트로 한다. 단, 1매의 필름소재 시트는 1개분의 터치패널(1)의 경우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갯수분의 터치패널(1)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재단된 필름소재 시트는, 필요에 따라 회로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가능한한 작게하기 위한 가열처리를 행한다. 가열처리는, 100℃ 이상 130℃ 미만에서약 1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가동전극부(3)의 나머지의 일부인 리드선 등의 회로형성을 행한다. 회로형성방법은 스크린인쇄, 오프셋인쇄, 롤코터, 또는 디스펜서 등이 있다. 회로형성에 이용하는 잉크로서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바인더 중에 도전성을 갖는 금속미립자를 분산시킨 잉크를 이용하고, 인쇄 적성을 좋게하기 위해 용제를 가해 점도 조정된다. 도전성 잉크에 이용되는 금속미립자로서는, 은, 니켈, 동, 또는 금 등이 이용된다.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의 제거를 위해 고온건조를 행한다. 건조온도는 100℃ 이상 150℃ 미만에서 30~60분 행한다. 사용하는 잉크에 맞추어 적당하게 건조조건을 조정한다. 회로형성시의 열처리에서 1/4파장의 위상차가 변화하지 않는 필름소재를 선정해 두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매의 필름소재 시트에 대해 다정(多丁) 패턴(즉, 터치패널 수개분을 설치한다는 것)으로 회로형성을 행하면, 단시간에 대량의 회로형성필름을 제작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더욱이, 상기 롤형태 필름의 재단 및 회로형성에 있어서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이 갖는 광축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액정표시방식에는 TN, STN방식 등 여러가지가 있고, 이 방식에 의해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비틀어져 출사하는 직선편광과 표시화면의 변이 이루는 각도가 다르다. 당연히, 이 직선편광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은, 그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변에 대해 액정표시마다 다른 각도를 이룬다. 그러나, 반드시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비틀어져 출사하는 직선편광과 표시화면의 변과는45˚로 되지 않고, 그 경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도 그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변에 대해 평행하게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롤형태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방향과 연신방향은 평행하다. 따라서, 터치패널(1)의 부재로서 배치하는 상태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에 그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변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게 하기 위해 이하와 같이 한다. 하나는, 회로형성을 위한 재단으로 각도를 갖게 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투명터치패널(1)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변에 대해 30˚의 각도가 아니면, 회로형성을 위한 재단을 할 때도 재단후의 매엽 필름소재 시트의 변을 롤형태의 필름소재의 변에 대해 30˚의 각도를 주어 소정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고, 그 후 회로를 패턴을 보통으로 인쇄형성한다. 또는, 패턴의 레이아웃으로 각도를 갖게 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회로를 인쇄형성할 경우, 회로 인쇄형성용 판의 패턴 레이아웃을 전체적으로 30˚각도를 주면 롤형태의 필름소재는 연신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재단할 수 있다(물론, 후자의 경우에는 매엽 필름소재 시트와 패턴의 레이아웃이 각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후술의 터치패널(1)에 배치한 상태의 1개분의 필름소재 시트를 얻을 경우에 회로형성 후에 각도를 갖게 하여 재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회로형성에 있어서는 투명도전막과 리드선 등이 불필요한 접촉(즉, 불필요한 중복)을 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통상 회로형성 전에 투명도전막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 처리를 해 둔다. 패터닝 방법으로서는, 인쇄 레지스트법, 포토리소그래피법 또는 직접, 투명도전막을 패턴인쇄하는 방법 등이 있다.
(터치패널(1)의 고정전극부(5))
한편, 고정전극부(5)의 형성은 가동전극부(3)와 거의 동일한 공정으로 회로형성을 행한다. 광학등방성 필름(12) 또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을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과 고정전극부(5)의 사이에 배치할 경우는,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대상인 광학등방성 필름(12) 또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은 광축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대해 재단이나 회로형성의 경우에 각도를 줄 필요는 없다. 또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에 고정전극부(5)를 직접할 경우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 가동전극부(3)를 설치하는 것과 모두 동일하다. 잉크재료는 가동전극부(3)에 이용하는 잉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의 제거를 위해 고온건조를 행한다. 건조온도는 100℃ 이상 150℃ 미만에서 30~60분 행한다(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에 고정전극부(5)를 직접 설치할 경우, 회로형성시의 열처리에서 1/4파장의 위상차가 변화하지 않는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을 선정해 두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터치패널(1)의 절연확보)
회로형성 후, 상기 가동전극부(3)가 직접 형성된 가동측 시트(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와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된 고정측 시트(광학등방성 필름(12), 또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를 조합시켜 터치패널(1)로 하기 전에, 상하의 부재간에 리드선 및 전극이 접촉하여 절연불량으로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더욱이 회로의 금속산화 방지를 위해 가동전극부측과 고정전극부측의 적어도 한쪽에 절연층을 형성한다. 절연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회로형성과 마찬가지로, 인쇄 레지스트법, 스크린인쇄, 오프셋인쇄, 롤코터, 또는 디스펜서 등이 있다. 재료는 절연성을 갖는 열경화수지 등을 이용한다.
또한, 터치패널(1)의 상기 가동전극부(3)의 상기 투명도전막과 상기 고정전극부(5)의 상기 투명도전막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또한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터치패널(1)의 상면을 눌렀다 떼었다 할 경우의 도통의 ON, OFF를 부드럽게 행하기 위해 상기 가동전극부(3)의 상기 투명도전막과 상기 고정전극부(5)의 상기 투명도전막간에 다수의 스페이서(10)의 형성을 행한다. 스페이서(10)의 형성면은, 고정전극부측 및 가동전극부측중 적어도 한쪽의 투명도전막의 전극면에 형성된다. 스페이서(10)의 형성법으로서는, 직접, 임의의 스페이서(10)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스크린인쇄, 오프셋인쇄, 또는 디스펜서법 등이 있다. 또한, 전면적으로 형성한 피막을 스페이서 형상으로 패턴화 하는 포토리소그래피법, 또는 인쇄 레지스트법 등이 있다. 스페이서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입력불가부를 없게 하기 위해, 균일한 입력을 행하기 위해 동일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형상으로 형성할 경우는, 스페이서 지름은 작게하고 또 높이는 낮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는, 스페이서 지름은 30~100㎛, 높이는 1~15㎛, 스페이서 피치는 0.1~10mm로 종축에 직교하는 복수의 선의 교점에 있는 배열패턴을, 터치패널(1)의 변에 대해 전체적으로 0~90˚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전극시트 1개분의 절단)
회로형성된, 가동전극부(3)가 직접 형성된 가동측 시트(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 및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된 고정측 시트(광학등방성 필름(12), 또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는 다정 패턴의 경우는, 더욱이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다. 고정측 시트가, 필름의 경우는 톰슨형, 금형, 또는 컷팅프로터 등으로 재단되고,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의 경우는 스크라이버, 또는 브레이킹 머쉰 등으로 재단한다. 특히,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을 재단할 경우는, 도전막 면은 경질(硬質)로 칼이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도전막과 반대면으로부터 칼을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리단면을 깨끗하게 재단하고, 강도저하를 방지한다.
(상하의 가동측 시트 및 고정측 시트의 맞붙임)
가동전극부(3)가 직접 형성된 가동측 시트(상측 광학위상차 필름(6))와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된 고정측 시트(광학등방성 필름(12), 또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는, 점착재 또는 양면테이프(19)에 의해 맞붙여지고, 전극간에 공간층(7)이 형성된다. 다정 패턴으로 회로 형성할 경우는, 상하의 가동측 및 고정측 시트를 재단하기 전에 미리 점착재 또는 양면테이프(19)를 형성하면 보다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점착재 또는 양면테이프(19)를 가동전극부(3) 또는 고정전극부(5)의 주위에 형성하고, 양전극부 (3,5)간이 대향하도록 붙이고, 외압을 가해 압착한다. 양면테이프(19) 대신의 점착재는 스크린인쇄 등으로 형성, 양면테이프는 미리 틀형상으로 타발한 것을 이용한다. 이들은 터치패널(1)의 투시영역 보다도 외측에 형성한다. 점착재 또는 양면테이프가 투시영역 내에 들어가면, 터치패널 단부의 화상이 번져 보기 어려워진다. 점착재로서는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있고, 양면테이프로서는 예컨대 日東電工 제조 532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커넥터)
터치패널(1)의 상하의 전극부(3,5)의 접촉위치(즉, 입력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취출부(40; 커넥터)를 설치한다. 방법으로서는, 양전극부(3,5)로부터 각각 전극을 인출하는 방법, 또는 양전극부(3,5)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전극을 인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미리 전극 인출부분을 터치패널(1)에 설치 해 두고, 이방도전접착제를 매개로 커넥터(40)와 120℃ 이상 170℃ 미만에서 압착하면 된다.
이상이 터치패널(1)의 제조방법이다. 계속해서, 터치패널(1)과 액정디스플레이(2)를 조합시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측 편광판(8)의 맞붙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터치패널(1)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을 맞붙인다. 상측 편광판(8)의 위에 더욱이 투명필름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상측 편광판(8)과 투명필름을 터치패널(1) 상의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에 각각 맞붙여도 좋고, 미리 상측 편광판(8)과 투명필름을 맞붙인 것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터치패널(1) 상에 맞붙여도 좋다. 이들의 필름은 전면에 투명점착재를 매개로 접착된다. 상측 편광판(8) 및 투명필름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은 터치패널 외형과 동일 또는 터치패널 외형의 각 변으로부터 0.1~1mm정도 내측으로 되도록 맞붙인다. 이는 터치패널 외형 보다도 외측에 있으면, 상측 편광판(8)이나 투명필름이 외력이 가해져 벗겨지기 쉽기 때문이다. 단, 크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측 편광판(8)을 맞붙인 후, 40~80℃, 4~9kg/cm2, 10~12분 가압탈포처리를 행한다. 터치패널(1) 상에 상측 편광판(8)을 붙이면,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상측 편광판(8)의 사이 또는 투명필름과의 사이에 기포가 혼입하기 때문에 그를 제거하기 위함이고, 이 조작을 행함으로써 기포를 분산시킴과 동시에, 각 필름간에서의 밀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지 않는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맞붙임)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고정측 시트로서 광학등방성 필름(12), 또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을 이용할 경우, 이들의 고정측 시트와 액정디스플레이(2)의 사이에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배치한다.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은 액정디스플레이(2)측의 부재(액정표시부의 유리면, 또는 액정표시부 상에 배치된 편광판이나 다른 광학위상차 필름) 상에 점착재를 매개로 전면에 맞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은, 액정표시부 상에 배치되는 편광판이나 다른 광학위상차 필름에 미리 맞붙여서 액정표시부에 맞붙여도 좋고, 각각 액정표시부에 맞붙여도 좋다.
맞붙인 후, 가압탈포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80℃, 4~9kg/cm2, 10~120분 가압탈포처리를 행한다. 이 조작을 행함으로써 기포를 분산시킴과 더불어, 각 필름간에서의 밀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측 시트의 액정디스플레이측으로의 맞붙임)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고정측 시트는,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고정측 시트 상에 배치된 각 부재와 함께 액정디스플레이측의 부재에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된다. 액정디스플레이측의 부재(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 최상층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에 직접 부착해도 좋고, 액정디스플레이측의 부재와의 사이에 틀체를 설치하여 이 틀체에 부착해도 좋다. 또는, 투명점착제층, 투명재박리시트에 의해 전면에 부착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6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4실시예에서는 이하와 같은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제1~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이하와 같은 부적절함이 생기는 것이 있었다.
우선, 상측 편광판(8)의 표면의 내구성이 좋지않은 경우에는, 펜 입력 등에 의해 상측 편광판(8)의 표면이 손상되어,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측 편광판(8)의 표면에서 흡습(吸濕)한 경우에는, 상측 편광판(8)이 수축이나 팽창 또는 왜곡을 일으키기 쉬워지고, 상측 편광판(8)에 맞붙인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도 추종하여 리타데이션 값이 부분적으로 변화하여, 관찰자측으로부터 보면 색얼룩이 목격되고, 더욱이 반사방지기능을 손상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6실시예의 목적은 상기 부적절함을 해결함으로써, 표면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상측 편광판(8)으로의 흡습을 방지한 투명터치패널(1)과 이를 이용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6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5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6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반사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 액정표시장치(TN)에 있어서의 투과축방향 및 광축방향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투과형 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6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반사형 STN)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중, 22는 투명필름, 23은 저반사 처리, 24는 오염방지 처리, 25는 하드코팅 처리를 각각 나타낸다.
고정전극부(5)를 직접 형성하는 기재로서는,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제4실시예; 도 11 참조) 또는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제5실시예; 도 12 참조) 또는 광학등방성 필름(12)(제6실시예; 도 13 참조)을 이용한다. 이들의 기재도,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마찬가지로 고정전극부(5)의 형성 및 회로형성의 경우에 고온처리된다.
또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 박형화 보다도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과같은 억누름의 안정성, 내구성을 우선시 할 경우에는, 투명터치패널(1)과 액정디스플레이(2)와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을 배치하면 좋다(도 15 참조). 제6실시예에 있어서 박형화 보다도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과 같은 억누름의 안정성, 내구성을 우선시 할 경우에는, 광학등방성 필름(12)과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과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을 배치하면 좋다(도 16 참조).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계, 아크릴계, 폴리스틸렌계 등의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가 이용된다. 그 두께는 0.3~5.0mm이다. 0.3mm 미만으로 되면, 억누름의 안정성, 내구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반복입력에 의해 움푹 패임 등의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5.0mm를 초과하면, 유리 보다도 무거워져, 휴대기기로서는 유효하지 않다.
투명필름(22)의 기능으로서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투습성이 적어 상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다. 투명필름(22)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브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틸렌, 폴리에스테르케톤, 또는 폴리올레핀 등을 이용한다. 그 두께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이다.
또한,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맞붙인 투명필름(22)의 상면에 저반사 처리를 시행한 저반사 처리층(23)을 시행해도 좋다. 저반사 처리층(23)을 형성하는 저반사 처리방법으로서는, 불소수지나 실리콘수지 등의 저굴절률 수지를 이용한 저반사재료를 도포하거나, 금속의 다층막을 증착 등에 의해 형성하거나, 저반사필름을 부착하거나, 샌드블러스트가공이나 엠보스가공, 매트코팅가공, 또는 에칭가공 등에 의해 표면을 바둑판형태로 처리하는 등이 있다. 또한, 이들의 저반사 처리방법을 조합시켜 행해도 좋다.
또한,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맞붙인 투명필름(22)의 상면에 오염방지 처리를 시행한 오염방지 처리층(24)을 시행해도 좋다.
또한, 손가락이나 펜 등에 의한 억누름에 의한 마모로부터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맞붙여진 투명필름(22)을 보호하기 위해, 하드코팅처리를 시행한 하드코팅 처리층(25)을 시행해도 좋다. 예컨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UV경화수지 등에 의한 하드코팅층(2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의 저반사 처리층(23), 오염방지 처리층(24), 하드코팅층(25)은 이들중 몇개를 조합시켜 형성해도 좋다.
투명터치패널(1) 및 상측 편광판(8)을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하와 같이 하여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에 기인하는 반사광을 억제할 수 있다.
관찰자측으로부터 투명필름(22)을 투과해 온 입사광은 편광판(8)을 통과하여 직선편광으로 된다. 그 외의 작용효과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를 약 45°로 배치함으로써,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으로 되어 투명터치패널(1)의 공간층(7)으로 들어가, 반사된 원편광 또는 거의 원편광이 다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을 통과하여 상측 편광판(8)의 투과축과 수직인 직선편광으로 되기 때문에, 반사광이 억제된다.
또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을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에 대해 약 90˚의 각도로 되도록, 더욱이, 액정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되도록 투명터치패널(1)과 액정디스플레이(2)와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관찰자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표시화면의 색번짐을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고, 색번짐이 없는 표시화면이 얻어진다.
더욱이,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그 최상면에 저반사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최상면에서의 광의 반사가 억제된다.
이상의 개선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투명터치패널을 구비한 액정디스플레이는, 형광등 등이 있는 방이나 실외에서도 반사가 적어, 높은 콘트라스트로 상당히 시인성이 좋은 표시화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측 편광판(8) 및 그 배후의 각 층에 의해 실내에서의 형광등 등의 반사광이나 실외에서의 외광에 기인하는 반사광을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높고, 시인성이 높은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얻어지고, 더욱이,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부착된 투명필름(22)에 의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투명필름(22)을 맞붙임으로써, 표면의 내구성이 좋아져, 펜이나 손가락 입력 등으로도 상측 편광판(8)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투명필름(22)을 맞붙임으로써, 상측편광판(8)의 표면에서 흡습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의한 상측 편광판(8)의 수축이나 팽창, 왜곡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측 편광판(8)에 맞붙인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리타데이션 값의 변화를 억제하여, 색얼룩도 발생하지 않고, 더욱이 반사방지기능을 손상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에 있어서는 여러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되면 이해될 수 있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투명터치패널(1)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2)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3)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력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5)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 공간층(7)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1)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9)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정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며,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이며,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에 상기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 및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열변형온도가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 및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열변형온도가 1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7. 투명터치패널(1)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2)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3)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력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5)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 공간층(7)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1)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9)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정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며,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이며,
    상기 고정전극부(5)와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에 상기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열변형온도가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열변형온도가 1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9. 투명터치패널(1)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2)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3)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력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5)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 공간층(7)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1)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9)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정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며,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이며,
    상기 고정전극부(5)와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사이에 광학등방성 필름(12)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등방성 필름(12)에 상기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 및 상기 광학등방성 필름(12)의 열변형온도가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 및 상기 광학등방성 필름(12)의 열변형온도가 1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1. 제5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터치패널(1)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와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등방성 필름(12)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과의 사이에 광학등방성을 갖는 투명수지판(1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3. 제5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두께가 50㎛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4. 제5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전극부(5)가 직접 형성되어 있는 부재 및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 또는 이들과 이들 사이의 모든 부재가 투명점착제층 또는 투명재박리시트에 의해 전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5. 제5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투습성(透濕性)이 적어 상태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필름(22)이 맞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맞붙여진 상기 투명필름(22)의 상면에 저반사 처리층(23)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맞붙여진 상기 투명필름의 상면에 오염방지 처리층(24)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편광판(8)의 상면에 맞붙여진 상기 투명필름의 상면에 하드코팅 처리층(25)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19. 투명터치패널(1)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2)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3)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5)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 공간층(7)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1)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9)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며,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가동전극부(3)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가동전극부(3)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가동측 시트를 얻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고정전극부(5)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고정전극부(5)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고정측 시트를 얻고,
    상기 가동측 시트와 상기 고정측 시트를 맞붙이고,
    이어서, 상기 가동측 시트의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상면에 상기 상측 편광판(8)을 맞붙인 후에 가압탈포처리를 시행하며,
    상기 고정측 시트를 액정디스플레이와 맞붙여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0. 투명터치패널(1)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2)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3)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5)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 공간층(7)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1)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9)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며,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인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가동전극부(3)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 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가동전극부(3)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가동측 시트를 얻고,
    광학등방성을 갖는 유리기판(11) 상에 상기 고정전극부(5)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상기 고정전극부(5)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고정측 시트를 얻고,
    상기 가동측 시트와 상기 고정측 시트를 맞붙이고,
    이어서, 상기 가동측 시트의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상면에 상기 상측 편광판(8)을 맞붙인 후에 가압탈포처리를 시행하며,
    상기 고정측 시트를 사이에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매개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와 맞붙여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1. 투명터치패널(1)의 하측에 액정디스플레이(2)를 구비한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가시영역의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하면에 가동전극부(3)를 구비한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과, 상기 가시영역의 상기 중심파장의 입사광에 대해 1/4파장의 위상지연을 줌과 더불어 상면에 고정전극부(5)를 구비한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이 공간층(7)을 매개로 배치된 상기 투명터치패널(1)의 상면에 상측 편광판(8)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의 하면에 하측 편광판(9)이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45˚이고,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광축과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의 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약 90˚이며, 상기 액정디스플레이(2)로부터 나온 직선편광중 상기 장치 표면으로부터 출사시키려는 직선편광과 상기 상측 편광판(8)의 편광축과의 이루는 각도가 90˚인 터치입렵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가동전극부(3)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가동전극부(3)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가동측 시트를 얻고,
    광학등방성 필름(12)의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 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필름소재상에 상기 고정전극부(5)의 투명도전막을 직접 형성하고,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시행한 후에 상기 고정전극부(5)의 리드선을 형성하며,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시행하여 고정측 시트를 얻고,
    상기 가동측 시트와 상기 고정측 시트를 맞붙이고,
    이어서, 상기 가동측 시트의 상기 상측 광학위상차 필름(4)의 상면에 상기 상측 편광판(8)을 맞붙인 후에 가압탈포처리를 시행하며,
    상기 고정측 시트를 사이에 상기 하측 광학위상차 필름(6)을 매개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와 맞붙여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름소재중의 잔류용제제거를 위한 열처리를 150℃ 이상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형성의 경우의 치수오차를 작게하기 위한 열처리를 100℃ 이상 130℃ 미만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을 형성한 잉크의 바인더의 경화 및 용제 제거의 열처리를 100℃ 이상 150℃ 미만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5.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탈포처리를 40~80℃, 4~9kg/cm2, 10~120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6.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전극부(3) 및 상기 고정전극부(5)의 적어도 한쪽에 미리 전극인출부분을 설치해 두고, 상기 가동측 시트와 상기 고정측 시트를 맞붙인 후에 이방도전접착제를 매개로 커넥터(40)와 120℃ 이상 170℃ 미만에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0-7007555A 1998-01-09 1999-01-08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76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85098 1998-01-09
JP1998-14850 1998-01-09
JP1998-215198 1998-07-30
JP21519898 1998-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970A KR20010033970A (ko) 2001-04-25
KR100376300B1 true KR100376300B1 (ko) 2003-03-17

Family

ID=2635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555A KR100376300B1 (ko) 1998-01-09 1999-01-08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68770B1 (ko)
EP (1) EP1046946B1 (ko)
KR (1) KR100376300B1 (ko)
DE (1) DE69938817D1 (ko)
TW (1) TW522271B (ko)
WO (1) WO1999035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607B2 (en)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JP3779515B2 (ja) * 1999-11-10 2006-05-31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WO2003023594A1 (en) 2001-09-06 2003-03-20 Nissha Printing Co., Ltd. Touch panel having high durability
KR100838061B1 (ko) * 2001-10-10 2008-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369122B2 (en) 2001-12-14 2008-05-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panel spacer dots and methods of making
KR100796497B1 (ko) * 2002-02-02 2008-0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
JP3867597B2 (ja) * 2002-03-19 2007-0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及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3296032A (ja) * 2002-04-03 2003-10-17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部一体型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2949A (ja) * 2002-06-10 2004-01-15 Canon Inc 電気泳動表示装置
AU2003241191A1 (en) 2002-08-20 2004-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guid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7583326B2 (en) 2002-08-20 2009-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guid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0897742B1 (ko) * 2002-08-20 200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화상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7011B1 (ko) * 2002-11-05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519370B1 (ko) 2002-12-24 2005-10-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JP4279207B2 (ja) * 2004-06-18 2009-06-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用いた表示入力装置
JP5414960B2 (ja) * 2005-05-09 2014-02-12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
KR101374887B1 (ko) * 2006-05-16 2014-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CN108563366B (zh) 2006-06-09 2022-01-25 苹果公司 触摸屏液晶显示器
US8552989B2 (en) 2006-06-09 2013-10-08 Apple Inc. Integrated display and touch screen
CN104965621B (zh) 2006-06-09 2018-06-12 苹果公司 触摸屏液晶显示器及其操作方法
US20080030484A1 (en) * 2006-08-07 2008-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ouch screen
KR20090080041A (ko) * 2006-10-17 2009-07-23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US8493330B2 (en) 2007-01-03 2013-07-23 Apple Inc. Individual channel phase delay scheme
US9710095B2 (en) 2007-01-05 2017-07-18 Apple Inc. Touch screen stack-ups
KR100879925B1 (ko) * 2007-01-10 2009-02-04 한국터치스크린(주) 터치패널 투명전극의 패턴화 방법
JP5051690B2 (ja) * 2007-01-30 2012-10-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入力機能付表示装置
JP2009004261A (ja) * 2007-06-22 2009-01-08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KR101432569B1 (ko) * 2007-11-20 2014-08-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14042B1 (ko) * 2007-12-07 2014-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액정표시장치
TWI374379B (en) 2007-12-24 2012-10-11 Wintek Corp Transparent capacitive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M348999U (en) * 2008-02-18 2009-01-11 Tpk Touch Solutions Inc Capacitive touch panel
TWM343210U (en) * 2008-05-30 2008-10-21 Tpk Touch Solutions Inc Display panel integrating the touch-control structure
TWM349000U (en) * 2008-06-04 2009-01-11 Tpk Touch Solutions Inc Capacitive touch display panel
JP2010015412A (ja) * 2008-07-04 2010-01-21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1022065B1 (ko) * 2009-01-16 2011-03-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WO2010140393A1 (ja) * 2009-06-01 2010-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667801B1 (ko) 2009-06-19 201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658991B1 (ko) * 2009-06-19 201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616875B1 (ko) * 2010-01-07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631892B1 (ko) 2010-01-28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710523B1 (ko) * 2010-03-22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20015692A (ko) * 2010-08-12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809191B1 (ko) 2010-10-11 2018-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JP2012093498A (ja) * 2010-10-26 2012-05-17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KR101735715B1 (ko) 2010-11-23 2017-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터치 패널
US8804056B2 (en) 2010-12-22 2014-08-12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s
CN102566808A (zh) * 2010-12-30 2012-07-11 扬升照明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1784436B1 (ko) 2011-04-18 201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위한 구동 장치
TWI446240B (zh) * 2011-06-03 2014-07-21 Primax Electronics Ltd 具有發光圖案之輸入裝置
CN102830828A (zh) * 2011-06-17 2012-12-1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发光图案的输入装置
US20130093697A1 (en) * 2011-10-18 2013-04-18 Wei-Hao Sun Touch panel display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DE102011117601A1 (de) * 2011-11-04 2013-05-08 Polyic Gmbh & Co. Kg Bedienvorrichtung
KR101472806B1 (ko) * 2012-01-30 2014-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2825931A (zh) * 2012-08-20 2012-12-19 黄石瑞视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触摸屏网印支撑点流平工艺
JP6136527B2 (ja) 2012-10-29 2017-05-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素子の前面用の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型液晶表示装置
KR102001471B1 (ko) * 2012-12-21 2019-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11484B1 (ko) * 2013-01-28 2020-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9220B1 (ko) * 2013-03-29 2018-07-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명 전극 패턴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CN104679314B (zh) * 2013-11-27 2018-02-06 浙江金徕镀膜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的制作方法
KR102347852B1 (ko) * 2014-09-05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전자 노트 및 휴대용 단말기
CN105468184B (zh) * 2014-09-12 2020-06-26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透明电极层压体和包括该透明电极层压体的触摸屏面板
TWI611925B (zh) * 2015-05-20 2018-01-21 Fujikura Ltd 具有導體層之構造體及碰觸面板
US11402283B2 (en) * 2016-09-14 2022-08-02 Sony Corporation Sensor,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614657B (zh) * 2016-12-16 2018-02-11 奇象光學有限公司 光學膜片以及使用者輸入系統
KR20190047168A (ko) * 2017-10-26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650705B2 (en) * 2020-12-07 2023-05-16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112764591A (zh) * 2021-01-28 2021-05-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光触控显示系统及其激光笔、光触控显示面板
US11650704B2 (en) * 2021-08-02 2023-05-16 Tpk Advanced Solutions Inc. Bond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N116430617A (zh) * 2023-05-04 2023-07-14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显示设备以及制造触控显示面板的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523A (ja) * 1989-10-04 1991-05-23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一体型液晶表示装置
JPH05127822A (ja) * 1991-10-30 1993-05-25 Daicel Chem Ind Ltd タツチパネル
JPH0784705A (ja) * 1993-09-16 1995-03-31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
KR970049350A (ko) * 1995-12-19 1997-07-29 윤종용 터치패널
JPH09231002A (ja) * 1996-02-27 1997-09-05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一体型液晶表示素子
JPH1048625A (ja) * 1996-08-02 1998-02-20 Sumitomo Chem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用タッチパネル
JPH10186136A (ja) * 1996-11-11 1998-07-14 Dowa Mining Co Ltd 光学的フィ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8220A (en) 1981-04-27 1982-11-02 Rico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S61174587A (ja) 1985-01-30 1986-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ツチパネル付液晶表示素子
JP3112345B2 (ja) * 1992-05-13 2000-11-27 グンゼ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の構造
US5498657A (en) * 1993-08-27 1996-03-12 Asahi Glass Company Ltd. Fluorine-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DE69630829T2 (de) * 1995-02-02 2004-09-23 Teijin Ltd. Transparentes leitfähiges Flächenmaterial
JPH09203890A (ja) * 1996-01-25 1997-08-05 Sharp Corp 入力機能付き液晶表示素子および反射型入力機能付き液晶表示素子、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5833878A (en) * 1996-02-14 1998-11-10 Jsr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6108064A (en) * 1997-11-06 2000-08-22 Sharp Kabushiki Kaisha Reflective-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single polarizer plate
TW523627B (en) * 1998-07-14 2003-03-1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523A (ja) * 1989-10-04 1991-05-23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一体型液晶表示装置
JPH05127822A (ja) * 1991-10-30 1993-05-25 Daicel Chem Ind Ltd タツチパネル
JPH0784705A (ja) * 1993-09-16 1995-03-31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
KR970049350A (ko) * 1995-12-19 1997-07-29 윤종용 터치패널
JPH09231002A (ja) * 1996-02-27 1997-09-05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一体型液晶表示素子
JPH1048625A (ja) * 1996-08-02 1998-02-20 Sumitomo Chem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用タッチパネル
JPH10186136A (ja) * 1996-11-11 1998-07-14 Dowa Mining Co Ltd 光学的フィ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970A (ko) 2001-04-25
TW522271B (en) 2003-03-01
EP1046946A1 (en) 2000-10-25
US7268770B1 (en) 2007-09-11
EP1046946A4 (en) 2004-05-19
EP1046946B1 (en) 2008-05-28
DE69938817D1 (de) 2008-07-10
WO1999035531A1 (fr)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300B1 (ko) 터치입력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99402A1 (en)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20062414A1 (zh) 光学组件以及显示装置
KR20010030164A (ko) 터치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JP7233472B2 (ja)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
US6965418B2 (en) Semi-transmitting reflective plate, reflective plate, semi-transmitting polarizer, reflective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WO2010076903A1 (en) Touch screen window for applying to display panel such as lcd pane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0105669A (ja) タッチ入力方式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313337B2 (ja) 低反射タッチパネル
GB2102977A (en) Liquid crystal cell
JP2001075731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WO2023065876A1 (zh) 后盖、电子设备和后盖的制备方法
JP4219735B2 (ja) 低反射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と低反射タッチパネル実装用シート
JPH10260395A (ja) 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一体型透明タッチパネル
JP2004240455A (ja) タッチ入力方式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302476A (ja) タッチ入力方式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KR20170034512A (ko) 터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JP2004302476A5 (ko)
JP2004227010A (ja) タッチ入力方式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246380A (ja) タッチ入力方式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287449A (ja) タッチ入力方式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TWI301214B (ko)
CN217739887U (zh) 电容屏及显示设备
JP2012037743A (ja) 表示装置
CN207571429U (zh) 光学膜片及液晶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