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839B1 -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839B1
KR100375839B1 KR10-2000-0005431A KR20000005431A KR100375839B1 KR 100375839 B1 KR100375839 B1 KR 100375839B1 KR 20000005431 A KR20000005431 A KR 20000005431A KR 100375839 B1 KR100375839 B1 KR 100375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etch
etch liquid
condensat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7559A (ko
Inventor
한승국
Original Assignee
한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국 filed Critical 한승국
Priority to KR10-2000-000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8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7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개시된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는 농축된 에치액을 보유한 에치액 탱크, 계량조, 축임물탱크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계량조는 상기 에치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치액을 정량만큼 공급하기 위한 다접점 센서 및 에치액의 농도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를 가진다. 상기 축임물 탱크는 에치액 공급 밸브를 통해 상기 계량조로 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에치액과 수돗물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혼합된 축임물을 보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임물 혼합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에치액 자동 공급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농도의 축임물을 만드는 것은 물론, 선택된 농도에 따라 에치액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동일한 농도의 축임물을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mixing constant amount of etching solution}
본 발명은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접점 센서 및 셀렉터를 가진 계량조에 의하여 에치액을 정량 공급하는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셋 인쇄의 원리는 물과 잉크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것으로, 비화선부는 친수성을 가지고 화선부는 친유성의 특성을 보유하도록 특수 처리를 하여 화선부에만 선택적으로 잉크가 묻도록 하고 이것을 블랑켓에 전이시키고 다시 블랑켓으로부터 종이로 전이시켜서 인쇄를 하는 방법이다. 이때 비화선부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잉크가 묻지 않도록 하는 물을 축임물이라고 하는데 축임물은 pH에 따라 산성, 중성, 알카리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의 상업인쇄에서는 거의 산성을 사용하고 알카리성은 신문인쇄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오프셋 인쇄에 있어서는 축임물의 공급이 필수적이며, 축임물은 통상적으로 농축 습수액(concentrated fountain solution), 물, 이소프로필알코올(IPA)로 구성된다. 각각의 %는 댐프닝방식에 따라 달라지는데 연속급수방식에 의한 댐프닝방식의 경우는 약 1∼ 5%의 농축 습수액, 80 ∼ 95%의 물, 5 ∼ 20%의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져 있다.
산성 농축 습수액은 일반적으로 인쇄판 위에 친수성 피막을 형성하는 친수성 (hydrophilic) 고분자 물질과 인산, 구연산과 같은 버퍼를 형성하는 산류(acids)및 불감지화 효과를 가지고 있는 염류(salts) 및 표면장력을 낮추기 위한 계면활성제로 구성되어 있다. 축임물은 통상적으로 수돗물에 농축 습수액, 물,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축임물의 기능은 비화선부에 잉크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 외에, 화선부를 선명하게 하고 인쇄판 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쇄를 계속하면 지분찌꺼기, 잉크찌꺼기, 등으로 축임물은 오염되며 종이에 의해 계속적으로 흡수되므로 점차 소모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물로 인해 축임물의 온도는 상승하고 pH는 변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깨끗한 인쇄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축임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축임물 공급 장치는 에치액 공급조(10), 혼합조(20), 축임물 저수조(30) 및 제어부(40)를 가진다. 상기 에치액 공급조(10), 혼합조(20), 축임물 저수조(30) 각각에는 수위(水位) 센서들(12, 22, 3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 센서들(12, 22, 32) 각각은 로우레벨 감지부(14, 24, 34)와 하이레벨 감지부(16, 26, 36)를 가진다. 상기 혼합조(20)의 상부 일측 벽면은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밸브(V1)를 통해 상기 에치액 공급조(10)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제 2 밸브(V2)를 통해 급수 파이프와 연결된다. 상기 축임물 저수조(30)의 일측 벽면은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작동되는 제 3 밸브(V3)를 통해 상기 혼합조(20)의 바닥면과 연결된다.
옵셋 인쇄기가 가동되어 인쇄 작업이 시작되면, 축임물은 종이에 묻어 나가거나 증발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원인에 의하여 상기 축임물 저수조(30)의 수위가로우 레벨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축임물의 수위가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36)에 이를때까지 상기 제 3 밸브(V3)를 열어 상기 혼합조(20)로 부터 에치액이 혼합된 축임물을 받아들인 뒤 상기 제 3 밸브(V3)를 잠근다. 상기 혼합조(20)로 부터 축임물이 흘러나가 상기 혼합조(20)의 수위가 로우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40)는 수돗물을 받아들이도록 상기 제 2 밸브(V2)를 연다. 상기 에치액과 수돗물이 상기 혼합조(20)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26)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2 밸브(V2)를 닫고, 상기 에치액 공급조(10)로 부터 에치액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기 제 1 밸브(V1)를 연다. 상기 에치액 공급조(10)의 수위가 로우 레벨 감지부(14)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 1 밸브(V1)를 닫는다. 상기 축임물 저수조의 수위가 떨어지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축임물 공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축임물의 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즉, 인쇄 상태의 문제로 인하여 축임물의 농도를 높이거나 낮추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수위 센서들의 레벨 감지부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밸브의 열림 시간을 조정하여 농도를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레벨 감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번거롭고 정확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의 열림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밸브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량을 알아야 하므로 번거롭고 정확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임물의 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습수액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에치액 혼합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 에치액 탱크 124a, 144a, 164a : 커먼 단자
124b, 124c, 144b, 144c, 164b, 164c : 레벨 감지부
126, 146, 148 : 솔레노이드 밸브
140 : 계량조 142 : 셀렉터
144 : 다접점 센서 160 : 축임물 탱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는 에치액 탱크, 계량조, 축임물 탱크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에치액 탱크는 농축된 에치액을 보유한다. 상기 계량조는 상기 에치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일측 벽면에 다접점 센서 및 셀렉터를 가진다. 상기 다접점 센서는 에치액을 정량만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커먼부 및 다수의 레벨 감지부를 가지며, 각 레벨 감지부는 각 레벨 감지부 사이의 용적이 일정하도록 상기 각 레벨 감지부 사이의 높이를 조정하여 배치된다. 상기 셀렉터의 선택단자들은 에치액의 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레벨 감지부와 일대일 매칭된다. 상기 축임물 탱크는 에치액 공급 밸브를 통해 상기 계량조로 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에치액과 물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혼합된 축임물을 보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임물 혼합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커먼부는 상기 각 레벨 감지부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에치액 공급 밸브는 소량의 유량도 흐르게 할 수 있는 무압 밸브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공급 장치는 에치액 탱크, 밸로즈 펌프, 계량조, 축임물 탱크,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에치액 탱크는 농축된 에치액을 수용하며, 농축 에치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에치액 감지 센서 및 상기 에치액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가진다. 상기 계량조는 에치액 공급관 및 밸로즈 펌프를 통해 상기 에치액 탱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에치액을 정량만큼 공급하기 위한 다접점 센서 및 에치액 농도를 선택하기 위하 셀렉터를 가진다. 상기 축임물 탱크는 에치액 공급 밸브를 통해 상기 계량조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에치액과 물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혼합된 축임물을 수용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임물 혼합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밸로즈 펌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된다. 상기 계량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계량조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셀렉터에 의해 선택된 에치액 농도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에치액이 축임물 탱크로 유입되어 일정 농도의 축임물을 자동적으로 혼합 및 공급할 수 있어 간단하고 정밀한 에치액 농도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는 에치액 탱크(120), 계량조(140), 축임물 탱크(140) 및 제어부(180)로 구성된다.
상기 에치액 탱크(120)는 최소한의 전도도가 1000이상인 농축된 에치액을 보유하며, 상기 에치액의 보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에치액 탱크(120)의 일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커먼(common)부(124a), 로우 레벨 감지부 (124b) 및 하이 레벨 감지부(124c)를 포함한다. 상기 커먼부(124a)는 상기 로우 레벨 감지부(124b) 및 하이 레벨 감지부(124c) 각각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먼부(124a)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 1 하이 단자(H1)에 접속된다. 상기 로우 레벨 감지부(124b)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 1 로우 단자(L1)에 접속된다.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124c)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 1 커먼 단자(C1)에 접속된다. 상기 에치액 탱크(120)는 그 바닥면에 연결된 에치액 보충 밸브(126)를 통해 상기 계량조와 연결된다.
상기 계량조(140)는 셀렉터(142) 및 다접점 센서(1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셀렉터(142)는 12가지의 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11개의 선택단자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다접점 센서(144)는 상기 계량조(140)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는 커먼부(144a), 상기 선택단자들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11개의 로우 레벨 감지부 (144b) 및 하이 레벨 감지부(144c)를 포함한다. 상기 커먼부(144a)는 상기 각 로우 레벨 감지부(144b) 및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 (144c)와 각각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먼부(144a)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 2 커먼 단자(C2)에 접속된다. 상기 다수의 로우 레벨 감지부 (144b)는 상기 셀렉터(142)의 농도 선택 스위치 (SW1)를 통해 상기 제어부(180)의 제 2 로우 단자(L2)에 접속된다.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144c)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 2 하이 레벨 단자(H2)에 접속된다. 상기 계량조(140)는 그 바닥면에 연결된 에치액 공급 밸브(146)를 통해 상기 축임물 탱크 (16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레벨 감지부들(144b, 144c) 사이의 용적은 25cc가 되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축임물 탱크(160)는 그 일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커먼부(164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우 레벨 감지부(164b) 및 하이 레벨 감지부(164c)를 포함한다. 상기 커먼부(164a)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 3 커먼단자(C3)에 접속되고 상기 로우 레벨 감지부(164b) 및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164c)와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우 레벨 감지부(164b)는 제 2 스위치(SW2)를 통해 상기 제어부(180)의 제 3 로우 레벨 단자(L3)에 접속된다.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164c)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 3 하이 레벨 단자(H3)에 접속된다. 상기 축임물 탱크(160)의 상부 일측면에는 물 공급 밸브(148)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164c)와 상기 로우 레벨 감지부(164b)의 사이의 용적은 5L가 되도록 배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레벨 감지부들은 도전성 용액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도전성 용액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제어부(180)로 감지신호를 보낸다.
상기 구성에 따라,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의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치액의 농도를 0.5%로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축임물 탱크(160)의 수위가 로우 레벨 감지부 (164b)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물 공급 밸브(148)를 열어 수돗물 또는 지하수를 상기 축임물 탱크(160)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출력신호(out 4)를 발생한다. 상기 축임물 탱크(160)의 수위가 상기 물 유입으로 인해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164c)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에치액 공급 밸브(146)를 열어 상기 축임물 탱크(160)로 에치액이 유입되도록 하는 출력신호(out 3)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계량조(140)의 상기 로우 레벨 감지부(144b)에 의해 상기 계량조(140)로 부터 상기 축임물 탱크(160)로 25cc의 에치액이 유입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에치액 공급 밸브(146)를 닫고, 상기 에치액 보충 밸브(126)를 열도록 하는 출력신호(out 2)를 발생한다. 상기 에치액 보충 밸브(146)를 통해 상기 에치액 탱크(120)로 부터 상기 계량조(140)로 농축된 에치액이 공급되어, 상기 계량조(140)의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144c)에 의해 에치액 보충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에치액 보충 밸브(126)를 닫는다.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감소된 축임물을 동일한 농도를 갖도록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에치액 탱크(120)의 에치액 수위가 상기 에치액 탱크의 로우 레벨 감지부(124b)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시되지 않은 알람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농축 에치액의 보충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공급 장치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공급 장치는 에치액 탱크(220), 밸로즈 펌프(226), 계량조(240), 축임물 탱크(260), 및제어부(280)로 구성된다.
상기 에치액 탱크(220)는 농축된 에치액을 보유하며, 에치액 감지 센서(224) 및 필터(2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치액 감지 센서(224)는 커먼 단자(224a)와 로우 레벨 단자(224b)를 가진다. 상기 에치액 감지 센서(224)의 각 단자들(224a, 224b)은 상기 제어부(280)에 연결된다. 상기 밸로즈 펌프(228)는 에치액 공급관(222)을 통해 상기 에치액 탱크(220)와 상기 계량조(24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된다. 상기 계량조(240)는 상기 밸로즈 펌프(228)와 상기 축임물 탱크(260) 사이에 설치되며 그 바닥면에 에치액 공급 밸브(246)가 연결된다. 상기 계량조(24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계량조(1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축임물 탱크(260)에는 5접점 센서(26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5 접점 센서(265)는 커먼 단자(C), 넘침 감지부(HH), 하이 레벨 감지부(H), 로우 레벨 감지부(L), 및 배수 완료 감지부(LL)을 가진다. 상기 넘침 감지부(HH)는 축임물이 상기 축임물 탱크(260)로부터 넘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최고 수위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수 완료 감지부(LL)는 상기 축임물 탱크(260)에 축임물이 전혀 없음을 상기 제어부(280)로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축임물 탱크(260)의 상부 일측 벽면에는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관을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24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축임물 탱크(260)의 수위가 로우 레벨 감지부(L) 이하로 떨어지면,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물 공급 밸브(248)를 열어 수돗물 또는 지하수를 상기 축임물 탱크(260)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물 유입으로 인해 상기 축임물 탱크(260)의 수위가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H)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에치액 공급 밸브(246)를 열어 상기 축임물 탱크(260)로 에치액이 유입되도록 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계량조(240)의 상기 로우 레벨 감지부(144b)에 의해 상기 계량조(240)로 부터 상기 축임물 탱크(260)로 25cc의 에치액이 유입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에치액 공급 밸브(246)를 닫고, 상기 밸로즈 펌프(228)를 온 상태로 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밸로즈 펌프(228)는 상기 에치액 공급관(222)을 통해 상기 에치액 탱크(220)로 부터 상기 계량조(240)로 농축된 에치액을 공급한다. 상기 계량조(240)의 상기 하이 레벨 감지부(244c)에 의해 에치액 보충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밸로즈 펌프(228)를 오프 상태로 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감소된 축임물을 동일한 농도를 갖도록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에치액 탱크(120)의 에치액 수위가 상기 에치액 감지 센서(224)의 로우 레벨 감지 단자(224b)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부(280)는 도시되지 않은 알람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농축 에치액의 보충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에치액의 농도를 0.5%로 하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셀렉터(142)의 제 1 스위치(SW1)의 위치를 변경하므로써 간단히 에치액의 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80, 280)는상기 물 공급 밸브(148, 248)와 에치액 공급 밸브(146, 246)로 동시에 출력신호를 보내, 일정량의 수돗물 또는 지하수가 상기 축임물 탱크(260)로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축임물 탱크(260)로 정량의 에치액이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는 축임물이 종이에 묻어나가거나 증발에 의하여 줄어들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에치액의 농도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에치액이 상기 다접점 센서의 레벨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밸브를 통해 믹싱 탱크에 공급되므로 매번 일정한 농도의 축임물을 혼합 및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다접점 센서 및 셀렉터를 가지는 계량조를 사용하므로 간단한 셀렉터 조작에 의해 에치액 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농축된 에치액을 보유한 에치액 탱크;
    상기 에치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치액을 정량만큼 공급하기 위한 다접점 센서 및 에치액의 농도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를 가지는 계량조;
    에치액 공급 밸브를 통해 상기 계량조로 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에치액과 물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혼합된 축임물을 보유하는 축임물 탱크; 및
    상기 축임물 혼합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치액 공급 밸브는 무압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3. 농축된 에치액을 수용하며, 농축 에치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에치액 감지 센서 및 상기 에치액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가진 에치액 탱크;
    에치액 공급관 및 밸로즈 펌프를 통해 상기 에치액 탱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에치액을 정량만큼 공급하기 위한 다접점 센서 및 에치액 농도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를 가지는 계량조;
    에치액 공급 밸브를 통해 상기 계량조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에치액과 물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혼합된 축임물을 수용하는 축임물 탱크; 및
    상기 축임물 혼합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치액 정량 자동 공급 장치.
  4. 제 1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접점 센서는 커먼부 및 다수의 레벨 감지부를 가지며, 각 레벨 감지부들은 각 레벨 감지부 사이의 용적이 일정하도록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계량조의 일측 벽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셀렉터의 선택단자들과 일대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먼부는 상기 각 레벨 감지부와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KR10-2000-0005431A 2000-02-03 2000-02-03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KR100375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431A KR100375839B1 (ko) 2000-02-03 2000-02-03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431A KR100375839B1 (ko) 2000-02-03 2000-02-03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559A KR20010077559A (ko) 2001-08-20
KR100375839B1 true KR100375839B1 (ko) 2003-03-15

Family

ID=1964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431A KR100375839B1 (ko) 2000-02-03 2000-02-03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7769A (zh) * 2018-07-12 2018-11-20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同济医院 一种全自动液体配比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694A (ja) * 1989-09-20 1991-05-07 Fuji Photo Film Co Ltd 湿し水補充方法
JPH0569528A (ja) * 1991-09-17 1993-03-23 Komori Corp 印刷機械の水舟水位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28658A (ja) * 1992-07-08 1994-11-29 Toppan Printing Co Ltd 湿し水管理装置
JPH06344533A (ja) * 1993-06-07 1994-12-20 Fuji Photo Film Co Ltd 湿し水自動補充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694A (ja) * 1989-09-20 1991-05-07 Fuji Photo Film Co Ltd 湿し水補充方法
JPH0569528A (ja) * 1991-09-17 1993-03-23 Komori Corp 印刷機械の水舟水位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28658A (ja) * 1992-07-08 1994-11-29 Toppan Printing Co Ltd 湿し水管理装置
JPH06344533A (ja) * 1993-06-07 1994-12-20 Fuji Photo Film Co Ltd 湿し水自動補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559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1409A (en) Liquid chemical dispensing system
JP2004535272A (ja) 複式固形化学薬品供給システム
JPH06182975A (ja) 流体高さ検出システム
KR100375839B1 (ko) 에치액 정량 자동 혼합 장치
US3605782A (en) Liquid mixing device
JP2927637B2 (ja) 加湿器
JPH01254960A (ja) 処理液槽への給水方法
JPH01254959A (ja) 処理液槽への給水方法
WO1998029900A1 (fr) Unite de commande centralisee de liquide chimique d'impression de motifs
US54165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enishing developer
FI64831B (fi) Anordning foer dosering i bestaemd proportion och snabblandning av utfaellningskemikalier foer rening av avfallsvatten i avfall
KR100742367B1 (ko) 약액 혼합 공급장치
JPH10141715A (ja) 節水型加湿器給排水装置
JP3486410B1 (ja) オフセット印刷機の湿し水供給方法及び装置
JP3022643U (ja) 湿し水定量補給装置
JP3332360B2 (ja) オフセット印刷機の湿し水定量希釈装置
JP2003246040A (ja) オフセット印刷の湿し水用のアルコ−ル安定保持装置
KR100664779B1 (ko) 포토 레지스트 공급장치
JPH0976452A (ja) オフセット印刷機の湿し水供給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湿し水供給装置
KR100558487B1 (ko) 밸브
JPH11319855A (ja) 水処理装置
JPH07140671A (ja) 基板現像装置
KR200261702Y1 (ko) 필름현상기용 수세수의 재활용장치
JPH09123392A (ja) 水溶液の濃度調整方法と該方法に用いる水溶液の濃度調整装置
JPS61290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