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552B1 -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552B1
KR100373552B1 KR10-1999-0046859A KR19990046859A KR100373552B1 KR 100373552 B1 KR100373552 B1 KR 100373552B1 KR 19990046859 A KR19990046859 A KR 19990046859A KR 100373552 B1 KR100373552 B1 KR 10037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flavor
roasted
l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748A (ko
Inventor
도훈
Original Assignee
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훈 filed Critical 도훈
Priority to KR10-1999-004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5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가지의 조미양념 및 향료를 가하여 특유의 양념 맛과 향을 내게한 양념 구이 김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발명은 식용유를 도포한 김에 고추 분말, 참께 분말, 콩가루 분말, 산초분말,토마토 케찹분말, 카레분말, 불고기(갈비)맛 분말, 피자맛 분말, 및 춘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물(主材物)88~ 95 중량%에 마늘 또는 양파 중 어느 하나인 2 ~ 5중량%, 생강 1 중량%, 소금 1 ~ 5중량%, 설탕1 중량%를 혼합 분쇄하여 된 분말시재를 산포(散布)후 소성함에 의해, 누구든지 즐길수 있는 독특한 맛과 향을 내는 풍미성 있는 구이김을 얻게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특미향의 구이김 및 그 제조방법{Roasted Laver With Special Tas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용유를 도포한 김에 특정의 양념과 향료를 혼합하여 만든 분말상의 조미양념을 균일하게 산포(散布)후 구이를 한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海苔)은 한국 사람들의 식단을 위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특히, 이중에서도 구이김은 도시락 반찬이나 또는 술 안주 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구이 김의 제조 방법을 보면, 김 재료에 단지 소금과 식용유만을 발라서 구이를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소금으로 인한 짭짤한 맛은 어느 정도 간을 유지되게는 하지만, 맛과 향면에서는 크게 떨어져서 사람들로 하여금 김의 소비를 점차 줄어들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되고 있다. 특히 서구화된 식생활의 입맛에 길들여진 신 세대들에게 갈수록 상기와 같은 문제는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구이 김의 회피는 김의 소비를 절대적으로 줄게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김 생산 업자들에게도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입게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한편,이러한 문제를 없도록 하기위한 방법으로 개발한 것중에 하나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98-167호(98.3.30)에 개시된 '구이김'이 있으나, 이 선행기술은 성인 병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 김에 대하여 도코사핵산 엔산(D.H.A)라고 하는 필수 지방산을 첨가하여 구이김을 제조하는 방법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으로, 상기 선행기술 역시 구이김을 선택하게 되는 맛과 향 면에서는 절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식용유를 도포한 김에는 조미료,양념,향료를 소정 비율로 첨가하여 만든 대략 0.1 ~ 0.5μ의 분말상 시재(조미 양념)를 산포후 구이를 한 것에 의해, 고유의 풍미성과 동시에 신세대의 입맛에도 맞는 맛과 향을 갖게 한 특미향의 구이김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의 청구항1과 관련된 특미향의 구이 김 제조방법은 김에 식용유를 도포하여 소성하는 구이김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추 분말,참께 분말, 콩가루 분말, 산초분말,토마토 케찹분말, 카레분말, 불고기(갈비)맛 분말, 피자맛 분말 및 춘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물 88 ~ 95중량%에 마늘 또는 양파 중 어느 하나인 2 ~ 5중량%, 생강 1 중량%, 소금 1 ~ 5중량%, 설탕1 중량%를 혼합 분쇄하여 0.1 ~ 1.5μ의 크기로 분말화한 시재를 식용유가 도포된 김에 바른후 60 ~ 100℃의 불(火)로서 2 ~ 3초 동안 구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의 청구항4와 관련된 특미향의 구이김은 식용유를 도포한 김에 고추 분말, 참께 분말, 콩가루 분말, 산초분말,토마토 케찹분말, 카레분말,불고기(갈비)맛 분말, 피자맛 분말 및 춘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물 88 ~ 95 중량%에 마늘 또는 양파 중 어느 하나인 2 ~ 5중량%, 생강 1 중량%, 소금 1 ~ 5중량%, 설탕1 중량%를 혼합 분쇄한 분말시재를 산포(散布)후 소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에서 사용된 소금은 천일 염이다. 또한 시재로서 마늘 혹은 양파를 사용한 것은 구이 김이 스낵 식품이라는 맛을 풍기게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며, 또한 설탕을 첨가하는 것은 김을 부드럽게 하면서 신세대의 입맛에 맞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상기 참께분말, 산초분말, 카레분말, 춘장분말에는 5 ~ 80중량%의 전분이, 상기 토마토 케찹분말에는 10 ~ 50중량%의 마요네즈가 함유되는데, 이 역시 구이김을 부드럽고 신세대에 맞는 맛을 내기 위함이다.
또 상기 시재를 0.1 ~ 1.5μ의 크기로 제한 것은 시재를 식용유가 도포된 김에 골고루 이탈됨이 없이 도포되게 함과 아울러 구이시 불에 타지 않도록 하기위함이다. 시재가 1.5μ 이상으로 되면 김의 구이시 불에 타게되거나 쉽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에서 사용된 불은 전기 혹은 가스불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양념 구이 김의 제조는 수동으로 일일히 할수도 있으나, 안가로 대량 제조하기 위해 자동화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특미향의 구이김과 그 제조방법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 고추양념 김
고추분말 95 중량%, 마늘 또는 양파 2중량%, 생강 1 중량%, 소금 1 중량%, 설탕1 중량%를 각각 믹서기에 넣고 1 ~ 5분 동안 혼합 분쇄하여 0.1 ~ 1.5μ 크기의 시재를 얻었다. 이 시재를 식용유가 도포된 김(8절지 크기)에 대하여 30중량%를 바른뒤 60 ~ 100℃의 불(火)에서 2 ~ 3초 동안 소성하여 양념 구이김을 얻었다. 상기 식용유로는 대두유, 옥수수유, 산초유,채종유, 들기름 및 참기름 등을 사용하였다. 또 상기 식용유는 김(8절지 크기)에 대하여 25중량%를 바르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렇게 제조한 양념 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에 표시하였다.
<실시예2> : 참께 양념김
참께를 볶아서 만든 참께분말 96 중량%, 마늘 또는 양파 3중량%, 소금 1 중량%를 넣는 것만을 달리 할 뿐,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하여 양념 구이김을 얻었으며, 이렇게 제조한 양념 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에 표시 하였다.
<실시예3> : 콩가루 양념김
콩을 볶아서 만든 콩가루 분말95 중량%, 마늘 또는 양파 3중량%, 소금 1 중량%, 설탕 1중량%를 넣는 것만을 달리 할 뿐,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양념 구이김을 얻었으며, 이렇게 제조한 양념 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에 표시 하였다.
<실시예4> : 산초 양념김
산초를 분말화한 산초분말 96 중량%, 마늘 또는 양파 3중량%, 소금 1중량%를 넣는 것만을 달리 할 뿐,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양념 구이김을 얻었으며, 이렇게 제조한 양념 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에 표시 하였다.
<실시예5> : 토마토 케찹 양념김
토마토 케찹을 말려서 만든 토마토 케찹 분말 95 중량%, 마늘 또는 양파 3 중량%, 소금 1중량%,설탕 1 중량%를 넣는 것만을 달리 할 뿐,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양념 구이김을 얻었으며, 이렇게 제조한 양념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에 표시 하였다.
<실시예6> : 카레 양념김
카레로 만든 카레 분말 96 중량%, 마늘 또는 양파 3중량%, 소금 1중량%를 넣는 것만을 달리 할 뿐,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양념 구이김을 얻었으며, 이렇게 제조한 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에 표시 하였다.
<실시예7> : 불고기(갈비)맛 양념김
불고기(갈비)를 분쇄,건조하여 불고기 맛 분말96 중량%, 마늘 또는 양파 3중량%, 소금 1중량%를 넣는 것만을 달리 할 뿐,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양념 구이김을 얻었으며, 이렇게 제조한 양념 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에 표시 하였다.
<실시예8> : 피자맛 양념김
피자를 분쇄,건조하여 만든 피자맛 분말 96 중량%, 마늘 또는 양파 3중량%, 소금 1중량%를 넣는 것만을 달리 할 뿐,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양념 구이김을 얻었으며, 이렇게 제조한 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에 표시 하였다.
<실시예9> : 짜장맛 양념김
짜장을 건조하여 만든 춘장 분말 85 중량%, 마늘 또는 양파 5중량%, 카라멜향 및 색소 5%, 소금 5중량%를 넣는 것만을 달리 할 뿐,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양념 구이김을 얻었으며, 이렇게 제조한 양념 구이 김의 기호도 및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1 및 표 2의 표시와 같다.
*상기 표1,2에서 점수 기준은 10점 만점이며, 기호도 검사 대상자는 2차에 걸쳐 서울 장위동에서는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과, 동두천에서는 아파트에 거주하는 10 대에서 50대의 남녀 주민 들을 상대로하여 실시 하였으며, 나이와 지역에 차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시료는 상기 실시 예에 따라 만든 각 종류별 8절지의 김 1/8씩 만을 지급하였다.
*상기 표 2에서 시료의 고유한 맛은 양념 김을 구웠을 때 분말소스(시재)의 맛을, 시료의 고유한 향은 양념 김을 구웠을 때 분말소스의 향을 그리고 시료의 김 맛은 분말과 김의 동시맛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된 양념 구이김들의 용도는 식사용, 김밥용, 샌드위치용 및 술 안주용으로 사용할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용유를 도포한 김의 어느 면에는 조미료, 양념, 향료를 소정 비율로 첨가하여 만든 분말상 시재(조미 양념)을 산포후 구이를 한 것에 의해, 고유의 김맛을 잃지 않게 하면서도 신세대는 물론이고 각 세대의 입맛에 맞는 맛과 향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김에 식용유를 도포하여 소성하는 구이김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추분말, 참께분말, 콩가루분말, 산초분말, 토마토 케찹분말, 불고기맛 분말, 피자맛 분말 및 춘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물 88~ 95 중량%에 마늘 또는 양파 중 어느 하나인 2 ~ 5중량%, 생강 1 중량%, 소금 1 ~ 5중량%, 설탕1 중량%를 혼합 분쇄하여 0.1 ~ 1.5μ의 크기로 분말화한 시재를 상기 식용유가 도포된 김에 산포(散布)후 60 ~ 100℃에서 2 ~ 3초 동안 소성하여 된 특미향의 구이김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께분말, 산초분말,춘장분말에는 5 ~ 80중량%의 전분이, 상기 토마토 케찹분말에는 10 ~ 50중량%의 마요네즈가 함유됨을 특징으로하는 특미향의 구이김 제조방법.
  4. 고추 분말,참께 분말, 콩가루 분말, 산초분말,토마토 케찹분말, 불고기맛 분말, 피자맛 분말 및 춘장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재물 88~ 95 중량%에 마늘 또는 양파 중 어느 하나인 2 ~ 5중량%, 생강 1 중량%, 소금 1 ~ 5중량%, 설탕1 중량%를 혼합 분쇄하여 된 분말시재를 산포(散布)후 소성하여 된 특미향의 구이김.
KR10-1999-0046859A 1999-10-27 1999-10-27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KR10037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859A KR100373552B1 (ko) 1999-10-27 1999-10-27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859A KR100373552B1 (ko) 1999-10-27 1999-10-27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748A KR20010038748A (ko) 2001-05-15
KR100373552B1 true KR100373552B1 (ko) 2003-02-26

Family

ID=1961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859A KR100373552B1 (ko) 1999-10-27 1999-10-27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45A (ko) 2014-07-16 2016-01-26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신맛이 도포된 구이 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831A (ko) * 2001-04-02 2001-07-13 이은승 양념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79084A (ko) * 2001-06-12 2001-08-22 이은진 칼슘의 왕인 멸치가루를 첨가한 김
KR20030047392A (ko) * 2001-12-10 2003-06-18 이상인 산초기름을 첨가한 김
KR101222188B1 (ko) * 2010-08-16 2013-01-16 전예숙 양파소금으로 조미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CN103082258A (zh) * 2012-10-12 2013-05-08 安徽珍味奇调味食品有限公司 一种番茄调味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539A (ko) * 1999-03-26 1999-07-05 김웅식 2배의칼슘을첨가한김,카레맛김,명란젖맛김,셀러드맛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539A (ko) * 1999-03-26 1999-07-05 김웅식 2배의칼슘을첨가한김,카레맛김,명란젖맛김,셀러드맛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45A (ko) 2014-07-16 2016-01-26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신맛이 도포된 구이 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748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668B1 (ko) 강정 소스, 닭 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MXPA04009415A (es) Botana a base de arroz y metodo para hacer la misma.
US7264841B2 (en) Savory gluten-free foods
KR20090082987A (ko) 떡볶이용 복합 조미고추가루
CN104543719A (zh) 一种黄粑及其制作方法
KR100373552B1 (ko)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KR101479500B1 (ko) 떡볶이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2941A (ko) 떡볶이용 간편식 분말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2044A (ko) 옥수수 튀김 닭 제조방법
WO2009104194A2 (en) The use of soluble tomato solids for reducing the salt content of food products
KR102157292B1 (ko) 황태구이용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태양념구이
KR101918649B1 (ko) 된장 크림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41374A (ko) 아몬드를 첨가한 아몬드까넬로니 페스토 파스타의 제조 방법
KR20200048991A (ko) 향미가 개선된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덮밥 조리 방법
KR101975509B1 (ko) 식물성식품 유래 라이코펜이 함유된 식용유와 이에 도포된 구이김 제조방법 및 라이코펜이 함유된 구이김
KR101028008B1 (ko) 신규한 소스 건김의 제조방법
KR20150094975A (ko) 떡볶이나 라볶이용 양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0622A (ko) 발효 찹쌀 풀을 이용한 김치부각의 제조방법
KR101365687B1 (ko) 황금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2410A (ko) 강황솥밥용 고추비빔의 제조방법
KR101344865B1 (ko) 천연양념을 이용한 국내산 친환경 구운 나초스낵의 제조방법
JP7185539B2 (ja) 天ぷら衣材用そば粉及び天ぷら衣材用プレミックス
KR100575248B1 (ko)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KR102493346B1 (ko) 묵을 이용한 떡볶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34095A (ko) [볶음밥 소스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