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248B1 -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248B1
KR100575248B1 KR1020040055183A KR20040055183A KR100575248B1 KR 100575248 B1 KR100575248 B1 KR 100575248B1 KR 1020040055183 A KR1020040055183 A KR 1020040055183A KR 20040055183 A KR20040055183 A KR 20040055183A KR 100575248 B1 KR100575248 B1 KR 100575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laver
adhesive layer
layer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260A (ko
Inventor
조수현
Original Assignee
웰빙메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빙메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빙메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24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주와 같은 스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식감성을 높인 조미김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조된 김을 30 ~ 60℃의 화열로서 1~3초 동안 구이하고, 1차로 구워진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찹쌀가루와 물을 3:2의 비율로 혼합 조성한 조미용 점착(粘着)물을 조미용 점착(粘着)층을 이루게 도포하며, 점착층의 표면에 소금과 인삼분말을 1:9의 비율로 조성된 조미용 분말을 산포하여 조미층을 형성후, 그 김을 50 ~ 100℃의 화열로서 2~5초 동안 2차 구이하여 조미층 및 조미용 점착층이 김에 일체화 되도록 고정한 것이다.
김,찹쌀가루,인삼,조미

Description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Seasoning lav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1의 절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 : 조미김
12 : 김
14 : 조미용 점착(粘着)층
16 : 조미층
본 발명은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에 대한 조미료의 부착 특성과 고소한 맛을 발휘 하도록 도포되는 식용유 대신에 찹쌀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만든 점착물을 사용 함으로써 식감성과 안주용 스낵식품으로서의 활용가치를 높인 조미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은 반찬으로 사용함은 주지된 사실인데, 근자의 김의 조미 방법을 보면 김의 표면에 반찬 혹은 안주 등으로 사용함에 짭잘한 맛을 내는 소금을 부착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접착력을 갖는 식용유를 골고루 바르고 난후, 그 위에 간을 내기 위한 소금을 산포(散布)하고 있으며, 이렇게 소금이 산포된 김은 고소한 맛을 내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불에 구워서 반찬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미되는 김은 반찬이라는 특정의 용도이외에는 큰 활용가치가 없어서 그 만큼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염미(鹽味) 과정에서 소금의 과다 사용은 건강을 해하는 우려도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고자 불고기 맛, 카레 맛 및 피자 맛 등을 내는 조미 김들이 많이 출현되어 있으나, 풍미 만을 추구하는 상업성으로 인해 김 자체의 맛을 잃게 하는 문제가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고, 김 자체의 맛을 잃지 않게 하면서 조미용 재료들의 맛이 같이 어울어지게 하여 찬(饌)으로의 사용과 아울러 안주와 같은 스낵 식품으로 같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높인 조미김 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미김은 청구항1 기재의 건조된 김에 있어서, 김을 구운 후 그 일면 혹은 양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되는 찹쌀가루와 물을 3:2의 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만든 점착(粘着)층; 상기 조미용 점착층 위에 산포되어 상기 구운 김과 같이 2차로 구워지면서 상기 점착층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소금과 인삼 분말을 1:9의 비율로 조성된 조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미김의 제조방법은 청구항2 기재의 건조된 김을 30 ~ 60℃의 화열로서 1~3초 동안 구이하는 제1구이 단계; 상기 제1구이 단계에서 구워진 김의 표면에 도포할 찹쌀가루와 물을 3:2의 비율로 혼합 조성한 조미용 점착(粘着)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성된 조미용 점착물을 1차로 구운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정 두께의 조미용 점착(粘着)층을 이루게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 위에 소금과 인삼분말을 1:9의 비율로 조성한 조미용 분말을 산포하여 조미층을 형성하는 단계; 조미층이 형성된 김을 50 ~ 100℃의 화열로서 2~5초 동안 2차로 구이하여 조미용 분말이 김에 일체화되게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1의 절단면도 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미 김(10)은 구운 김(12)의 일면에 100mesh의 입도를 갖게 한 찹쌀가루와 물을 3:2의 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만든 점착물로 소정 두께를 이루게 도포하여 만든 조미용 점착(粘着)층(14)을 구비하고 있다. 조미용 점착층(14)의 형성은 후술하는 조미용 재료들을 김에 일체화되게 고정함과 아울러 김을 안주와 같은 스낵식품으로서 활용할수 있게 하기 위한 풍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조미용 점착층(14)의 표면에는 소금과 인삼분말을 1:9의 비율로 조성하 여 된 조미용 시재를 골고루 산포하여 조미층(16)을 형성하고, 산포가 끝나면 일차로 구운 김과 같이 2차로 구워서 그 조미층(16)과 조미용 점착층(14)이 김(12)에 일체적으로 고정됨으로서, 김의 맛과 영양을 더욱 향상시키게 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조미김(10)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계1 : 제1구이>
사전에 최상급으로만 엄선한 건조된 김을 30 ~ 60℃의 화열로서 1~3초 동안 구이 작업을 실시한다. 김을 1차로 먼저 굽는이유는 조미용 점착층(14)(도1참조)의 도포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온도를 상기 범위로 정한 이유는 60℃를 초과하게 되면 강한 화기로 김이 너무 바짝 구어지게 되므로 인해 조미용 점착물을 도포시 김 자체가 부스러지게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30℃ 이하로 되면 화기가 약하여 김이 잘 구어지지 않게 됨으로서 김의 표면에 조미용 점착물의 도포에 어려움이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 김을 굽는 시간 역시 김을 타지않게 하고 조미용 점착물을 도포함에 가장 알맞는 상태로 구어지게 하기 위하여 특정한 것이다.
<단계2 : 조미용 점착물 준비>
상기 제1구이 공정을 통하여 구이 작업이 실시된 김에 대하여 도포할 적어도 100Mesh의 입도를 갖는 찹쌀가루와 물을 3:2의 비율로 혼합 조성한 조미용 점착(粘着)물을 준비한다. 찹쌀가루를 사용한 이유는 조미용 재료를 김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성 부여와 아울러 스낵 제품으로서의 풍미감과 식감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단계3 : 점착물 도포>
단계2에서 조성된 조미용 점착물을 1차로 구운 김의 일면에 소정 두께의 점 착(粘着)층을 이루도록 도포한다. 본 제조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김의 일 면에만 도포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김의 양면으로도 도포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점착물의 도포방법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4: 조미 분말의 산포>
단계 3을 통하여 형성된 점착층의 표면에는 소금과 인삼분말을 1:9의 비율로 조성한 조미용 분말을 골고루 산포하여 조미층을 형성 한다. 조미용 점착층은 점착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인해 조미 분말은 산포하는 즉시 분리 되지 않게 부착되면서 조미층을 형성하게 된다. 인삼 분말의 사용은 인삼 특유의 향미와 영양을 더 욱 보충하여 스낵식품으로서 상품 가치를 더 높여주게 하기위한 것이다. 인삼분말 대신에 다른 한약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단계5: 조미용 분말의 고정>
조미용 분말이 도포된 김은 50 ~ 100℃의 화열로서 2~5초 동안 2차로 구이하여 그 조미용 분말이 점착층과 같이 김 자체에 일체화 되게 고정한다.
조미용 분말이 도포된 김을 2차로 굽는이유는 조미층(16)과 조미용 점착층(14)(도1참조)이 김에 일체화 되도록 함과 아울러 풍미감을 내기 위함이다. 온도를 상기 범위로 정한 이유는 100℃를 초과하게 되면 강한 화기로 김 자체는 물론이고 조미층(16)과 조미용 점착층(14)이 타게 되어 식감성을 떨어지게 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일을 없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50℃ 이하로 되면 화기가 약하여 조미층(16)과 조미용 점착층(14)이 김과 일체화는데 어려움이 있게 됨과 아울러 제 대로 구어지지 않으면 풍미감과 식감성을 떨어지게 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김을 2차로 굽는 시간 역시 김과 조미용 점착물 및 조미용 분말이 타지않으면서 고유의 풍미감을 식감성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한 것이다.
<시험예>
본 시험 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미김을 고소한맛, 풍미, 향미 면에서 조사하기 위해 10세 이상의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조미김을 시험자들은 모르도록하여 시험자 각각의 취향에 따라 맛을 보게 하였다.그 결과는 하기 표1과 같았다.
구분 본 발명 (응답자수) 모르겠다 (응답자수)
찹쌀가루의 사용으로 고소한맛이 더 있다. 45 5
풍미가 있다. 40 10
향미가 느껴진다 45 5
특히, 실험결과 본 발명의 조미 김은 기존의 식용유 대신에 점착 특성과 고소한 맛을 갖는 찹쌀가루를 사용하였다고 하는 점에서 일반 소비자들로 하여금 기존의 다른 제품에 비하여 훨씬 더 많은 호감을 갖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그 찹쌀가루로 인해 형성된 조미용 점착층이 스낵류와 같은 특성을 발휘하여 안주와 같은 식품으로서 대용할 수 있는 점 때문이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김 자체의 맛을 잃지 않게 하면서 조미용 재료들의 맛이 같이 어울어지게 하여 찬(饌)으로의 사용과 아울러 안주와 같은 스낵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높인 효과와, 그리고 인삼분말의 사용으로 영양가치를 높인효과도 있다.

Claims (2)

  1. 건조된 김에 있어서,
    김을 구운 후 그 일면 혹은 양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한 찹쌀가루와 물을 3:2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조미용 점착(粘着)층; 및
    상기 점착층의 표면에 산포되어 상기 구운 김과 같이 2차로 구워지면서 상기 점착층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소금과 인삼분말을 1:9의 비율로 조성한 조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미김.
  2. 건조된 김을 30 ~ 60℃의 화열로서 1~3초 동안 구이하는 제1구이 단계;
    상기 구워진 김에 도포할 찹쌀가루와 물을 3:2의 비율로 혼합 조성한 조미용 점착(粘着)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성된 조미용 점착물을 1차로 구운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정 두께의 조미용 점착(粘着)층을 이루도록 도포하는 단계;
    상기 조미용 점착층 위에 소금과 인삼분말을 1:9의 비율로 조성한 조미용 분말을 골고루 산포하여 조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조미층이 형성된 김을 50 ~ 100℃의 화열로서 2~5초 동안 2차 구이하여 상기 조미층 및 조미용 점착층이 김에 일체화 되도록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20040055183A 2004-07-15 2004-07-15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KR100575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183A KR100575248B1 (ko) 2004-07-15 2004-07-15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183A KR100575248B1 (ko) 2004-07-15 2004-07-15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60A KR20060006260A (ko) 2006-01-19
KR100575248B1 true KR100575248B1 (ko) 2006-05-02

Family

ID=3711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183A KR100575248B1 (ko) 2004-07-15 2004-07-15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28A (ko) 2017-12-05 2019-06-13 이계옥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25B1 (ko) * 2006-04-29 2007-03-23 최순옥 김을 주재로 포함하는 스낵
KR100725182B1 (ko) * 2006-06-21 2007-06-07 오영순 자생식물 소재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맛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920A (ko) * 1999-07-23 2001-02-15 박시영 김부각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920A (ko) * 1999-07-23 2001-02-15 박시영 김부각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28A (ko) 2017-12-05 2019-06-13 이계옥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260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6512A (en) Imparting fried appearance to baked foodstuffs
KR101092034B1 (ko) 쌀-기초한 스낵 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050202142A1 (en) Crispy snack food product in cluster-shap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2011188838A (ja) お米団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52351B1 (ko) 누룽지 향과 식감을 가진 떡 조성물 및 그 떡의 제조방법
KR100575248B1 (ko) 조미 김과 그 제조방법
JP5917199B2 (ja) 焼き調理用から揚げミックス
JP5851749B2 (ja) ノンフライから揚げ用ミックス
US6866880B2 (en) Cereal grit food product having enhanced shelflife and high protein content
KR100373552B1 (ko) 특미향의 구이 김 및 그 제조방법
JPH0216937A (ja) 電子レンジ調理用フライ様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87486B (zh) 颗粒肉类调味料组合物
JPH11299441A (ja) 調味パン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91848B1 (ko) 흑보리 크래커의 제조방법
WO1997042840A1 (en) Substantially oil free fried flavor food product
KR101638589B1 (ko) 누룽지 초코 영양 시리얼의 제조방법
JP3798291B2 (ja) 味付海苔の製造方法
KR20040047359A (ko) 다이어트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51348B1 (ko) 시즈닝 조미맛김 및 그 제조방법
KR100401736B1 (ko) 닭고기 피자 제조 방법
JP4365659B2 (ja) 食品素材及び加工食品
CA2186937A1 (en) Seasoning and coating mix composition for crispy vegetables
KR20170137481A (ko) 강황솥밥용 고추비빔의 제조방법
KR20230005022A (ko) 김부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부각
EP1574139A1 (en) Crispy snack food product in cluster-shap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