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318B1 -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318B1
KR100373318B1 KR10-2000-0063912A KR20000063912A KR100373318B1 KR 100373318 B1 KR100373318 B1 KR 100373318B1 KR 20000063912 A KR20000063912 A KR 20000063912A KR 100373318 B1 KR100373318 B1 KR 10037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olyols
weight
ether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3283A (ko
Inventor
김경회
Original Assignee
김경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회 filed Critical 김경회
Priority to KR10-2000-006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3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기저필름 위에 인쇄무늬층을 가지는 수압전사용 필름에서 인쇄무늬층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활성화시키는 전사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용제 성분 45∼90중량%, 폴리올계 고분자수지 성분 5∼35중량%,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성분 1∼20중량%를 포함하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품에 나무결 무늬, 돌 무늬, 추상적 무늬 및 기하학적 무늬등을 인쇄하는 수압전사공정에 있어 산처리, 알카리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프라즈마처리, 적외선 조사, 저압수은등 조사, 프라이마코드등과 같은 전처리 공정없이 폴리카보내이트계 및 폴리프로필렌계 소재로된 피전사체에 무늬를 직접 전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성형체와 인쇄무늬 사이의 부착력 및 제품제조시 그 경제성이 월등한 수압전사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Activating agent for hydraulic pressure transfer printing}
본 발명은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류, 알루미늄류, 스틸류, 세라믹류 등과 같은 피전사체에 우아하고 미려한 디자인, 독특한 발색, 깊이감, 조명감등을 표현하여 천연소재에 가까운 질감을 나타내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압전사기술은 인쇄무늬층과 수용성 또는 수 팽윤성 기저필름으로 된 전사필름을 인쇄무늬층을 아랫면으로 해서 물위에 띄우고 전사필름의 무늬층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사용제를 도포하면 무늬층은 인쇄직전과 같이 다시 점착성을 가지게 되며, 이때 성형체를 윗면으로 부터 밀어 넣어 수압으로 피전사체에 무늬를 전사하는 방법이다. 통상 고급나무 무늬를 자동차 내장재 및 차량용 핸들 표면에 인쇄하여 차량의 고급화를 시도하였고, 그 밖에 가전제품, 가구류, 창틀 샤시 등 산업제품들에 다양한 무늬를 인쇄하므로서 자연미를 느끼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산업제품과 친숙하게 하므로서 구매의욕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수압전사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한 공정개선 선행기술로서 일본특공소 제52-41682호에 의한 방법은 피전사면에 대한 무늬 부착성이 충분하지 않고, 인쇄이전에 무늬가 확장 변형되어 자동차 내·외장품에 적용은 곤란하였다. 한편, 일본특공소 제57-50547호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인쇄필름이 유리되고 무늬가 탈색되거나 변색되며 색체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일본특공소 제58-191187호 및 특공평 제6-166300호의 발명은 이와같은 단점을 보완해서, 전사인쇄면의 부착성이 양호하고, 내후성, 내마모성이 좋은 수압전사 인쇄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외에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5-8179호, 특허등록 제022016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99-85200호, 일본특개평 제8-39998호 등이 있다.
한편, 피전사체 소재에 따른 인쇄무늬의 부착성 증진과 무늬의 선명성 확보 등을 위해 전사용제 조성물에 관한 특허기술은 계속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특개소 제63-197685호는 전사용제 조성물로 1∼5중량%의 체질안료를 사용해서 인쇄무늬층에 잔존하는 점착성의 문제나 인쇄무늬층에 발생하는 도막 깨어짐의 문제 등을 해결하였고, 더욱이 인쇄무늬층에 투명성을 주어 깨끗한 인쇄무늬층을 갖는 전사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일본특개평 제8-238897호 및 제8-238898호는 종래 체질안료와 니트로 셀룰로오스가 담당하던 외관 건조를 통한 이물질 부착 방지, 잉크의 엇갈림 방지, 신장시 도막 깨어짐 방지 등의 목적을 이루고, 완성시 인쇄무늬의 선명성을 확보하며, 제품도막에서 기포 떠오름에 의한 잉크물 결함 방지에 특히 뛰어난 전사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이 조성물중 수지 성분으로서 단유성 알키드 수지와 함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일본특개평 제8-238898호는 종래체질안료가 담당하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침강경향이 있는 체질안료를 사용할 때 마다 재교반 할 필요없이 소정의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황산바륨 대신에 초미립자 실리카를 사용한 전사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폴리 스타이렌 수지 성형체에 무늬를 전사하는 경우에는, 전사된 인쇄 무늬층과 폴리스티렌 수지 성형체와의 사이의 접착력이 부족한 관계로, 사전에 폴리스티렌 수지 성형체의 표면을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전처리 한후 프라이머 도장면에 전사인쇄를 행하지 않으면 않되었다. 따라서, 프라이머 도장을 위한 시간이 번잡하고, 전사인쇄를 위한 경비가 비싼 결점을 가진다. 따라서, 일본특개평 제4-166264호에서는 인쇄무늬층을 활성화시키는 전사용제 조성물로써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 적어도 1종의 중합체가 용해되어 있는 전사용제 조성물을 이용하므로서 폴리스티렌 수지형성체에 대해서 프라이머 도장을 수행하지 않고, 직접 전사인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충격성, 길이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매우 뛰어나 최근 그 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는 내화학성이 나쁘고 표면에너지가 낮아 수압전사에 의해 다양한 무늬를 인쇄하고자 하지만 인쇄가 어려울 뿐 아니라 그 전처리도 어려움이 있다. 현재 공정은 번잡해도 우레탄계 도료에 의한 프라이머 코드를 사용해서 전처리하고 있으나, 더욱 간단하고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일본특개평 제9-47718호는 인쇄 잉크조성물 및 수압전사용제 조성물과의 상관관계를 여러 가지로 시험해 본 결과, 폴리카보네이트소재로 된 성형체에 자외선 조사 전처리를 행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또는 단유성 알키드 수지가 포함된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을 사용한 전사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특개평 제9-47718호와 같이, 피전사체에 자외선 조사 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피전사체가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재질인 폴리프로피렌의 경우 자외선 조사를 해도 도막의 밀착이 불완전한 경우가 생기고, 폴리스티렌의 경우 자외선 조사시 성형체에 열변형이 생긴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성형체에 전사할 때는 전처리로서 번잡한 프라이머 코트를 사용하지 않을 수가 없다. 전처리에 프라이머 코드를 필수로 하는 이상 코스트업 요인이 되고, 재질자체 가격면에서 우위성을 살릴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일본특개평 제10-277479호는 피전사체에 저압 수은등 조사 방법을 특징으로 한 전처리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용도가 다양한 PC 또는 PP 수지 성형체와 인쇄 무늬 사이의 부착력이 부족한 관계로 전사공정 이전에 성형체 표면을 전처리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프라이머로 전처리 도장을 실시한후 그 프라이머 도장면에 전사인쇄를 행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프라이머 코트를 필수로 하는 이상 프라이머 도장을 위한 시간의 번잡, 재료낭비 및 프라이머 경화를 위한 에너지 낭비 때문에 가격면에서 우위성을 달릴 수가 없다. 따라서, 프라이머 코트외에 산처리, 알카리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프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저압수은등 조사등에 의한 전처리 방법을 실시하고 있으나, 공정상 비효율성 때문에 불량률이 증가하므로 제품 경쟁력에 있어 불리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전처리 공정을 없애고 직접 전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충분한 부착력과 경제성이 월등한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및 폴리프로필렌계 소재로된 플라스틱류와 같은 피전사체에 전처리공정없이 우아하고 미려한 디자인, 독특한 발색, 깊이감, 조명감 등을 표현하여 천연소재에 가까운 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은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기저필름 위에 인쇄무늬층을 가지는 수압전사용 필름에서 인쇄무늬층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활성화시키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용제 성분 45∼90중량%, 폴리올계 고분자수지 성분 5∼35중량%,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성분 1∼20중량%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용제 조성물은 인쇄무늬층을 용해하는 유기용제 성분; 그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인쇄무늬층의 용제 휘발성을 조절하고, 피전사체 표면에 인쇄무늬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작용을 하는 고분자수지 성분; 및 수면상에서 인쇄무늬층의 연전성(延展性)을 조절하는 가소제 성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용제 성분으로는 인쇄무늬 잉크의 점착성을 부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피전사체 표면에 인쇄무늬가 전사되기 전까지 수면상에서 증발하는 일이 없으며, 피전사체의 표면과 언더코트를 급격히 침식하는 일도 없으며, 수지성분과의 친화성도 있어야는 유기용제류가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45∼9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용량이 45중량% 미만이면 기저필름과 인쇄잉크의 용해가 원활하지 못하고, 90중량%를 초과하면 인쇄무늬의 변형이 심하여 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방향족 탄화수소, 알콜류, 케톤류, 에테르류 및 초산에스테르류로 구성된 혼합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 톨루엔, 자이렌, 시클로 헥산, 및 에틸 벤젠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택되며, 상기 알콜류는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이소부틸알콜, 아밀알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케톤류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 헥사논, 및 메틸시클로헥사논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에테류는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다. 또한, 상기 초산 에스테르류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드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다.
한편, 고분자수지 성분은 활성화된 인쇄무늬의 피전사체 표면으로 초기밀착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잉크의 확산을 방지하고, 균일한 피막이 전사필름의 무늬층에 형성되기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5∼3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용량이 5중량% 미만이면 피전사체에 인쇄무늬의 초기 밀착성이 나쁘고, 35중량%를 초과하면 전사 필름과 잉크용해와 조성물의 점도조절이 어려운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고분자수지의 예로는 염화비닐, 염화 비니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 단량체; 스틸렌 및 그 유도체, 초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 단량체; 아릴알콜 및 아릴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또는 푸말산 등의 불포화 칼본산류;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유도체, 불포화 카르본산류의 산 아미드 유도체의 N-메티롤 유도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아릴 글리시딜 에테르, 비닐 이소시아네이트, 아릴 이소시아네이트,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또는 모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 무수말레인산, 메틸비닐케톤, 부타디엔 에틸렌, 프로필렌, 디메틸 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피리딘, tert-부틸 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다가(多價)알콜의 모노 아릴 에테르 등과같은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나 공중합체류 등의 열가소성수지; 폴리아미드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페놀계수지, 멜라민계수지, 요소수지, 에폭시계수지, 푸탈산 디아릴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이들의 변성수지 또는 초기축합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르로락톤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에틸렌성 불포화공중합체 폴리올 등의 수지; 단유성 알키드 수지; 천연수지; 로진 및 그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천연 또는 합성고무; 석유수지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들중에서 본 발명에 바람직한 폴리올계 고분자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르로락톤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및 에틸렌성 불포화공중합체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계 고분자 수지는 점도(가드너)가 U∼Z3이고, 색수(가드너)는 최고 2이며, 산가는 1∼5, 고형분은 45∼70중량%인 물성을 갖는 것이 활성화된 인쇄무늬의 피전사체 표면으로 초기밀착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잉크의 확산을 방지하고, 균일한 피막이 전사필름의 무늬층에 형성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수지가 5∼35중량% 정도 첨가된 전사용제 조성물은 그 점도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전사필름 표면에 적용할 때 도포수단에 상관없이 인쇄무늬 잉크의 유지시간을 길게하여 전사공정을 늘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사용제 조성물중 상기의 유기용제 성분과 고분자 수지성분외에 인쇄무늬층의 연전성 및 수지성분에 가소성을 부여하는 가소제 성분을 1∼20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가소제 성분이 1중량% 미만이면 기저 필름을 이루는 고분자 수지에 가소성이 부여되지 않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인쇄 무늬층이 너무 쉽게 퍼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 예를 들어,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및 디트리데실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전사용제 조성물을 이용한 수압전사 공정을 살펴보면,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기저필름 위에 무늬가 인쇄된 전사필름을 무늬면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물위에 띄워 펼친다. 이때 전사필름과 수면사이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전사필름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전사필름을 25∼35℃로 유지된 수면에 띄워 2∼7분후에 전사필름이 연화되면 무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프레이 건으로 본 발명의 전사용제 조성물을 20∼70 g/m2도포한다. 이 도포공정은 자동작업 또는 수동작업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좋으며, 그 도포시간 7∼10초 정도이다. 전사용제에 의해 무늬가 활성화되면 그 무늬는 인쇄직후와 같이 점착성을 띄게 되고, 이때 피전사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활성화된 전사필름이 수중에 가라앉도록 밀어넣는다. 이때 활성화된 무늬는 수압에 의해 피전사면에 완벽하게 대응하면서 전사된다. 이 전사공정에서 피전사체를 수면과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면서 수중에 밀어넣어야, 전사필름과 피전사면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아 무늬가 전사된후 핀홀을 방지할 수 있다. 무늬가 피전사체에 충분히 부착된 뒤 30∼60℃의 물을 이용해서 세척해야 한다. 이 세척공정에서 피전사체 표면에 잔존하는 전사필름 찌거기가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전사시 발생된 오염물질도 제거한다. 이때 세정시간은 3∼10분 정도면 충분하며, 세정공정이 끝나면 무늬가 전사된 피전사체를 60∼80℃에서, 약 10분간 강제 건조시켜 잉크 및 전사용제에 포함된 유기용제 성분을 휘발시킨다. 건조공정이 끝나면 인쇄된 무늬가 발색감이 나도록 적합한 색으로 스테인 공정을 거치고, 피전사체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의 제거와 무늬의 깊이감 및 조명감을 더하기 위하여 샌딩공정을 마친다. 이후 전사된 무늬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 수지계 도료를 사용하여 15∼20㎛ 두께로 스프레이 코팅한후, 60∼80℃에서, 30∼60분간 경화시켜 투명도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최종제품을 얻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용성 기저필름 위에 무늬가 인쇄된 전사필름을 무늬면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물위에 띄워 펼치고, 이때 전사필름과 수면사이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할뿐더러 전사필름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전사필름을 27℃로 유지된 수면에 띄워 5분후에 전사필름이 연화되면 무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프레이 건으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전사용제를 약 30g/m2정도로 도포한다. 이도포공정은 자동작업 또는 수동작업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좋으며, 그 도포시간은 7초였다. 전사용제에의해 무늬가 활성화되면 그 무늬는 인쇄직후와 같이 점착성을 띄게 되고, 이때 피전사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활성화된 전사필름이 수중에 가라앉도록 밀어넣었다. 이때 활성화된 무늬는 수압에 의해 피전사면에 완벽하게 대응하면서 전사된다. 이 전사공정에서 피전사체를 수면과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면서 수중에 밀어넣어야, 전사필름과 피전사면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아 무늬가 전사된후 핀홀을 방지할 수 있었다. 무늬가 피전사체에 충분히 부착된 뒤 50℃의 물을 이용해서 샤워 세척해야 하였다. 이 세척공정에서 피전사체 표면에 잔존하는 전사필름 찌거기가 완전히 제거됨과 동시에 전사시 발생된 오염물질도 제거되었다. 이때 세정시간은 5분 정도가 충분하며, 세정공정이 끝나면 무늬가 전사된 피전사체를 70℃에서, 10분간 강제건조시켜 잉크 및 전사용제에 포함된 유기용제 성분을 휘발시켰다. 건조공정이 끝나면 인쇄된 무늬가 발색감이 나도록 적합한 색으로 스테인 공정을 거치고 피전사체 표면에 형성된 이물질의 제거와 무늬의 깊이감 및 조명감을 더하기 위하여 샌딩공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전사된 무늬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계 도료를 사용하여 20㎛ 두께로 스프레이 코팅한후, 80℃에서, 30분간 경화시켜 투명도막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PC 소재 성형체 표면에 프리이머층의 전처리 없이 하기 표 1의 조성물을 직접 사용하여 PC 소재 전사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PC소재 성형체 표면에 하기 표 1의 실시예 2의 조성을 갖는 전사용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PC 소재 전사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PC소재 성형체 표면에 하기 표 1의 실시예 3의 조성을 갖는 전사용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PC 소재 전사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PC소재 성형체 표면에 하기 표 1의 실시예 4의 조성을 갖는 전사용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PC 소재 전사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PC소재 성형체 표면에 하기 표 1의 실시예 5의 조성을 갖는 전사용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PC 소재 전사제품을 얻었다.
실시예에 사용된 수압전사용제의 조성
단위 : 중량%
성분/실시예 1 2 3 4 5
이소프로필 알콜 15
부틸알콜 10
이소부틸 알콜 10 15
에틸렌글리콜 10
아세톤 5
메틸에틸케톤 10
메틸이소부틸케톤 5
시클로 헥산논 5 5
톨루엔 15
벤젠 20
에틸벤젠 25 10
자이렌 10 20
에틸렌글리콜 모노 메틸에테르 5
에틸렌글리콜 모노 에틸에테르 10
디에틸렌글리콜 모노 에틸에테르 5
디에틸렌글리콜 부틸에테르 5 10
에틸렌글리콜 모노 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15
에틸렌글리콜 모노 프로필에테르 아세테이트 10
에틸렌글리콜 모노 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15
디에틸렌글리콜 모노 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15 1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5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30
아크릴 폴리올 25
알키드 폴리올 20 5
폴리에테르 폴리올 5 25
디메틸프탈레이트 10
디부틸프탈레이트 10
비스(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15 5 10
디트리데실 프탈레이트 10 5
비교예 1
고분자 수지 성분으로서
1. 단유성 알키드수지 - 20 중량부
2. 셀룰로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 1 중량부
유기용제 성분으로서
3. 부틸셀로솔브 - 30 중량부
4. 부틸카르비토르아세테이트 - 80 중량부
가소제 성분으로서
5. 푸탈산 디 부틸 - 30 중량부
체질안료 성분으로서
초미립자 실리카 - 2 중량부
PC 소재 성형체 표면에 대해서 프리이머층 없이 상기의 조성을 갖는 전사용제를 직접 사용하여 PC 소재 전사제품을 얻었다.
비교예 2
1.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 26 중량%
2. 부틸카르비토르아세테이트 - 26 중량%
3. 부틸메타크리레이트중합체 - 8 중량%
4. 디브틸프탈레이트 - 20 중량%
5. 황산 바륨 - 20 중량%
PC 소재 성형체 표면에 대해서 프리이머층을 전처리하여 형성한후 상기의 조성을 갖는 기존의 전사용제를 사용하여 비교적 양호한 PC 소재 전사제품을 얻었지만, 프라이머 코트 전처리로 인한 시간의 번잡, 재료낭비, 에너지 낭비등 공정상 비효율성 때문에 불량률이 증가하므로 제품경쟁력이 매우 불리하였다.
하기 표 2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2의 전사제품에 대한 전사필름 활성화 상태, 전사상태, 초기 밀착성 및 탑 코트후 밀착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첫번째 항목인 전사필름 활성화 상태에서는 전사필름에 전사용제를 도포한 후 기저필름이 전사용제 조성물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단단하게 된다거나, 무르게 된다거나 해서 그 신장성이 저해되지 않는가와 다시 점착성을 부활한 잉크가 조각조각 찢기지 않고 잘 신장할 수 있는가를 점검하였다. 두 번째 항목인 전사상태에서는 세척과 건조공정 후 소재표면에 인쇄무늬가 전사된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였다. 특히 소재의 화학적 침식에 의한 백화현상, 무늬 색상변화, 무늬 선명성 및 인쇄무늬층이 성형체 가장자리(edge)에서 흘러 애매하게 되지 않는가를 살표보았다. 셋째 항목인 초기 밀착성에서는 전사된 무늬의 초기 접착성을 점검하기 위해 셀로판 테이프를(3M사 제품) 사용하여 인쇄무늬의 박리실험을 실시하였다. 넷째 항목인 탑 코트후 밀착성에서는 커터로 1mm 간격의 흠집을 내어 셀로판 테이프를 붙이고, 떼어내서, 바둑판 모양의 눈금 테스트를 행해 클리어 코트후 밀착도를 조사하였다. 표안의 ○은 합격을 나타내고, △은 보통인 것을 나타내며, ×는 불합격인 것을 나타낸다.
성능시험결과
시험항목 전사필름 활성화 상태 전사상태 초기 밀착성 탑 코트후 밀착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 × ×
비교예 2
본 발명은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품에 나무결 무늬, 돌 무늬, 추상적 무늬 및 기하학적 무늬등을 인쇄하는 수압전사공정에 있어 산처리, 알카리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프라즈마처리, 적외선 조사, 저압수은등 조사, 프라이마코드등과 같은 전처리 공정없이 폴리카보내이트계 및 폴리프로필렌계 소재로된 피전사체에 무늬를 직접 전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성형체와 인쇄무늬 사이의 부착력 및 제품제조시 그 경제성이 월등한 수압전사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Claims (6)

  1.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기저필름 위에 인쇄무늬층을 가지는 수압전사용 필름에서 인쇄무늬층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활성화시키는 전사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용제 성분 45∼90중량%, 폴리올계 고분자수지 성분 5∼35중량%,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성분 1∼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 성분은 방향족 탄화수소, 알콜류, 케톤류, 에테르류 및 초산에스테르류로 구성된 혼합 유기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벤젠, 톨루엔, 자이렌, 시클로 헥산, 및 에틸 벤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택되며, 상기 알콜류는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이소부틸알콜, 아밀알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케톤류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 헥사논 및 메틸시클로 헥사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에테류는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하나이고, 상기 초산 에스테르류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계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르로락톤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및 에틸렌성 불포화 공중합체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계 고분자 수지의 점도(가드너)는 U-Z3이고, 색수(가드너)는 최고 2이며, 산가는 1∼5, 고형분은 45∼70중량%인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 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메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및 디트리데실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KR10-2000-0063912A 2000-10-30 2000-10-30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KR10037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912A KR100373318B1 (ko) 2000-10-30 2000-10-30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912A KR100373318B1 (ko) 2000-10-30 2000-10-30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283A KR20020033283A (ko) 2002-05-06
KR100373318B1 true KR100373318B1 (ko) 2003-02-26

Family

ID=1969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912A KR100373318B1 (ko) 2000-10-30 2000-10-30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58B1 (ko) 2005-03-10 2007-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틸아세테이트를 용매로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25B1 (ko) * 2002-12-13 2005-07-01 주식회사 한국큐빅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및 그 제조방법
KR100566393B1 (ko) * 2004-11-29 2006-03-31 황복근 무접착층 전사방법
KR101011481B1 (ko) * 2008-02-28 2011-01-31 (주)대영해외상사 접착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966A (ja) * 1990-06-18 1992-02-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圧による転写印刷方法
JPH08238897A (ja) * 1995-03-03 1996-09-17 Cubic:Kk 水圧転写に使用される活性剤組成物
JPH091996A (ja) * 1995-06-15 1997-01-07 Fujikura Kasei Co Ltd 水圧転写方法
JPH09277794A (ja) * 1996-04-13 1997-10-28 Hokubu:Kk 液圧転写法
JPH1035196A (ja) * 1996-07-23 1998-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水圧転写用シート、該水圧転写用シートによる転写層を有する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該水圧転写用シートによる転写層を有する成形体
KR100317369B1 (ko) * 1999-09-28 2001-12-24 백준현 전사용 유기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전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966A (ja) * 1990-06-18 1992-02-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圧による転写印刷方法
JPH08238897A (ja) * 1995-03-03 1996-09-17 Cubic:Kk 水圧転写に使用される活性剤組成物
JPH091996A (ja) * 1995-06-15 1997-01-07 Fujikura Kasei Co Ltd 水圧転写方法
JPH09277794A (ja) * 1996-04-13 1997-10-28 Hokubu:Kk 液圧転写法
JPH1035196A (ja) * 1996-07-23 1998-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水圧転写用シート、該水圧転写用シートによる転写層を有する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該水圧転写用シートによる転写層を有する成形体
KR100317369B1 (ko) * 1999-09-28 2001-12-24 백준현 전사용 유기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전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58B1 (ko) 2005-03-10 2007-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틸아세테이트를 용매로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283A (ko) 200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7349B1 (en) Hydraulic transfer method
CN1812890B (zh) 水压转印方法和水压转印制品
JPH08108695A (ja) 転写シート
KR100373318B1 (ko)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CN101263015B (zh) 水压转印方法、水压转印品及水压转印薄膜用涂布剂
JPH06100640A (ja) 真空成型フィルム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着色被覆組成物、真空成型フィルム及び真空成型物
JP3289201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基材用転写箔
JPH10100329A (ja) 成形加工用着色フィルム
JP2005169693A (ja) 水圧転写方法及び水圧転写品
JPH0248936A (ja) 転写箔
JPS62263013A (ja) 絵柄付き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
JPH08174783A (ja) 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6021377A (ja) 装飾用金属調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59128A (ja) 熱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使用した加飾品の製造方法
JP2010228179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05014604A (ja) 水圧転写方法及び水圧転写品
JP2001062979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8681A (ja) 物品上に紫外線硬化型表面保護層を形成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製品
JP3382161B2 (ja) 光硬化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品の製造法
JPH0834867A (ja) 印刷された熱可塑性樹脂製品及び熱可塑性樹脂製品の印刷方法
JP2686542B2 (ja) 同調エンボス模様を有する絵付成形体の製造方法
JP3330699B2 (ja) 真空成型物
JP4019203B2 (ja) 水圧転写加工における前処理方法
JP2006007646A (ja) 表面保護層の水圧転写方法及び水圧転写品
JP5263422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用活性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