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025B1 -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025B1
KR100498025B1 KR10-2002-0079452A KR20020079452A KR100498025B1 KR 100498025 B1 KR100498025 B1 KR 100498025B1 KR 20020079452 A KR20020079452 A KR 20020079452A KR 100498025 B1 KR100498025 B1 KR 10049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material
layer
transparent
primer
decora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786A (ko
Inventor
김정관
윤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큐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큐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큐빅
Priority to KR10-2002-007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02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4Ablative recording, e.g. by burning marks; Spark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소재에 수압전사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을 인쇄함으로써 재질의 깊이감 등을 나타낼 수 있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구비하는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투명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에 프라이머층, 수압전사층 및 불투명페인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장식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투명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투명소재의 앞면에 프라이머층, 수압전사층 및 투명페인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에 불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고 있는 장식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DECORATION MATERIAL PRODUCED BY LIQUID-TRANSFERING PREDETERMINED PATTERN ON TRANSPARENT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 내장재나 전화기, 냉장고, 가구 등에 이용되기 위해 여러형태의 소재 및 성형품의 외관에 수압전사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무늬를 인쇄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하면, 불투명한 소재의 피전사체에 수압전사를 행하여 소정의 패턴을 인쇄한 후, 다시 인쇄된 패턴을 보호하기 위해 우레탄 코팅 등의 투명페인트 도장작업을 행함으로써, 수압전사되어 완성된 제품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인쇄된 패턴이 벗겨지지 않는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압전사방법에 의하면, 불투명한 소재에 수압전사를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재료의 깊이감 등을 나타낼 수 있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구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특징을 구비하는 장식재를 제공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투명소재에 수압전사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함으로써 재질의 깊이감 등을 나타낼 수 있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구비하는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투명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투명소재의 배면에 프라이머층, 수압전사층 및 불투명페인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장식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식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투명소재의 배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공정, 이물질 세척공정을 거친 투명소재의 배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공정, 프라이머층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수압전사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수압전사층에 불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 불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장식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프라이머층에 수압전사를 행하기 이전에 프라이머층을 샌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투명소재의 앞면을 마스킹부재로 마스킹하는 공정과,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이 완료된 후 투명소재의 앞면에 부착된 마스킹부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재는 투명소재의 배면의 소정의 부위에 아무런 층도 형성되지 않도록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투명소재의 배면의 소정의 부위를 마스킹부재로 마스킹하는 공정과,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의 소정의 부위에 부착된 마스킹부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투명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투명소재의 앞면에 프라이머층, 수압전사층 및 투명페인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또한 이 투명소재의 배면에 불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고 있는 장식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식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투명소재의 앞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공정, 이물질 세척공정을 거친 투명소재의 앞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공정, 프라이머층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수압전사층을 형성하는 공정, 수압전사층에 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 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투명소재의 배면에 불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 불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장식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프라이머층에 수압전사를 행하기 이전에 프라이머층을 샌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투명소재의 배면을 마스킹하는 공정과,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 이전에 마스킹부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재는 투명소재의 앞면의 소정의 부위 및 이에 대응하는 투명소재의 배면의 부위에 아무런 층도 형성되지 않도록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투명소재의 앞면의 소정의 부위 및 이와 대응하는 배면의 부위를 마스킹부재로 마스킹하는 공정과,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이 완료된 후 투명소재의 앞면 및 배면의 소정의 부위에 부착된 마스킹부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각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1)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장식재(1)는 투명소재(10)을 포함하고 있으며, 투명소재(10)의 배면에 프라이머층(12), 수압전사된 패턴층(13) 및 불투명페인트층(14)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있다(본 명세서에는 장식재가 설치될 때 앞쪽으로 배치되는 면을 앞면으로, 이와 반대되는 면을 배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투명하다는 것의 의미는 완전히 투명한 것은 물론 반투명의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1)를 제조하는 각각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도 2a 내지 2e 참조).
장식재(1)에 사용되는 투명소재(10)은 예를 들면 아크릴, 유리, 투명 사출성형품 등이다. 이 중 투명소재(10)으로 유리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유리의 특성상 긁히지 아니하고,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공이 용이하고 강도가 단단하여 각종 가전기기, 건축 내외장재, 기타 장식재로서 널리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면에서는 투명소재(10)가 평판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수압전사의 특성상 예를 들면 굴곡이 있는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10)의 앞면을 마스킹부재(11)로 마스킹한다. 마스킹부재(11)로는 마스킹테이프, 마스킹지그 등을 이용하게 된다. 투명소재(10)의 앞면을 마스킹하는 이유는 이후 계속되는 공정에서 이물질 또는 페인트 등이 투명소재(10)의 앞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스킹공정을 마친 후, 투명소재(10)의 배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여기서 투명소재(10)의 배면에 잔류하는 이물질로는 미세한 먼지 또는 유분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투명소재(10)에 유분이 잔류하게 되면 그 부분에는 프라이머가 도장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세척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세척제로는 노말헥산, IPA, 신너(솔벤트류) 등을 사용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마스킹공정 후 세척공정을 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마스킹공정과 세척공정은 서로 바뀌어 행하여져도 무방하며, 특히 세척공정시 양면을 모두 세척한 다음 투명소재(10)의 앞면을 마스킹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킹공정과 이물질 세척공정을 거친 투명소재(10)의 배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하여 프라이머층(12)을 형성하는 공정을 행하게 된다. 투명소재(10)에는 (특히 유리패널의 경우) 수압전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라이머를 도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때 프라이머는 투명한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소정의 패턴이 수압전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층(12) 위에 인쇄되기 때문에 이 프라이머층(12)이 투명하여야 수압전사된 패턴이 장식재(1) 앞면에서 잘 드러나 보이기 때문이다.
프라이머층(12)에 수압전사된 패턴이 보다 확실하게 인쇄되도록 프라이머층(12)을 샌딩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샌딩공정은 사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층(12) 표면을 가볍게 문질러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딩공정을 거친 프라이머층(12)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수압전사층(13)을 형성하게 된다. 수압전사공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먼저 수조에 수압전사용 필름을 띄우고 수압전사될 피전사물을 샌딩된 프라이머층(12)이 수조방향이 되도록 수압전사용 지그에 부착하여 물속에 담금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수압전사공정을 거친 후에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전사층(13)에 불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 불투명페인트층(14)을 형성하게 된다. 원래 수압전사층(13)은 소정의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나 전반적으로 투명하기 때문에 인쇄된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불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야 할 필요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불투명페인트의 색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패턴을 연출할 수도 있다.
불투명페인트의 건조과정을 거친 후 마스킹부재(11)를 제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1)가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1)에 의하면, 수압전사 패턴이 투명소재(10)의 배면에 인쇄되며 투명소재(10)를 통하여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장식재(1)는 종래의 장식재와는 달리 깊이감있는 심미감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20)를 포함하고 있으며, 투명소재(20)의 앞면에 프라이머층(22), 수압전사층(23) 및 투명페인트층(25)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또한 투명소재(20)의 배면에 불투명페인트층(24)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2)는 수압전사층(23)이 투명소재(20)의 앞면에 형성되어 있고 불투명페인트층(25)이 투명소재(2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1)와는 다르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2)를 제조하는 각각의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도 4a 내지 4f 참조).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2)의 제조방법에서의 각각의 공정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1)의 제조방법에서의 대응되는 각각의 공정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장식재(2)에서 사용되는 투명소재(20)는 장식재(1)에서 사용되는 투명소재(1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소정의 패턴이 투명소재(20)의 앞면에 인쇄되기 때문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20)의 배면을 마스킹부재(21)로 마스킹하게 된다. 또한 마스킹공정 후, 투명소재(20)의 전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이 경우 마스킹공정과 세척공정이 서로 바뀌어 행하여져도 무방한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킹공정과 이물질 세척공정을 거친 투명소재(20)의 앞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하여 프라이머층(22)을 형성한 다음, 이 프라이머층(22)을 샌딩하는 공정이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그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딩된 프라이머층(22)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수압전사층(23)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전사층(23)에 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 투명페인트층(25)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수압전사를 사용하여 인쇄된 소정 패턴의 수압전사층(23)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투명페인트로는 실리콘 수지 또는 우레탄수지 등을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투명페인트는 당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20)의 배면에 형성된 마스킹부재(21)를 제거하고,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20)의 배면에 불투명페인트를 도장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2)가 완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2)에 의하면, 거의 투명한 수압전사 패턴이 투명소재(20)의 앞면에 인쇄되며 이는 투명소재(20)의 배면에 도장된 불투명페인트층(24)에 비추어져 투명소재를 통하여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장식재(2) 역시 종래의 장식재와는 달리 깊이감있는 심미감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장식재의 소정의 부위에는 수압전사 패턴이 인쇄되지 아니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재는 그 특성상 불투명페인트로 도장되어 완성되게 되므로,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면 전체적으로는 불투명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재는 가전제품이나 건축내외장재의 장식재로 사용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장식재가 가전제품에 사용될 때에는 가전제품 내부에 장착된 리모컨 수신부를 리모컨과 통신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식재의 일부분이 투명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고, 또는 건축내장재로 사용될 때에는 최신 건물의 특성상 센서나 리모컨 수신부를 벽에 매립시켜 작동시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에도 장식재의 일부분이 투명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재는 사진의 액자 유리로도 사용가능한데, 이 경우에도 일부분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재의 전체면에 소정의 패턴이 수압전사에 의해 인쇄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부위(B)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A)에만 소정의 패턴이 수압전사에 의해 인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장식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 실시예마다 소정의 부위를 마스킹하여 전체 공정을 행한 후 마무리 공정에서 마스킹부재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이하 각 실시예별로 상술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1)의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투명소재(10)의 배면의 소정의 부위를 마스킹부재로 마스킹하여 상술한 모든 공정을 행한 다음,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이 완료된 후 투명소재(10)의 배면의 소정의 부위에 부착된 마스킹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장식재(1)의 소정의 부위에 아무런 층도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2)의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투명소재(20)의 앞면의 소정의 부위 및 이와 대응하는 배면의 부위를 마스킹부재로 마스킹하여 상술한 모든 공정을 행한 다음,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투명소재(20)의 앞면의 소정의 부위 및 이와 대응하는 배면의 부위에 부착된 마스킹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장식재(2)의 소정의 부위에 아무런 층도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균등물에 미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소재에 통상의 수압전사방법을 적용하여 인쇄를 행함으로써 재질의 깊이감 등을 나타낼 수 있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구비하는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공정을 공정별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공정을 공정별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은 일부를 마스킹해서 제조한 장식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장식재 10 : 투명소재
11 : 마스킹부재 12 : 프라이머층
13 : 수압전사층 14 : 불투명페인트층
2 : 장식재 20 : 투명소재
21 : 마스킹부재 22 : 프라이머층
23 : 수압전사층 24 : 불투명페인트층
25 : 투명페인트층

Claims (12)

  1. 투명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에 프라이머층, 수압전사층 및 불투명페인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의 소정의 부위에는 아무런 층도 형성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3. 투명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투명소재의 앞면에 프라이머층, 수압전사층 및 투명페인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있고, 또한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에 불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소재의 앞면의 소정의 부위 및 이에 대응하는 투명소재의 배면의 부위에는 아무런 층도 형성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5.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투명소재의 배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공정,
    이물질 세척공정을 거친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프라이머층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수압전사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수압전사층에 불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 불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에 수압전사를 행하기 이전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샌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제조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상기 투명소재의 앞면을 마스킹부재로 마스킹하는 공정과,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투명소재의 앞면에 부착된 상기 마스킹부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제조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의 소정의 부위를 마스킹부재로 마스킹하는 공정과,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의 소정의 부위에 부착된 상기 마스킹부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제조방법.
  9.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투명소재의 앞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공정,
    이물질 세척공정을 거친 투명소재의 앞면에 프라이머를 도장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프라이머층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수압전사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수압전사층에 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 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에 불투명페인트를 도장하여 불투명페인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에 수압전사를 행하기 이전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샌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제조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상기 투명소재의 배면을 마스킹하는 공정과,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 이전에 상기 마스킹부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제조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프라이머 도장공정 이전에 상기 투명소재의 앞면의 소정의 부위 및 이와 대응하는 배면의 부위를 마스킹부재로 마스킹하는 공정과, 불투명페인트 도장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투명소재의 앞면의 소정의 부위 및 이와 대응하는 배면의 부위에 부착된 상기 마스킹부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제조방법.
KR10-2002-0079452A 2002-12-13 2002-12-13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및 그 제조방법 KR10049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452A KR100498025B1 (ko) 2002-12-13 2002-12-13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452A KR100498025B1 (ko) 2002-12-13 2002-12-13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786A KR20040051786A (ko) 2004-06-19
KR100498025B1 true KR100498025B1 (ko) 2005-07-01

Family

ID=3734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452A KR100498025B1 (ko) 2002-12-13 2002-12-13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86B1 (ko) * 2006-01-25 2008-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장식층이 형성된 인조 싱크볼 또는 세면기볼 및 그제조방법
KR101102201B1 (ko) * 2008-12-19 2012-01-02 주식회사 한국큐빅 홀로그램 수압 전사 필름 및 홀로그램 수압 전사품
KR101980572B1 (ko) * 2017-08-10 2019-05-21 김주일 수전사를 이용한 조명기구용 글로브,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17A (ko) * 1999-09-28 2000-05-06 고현주 전사용 유기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전사 방법
KR200219978Y1 (ko) * 2000-10-30 2001-04-16 김경회 수압전사층을 갖는 다층구조의 장식용 배선기구
KR20010090653A (ko) * 2000-04-10 2001-10-19 유병돈 칼라무늬를 갖는 낚시대와 그 제조방법
KR20020033283A (ko) * 2000-10-30 2002-05-06 김경회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17A (ko) * 1999-09-28 2000-05-06 고현주 전사용 유기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전사 방법
KR20010090653A (ko) * 2000-04-10 2001-10-19 유병돈 칼라무늬를 갖는 낚시대와 그 제조방법
KR200219978Y1 (ko) * 2000-10-30 2001-04-16 김경회 수압전사층을 갖는 다층구조의 장식용 배선기구
KR20020033283A (ko) * 2000-10-30 2002-05-06 김경회 수압전사용 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786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562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5866225A (en) Mosaic reproductions on a tile substrate
US4451329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ducing decorative frosting effects on glass
CN109803508B (zh) 一种电子设备的壳体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KR101354579B1 (ko) 지그(jig) 및 유브이(uv) 몰딩을 이용한 데코글라스의 제조방법
KR20110112749A (ko) 사출물 제조 방법
US20100116005A1 (en) Home appliance, wash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ome appliance
CN110978592A (zh) 一种3d手机后盖仿玻璃的制作方法
KR100498025B1 (ko) 투명소재에 소정의 패턴을 수압전사하여 제조되는 장식재및 그 제조방법
US4535022A (en) Decorative 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02599B1 (ko) 호마이카에 내장된 무늬를 형성한 장식용 판재 및 그제조방법
US20070134421A1 (en) Surface relief ornament coating method, template and coating device used therein, and ornamental plate made therefrom
US20120055902A1 (en) Method for finishing exterior surface of injection-molded product
KR20150126317A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0125912A (ja) 装身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11283B1 (ko) 판유리 음각 무늬 형성방법
CN105818509A (zh) 玻璃微珠薄膜及使用该薄膜的外壳和该外壳的制作工艺
KR101849667B1 (ko) 글라스 장식부재 형성방법 및 그 형성구조
KR100193962B1 (ko) 장식판의 제조방법
KR100605569B1 (ko) 사출제품의 후처리 방법
JPH11240297A (ja) 漆塗り製品に於ける模様付け方法及び漆塗り製品
KR102516651B1 (ko) 진공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US1600580A (en) Decorative trimming
CN219294921U (zh) 玻璃背盖及电子设备
KR102416744B1 (ko) 욕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