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940B1 -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 - Google Patents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940B1
KR100371940B1 KR1019950067220A KR19950067220A KR100371940B1 KR 100371940 B1 KR100371940 B1 KR 100371940B1 KR 1019950067220 A KR1019950067220 A KR 1019950067220A KR 19950067220 A KR19950067220 A KR 19950067220A KR 100371940 B1 KR100371940 B1 KR 10037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heat
breathable
ethylen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831A (ko
Inventor
전승호
전은진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6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940B1/ko
Publication of KR97003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접착 통기성 표층과 통기성 지지층을 지닌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에 있어서,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50∼500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조성물을 열접착 통기성 표층에 사용하고,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 50∼500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조성물을 통기성 지지층에 사용함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A polypropylene complex film having air ventilation property}
본 발명은 열접착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을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와 열접착하여 제조되는 감촉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우수한 일회용 기저귀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계 적층 쉬이트에 관한 것이다.
1회용 기저귀는 주로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로 되어 있는 수투과성 탑쉬이트와 펄프, 고흡수성 고분자 등으로 되어 있는 흡수체 및 주로 폴리에틸렌계 필름으로 되어 있는 수불투과성 백쉬이트로 구성되는데, 장시간 착용시 피부가 짓물리는 등 소위 다이어퍼래쉬라는 현상이 발생하여 큰 문제가 되어 왔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법으로서 백쉬이트를 물 등 액체는 통과하지 않고 수증기 및 공기는 잘 통과하는 소위 통기성 필름을 채택, 결국 피부를 뽀송뽀송하게 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수 진행되어 비교적 큰 성과를 거두어왔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7-203520호, 소58-15538호, 소60-199037호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즉 주로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무기물을 특정 배율로 첨가한 후 공지의 방법으로 용융 제막하여 얻어진 필름을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여 수지와 무기물 사이에 미세한 다공을 형성케 함으로써 통기성을 갖게 되는 소위 통기성 필름을 얻는 시도가 다수 제안되어 왔다.
그런데 통기성 필름은 미세한 다공성을 가지고 있는 까닭으로 기존 사용하던 비통기성 필름 대비 강도, 특히 1축연신시 폭방향 강도가 매우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제기 되었으며, 또한 필름의 감촉이 좋지 못하다는 소비자 불만이 크게 제기되면서 그 개선이 시급히 요청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가령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3-74381호에서는 폴리에틸렌계 통기성 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를 부착하여 제조된 적층 쉬이트를 기저귀 백쉬이트로 채용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취약한 폴리에틸렌계 통기성 필름을 기계적 물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가 강도를 보강해 주는 형태가 되고 동시에 외면으로 노출되는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의 좋은 감촉에 기인하여 상기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방법은 매우 고가의 접착제 사용 및 접착이라는 번거러운 추가공정의 발생으로 원가가 매우 상승하는 등 또 하나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어 결국 그 개선이 시급히 요청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을 개발하여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와 간단한 열접착공정으로 접착시키는데 성공함으로서 원가가 저렴하면서도 감촉이 우수하고 또한 강도가 우수한 기저귀 백쉬이트에 사용되는 통기성 적층체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도록 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와의 열접착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을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와 원가가 저렴하고 단순한 열접착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감촉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우수한 일회용 기저귀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계 적층 쉬이트 및 그 적층 쉬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저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께 기준 2∼20% 범위로 구성되는 열접착 통기성 표층과 두께 기준 80∼98%, 범위로 구성되는 통기성 지지층을 가지며 동시 압출되고 적어도 1축으로 연신되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에 있어서,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50∼500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조성물을 열접착 통기성 표층에 사용하고,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불럭공중합체 50∼500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조성물을 통기성 지지층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얻어진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의 열접착성 표층과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를 열접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적층 쉬이트 및 이러한 적층 쉬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의 통기성 지지층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0.01∼10분(ASTM D1238-70)에 의하며 230℃, 2.16kg로 측정)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10∼5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 또는 그러한 것들의 혼합물이다. 이들 수지는 각각 사용하여도 좋으나 인열강도 등의 물성 향상을 위해서는 적당 배율로 서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의 열접착 통기성 표층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에틸렌 함량이 1∼15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0.5∼10 중량%, 부텐-1 함량이 0.5∼1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또는 그러한 것들의 혼합물이다. 이들 수지는 그 용융점이 100∼140℃ 범위의 것이 좋으며, 120∼135℃ 범위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융점이 낮으면 낮을수록 열접착성은 우수해지나, 너무 용융점이 낮아지면 무기물과 수지와의 접착력이 좋아지는 관계로 1축 또는 2축 연신시 무기물과 수지와의 사이에 미세구멍이 잘 형성되지 않아 결국 통기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적당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물은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오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크레이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것은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수지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무기물 표면에 가령 스테아린산과 같은 지방산으로 처리하거나, 직접 스테아린산, 왁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 첨가제를 소량 첨가하여 분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분말상의 무기물 입자의 크기는 0.5∼10㎛ 범위가 좋다. 입자의 크기가 0.5㎛ 미만이 되면 무기물 입자의 분산이 어렵고,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후 기계적 물성이 취약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의 통기성 지지층에 사용되는 수지 소성물은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 50∼5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좋고, 더욱 좋기로는 100∼300 중량부가 가장 적당하다. 50 중량부 미만시에는 연신시 강도가 현저히 나빠지는 경향이 있으며, 500 중량부를 초과할 시에는 필름의 강성이 증가해 연신이 잘 이뤄지지 않고, 통기성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의 열접착 통기성 표층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50∼500 4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좋고, 더욱 좋기로는 100∼300 중량부가 가장 적당하다. 50 중량부 미만시에는 원하는 열접착성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00 중량부를 초과할 시에는 수지와 무기물과의 접척력이 너무 좋아져서 연신에 의한 통기성 발현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은 열접착 통기성 표층을 두께 기준 2∼20%, 통기성 지지층을 80∼98%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표층을 2% 미만으로 할 경우에는 만족할만한 열접착성을 얻기가 어렵고 또한 압출에 의한 필름형성상 어려움이 있으며,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접착성은 우수하나, 기계적 물성이 나빠지고 수지와 열접착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의 강한 접착력에 기인하여 연신에 의한 통기성 저하가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의 개개층에는 통상의 첨가제 예를들면, 활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가공조제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적정량의 무기물 및 통상의 첨가제를 통상의 블랜더나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혼합기로는 드럼, 덤블러형 혼합기, 리본블랜더, 헨셀믹서, 수퍼믹서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헨셀믹서 등의 고속교반형의 혼합기가 좋다.
다음으로 혼합물을 혼련하는데, 종래 공지의 장치 가령 통상의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믹싱롤, 밤바리믹서, 2축형 혼련기 등에 의해 적절히 실시된다. 이어서 혼련된 수지 조성물을 펠렛화한다. 열접착 통기성 표층 성분의 펠렛과 통기성 지지층 성분의 펠렛을 적정 비율로 별도의 호퍼에 투입하여 통상의 동시압출형 필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준하여 필름을 성형하게 되는데, 원형 다이에 의한 인플레이숀 성형, 티-다이에 의한 티-다이 압출성형 등을 적절히 채용하여 실시하면 좋다.
다음으로 동시압출법에 의거 성형된 2층 복합필름을 유리전이점 이상, 용융점 이하 사이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사이의 온도에서 1.2배∼6.0배 범위로, 좋기로는 1.5배∼5.0배의 범위로 주행방향으로 연신한다. 이 경우 온도가 40℃ 미만의 경우에는 신도가 항복점을 넘기 이전에 필름에 파열이 발생하여 연신을 행할 수 없으며, 용융점을 넘게 되는 경우에는 분자사슬의 유동에 의해 주행방향 연신시 만족할 만한 통기량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연신배율이 1.2배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통기량이 얻어지지 않게되며, 연신배율이 6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연신중 절단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안정하게 필름을 얻을 수 없다. 이어서 주행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을 상기 온도 범위의 조건 및 연신배율로 폭 방향연신하여 이축연신 통기성 필름을 얻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축연신을 하지 않고 일축 연신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총면적 연신배율은 1.5∼36배의 범위가 좋다. 면적 연신배율이 1.5배 미만에서는 충분한 통기성을 얻을 수 없고, 필름이 딱딱해 촉감이 저하되며, 36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통기성은 얻어지지만,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나빠진다. 연신후의 필름은 그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고정을 행해도 좋다.
다음으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 필름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와의 열접착된 적층쉬이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와의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과의 적층쉬이트는 통상의 열접착 복합쉬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부직포와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의 표층 부위가 상호 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몰상에서 적층체를 형성시킨 뒤 일정한 열과 압력하에서 가온 가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부직포와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과의 적층체에 소정의 열과 압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엔보싱롤에 그 적층체를 도입하는 방법, 또는 카렌다롤에 그 적층체를 도입하는 방법이 좋다.
엔보싱롤에 도입한 경우는 엔보싱롤의 凸부에 대응하는 적층체의 구역에, 열과 압력이 부여되어 그 구역에서 부직포와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이 접착하게 된다. 즉 엔보싱폴의 凸부에 대응하는 구역에 있어서 부직포와 접촉하고 있는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의 표층 성분이 연화 또는 용융하여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과 부직포가 융착한다. 이때 엔보싱롤의 凸부의 온도를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의 표층부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성분의 용융점보다도 5∼30℃ 높은 온도로 설정해두는 것이 좋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보다 30℃ 높은 온도를 초과한 온도에서 융착을 실시하면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의 표층 성분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용융 유동하여 형성되어 있던 미세구멍을 막아 통기성을 열악하게 할 우려가 있고, 또한 압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는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의 표층성분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용융점 이상의 매우 높은 온도의 열을 가하지 않으면 연화 또는 융착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이때 접합구역의 면적을(부직포와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이 접착하고 있는 전 구역에 대해 실제 접합 구역의 총합)은 5∼60% 범위의 것이 좋다. 접합구역의 면적율이 5% 미만일 경우는 부직포와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과의 박리가일어나기 쉬운 경향이 있고, 60%를 초과하는 경우는 얻어지는 적층쉬이트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카렌다롤에 적층체를 도입하려는 경우는 부직포와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이 적층되어 접촉하고 있는 전구역에 걸쳐서 양자가 접착하게 된다. 즉 부직포와 접촉하고 있는 열접착 통기성 복합필름의 표층이 전구역에 있어서 상호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박리강도는 대폭으로 증가하지만 유연성이 엔보싱롤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은 고가의 접착제 사용이 필요없이 단순 열접착 공정에 의해 통상의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와 접착된 형태의 적층쉬이트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며, 또한 이렇게 얻어진 적층쉬이트를 백쉬이트로 채용한 1회용 기저귀는 감촉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우수하며 또한 가격이 저렴해진 실로 획기적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탄산칼슘(평균입경 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융지수 3g/10min인 프로필렌계 단독중합체(수지 A) 83∼100 중량부를 첨가하는 비율로 첨가하고, 헨셀믹서에서 혼합해서, 그 혼합물을 2축 혼련기로 혼련한 뒤 펠렛화하여 통기성 지지층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같은 요령으로 상기 동일한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 함량이 2.8 중량%, 부텐-1 함량이 4.2 중량% 함유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용융점 132℃, 수지 B) 100∼125 중량부를 첨가하는 비율로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혼련 펠렛화하여 열접착 통기성 표층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지조성물의 구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들을 각각 별도의 호퍼를 통해 동시 압출기에 투입하고 250℃에서 용융 압출하여 이 용융물을 티다이를 통해 2층 구조의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60℃의 연신 온도에서 가로방향으로 5배 연신하여 최종적으로 두께 20㎛(지지충 18㎛, 표층 2㎛)인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2층 복합필름에 대하여 인장특성, 인열강도, 투습도, 열접착성 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기계적 물성 및 통기성이 양호할 뿐 아니라 열접착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8)
지지층 수지조성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 함량이 10 중량%인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수지 C)및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수지 A 및 표층 수지조성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 함량이 5 중량%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용융점 145℃, 수지 D) 및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투습도, 인열강도, 열접착성이 우수한 통기성 필름을 얻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12)
필름조성물은 실시예 7과 동일하고 필름을 60℃의 연신 온도에서 가로 방향(MD)으로 2∼4배 연신시키고 이어서 160℃ 조건하의 열풍텐터에서 세로방향(TD)으로 1.5∼3배 연신하여 최종적으로 두께 20㎛(지지층 18㎛, 표층 2㎛)인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최종필름이 지지층 19㎛, 표층 1㎛으로 구성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투습도가 우수한 필름을 제조하여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18)
실시예 1, 9∼12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평량이 50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적층하여 TD 파탄강도, 인열강도 등이 매우 우수한 개선된 통기성 적층 쉬이트를 제조하여 그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표층 수지조성물로 프로필렌계 단독중합체(수지 A)가 사용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필름을 제조 그 물성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투습도는 우수하나 열접착성이 취약한 결과를 보인다.
(비교예 2)
지지층 수지조성물로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수지 B)가 사용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필름을 제조 그 물성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열접착성은 우수하나 투습도가 취약한 결과를 보인다.
(비교예 3∼4)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필름과 실시예 14∼18에서 사용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통기성 적층쉬이트를 제조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의 경우 열접착이 불가능하였고 비교예 4의 경우 TD 파단강도 및 인열강도는 우수하나 투습도가 취약하였다.

Claims (6)

  1. 열접착 통기성 표층과 통기성 지지층을 지닌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에 있어서,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50∼500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조성물을 열접착 통기성 표층에 사용하고,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 50∼500 중량부로 구성된 수지조성물을 통기성 지지층에 사용함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표층에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에틸렌 함량이 1∼15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0.5∼10 중량%, 부텐-1 함량이 0.5∼1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또는 그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용융지수가 0.01∼10분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 함량이 10∼5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 또는 그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무기물은 탄산칼슘, 실리카,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탈크,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티탄, 마이카, 제오라이트,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크레이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하는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두께 기준 2∼20% 범위로 구성되는 열접착 통기성 표층과 두께 기준 80∼98% 범위로 구성되는 통기성 지지층을 가지며 동시 압출되고 적어도 1축으로 연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
  6. 제 1항의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2층 복합필름의 열접착성 표층과 폴리프로필렌계 부직포를 열접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적층 쉬이트.
KR1019950067220A 1995-12-29 1995-12-29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 KR10037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220A KR100371940B1 (ko) 1995-12-29 1995-12-29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220A KR100371940B1 (ko) 1995-12-29 1995-12-29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831A KR970033831A (ko) 1997-07-22
KR100371940B1 true KR100371940B1 (ko) 2003-09-02

Family

ID=3741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220A KR100371940B1 (ko) 1995-12-29 1995-12-29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835B1 (ko) * 2001-01-19 2003-12-18 유피씨(주) 통기성 합지 제조시스템, 제조 방법 및 그 통기성 합지
KR20020066110A (ko) * 2001-02-09 2002-08-14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향상시킨 통기성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831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8847B1 (en) Breathable, extensible films made with two-component single resins
US6843949B2 (en) Process for adjusting WVTR and other properties of a polyolefin film
EP0927096B1 (en) Process of adjusting wvtr of polyolefin film
EP1218181B1 (en) Breathable multilayer films with breakable skin layers
EP0309073B1 (en) Composite breathable housewrap laminates
US4878974A (en) Method of producing a gas-permeable, waterproof composite sheet
US6348258B1 (en) Breathable film having organic filler
KR20010033759A (ko) 수분해성 미세층 중합체 필름
US6106956A (en) Breathable extruded polymer films
KR20140019829A (ko) 다층 통기성 필름
JP2003509238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および不織積層物の高速製造方法
KR100540961B1 (ko) 통기성 미세층 중합체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물품
JP3155351B2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1940B1 (ko) 열접착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복합필름
JPH05230252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514388B2 (ja) 手袋用補強型多孔質シ―ト
EP1051296B1 (en) Breathable extruded polymer films
JPS63203805A (ja) 使い捨ておむつ
JPS63286330A (ja) 補強型多孔質シ−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52337A (ja) 建築用防水材
MXPA00007278A (es) Peliculas de polimero extrudido, respirables
JPH04135921U (ja) 帽 子
JPH0679838B2 (ja) 補強型着色多孔質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