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213B1 - 착상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착상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213B1
KR100371213B1 KR10-1998-0704633A KR19980704633A KR100371213B1 KR 100371213 B1 KR100371213 B1 KR 100371213B1 KR 19980704633 A KR19980704633 A KR 19980704633A KR 100371213 B1 KR100371213 B1 KR 10037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etecting
conception
compressor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228A (ko
Inventor
도시유키 노지리
신이치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이시즈카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즈카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즈카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검지용 감열소자와 보상용 감열소자를 사용하여, 그 온도차에 의하여 착상량을 검출하는 착상검지기를 사용한 착상검지장치이고,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로 이루어지는 착상검지기(1)와, 착상검지기(1)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2)와, 증폭회로(2)의 출력전압을 설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회로(3)와, 콤프레서 및 냉각팬(4)의 운전상태를 검지하는 동작검지회로(5)와, 동작검지회로(5)와 비교회로(3)와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착상량을 검출하는 판정회로(6)로 이루어지고, 콤프레서 및 냉각팬(4)이 동작하고 있을 때만 비교회로(3)에서의 출력을 받아들이도록 하여 착상량을 검출하는 착상검지장치이다.

Description

착상검지장치{FROSTING DETECTION DEVICE}
냉동 냉장고는, 그것에 조립되어 있는 열교환기의 냉각팬 표면으로 서리의 부착이 기기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켜, 이것을 방치한 채 운전을 계속하면, 소비 에너지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비경제일뿐 아니라 고장의 원인도 된다. 이 때문에, 가정용 냉장고 등에서는 냉장고내의 온도를 검지하여 콤프레서를 온오프시킴과 동시에, 타이머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냉각동작시켜, 그 적산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달하면, 히터 동작으로 전환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운전 종료후, 일정시간 경과하면 히터로의 통전을 종료시키는 제상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제상의 개시는 시간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지만, 착상상태는 냉장고의 주위온도, 습도, 문짝의 개폐빈도, 냉장고내에 넣은 물건의 상태, 예를 들면, 온도, 증발량, 열용량 등에 의하여 상이하기 때문에, 단순히 시간만으로 제어할 수는 없다. 또, 이 방법은 실제의 착상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미착상 상태에서도 제상동작이 행해지거나, 또는 과착상 상태라해도 제상(除霜)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에너지 효율이 나쁜 냉각운전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상방법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종의 착상검지방법이 개발되고 있지만 오동작이나 검지 정밀도 등의 면에서 실용상 문제점이 많은 결점이 있다. 도 6은, 냉동고나 냉장고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안된 결상 결로 검지장치의 일예이고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2-115678호 공보로 개시되어 있다.
이 결상 결로 검출장치는, 근접배치된 한쌍의 감열소자(R1와 R2)가 설치되고, 각각에 전류공급원이 설치되어 있다. 감열소자(R1와 R2)의 한쪽의 감열소자에 대하여 공기중에서 자기발열하여 온도상승을 생기게 할 정도의 발열 전류원으로 하고, 다른쪽의 감열소자에 대하여 그 온도상승이 무시될 수 있는 정도의 비교기준 전류원으로 한다. 그리고, 발열 전류원에서 전류공급을 받는 감열소자는 항상 비교기준 전류원으로부터의 전류공급을 받는 다른쪽의 감열소자보다도 높은 온도로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리 서로 온도차가 부여되어 있는 상기 한쌍의 감열소자상에 결상 또는 결로가 생기면, 이와 같은 고체 및 액체는 공기보다도 열전도율이 크므로, 고온으로 유지한 감열소자에서 그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서리 또는 이슬을 통하여 열의 방산작용이 생긴다. 이와 같은 방산작용에 의하여 감열소자의 온도가 저하하고, 다른쪽의 일정온도로 유지되어 있는 감열소자와의 온도차가 작아진다. 이 온도차를 연산회로로 구하여 미리 설정한 값과 비교하고, 기준치보다도 작을 때에 결상결로상태에 있게 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종래의 결상결로 검지장치를 냉동 냉장고 등에 적응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가정용 냉동 냉장고에서는, 일반적으로, 냉각운전시에 콤프레서와 냉각팬이 동시에 동작하는 방식이다. 그 결상결로 검지장치가 도 7(a)에 표시되어 있고, 결상결로 검지기(10)가 감열소자(10a와 10b)의 직렬회로로 되어 있고, 그 출력전압(Va)이 증폭회로(11)에 입력되고, 그 출력전압(V1)이 비교회로(12)에 입력되고 있다. 레벨 설정회로(13)에서 기준전압(Vr)이 비교회로(12)에 입력되고 있다. 도 7(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콤프레서는, 냉장고내에 설치한 온도센서에 의하여 냉장고내 온도를 검지하여 냉장고내 온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온오프동작을 되풀이한다. 그러나,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콤프레서의 타이밍 챠트와 같이 일정한 되풀이 동작으로 된다. 콤프레서가 시각(t1)에서 운전개시하여 시간이 경과하면, 에버포레이터(냉각기) 및 결상결로 검지장치의 감열소자에 서리가 부착하여 감열소자(R1와 R2) 사이의 온도차가 축소되고, 증폭회로(2)의 출력전압(V1)의 레벨은 서서히 저하한다.
그러나, 착상 검지기에 서리가 충분히 성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콤프레서 및 냉각팬이 정지한 경우, 즉, 도 7(b)의 시각(ts)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신호전압(V1)이 비교기(12)의 설정레벨(Vr)까지 강하하지 않은 상태에서 콤프레서 및 냉각팬이 정지한 경우, 감열소자(R1, R2)의 온도차에 대응한 출력전압(V1)은 시각(t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초기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로서, 신호전압(V1)은 설정레벨(Vr) 이하가 되므로 신호전압(V2)이 출력된다. 즉, 종래의 착상검지장치에서는 착상운전상태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서리를 검지하여, 제상상태가 되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이, 콤프레서 및 냉각팬이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지만, 콤프레서 및 냉각팬이 정지하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룩된 것이고, 검지용 감열소자와 보상용 감열소자를 사용하여 그 온도차로부터 착상량을 검지하는 착상검지기를 사용한 착상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동작에 의존하여 오동작이 생기지 않는 착상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산업기기나 냉각기의 착상검지장치(着霜檢知裝置)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착상검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관련한 착상검지장치에 사용되는 착상검지기를 표시하는 사시도, (b)는 그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한 착상검지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착상검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한 착상검지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착상검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a)는 종래의 착상검지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회로도, (b)는 그 타이밍 챠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상검지기1a : 검지용 감열소자
1b : 보상용 감열소자2 : 증폭회로
3 : 비교회로4 : 콤프레서(및 냉각팬)
5 : 동작검지회로6 : 판정회로
7 : 지연펄스 발생회로8 : 레벨설정회로
10a, 10b : 리드선 12a, 12b : 공간
13 : 간극14 : 덮개체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룩된 것이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간극을 설치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검지용 감열소자와 밀봉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보상용 감열소자를 포함하는 착상검지기와, 상기 착상검지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증폭회로의 출력전압을 설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검지하는 동작검지회로와, 상기 동작검지회로와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착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검지장치이고, 동작검지회로에 의하여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감시하면서 판정회로의 출력에 의거하여 착상을 검지하고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간극을 설치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검지용 감열소자와 밀봉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보상용 감열소자를 포함하는 착상검지기와, 상기 착상검지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증폭회로의출력전압을 설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검지하는 동작검지회로와, 상기 동작검지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지연 펄스 발생회로와, 상기 지연 펄스 발생회로의 펄스출력신호와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착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검지장치이고,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감시하여, 동작검지회로의 동작에 따른 지연펄스를 발생시켜서 그 지연펄스에 동기시켜서 판정회로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착상을 검지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간극을 설치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검지용 감열소자와 밀봉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보상용 감열소자로 된 착상검지기와, 상기 착상검지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증폭회로의 출력전압을 설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검지하는 동작검지회로와, 상기 콤프레서 및 냉각팬 모두가 동작했을 때에 상기 동작검지회로가 출력하는 출력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지연펄스발생회로와, 상기 지연펄스발생회로의 펄스출력신호와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착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검지장치이고, 콤프레서 및 냉각팬 모두가 작동했을 때에 동작검지회로로부터 출력에 따른 지연펄스를 발생하도록 하고, 판정회로의 출력을 지연펄스에 동기시켜서 출력시킴으로써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착상량을 검지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한 착상검지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착상검지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착상검지장치는 착상검지기(1)와, 착상검지기(1)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2)와, 착상량에 따라서 설정한 설정레벨(기준전압)과 증폭회로(2)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회로(3)와, 비교회로(3)에 공급되는 설정레벨(기준전압)을 발생하는 레벨설정회로(8)와, 콤프레서 및 냉각팬(4)의 동작정지를 검출하는 동작검지회로(5)와, 콤프레서 및 냉각팬(4)의 동작에 대응하여 착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판정회로(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착상검지기(1)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도 (a)는 그 사시도이고, 동도 (b)는 그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착상검지기(1)는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와, 이들의 소자를 수납하는 용기(11)로 되어 있고, 이들의 소자에 의하여 구성되는 회로에서 얻어지는 전위차, 즉, 온도차로부터 착상량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착상검지기(1)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11a)이 설치된 용기(11)에 덮개체(14)가 설치되고, 공간(12a, 12b)이 형성되고, 공간(12a)에는 간극(13)이 설치되고, 공간(12a)내에 검지용 감열소자(1a)가 설치되고, 밀봉된 공간(12b)에는 보상용 감열소자(1b)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용 감열소자(1a) 및 보상용 감열소자(1b)의 리드선(10a, 10b)이 덮개체(14)에서 외부에 끌어 내어져 있다. 이 착상검지기가 냉장고내에 장착되어, 간극(13)에 서리가 부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냉장고내의 공기가 간극(13)을 통하여 유입하므로,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와의 온도차가 발생한다. 그러나, 간극(13)에 서리가 부착하여 폐색되면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가 공간(12a, 12b)에 폐색된 상태, 즉, 물리적 조건이 동일하게 되므로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의 저항이 동등하게 된다. 그 결과, 각 소자의 단자간 전압이 동등하게 되고 온도차가 0이 된다. 본 발명의 착상검지장치에 사용되는 착상검지기는, 상기와 같은 동작원리를 기초로 하고 있고, 양 감열소자의 온도차에 의하여 착상상태를 검지하는 착상검지장치이다.
더욱이, 상세하게 설명하면, 착상검출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가 전압원(E)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의 저항치를 각각 Ra, Rb라 하면, 그 출력전압(Va)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Va= E·Rb/(Ra+Rb)…………… (1)
또, 온도가 상승하여 검지용 감열소자(1a)의 저항치(Ra)가 저하하면, 보상용 감열소자(1b)의 단자간 전압은, (1) 식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Va= E·Rb/[(Ra-△Ra)+Rb]…… (2)
단, 보상용 감열소자(1b)의 저항치(Rb)는 일정하다. E는 인가전압, (Ra- △Ra)는 검지용 감열소자(1a)의 저항치를 나타내고 있다.
착상검지기(1)의 출력(Va)은 증폭회로(2)에 입력되어 증폭되고, 그 출력전압(V1)이 비교회로(3)에 입력된다. 또, 비교회로(3)에는 레벨설정회로(8)로부터의 설정레벨(기준전압)(Vr)이 입력되어 있고, 출력전압(V1)과 설정레벨(Vr)이 비교회로(3)에서 비교된다. 출력전압(V1)이 설정레벨(Vr)보다 저하하면,비교회로(3)에서의 출력전압(V2)이 판정회로(6)에 입력되고, 콤프레서(4)의 동작에 따라서 동작검지회로(5)에서 출력전압(V3)에 동기하여 판정회로(6)에서 출력되고, 착상량이 검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련한 착상검지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도의 착상검지장치는, 착상검지기(1)와, 착상검지기(1)의 출력전압(Va)을 증폭하는 증폭회로(2)와, 검출해야할 착상량에 따라서 정한 설정레벨(기준전압(Vr))과 증폭회로(2)의 출력전압(V1)을 비교하는 비교회로(3)와, 콤프레서 및 냉각팬(4)중 어느 하나의 동작정지를 검출하는 동작검지회로(5)와, 동작검지회로(5)의 출력에 따라서 지연한 펄스를 발생하는 지연펄스 발생회로(7)와, 지연펄스 발생회로(7)로부터의 지연펄스에 대응하여 착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판정회로(6)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지연펄스 발생회로(7)는 동작검지회로(5)가 온상태로 된 후, 일정시간(T1)이 경과할 때마다 지연펄스가 발생하는 회로이다. 비교회로(3)는 증폭회로(2)의 출력전압(V1)이 설정레벨(착상량)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이다. 판정회로(6)는 비교회로(3)의 출력전압(V2)과 지연펄스 발생회로(7)로부터의 지연펄스에 동기시켜서 착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지연펄스는 콤프레서(4)의 운전과 정지를 되풀이하는 경우, 운전개시 직후는, 에버포레이터(냉각기)가 충분히 냉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증폭회로(2)의 출력전압은 불안정하게 되고, 이 때문에 콤프레서(4)의 동작검지회로(5)의 차단에 지연펄스 발생회로(7)를 설치하여, 콤프레서(4)의 운전개시시부터 일정시간(T1) 지연하여 펄스를 판정회로(6)에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계속하여, 도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상검지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도 4의 타이밍차트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도에 있어서, (a)는 콤프레서(4)의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파형이고, (b)는 동작검지회로(5)의 출력파형을 표시하고, (c)는 지연펄스 발생회로(7)로부터의 펄스파형을 표시하고, (d)는 증폭회로(2)의 출력파형을 표시하고, (e)는 비교회로(3)의 출력파형을 표시하고, (f)는 판정회로(6)의 출력파형을 표시하고 있다.
우선, 착상검지장치는 냉장고내에 장치되어 있고, 냉장고의 콤프레서(4)는 냉장고내 온도를 검지하여 온오프동작을 되풀이하고, 냉장고내의 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내려가면 콤프레서는 정지한다. 동도 (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콤프레서(4)의 동작에 따라서, 동도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콤프레서(4)의 온오프동작에 연동하여 동작검지회로(5)는 신호전압(V3)을 출력하는 동작검지회로(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펄스형상의 출력파형이 얻어진다. 동도 (c)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동작검지회로(5)의 출력이 지연펄스 발생회로(7)에 입력되고, 시간(T1)의 주기에 펄스가 발생하고, 판정회로(6)에 입력된다. 시각(t1)에서 콤프레서(4)가 동작을 개시한다. 그 시점에서는 착상검지기(1)의 간극(13)에는, 아직 서리가 부착하고 있지 않으므로,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와의 온도차에 대응하는 전압(V1)이 설정레벨(Vr)보다 훨씬 높은 레벨에 있다. 콤프레서(4)가 두 번째의 동작시(시각(t3))에도 착상검지기(1)의 간극(13)에 서리가 부착하기 시작했지만, 그간극(13)이 서리가 폐색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압(V1)은 설정레벨(Vr)보다 충분히 높은 레벨에 있다. 동작검지회로(5)의 신호전압(V3)이 온상태가 되면, 동도 (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연펄스 발생회로(7)가 작동하여 지연펄스를 출력한다.
콤프레서(4)가 시각(t5)에서 세 번째의 동작을 개시하면, 아직 착상검지기(1)의 간극(13)이 서리에 의하여 폐색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시각(t6)이 되면, 간극(13)이 서리에 의하여 폐색되고, 착상검지기(1)의 출력레벨은 설정레벨(Vr)보다 저하한다. 시각(t6)에서는, 동도 (e)에 표시한 바와 같이, H레벨로 반전한다. 한편 동도 (f)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연펄스(P1)에 동기하여, 판정회로(6)의 출력이 시각(t7)에서 L레벨에서 H레벨로 반전한다. 착상을 검출하여 판정회로(6)의 출력전압(V5)은 온상태가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콤프레서와 냉각팬의 동작과 정지를 문의 개폐에 따라서 별개로 행하는 방식의 냉동 냉장고의 경우에 적응되지만, 통상, 콤프레서와 냉각팬이 운전과 정지동작을 동시에 행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콤프레서와 냉각팬이 별개로 동작하는 방식의 냉동 냉장고에서는 아래와 같은 실시형태가 된다.
도 5의 착상검지장치는, 콤프레서(4a)와 냉각팬(4b)의 동작을 개별로 감시하고 있고, 다른 부분은 도 3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콤프레서(4a)와 냉각팬(4b)을 따로따로 감시하여 콤프레서(4a)와 냉각팬(4b)의 양자가 모두 동작하고 있을 때만 동작검지회로(5)의 신호전압(V3)이 온이 되어 지연펄스 발생회로(7)가 동작하여 지연펄스가 출력된다. 지연펄스 발생회로(7)는 펄스전압(V4)을 출력한다.
한편 에버포레이터(냉각기)에 장치한 착상검지기(1)의 표면의 착상량이 증가하면 검지감열소자(1a)측에 설치된 간극(13)이 폐색하기 때문에, 검지용 감열소자(1a)와 보상용 감열소자(1b)의 온도차가 없어지고 전압(V1)이 설정레벨치 이하가 된다. 그리고, 비교회로(3)의 출력전압(V2)이 온상태가 된다. 펄스신호(V4)와 출력전압(V2)이 온하면 판정회로(6)의 출력전압(V5)이 온상태가 되고, 에버포레이터가 착상상태인 것을 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 콤프레서(4a)와 냉각팬(4b)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감시하고, 동시에 동작해야 비로서 동작검지회로(5)에서 출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오동작을 해소한 것으로 확실히 착상을 검출해 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상검지기를 냉동냉장고내의 에버포레이터(냉각기)에 장치하여,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검지하고, 이들의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신호전압과, 착상검지기의 출력에 의하여 착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회로로부터 구성된 착상검지장치를 설치함에 따라서, 오동작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에버포레이터로의 서리의 부착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과착상상태에서의 효율이 나쁜 운전이나 미착상상태에서의 제상운전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소비 에너지 효율의 양호한 냉각운전을 행하는 냉동 냉장고를 제상 조작을 할 수 있는 착상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간극을 설치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검지용 감열소자와 밀봉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보상용 감열소자를 포함하는 착상검지기와,
    상기 착상검지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증폭회로의 출력전압을 설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회로와,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검지하는 동작검지회로와,
    상기 동작검지회로와 상기 비교회로와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착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검지장치.
  2. 간극을 설치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검지용 감열소자와 밀봉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보상용 감열소자를 포함하는 착상검지기와,
    상기 착상검지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증폭회로의 출력전압을 설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회로와,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검지하는 동작검지회로와,
    상기 동작검지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지연펄스 발생회로와,
    상기 지연펄스 발생회로의 펄스출력신호와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착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검지장치.
  3. 간극을 설치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검지용 감열소자와 밀봉된 열전도성 용기내에 배치된 보상용 감열소자를 포함하는 착상검지기와,
    상기 착상검지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증폭회로의 출력전압을 설정레벨과 비교하는 비교회로와,
    콤프레서 및 냉각팬의 운전상태를 검지하는 동작검지회로와,
    상기 콤프레서 및 냉각팬 모두가 동작했을 때에 상기 동작검지회로가 출력하는 출력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지연펄스 발생회로와,
    상기 지연펄스 발생회로의 펄스출력신호와 상기 비교회로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착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상검지장치.
KR10-1998-0704633A 1995-12-28 1996-11-28 착상검지장치 KR100371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43975A JPH09178328A (ja) 1995-12-28 1995-12-28 着霜検知装置
JP95-343975 199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228A KR19990072228A (ko) 1999-09-27
KR100371213B1 true KR100371213B1 (ko) 2003-03-15

Family

ID=1836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33A KR100371213B1 (ko) 1995-12-28 1996-11-28 착상검지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38872A (ko)
EP (1) EP0871002B1 (ko)
JP (1) JPH09178328A (ko)
KR (1) KR100371213B1 (ko)
CN (1) CN1110673C (ko)
DE (1) DE69623041D1 (ko)
WO (1) WO1997024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7282B1 (en) 2000-09-27 2002-10-22 Patrick D. French Frost sensor for use in defrost controls for refrigeration
DE10315524A1 (de) * 2003-04-04 2004-10-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TWI320633B (en) * 2006-03-22 2010-02-11 Asustek Comp Inc Fan system with hysteresis character and method thereof
US20100066168A1 (en) * 2008-09-17 2010-03-18 Joseph Gamliel Powering a direct current air conditioner using solar cells
JP6024224B2 (ja) * 2012-06-07 2016-11-09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防露ヒータ通電制御装置
KR102536378B1 (ko) * 2018-03-26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8613473B (zh) * 2018-04-02 2019-08-2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及其化霜的控制方法、控制系统、控制器
DE102021126837A1 (de) 2021-10-15 2023-04-20 Audi Aktiengesellschaft Betriebsverfahren für eine Kälteanlage im Wärmepumpenbetrieb bei tiefen Umgebungstemperaturen und Kraftfahrzeug mit einer derart betriebenen Kälteanlag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31Y2 (ko) * 1975-03-24 1978-01-18
JPS54152246A (en) * 1978-05-19 1979-11-30 Matsushita Refrig Co Defrosting control device
JPS54157360A (en) * 1978-05-31 1979-12-12 Sharp Corp Defrosting control system
JPS55143482U (ko) * 1979-03-31 1980-10-14
DE3001019A1 (de) * 1980-01-12 1981-07-23 Danfoss A/S, 6430 Nordborg Abtauvorrichtung fuer den verdampfer einer kaelteanlage
US4373349A (en) * 1981-06-30 1983-02-15 Honeywell Inc. Heat pump system adaptive defrost control system
JPS5913876A (ja) * 1982-07-15 1984-01-24 松下冷機株式会社 除霜制御装置
JPS60181557A (ja) * 1984-02-28 1985-09-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除霜運転制御装置
US4882908A (en) * 1987-07-17 1989-11-28 Ranco Incorporated Demand defros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H01225883A (ja) * 1988-03-04 1989-09-0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機の制御装置
JPH0638019B2 (ja) * 1988-10-20 1994-05-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結霜結露検知装置
KR960001986B1 (ko) * 1991-01-31 199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상제어회로 및 그 방법
US5257506A (en) * 1991-03-22 1993-11-02 Carrier Corporation Defrost control
US5345775A (en) * 1993-03-03 1994-09-13 Ridenour Ralph Gaylord Refrigeration system detection assembly
EP0644386B1 (en) * 1993-09-22 1998-02-25 Whirlpool Europe B.V.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frost formation on a refrigerator evaporator and refrigerator in which such method is implemented
JPH07260326A (ja) * 1994-03-24 1995-10-13 Toshiba Corp 冷蔵庫の除霜制御装置
JPH0886557A (ja) * 1994-09-19 1996-04-02 Ishizuka Denshi Kk 着霜検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6456A (zh) 1999-01-27
JPH09178328A (ja) 1997-07-11
CN1110673C (zh) 2003-06-04
WO1997024568A1 (fr) 1997-07-10
EP0871002A1 (en) 1998-10-14
DE69623041D1 (de) 2002-09-19
US6038872A (en) 2000-03-21
KR19990072228A (ko) 1999-09-27
EP0871002B1 (en) 2002-08-14
EP0871002A4 (ko) 199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282B1 (en) Frost sensor for use in defrost controls for refrigeration
US10066865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temperature control in a refrigerator
KR100371213B1 (ko) 착상검지장치
US4741170A (en) Fault tolerant control for a refrigerator
JPH06213548A (ja) 冷蔵庫
JPH0886557A (ja) 着霜検知器
JPH10300319A (ja) 冷蔵庫
US20070006600A1 (en) Refrigeration device with adaptive automatic defrosting and corresponding defrosting method
US5502976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677935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644386B1 (en)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frost formation on a refrigerator evaporator and refrigerator in which such method is implemented
JPH09264655A (ja) 結霜結氷センサおよび結霜結氷の検出方法
JP3504180B2 (ja) 冷蔵庫の食品温度測定装置
JPS60226688A (ja) 除霜制御装置
KR100547421B1 (ko) 냉장고의 결빙감지장치
JP2000180014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JP2680687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霜取制御方法
KR0143214B1 (ko) 냉장고의 도어열림 경보방법
JPH10197135A (ja) 結霜結氷センサおよび結霜結氷の検出方法
KR19990038153A (ko) 냉장고의 이상온도 경보장치
KR100487155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H1194437A (ja) 着霜検知器
JP3151984B2 (ja) 冷蔵ショーケースにおける冷却器の温度検知装置
EP1175585B1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demand defrost for a cooled enclosure
KR100291298B1 (ko) 냉장고의제상제어장치및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