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094B1 -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094B1
KR100371094B1 KR1019960021264A KR19960021264A KR100371094B1 KR 100371094 B1 KR100371094 B1 KR 100371094B1 KR 1019960021264 A KR1019960021264 A KR 1019960021264A KR 19960021264 A KR19960021264 A KR 19960021264A KR 100371094 B1 KR100371094 B1 KR 10037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mode
open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793A (ko
Inventor
정유철
Original Assignee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6002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094B1/ko
Publication of KR98000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외부요인에 의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전류를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은 도어의 운전모드가 정지, 열림 및 닫힘모드 인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열림모드시 상기 도어가 열림종단점 구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열림운전을 실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닫힘모드시 상기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결과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으면 도어의 주행여부를 판단하여 누름전류 모드를 실행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결과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지 않으면 닫힘운전을 실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운전모드중 닫힘모드시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일 경우에만 누름전류 모드를 실행하므로 전력소비를 절감할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제어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속전류(누름전류)에 의해 도어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장치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1)와, 상기 제어부(1)의 제어신호에의해 운전모드(Mode)를 선택하는 운전모드 판단부(2)와, 상기 운전모드 판단부(2)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도어의 위치에 따른 속도패턴을 결정하여 지령하는 속도지령부(3)와, 상기 속도지령부(3)의 속도패턴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발생 구동부(4)와, 상기 전압발생 구동부(4)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속도패턴에 따라 설정된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발생부(5)와, 상기 전압발생부(5)에서 발생된 전압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실행하는 모터(M1)와,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외부조건에 의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누름전류 발생부(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전류 발생부(6)는 전류제한 저항(R1)과 누름전류 모드 제 1 및 제 2 릴레이(RY1)(RY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는 도어의 개폐제어 신호를 도어계의 운전모드 판단부(2)에 제공한다.
상기 운전모드 판단부(2)는 상기 제어부(1)의 제어신호에 의해 운전모드를 선택하여 속도지령부(3)로 선택된 운전모드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속도지령부(3)는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도어의 속도패턴을 결정하여 전압발생 구동부(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압발생 구동부(4)는 상기 속도패턴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압발생부(5)를 구동시킨다.
상기 전압발생부(5)는 상기 전압발생 구동부(4)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속도패턴에 따른 전압을 발생하여 모터(M1)를 구동시키므로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개폐를 실행한다.
또한, 누름전류 발생부(6)는 누름전류 모드의 제 1 및 제 2 릴레이(RY1)(RY2)가 접점되면 전류제한 저항(R1)의 설정값에 따라 누름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모터(M1)를 제어한다.
상기 누름전류에 의해 모터(M1)가 제어되어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유저의 강제힘으로 인해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을 제 2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상기 제어부(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중 도어의 운전모드가 정지상태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20).
상기 단계(S20)의 판단결과 정지모드이면 도어의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 단계(S20) 판단결과 정지모드가 아니면 도어가 열림모드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21).
상기 단계(S21)의 판단결과 열림모드이면 속도지령부(3)의 정해진 패턴에 따른 전압을 모터(M1)로 출력하여 도어를 오픈시킨후(S22) 다음 행정을 진행한다.
만약 상기 판단결과(S21) 열림모드가 아니면 닫힘모드로 간주하여 닫힘종단점(Close Limit Time : 이하, CLT라 함) 구간내에 도어가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
상기에서 도어가 닫힘종단점(CLT) 구간내에 있으면 유저의 강제힘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전류 모드를 실행하여 도어를 제어한다(S24).
만약, 상기 단계(S23)에서 도어가 닫힘종단점(CLT) 구간내에 있지 않을 경우 도어가 열림상태로 판단되어 도어가 닫힘운전을 진행하고(S25), 다음 행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은 운전모드 판단결과 닫힘모드일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행시는 물론 정지시에도 제어부에서 도어에 구속전류(누름전류)를 오랜시간 계속적으로 흘려주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변압기의 절연파괴로 인해 제어부의 발화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구속전류의 세팅(Setting)편차가 0.1A∼1.5A 이상으로 커서 과다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주행여부를 도어에서도 파악하여 누름전류의 장시간 흐름에 따른 제어부의 소손 등을 방지하고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의특징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운전모드가 정지, 열림 및 닫힘모드 인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열림모드시 상기 도어가 열림종단점 구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열림운전을 실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닫힘모드시 상기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결과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으면 도어의 주행여부를 판단하여 누름전류 모드를 실행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결과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지 않으면 닫힘운전을 실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장치의 구성은 제 1 도와 동일하며,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중 도어의 운전모드가 정지상태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100).
상기 단계(S100)의 판단결과 정지모드이면 도어의 운전을 행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 단계(S100) 판단결과 정지모드가 아니면 도어가 열림모드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101).
상기 단계(S101) 결과 열림모드이면 열림종단점(Open Limit Time : 이하,OLT라 함) 구간인가를 판단한 후(S102), 판단결과 열림종단점(OLT) 구간일 경우는 바로 다음 행정을 진행한다.
만약, 상기에서(S102) 열림종단점(OLT) 구간이 아닐 경우는 속도지령부(3)의 정해진 패턴에 따른 전압을 모터(M1)로 출력하여 도어를 오픈시킨후(S103) 다음 행정을 진행한다.
상기 단계(S104)에서 도어가 닫힘종단점(CLT) 구간내에 있지 않을 경우 도어가 열림상태로 판단되어 도어의 닫힘운전을 실행한후(S105), 다음 행정을 진행한다.
상기에서 도어가 닫힘종단점(CLT) 구간내에 위치하면 엘리베이터의 주행여부를 판단한후(S106), 상기 엘리베이터가 주행중이 아니면 다음 행정을 진행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주행여부 판단결과(S106) 엘리베이터가 주행중이면 유저의 강제힘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전류 모드를 실행하여 누름전류를 흘려줌으로써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S107).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제어 방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주행여부를 도어계에서도 파악함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주행중에만 누름전류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소손등을 방지하고 전력소비를 절감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동작의 효율성을 높일수 있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블럭도,
제 2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운전모드 판단부
3 : 속도지령부 4 : 전압발생 구동부
5 : 전압발생부 6 : 누름전류 발생부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운전모드가 정지, 열릴 및 닫힘모드 인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열림모드시 상기 도어가 열림종단점 구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열림운전을 실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닫힘모드시 상기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결과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으면 도어의 주행여부를 판단하여 누름전류 모드를 실행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3 단계결과 도어가 닫힘종단점 구간내에 있지 않으면 닫힘운전을 실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 방법.
KR1019960021264A 1996-06-13 1996-06-13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KR10037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264A KR100371094B1 (ko) 1996-06-13 1996-06-13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264A KR100371094B1 (ko) 1996-06-13 1996-06-13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793A KR980001793A (ko) 1998-03-30
KR100371094B1 true KR100371094B1 (ko) 2003-05-12

Family

ID=3741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264A KR100371094B1 (ko) 1996-06-13 1996-06-13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0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2892A (ja) * 1988-08-12 1990-02-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03186596A (ja) * 1989-12-15 1991-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950031871A (ko) * 1994-05-26 1995-12-20 김정국 엘리베이터 도어의 억지열림 방지방법
KR950031870A (ko) * 1994-05-23 1995-12-20 김회수 승강도어에 설치된 승객보호 장치
KR970065396A (ko) * 1996-03-06 1997-10-13 이종수 엘리베이터 출입문 구동모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2892A (ja) * 1988-08-12 1990-02-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03186596A (ja) * 1989-12-15 1991-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950031870A (ko) * 1994-05-23 1995-12-20 김회수 승강도어에 설치된 승객보호 장치
KR950031871A (ko) * 1994-05-26 1995-12-20 김정국 엘리베이터 도어의 억지열림 방지방법
KR970065396A (ko) * 1996-03-06 1997-10-13 이종수 엘리베이터 출입문 구동모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79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4876A (en) Power window or panel controller
CA2326436A1 (en) Motor operator for over-head air break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witches
WO2001086789A3 (en) Circuit and method for adaptive leading edge blanking in pulse width modulated current mode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s
CA2219282A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switchgear actuator
WO2003012969A3 (en) Method for detecting motor control loss in a power steering system
KR100371094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TW358840B (en) Washing machine lid open/close device and the method the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lid open/close device and the method
JP200100233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980005118A (ko) 콘택터를 모니터하는 방법
ES2120378A1 (es) Control de tiempo optimo de un accionador de puerta de ascensor con motor lineal movido por linea ca
KR200149654Y1 (ko) 전기자동차용 컨택터
EP1298771A3 (de) Steuereinrichtung für einen Motorstarter
JPS6253716B2 (ko)
JPS6298076A (ja) 電動弁操作器
JP2000143133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SU143107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ежима рудно-термической печи
JPH0616371A (ja) エレベーターの戸の制御装置
JP2561880Y2 (ja)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KR0184211B1 (ko) 고마력 모터 구동장치
KR016311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상태 유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0065234A5 (ko)
JPH06153566A (ja) 三相誘導電動機の速度制御装置
JP3284650B2 (ja) 電動開閉機器制御装置
JPS6439288A (en) Producing method of motor winding selection command
JPH02250601A (ja) 電気車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