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538B1 -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 Google Patents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538B1
KR100370538B1 KR10-2000-0040008A KR20000040008A KR100370538B1 KR 100370538 B1 KR100370538 B1 KR 100370538B1 KR 20000040008 A KR20000040008 A KR 20000040008A KR 100370538 B1 KR100370538 B1 KR 10037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y
keys
key
keypad
area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069A (ko
Inventor
우순옥
Original Assignee
우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순옥 filed Critical 우순옥
Priority to KR10-2000-004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53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된 키 패드와, 키 입력과 같은 휴대전화의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위한 송수화기와, 음성 및 각종 데이터를 상대방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통화를 위한 휴대전화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전화회로부를 포함하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의 "0∼9"의 숫자키가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3행 3열로 역순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키 패드의 "0"과 "1"의 숫자키와 병렬 접속된 "0"과 "1"의 숫자키가 상기 "0∼9"의 숫자키의 상단에 추가로 배열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숫자 키 중 "0" 혹은 "1"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키를 조작하기 위한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손으로도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한번의 조작으로 지역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지역번호키를 구성함으로써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번호를 별도로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주 사용되는 키(key)를 조작하기 위한 이동거리를 줄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한번의 조작으로 지역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소형으로 휴대가 가능하고 공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가 가능한 휴대전화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휴대전화, 즉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언제 어디서라도 착발신이 가능하여 자유로운 통화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전화, 즉 단말기(cellular phone)의 내부에는 무선 전화통화를 위한 통상의 무선 전화회로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0∼9"의 숫자나 각종 기능키들로 이루어진 키 패드(key pad)와 표시부(LCD), 안테나 (antenna), 송수화기 등이 구비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키 패드나 표시부, 안테나, 송수화기 등은 무선 전화회로부에 연결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숫자키를 조작하여 특정 상대방을 호출하여 무선 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나 확인, 종료 등을 위한 기능키를 조작하여 휴대전화를 이용한 통화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 그리고 0"의 숫자키가 위에서 아래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3행 3열로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장 많이 조작되는 "0"과 "1"의 숫자키가 가장 멀리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국이나 지역, 휴대전화 등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우선 "0"의 숫자키를 조작한 후 "1"의 숫자키 등을 조작해야 하므로 손가락의 이동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를 잘못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가 소형화됨에도 불구하고 손 가락의 이동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손의 움직임이 많아져 한 손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기에 불편하다.
또한, 휴대전화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수시로 찾아 자동으로 다이얼링(dialling)할 수 있으나, 이는 전화번호를 저장해야 하는 과정과 해당 전화번호를 찾아야 하는 등의 작업을 요구하므로 휴대전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노인 등)에게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숫자 키 중 "0" 혹은 "1"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키를 조작하기 위한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손으로도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한번의 조작으로 지역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지역번호키를 구성함으로써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번호를 별도로 기억하지 않아도 되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키 패드 2 : 숫자키
3 : "0" 숫자키 4 : "1" 숫자키
5 : 지역번호키 6 : 표시부
7 : 무선 전화회로부 8 : 무선 송수신부
9 : 송수화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같은 각종 데이터(data)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된 키 패드와, 키 입력과 같은 휴대전화의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위한 송수화기와, 음성 및 각종 데이터를 상대방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통화를 위한 휴대전화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전화회로부를 포함하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의 "0∼9"의 숫자키가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3행 3열로 역순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키 패드의 "0"과 "1"의 숫자키와 병렬 접속된 "0"과 "1"의 숫자키가 상기 "0∼9"의 숫자키의 상단에 추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의 "0"과 "1" 숫자키는 "0∼9" 숫자키의 상단 일측에 2행으로 배열되어 한 손으로도 숫자키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특징으로 갖는다.
본 발명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에는 한번으로 조작으로 상대방의 지역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지역번호키가 더 구비되고, 상기 무선 전화회로부는 통화버튼 조작시 지역번호키의 조작으로 선택된 지역번호와 숫자키 조작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를 함께 다이얼링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전화의 상단에는 표시부, 즉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이 구성되어 있으며, 키 패드(1)에는 "0∼9"의 숫자키(2)와 통화, 종료, 확인, 지역 등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5) 그리고 #,* 등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키 패드(1)의 "0∼9"의 숫자키(2)가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3행 3열로 역순에 따라 배열되어 있고, 키 패드(1)의 "0"과 "1"의 숫자키와 병렬 접속된 "0"과 "1"의 숫자키(3)(4)가 "0∼9"의 숫자키(2)의 상단에 추가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키 패드(1)의 "0"과 "1" 숫자키(3)(4)는 "0∼9" 숫자키(2)의 상단 일측에 2행으로 배열되어 휴대전화를 한 손으로 잡고도 각 숫자키를 보다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3을 상기한 키 패드(1) 및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전화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된 키 패드(1)와, 키 입력과 같은 휴대전화의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와,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위한 송수화기(9)와, 안테나를 매개로 음성 및 각종 데이터를 상대방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무선 송수신부(8)와,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한 휴대전화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전화회로부(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키 패드(1)에는 한번으로 조작으로 지역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지역번호키(5)가 구비되어 있고, 무선 전화회로부(7)는 통화버튼 조작시 지역번호키(5)의 조작으로 선택된 지역번호와 숫자키 조작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를 함께 다이얼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전화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통화대기 상태에서 지역번호키(5)를 조작하면, 무선 전화회로부(7)의 제어로 표시부(6)에 지역명과 해당 지역번호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된다. 예를 들어, 지역명과 지역번호로는 서울 02, 경기도 031, 인천 032, 강원도 033, 충남 041, 대전 042, 충북 043, 부산 051, 울산 052, 대구 053, 경북 054, 경남 055, 전남 061, 광주 062, 전북 063, 제주 064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한번의 키 조작으로 상대방의 지역명과 이에 해당하는 지역번호를 선택하고 나서 숫자키(2)를 조작하여 상대방의 나머지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키를 조작하면, 통상의 휴대전화에서와 같이 무선 전화회로부(7)의 제어로 지역번호를 포함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다이얼링되어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한 통화라인이 개설된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지역명과 지역번호를 별도로 기억하지 않고도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짧은 시간 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통화라인이 개설된 상태에서 발신자는 무선 전화회로부(7) 및 무선 송수신부(8)에 의해 처리되어 송수화기(9)로 입출력되는 음성에 의해 상대방과의 전화통화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해외(001,002 등), 지역(02,032,042 등), 휴대전화(011,016,017,108,019 등) 등과 같은 전화번호의 숫자 "0"과 "1" 등을 "0" 숫자키(3)와 "1" 숫자키(4)를 포함하는 숫자키(2)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나서 나머지 전화번호를 "0" 숫자키(3)와 "1" 숫자키(4)를 포함하는 숫자키(2)를 조작하여 입력한 후 통화키를 조작하면, 무선 전화회로부(7)의 제어로 지역번호를 포함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어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한 통화라인이 개설된다. 이때 많이 조작되는 "0" 숫자키(3)와 "1" 숫자키(4)가 숫자키(2)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손가락의 이동거리가 줄임으로써 한 손으로도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와 같이 발신자는 무선 전화회로부(7) 및 무선 송수신부(8)에 의해 처리되어 송수화기(9)로 입출력되는 음성에 의해 상대방과의 전화통화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숫자 키 중 "0" 혹은 "1"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키를 조작하기 위한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손으로도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한번의 조작으로 지역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지역번호키를 구성함으로써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번호를 별도로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하면 전화번호를 구성하는 숫자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숫자에 대응하는 키가 서로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안전된 상태를 짧은 시간 내에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지역번호를 기억하지 않고도 쉽게 찾아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된 키 패드와, 키 입력과 같은 휴대전화의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위한 송수화기와, 음성 및 각종 데이터를 상대방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통화를 위한 휴대전화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전화회로부를 포함하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의 "0∼9"의 숫자키가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3행 3열로 역순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키 패드의 "0"과 "1"의 숫자키와 병렬 접속된 "0"과 "1"의 숫자키가 상기 "0∼9"의 숫자키의 상단에 2열 또는 2행을 추가 배열되며;
    상기 키 패드에는 한번의 조작으로 지역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지역 번호키가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2. 삭제
  3. 삭제
KR10-2000-0040008A 2000-07-12 2000-07-12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KR10037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08A KR100370538B1 (ko) 2000-07-12 2000-07-12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08A KR100370538B1 (ko) 2000-07-12 2000-07-12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069A KR20000059069A (ko) 2000-10-05
KR100370538B1 true KR100370538B1 (ko) 2003-01-30

Family

ID=1967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008A KR100370538B1 (ko) 2000-07-12 2000-07-12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26A (ko) * 2001-11-13 2003-05-2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복수지역번호 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휴대전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245U (ja) * 1992-11-02 1994-05-31 京セラ株式会社 電話機
KR980007084A (ko) * 1996-06-12 1998-03-30 구자홍 단순키를 가진 휴대통신 단말기
KR19990009711U (ko) * 1997-08-25 1999-03-15 이광수 버튼식 전화기의 번호판
JP3075096U (ja) * 2000-07-24 2001-02-09 株式会社 ティーケイオー 携帯無線電話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245U (ja) * 1992-11-02 1994-05-31 京セラ株式会社 電話機
KR980007084A (ko) * 1996-06-12 1998-03-30 구자홍 단순키를 가진 휴대통신 단말기
KR100198051B1 (ko) * 1996-06-12 1999-06-15 구자홍 단순키를 가진 휴대통신 단말기
KR19990009711U (ko) * 1997-08-25 1999-03-15 이광수 버튼식 전화기의 번호판
JP3075096U (ja) * 2000-07-24 2001-02-09 株式会社 ティーケイオー 携帯無線電話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069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50591A (ja) 携帯通信装置
US7171236B2 (en) Call service method for a cellular phone
KR100334796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370538B1 (ko)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KR100288362B1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KR10026785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라스트호관리목록관리방법
KR1004640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KR20030045893A (ko)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EP0951160A2 (en)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a wireless telephone with no dial pad
KR100387065B1 (ko) 전화기의 발신 호 처리 및 디지트 코드 송출방법
KR1004211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목록 편집방법
KR1006724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등록방법
JPS60194859A (ja) 電話機
KR10061785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19990056221A (ko) 통신단말기에서 키의 위치를 변경한 키패드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JP3076458U (ja) 電話機の番号キーの改良について
KR20010060146A (ko) 표시부를 구비한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364850Y1 (ko)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JP2008234454A (ja) 携帯機器の文字入力装置
KR2006005660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발신 방법
JP2002199463A (ja) 移動体通信装置及び発呼方法
JP2000244623A (ja) 携帯電話
KR20060073561A (ko) 통신단말기의 숫자 및 문자 입력 장치와 그 방법
KR20060011630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