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850Y1 -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850Y1
KR200364850Y1 KR20-2004-0022061U KR20040022061U KR200364850Y1 KR 200364850 Y1 KR200364850 Y1 KR 200364850Y1 KR 20040022061 U KR20040022061 U KR 20040022061U KR 200364850 Y1 KR200364850 Y1 KR 200364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key
keys
mobile phone
ke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대식
Original Assignee
소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대식 filed Critical 소대식
Priority to KR20-2004-0022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8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 키 패드의 배열 구조와 관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키를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와 관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입력 키 패드부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다수 개 행들의 각각이 키 패드 몸체에 대하여 일정한 각 또는 경사를 이루고, 상기 각 또는 경사는 휴대폰의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게 키를 통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또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A Array Structure of a Key pad in Cellular Phone and A Cellular Phone with the Same}
본 고안은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와 관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키를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폰의 키 패드와 관련된다.
휴대폰은 일반적으로 플립형과 폴더형이 있으며, 상기 플립형은 키 패드와 액정표시부가 본체의 동일한 면에 형성되어 있고 폴더형은 상하 두 개의 본체로 분리되어 안쪽에 키 패드와 액정 표시부가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핸드폰은 음성 통신을 위하여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문자, 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이로 인하여 휴대폰의 키 패드는 단순히 수신자의 번호를 입력하는 기능보다 다른 기능들이 더 중요하게 되었다. 즉, 문자 데이터의 송신, 인터넷 접속 또는 게임 등은 키 패드에 배치된 키 패드에 배치된 키들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서 이러한 기능이 보다 편리하게 구현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한 손만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한 손만으로 사용하면서도 위와 같은 기능들을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는 키 패드의 키 배열 구조가 필요하며, 종래의 수신자 번호 위주의 키 패드의 구조는 이러한 기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고안으로서는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2-0011702 "키 누름이 편리한 셀룰라 폰 구조"가 있다.
상기 고안은 메인 기능 버튼부와 문자 버튼부를 포함하는 키패드부와 액정 표시부의 위치를 서로 바꾼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패드부를 본체 상면 상측에 위치시키고 그리고 본체의 상면 하체에 액정 표시부를 위치시켜 본체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키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제안된 고안은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3-0017452 "핸드폰 키보드의숫자 키보드 위치의 재배열"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고안은 키 패드 위의 자판의 배열을 바꾸어 사용의 편리를 도모한 것으로서 *, 0, #의 키들을 숫자 키보드 1,2,3 배열 행의 상위 행으로 올려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고안들은 키 패드 전체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또는 키 패드 위의 특정 키들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서 사용상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들은 여전히 사용자의 손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사용자 손의 구조를 고려하여 키 패드 위의 키의 배열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서 위와 같은 종래의 키 패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손의 구조를 고려한 휴대폰의 키 패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사용자의 손바닥 안에서 완전히 잡히게 됨으로서 손바닥과 휴대폰이 접하는 면으로부터 멀리 있는 키들은 누르기 쉬운 반면 가까이 있는 키들은 누르기가 힘들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은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보다는 경사진 형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용자 손 구조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사진 형태로 키 패드의 키들을 배열시킴으로서 사용자의 편리를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휴대폰을 사용하는 손에 따른 휴대폰의 키 패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한 손으로 사용되며 이 경우 왼손 또는 오른손을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왼손 또는 오른손에 따라 각각 그에 적합한 키 배열 구조를 가진 휴대폰 키 패드 구조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키 패드 배열 구조는 입력 키 패드부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다수 개 행들의 각각이 키 패드 몸체에 대하여 일정한 각 또는 경사를 이루고, 상기 각 또는 경사는 휴대폰의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키 패드 구조는 추가로 카메라 폰의 카메라 렌즈의 장착, 지문 인식 장치 또는 거울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주변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른손 사용자를 위한 휴대용 전화기 키 패드의 배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왼손 사용자를 위한 휴대용 전화기 키 패드의 배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른손 사용자를 위한 휴대용 전화기 키 패드의 또 다른 배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왼손 사용자를 위한 휴대용 전화기 키 패드의 또 다른 배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종래 고안에 따른 키 패드의 배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실시 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제시된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서 공지된 것이나 자명한 사항들은 간략하게 설명되지만 이러한 것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키 패드 배열 구조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키 패드(1)는 크게 메인 키 패드부(10), 입력 키 패드부(12) 및 주변 장치부(13)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키 패드(1)는 입력 키 패드부(12)이 키들이 기울어진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한 손으로 키 패드(1)의 키를 누르는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을 사용한다. 그리고 공지된 키 패드의 경우 엄지손가락이 시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키를 누르는 경우에는 휴대폰이 불안정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엄지손가락이 시작되는 부분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 키들을 배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엄지손가락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는 자주 사용되는 키들을 배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키 배열에서도 현재 휴대폰의 기능을 고려할 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인터넷에 접속한다든가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키들을 조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자주 사용되는 키와 자주 사용되지 않는 키의 구분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른 키 패드(1)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키들을 사선으로 배열한다.
도 1에서는 메인 키 패드부(10)가 휴대폰의 아래쪽 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키 패드부(10)를 입력 키 패드부(12)와 마찬가지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전원 키(13)는 실제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키이므로 엄지손가락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다. 이 경우 도 1의 입력 키 패드부(12)에는 종료키가 배치되어 있지만 전원 키(13)가 도 1에 제시된 위치에 배열되는 경우에는 종료키는 다른 자주 사용되는 키, 또는 다른 기능을 하는 키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키 패드부(12)에 배치되는 키의 배치는 키의행이 시작되는 부분(즉 "1", "4" 키에 해당하는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와 키의 행이 끝나는 부분("통"키, "취"키에 해당하는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에서 실시 예로서 제시된 것처럼 상기 시작되는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는 끝나는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더 크게 되는 것이 유리한다. 상기와 같은 사항은 아래에서 도 2, 3, 4와 관련하여 제시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만약 메인 키 패드부(10)가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오른쪽 상단에 빈 공간에 생길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전원 키(13)는 상기 빈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기능 키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것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 2, 3, 및 도 4에 제시된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주변 장치부( 11)는 카메라 폰의 경우 카메라, 지문 인식 장치 또는 거울 등과 같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만약 휴대폰의 옆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휴대폰의 부피가 두꺼워지는 경우 상부 덮개 부분(도시되지 않음)과 키 패드(1)가 설치되는 몸체가 적합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주변 장치는 실제로 키 패드(1)의 키들을 입력하는 것과 다른 기능을 하므로 엄지손가락으로 가장 사용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키 패드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형태가 오른손 사용자를 위한 것이라면 도 2에 도시된 형태는왼손 사용자를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키 패드(2)는 메인 키 패드부(20), 입력 키 패드부(22) 및 주변 장치부(21)를 포함한다. 각각의 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대칭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마찬가지로 전원키(23)가 도 1의 전원키(13)와 대칭인 위치에 설치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메인 키 패드부(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입력 키 패드부(22)와 마찬가지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입력 키 패드부(22)의 키 배열이 경사도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지만 휴대폰 몸체의 아래쪽 수평을 기준으로 약 15도 내지 50도, 바람직하게는 약 30도가 된다. 상기와 같은 경사도는 도 1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경사도는 제작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각은 만약 위의 도 1와 관련된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키의 행이 시작되는 부분과 키의 행이 끝나는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키의 행의 시작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중간 지점과 키의 행의 끝나는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중간 지점을 연결한 직선과 휴대폰의 아래쪽 수평선이 이루는 각이 약15도 내지 50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키 패드 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시된 것처럼, 키 패드(3)는 메인 키 패드부(30), 입력 키 패드부(32) 및 주변 장치부(31)를 포함하는 것은 도 1 또는 도 2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키 패드(32) 위의 키들은 4개의 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키(33)는 아래쪽 두 행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키패부 위의 키들을 3행으로 배치하느냐 아니면 도 3 또는 도 4(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에서처럼 4행으로 설치하느냐는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의 문제이다. 다만 4행으로 배치하는 경우 만약 휴대폰에 다른 기능이 부가되고 그에 따른 또 다른 기능을 가진 키를 추가시키는 경우에는 유리하다. 입력 키 패드(32)의 키들이 배열 경사도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또한 주변 장치부(31)에 대해서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키 패드 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시된 것처럼, 키 패드(4)는 메인 키 패드부(40), 입력 키 패드부(42) 및 주변 장치부(41)를 포함하고, 또한 전원키(43)을 포함한다. 도 3의 실시 형태가 오른 손을 사용하는 경우 오른쪽 엄지손가락으로 입력하기 위한 것이라면 도 4의 실시 형태는 왼손 사용을 위한 것에 해당한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입력부 또는 입력 키 패드 위의 키들의 배치는 공지된 키 패드의 키 배치와 동일한 형태로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 형태에서 메인 키 패드부에는 메뉴 키, 확인 키, 취소 키, 통화 키 등이 시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입력 키 패드부에는 제 1 행의 키들의 좌측부터 1, 2, 3, … … 0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키들은 사용 빈도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 빈도가 높은 키들은 키를 입력하는 엄지손가락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시키고, 또한 메뉴 키 등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키들의배치에 대한 변형은 모두 본 고안에 따른 키 패드 구조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패드 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키 패드 구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게 키를 통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또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다른 기능을 가진 키들을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왼손 또는 오른손 어느 하나의 손을 사용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제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발명에 의하여 본 고안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7)

  1. 메인 키 패드부, 입력 키 패드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키 패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 패드부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다수 개 행들의 각각이 키 패드 몸체에 대하여 일정한 각 또는 경사를 이루고, 상기 각 또는 경사는 휴대폰의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패드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키의 행이 시작되는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는 키의 행이 끝나는 부분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폭보다 더 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패드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 구조는 추가로 카메라 폰의 카메라 렌즈의 장착, 지문 인식 장치 또는 거울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주변 장치부를 포함하는 키 패드의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행은 3 또는 4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패드의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각 또는 경사는 15 내지 50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패드의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키는 키를 입력하는 손가락에 의하여 가장 입력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키 패드의 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하나의 키 패드 구조를 포함하는 휴대폰.
KR20-2004-0022061U 2004-08-02 2004-08-02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KR200364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061U KR200364850Y1 (ko) 2004-08-02 2004-08-02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061U KR200364850Y1 (ko) 2004-08-02 2004-08-02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850Y1 true KR200364850Y1 (ko) 2004-10-15

Family

ID=4935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061U KR200364850Y1 (ko) 2004-08-02 2004-08-02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8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8845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7656662B2 (en) Dual sli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00298B2 (en) Keypad housing configuration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US8253691B2 (en) Split keyboard
EP1635541B1 (en) Data input key for a portable apparatus and key array thereof
US6683599B2 (en) Keypads style input device for electrical device
JP2002196860A (ja) 移動通信端末機に使用される円錐形ヒンジ手段を備える携帯可能の折り畳み型データ入力装置
JP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KR200364850Y1 (ko)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US830120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rgonomic feature
US6785386B1 (en) Radio handset
JP3607649B2 (ja) 携帯型端末機器
KR10053186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보드장치
KR100370538B1 (ko)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KR200248311Y1 (ko)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KR200439637Y1 (ko)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WO2004068329A1 (en) Telephone keypad
CA2498028C (en) Keyboard arrangement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063938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2열 키패드
CA2504380C (en) Split keyboard
CA2603788C (en) Outwardly decreasing height keys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eyboard
KR20030064248A (ko) 키보드 방식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전화 단말기
JP2004112431A (ja) 携帯電話
KR20060057200A (ko) 휴대폰 영문자 입력방법
JP2002215291A (ja) 携帯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