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637Y1 -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637Y1
KR200439637Y1 KR2020070007500U KR20070007500U KR200439637Y1 KR 200439637 Y1 KR200439637 Y1 KR 200439637Y1 KR 2020070007500 U KR2020070007500 U KR 2020070007500U KR 20070007500 U KR20070007500 U KR 20070007500U KR 200439637 Y1 KR200439637 Y1 KR 200439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keypad
terminal
pane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태
홍성준
조미란
이경목
이성수
최종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70007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6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하측에 위치되고 숫자/문자버튼으로 이루어진 제 1키패드가 설치된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키패드와, 상기 하부 본체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거치대로 구성되어, 한쪽 손에 물건을 파지하였을 경우에도 문자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엄지손가락 외의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문자통신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키패드

Description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s having detachable keypa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기 본체 12: 상부 본체
12a: 디스플레이부 12b: 보조 키패드
14: 하부 본체 14a: 제 1키패드
16: (암)접촉단자 20: 제 2키패드
22: (수)접촉단자 30: 거치대
32: 제 1패널 34: 제 2패널
36: 제 1측면패널 36a: 삽입돌기
38: 제 2측면패널 38a: 삽입홀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쪽 손에 물건을 파지하더라도 나머지 다른 손만으로도 문자통신을 할 수 있는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바 타입, 폴더 타입, 플립 타입 및 슬라이딩 타입 등 여러 종류로 구성된다.
상기한 여러 종류의 휴대폰은 각각의 종류 여하를 불문하고 어느 휴대폰이라도 전화를 걸기 위한 다이얼 기능과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부가적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키패드를 갖게 된다.
이전에는 키패드의 수단이 상대방과 음성통신을 하기 위하여 전화번호를 누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등 그 사용에 있어서 제한적이었으나, 최근에는 특히 10대 청소년들과 20대 젊은이들 사이에서 음성통화보다도 문자통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조금이라도 문자통신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각 휴대폰 제조사마다 키패드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개선하는 등 변화하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대부분 소프트웨어적인 노력에 국한되어 있고 하드웨어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별다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모든 휴대폰은 문자통신을 하기 위한 키패드가 휴대폰 본체의 전면 하측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모습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엄지족’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양 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사용하여 문자통신을 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 ‘반복 사용 긴장성 손상증후군’이라는 신종 질병도 발생되었다.
또한, 이렇게 엄지손가락만으로 문자통신을 하다 보니, 문자입력 속도가 늦어져서 문자통신 속도가 저하되고, 한쪽 손에 물건을 파지하였을 경우에는 문자통신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면에 독자적으로 문자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키패드를 부착하여 한 손만으로도 문자통신을 할 수 있는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 손만으로 문자통신을 하더라도 양 엄지손가락으로 문자통신을 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문자통신을 할 수 있는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 는 휴대용 단말기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하측에 위치되고 숫자/문자버튼으로 이루어진 제 1키패드가 설치된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키패드와, 상기 하부 본체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거치대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설명은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으로 설명함을 미리 밝힌다. 앞서 상기한 대로 휴대폰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본 고안에 의한 착탈가능한 키패드는 어느 종류의 휴대폰에도 적용될 수 있고, 휴대폰의 종류를 바꿔서 본 고안을 채택하는 것은 당업자가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충분히 전용가능한 부분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2a) 및 제 1키패드(14a)가 형성된 단말기 본체(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키패드(2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거치대(30)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2a)가 형성된 상부 본체(12)와, 상기 상부 본체(12)의 저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본체(12)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하부 본체(14)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본체(12)는 디스플레이부(12a)의 하측에 통화버튼, 종료버튼 및 메뉴버튼 등으로 이루어진 보조 키패드(12b)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본체(14)는 하측에 숫자버튼 및 문자버튼 등으로 이루어진 제 1키패드(14a)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본체(12)를 상향 슬라이딩 시켰을 때 상기 보조 키패드(12b)의 하측으로 상기 제 1키패드(14a)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본체(12) 또는 하부 본체(14)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접촉단자(16)가 형성되어 후술할 제 2키패드(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 2키패드(20)는 저면에 접촉단자(22)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본체(12) 또는 하부 본체(14)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접촉단자(16)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키패드(20)에 형성되는 접촉단자(22)는 암/수접촉단자 중에서 수접촉단자로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 본체(12) 또는 하부 본체(14)에 형성되는 접촉단자(16)는 암접촉단자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휴대폰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타인에게 전화를 하고자 할 때나 또는 타인으로부터 전화가 올 때, 또는 문자통신을 하고자 할 때 주머니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꺼내야 하는데, 만일 상부 본체(12) 또는 하부 본체(14)에 수접촉단자를 형성시킨다면 휴대용 단말기를 주머니에서 꺼낼 때 상기 수접촉단자가 주머니를 구성하는 섬유 등에 걸림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것이고 또한 그러한 이유로 휴대용 단말기를 꺼낼 때 사용자가 조심해서 꺼내야만 하는 불편함이 야기된다.
따라서, 상기한 이유로 상기 제 2키패드(20)에는 수접촉단자(22)가 형성되어, 상기 수접촉단자(22)가 상기 상부 본체(12) 또는 하부 본체(14)에 형성된 암접촉단자(16)에 끼움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2키패드(20)의 상면에는 숫자버튼 및 문자버튼 등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 2키패드(20)만으로 문자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거치대(30)는 상기 하부 본체(14)의 후면과 접촉되는 제 1패널(32)과, 상기 제 1패널(32)에 일측 모서리가 연결되어 상기 제 1패널(32)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제 2키패드(20)로 문자통신을 할 때 사용자의 손바닥면과 접촉하는 제 2패널(3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패널(32)의 양측면에는 하측 방향, 즉 사용자의 손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측면패널(36)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측면패널(36)에는 소정높이로 구성되는 삽입돌기(36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패널(34)의 양측면에는 상측 방향, 즉 상기 하부 본체(14)의 후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측면패널(38)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측면패널(38)에는 상기 삽입돌기(36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반경을 갖는 삽입홀(38a)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삽입홀(38a)의 형성위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도록 약간의 원호를 그리면서 복수개가 배치된다. 그 이유는 상기 제 1패널(32)이 상기 제 2패널(34)과 연결된 일측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되었을 때, 회동각도에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36a)가 각각의 삽입홀(38a)에 순차적으로 끼움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1패널(32)이 상기 제 2패널(34)의 일측모서리를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되어 원하는 각도가 되었을 때, 제 1패널(3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과정은 상기 단말기 본체(10)를 사용자의 손바닥면에서 소정각도로 회동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 귀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독자적으로 문자통신을 할 수 있는 제 2키패드가 형성되어, 한 손에 물건을 파지한 경우에도 문자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엄지손가락만을 사용하던 문자통신 방법과는 달리 나머지 네 손가락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문자를 더 빨리 입력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문자통신의 속도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키패드를 단말기 본체의 양측면 중 어느 쪽 측면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구분없이 한 손만으로 문자통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 본체의 하측에 소정각도로 회동되는 거치대가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한손으로 문자통신을 하기에 가장 편한 각도로 단말기 본체를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하측에 위치되고 숫자/문자버튼으로 이루어진 제 1키패드가 설치된 하부 본체로 구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키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의 측면에는 암접촉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키패드에는 수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수접촉단자가 암접촉단자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후면측에는 거치대가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하부 본체의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접촉되는 제 1패널과, 상기 제 1패널과 일측이 연결되는 제 2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제 1패널의 양측면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패널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홀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20070007500U 2007-05-07 2007-05-07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39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500U KR200439637Y1 (ko) 2007-05-07 2007-05-07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500U KR200439637Y1 (ko) 2007-05-07 2007-05-07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637Y1 true KR200439637Y1 (ko) 2008-04-24

Family

ID=4134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500U KR200439637Y1 (ko) 2007-05-07 2007-05-07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6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607B1 (ko) 양쪽 키패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50185788A1 (en) Keypad adapted for use in dual orientations
US7113111B2 (en) Keyboard arrangement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201392758Y (zh) 手持无线通信设备
EP1635541B1 (en) Data input key for a portable apparatus and key array thereof
US2005009143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30073414A1 (en) Textual and telephony dual input device
WO200507192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127924A (ko) 키보드 배열
US8760406B2 (en) Edge to edge qwerty keypad for a handheld device
US8489157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extended dual-hinged interconnector
JP2005286714A (ja) 携帯電話機
KR200439637Y1 (ko)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WO2002008876A2 (en) Folding cellular telephone and digital assistant with improved keyboard
EP1047247A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05114966A1 (en)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6785386B1 (en) Radio handset
CA2498028C (en) Keyboard arrangement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0364850Y1 (ko)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WO2004068329A1 (en) Telephone keypad
KR20040015475A (ko) 폰기능과 휴대기기(pda)기능을 겸비한 정보 음성휴대 단말기 구조
KR200346381Y1 (ko) 휴대폰의 키버튼 배치 구조
KR200295392Y1 (ko) 폰기능과 휴대기기(pda)기능을 겸비한 정보 음성휴대 단말기 구조
KR20050028638A (ko) 이중 메뉴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KR200248311Y1 (ko)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