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311Y1 -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 Google Patents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311Y1
KR200248311Y1 KR2020010019337U KR20010019337U KR200248311Y1 KR 200248311 Y1 KR200248311 Y1 KR 200248311Y1 KR 2020010019337 U KR2020010019337 U KR 2020010019337U KR 20010019337 U KR20010019337 U KR 20010019337U KR 200248311 Y1 KR200248311 Y1 KR 200248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telephone
arrangement
pres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돌
Original Assignee
김선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돌 filed Critical 김선돌
Priority to KR2020010019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31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선 전화기의 본체 상단부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배열과 PCS폰이나 셀룰러폰과 같은 무선 전화기의 전면부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배열을 개인용 컴퓨터(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키보드(Keyboard)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숫자판의 배열과 같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PC를 많이 사용하는 이용자에게는 같은 형태의 번호판을 사용할 수 있어 최대한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화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에게도 손가락의 동선을 최소화하도록 번호버튼을 사용하게 함으로 인해 전화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체적인 전화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NUMBER BUTTON FOR TELEPHONE}
본 고안은 유무선 전화기에 형성되어 있는 번호버튼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누룰 수 있도록 번호버튼의 배열을 변형시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유선 전화기의 본체 상단부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배열과 PCS폰이나 셀룰러폰과 같은 무선 전화기의 전면부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배열을 개인용 컴퓨터(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키보드(Keyboard)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숫자판의 배열과 같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PC를 많이 사용하는 이용자에게는 같은 형태의 번호판을 사용할 수 있어 최대한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전화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에게도 손가락의 동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번호버튼을 사용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전화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전화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전화기는 현재 사회에서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필요한 기기중에 하나로, 가장 널리 보급된 전자기기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에 형성된 번호버튼(101)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첫번째 줄에는 숫자(1,2,3)가 위치하고, 두번째줄에는 숫자(4,5,6)가 위치하며, 세번째 줄에는 숫자(7,8,9)가 위치하고, 네번째 줄에는 특수문자(*,#)와 숫자(0)이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개인용 컴퓨터(PC)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장치중에 하나인 키보드의 우측단에 형성된 숫자키와 배열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상기 PC를 많이 사용하여 익숙해져 있는 젊은 세대(일명; N세대)에게는 상기 전화기의 전화번튼을 이용할 경우 종종 상기 PC의 숫자키로 착각하여 상기 전화기를 통한 전화번호의 숫자를 잘 못 누르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전화기에 형성된 번호버튼은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더라도 손가락의 동선이 최소화하게 이루지 못하여 편리하게 이용하고자 하는데 있어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것이다.
즉, 무선 전화기중에 하나인 일명 핸드폰의 경우 국내 통신업체에 부여되는 번호가 011, 016, 018 및 019와 같이 앞의 숫자가 통상 '01'로 시작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상기의 부여된 번호로 전화를 걸기 위해 사용자 종래의 전화기의 번호버튼을 누룰 경우 상기 번호버튼의 '0'은 네번째 줄에 위치하고 있고, '1'은 첫번째 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동선이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로 인해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유무선 전화기는 일반 사용자나 젊은 세대에게 번호버튼에 대한 편의성이 최소화됨으로 인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효율성이 저하되어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소화되는 문제들이 항상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유선 전화기의 본체 상단부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배열과 PCS폰이나 셀룰러폰과 같은 무선 전화기의 전면부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배열을 개인용 컴퓨터(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키보드(Keyboard)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숫자판의 배열과 같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PC를 많이 사용하는 이용자에게는 같은 형태의 번호판을 사용할 수 있어 최대한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에게도 손가락의 동선을 최소화하도록 번호버튼을 사용하게 함으로 인해 전화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체적인 전화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전화기의 번호버튼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통상의 전화기에 번호버튼의 배열을 실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번호버튼을 유선 전화기에 적용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번호버튼을 무선 전화기에 적용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종래의 전화기
101, 201 : 번호버튼
200 : 본 고안의 유선 전화기
301 : 본 고안의 무선 전화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통상의 전화기에 번호버튼의 배열을 실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사용자가 유선 및 무선 전화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유무선 전화기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번호버튼(201)의 배열구조는 통상적으로 횡(橫)으로네줄, 종(縱)으로 세줄로 이루어지되, 상기 횡(橫)의 첫번째 줄에는 숫자를 7,8,9 순으로 배열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횡(橫)의 세번째 줄에는 숫자를 1,2,3 순으로 배열하도록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로 적용된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번호버튼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전화기(200)와 무선 전화기(300)의 번호버튼(201)의 배열구조는 통상적으로 횡(橫)으로 네줄, 종(縱)으로 세줄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횡(橫)의 첫번째 줄에는 숫자를 7,8,9 순으로 배열시키고, 상기 횡(橫)의 두번째 줄에는 숫자를 4,5,6 순으로 배열시키며, 상기 횡(橫)의 세번째 줄에는 숫자를 1,2,3 순으로 배열시키게 되고, 상기 횡(橫)의 네번째 줄에는 특수문자 '*', 숫자 '0', 특수문자 '#' 순으로 배열시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번호버튼(201)의 배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의 무선(핸드폰)번호 (예를 들어, '01X-XXX-XXXX')를 누룰 경우 종래에는 숫자 '0'과 숫자 '1'이 상단과 하단에 위치되어 있었으나, 본 고안에 의한 경우에는 숫자 '0'의 바로 위줄에 배치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나 개인용 컴퓨터(PC)를 많이 사용하는 젊은 세대에게 전화번호의 입력에 대한 오동작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손가락의 동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번호버튼(101)의 배열구조를 이용하여 전화를 할 경우 한사람이 한달에 평균 3회정도의 오동작을 한다고 가정하면, 10,000,000명 X 1달 X 3회 X 50원 = 1,500,000,000원에 해당되고, 1년이면 18,000,000,000원이 낭비됨을 예상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번호버튼(201)의 배열구조를 이용하여 전화를 할 경우에는 상기 비용을 절약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번호버튼(201)의 배열에 있어 회로적인 접점은 간단히 숫자 '1'로 가는 회로선을 숫자 '7'로 가도록 하고, 같은 방법으로 '2'는 '8'로, '3'은 '9'로, '7'은 '1'로, '8'은 '2'로, '9'는 '3'로 가도록 하면 간단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선 전화기의 본체 상단부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배열과 PCS폰이나 셀룰러폰과 같은 무선 전화기의 전면부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배열을 개인용 컴퓨터(PC)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키보드(Keyboard)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숫자판의 배열과 같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PC를 많이 사용하는 이용자에게는 같은 형태의 번호판을 사용할 수 있어 최대한의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와, 상기 전화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에게도 손가락의 동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번호버튼이 사용되는 효과로 인해 전화기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전체적인 전화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사용자가 유선 및 무선 전화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유무선 전화기에 형성된 번호버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번호버튼(201)의 배열구조는 통상적으로 횡(橫)으로 네줄, 종(縱)으로 세줄로 이루어지되, 상기 횡(橫)의 첫번째 줄에는 숫자를 7,8,9 순으로 배열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횡(橫)의 세번째 줄에는 숫자를 1,2,3 순으로 배열하도록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KR2020010019337U 2001-06-27 2001-06-27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KR200248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37U KR200248311Y1 (ko) 2001-06-27 2001-06-27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37U KR200248311Y1 (ko) 2001-06-27 2001-06-27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311Y1 true KR200248311Y1 (ko) 2001-10-17

Family

ID=7310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337U KR200248311Y1 (ko) 2001-06-27 2001-06-27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3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619B1 (ko) 핸드헬드 모바일 통신 장치
EP1635541B1 (en) Data input key for a portable apparatus and key array thereof
JP2009259262A (ja) キーボード配置
US8565419B2 (en) Keyboard arrange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orporating same
WO2000065419A3 (en) Cluster key arrangement
US20100304704A1 (en) Wireless Phone with Lanyard Antenna
JP2007141249A (ja) キーボード配置
JP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KR200248311Y1 (ko) 유무선 전화기용 번호버튼의 배열구조
US6785386B1 (en) Radio handset
CN201035513Y (zh) 移动终端键盘
KR10063938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2열 키패드
US20050245293A1 (en) Computer keyboard having hybrid computer/telephone keypad
CN201188643Y (zh) 一种具有快捷按键的手机装置
KR200370837Y1 (ko) *플러스 1 폰
KR200286736Y1 (ko)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전화기 및 휴대폰의 번호판
KR200364850Y1 (ko) 휴대폰 키 패드의 배열 구조 및 상기 구조를 가진 휴대폰
KR200289952Y1 (ko) 전화기 및 휴대폰 사용자를 위한 컴퓨터 자판의 번호판
KR100370538B1 (ko)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 키를 구비한 휴대전화
KR200239635Y1 (ko) 전화기의버튼배열구조
KR200327353Y1 (ko) 두줄로 번호단추를 장착한 핸드폰 번호자판
JP2007122742A (ja) キーボード配置
KR200410718Y1 (ko) 화면상의 번호자판이나 문자자판을 이용해 전화를 걸거나문자를 보내는 몸체에 번호자판이 없는 핸드폰
KR20080033708A (ko) 슬라이드 방식의 터치패드를 적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KR200439637Y1 (ko) 키패드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