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630A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630A
KR20060011630A KR1020040060556A KR20040060556A KR20060011630A KR 20060011630 A KR20060011630 A KR 20060011630A KR 1020040060556 A KR1020040060556 A KR 1020040060556A KR 20040060556 A KR20040060556 A KR 20040060556A KR 20060011630 A KR20060011630 A KR 20060011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mode
search mode
key
phone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해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1630A/ko
Publication of KR2006001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에 있어서, 폰북검색모드에서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검색어가 문자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가 문자이면, 제1검색 모드에서 제2검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가 문자가 아니면, 상기 제1검색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검색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입력되는 키조작에 의해 자동 및/또는 반자동으로 문자 또는 숫자검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폰북, 문자검색모드, 숫자검색모드, 자동검색, 통합찾기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METHOD FOR SEARCHING PHONE BOOK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음이 없는 '0'번 키버튼을 갖는 단말기의 폰북 검색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검색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문자 또는 숫자 검색 모드로 자동 또는/및 반자동으로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통합 검색을 구현한 폰북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제조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들은 사용자가 검색시 필요한 이름과 해당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하고 이를 이후 필요에 의해 검색하여 검색된 해당 전화번호로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 '폰북'이라 칭하여지는 기능을 내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폰북 기능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 및 이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휴대폰의 메모리에 저장시켜 놓았다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된 이름 또는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능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한 부가기능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폰북 검색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폰푹 모드에서 검색 모드(예를 들면, '전화번호찾기')로 진입하고, 이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찾기 모드, 예를 들면, 1. 이름으로 찾기(문자검색모드), 2. 번호로 찾기(숫자검색모드)......등의 의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모드로 진입하여 검색어를 입력하고 설정키를 눌러 검색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찾기 모드로 진입한 후, 다시 한번 문자검색모드 또는 숫자검색모드로 진입한 후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전화번호 검색을 위한 복잡한 단계를 거치도록 하여 단말기 사용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드 전환 없이 입력되는 검색어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 모드로 자동 변환되도록 하여 전화번호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 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하는 검색어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모드 전환이 수행되도록 하여 검색의 편의성을 도모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자 및 숫자에 따른 모드 진입 단계를 배제하여 입력되는 검색어에 따른 자동 검색 모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에 있어서, 폰북검색모드에서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검색어가 문자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가 문자이면, 제1검색 모드에서 제2검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가 문자가 아니면, 상기 제1검색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우선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 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폰북 기능을 열람하여 특정 상대방의 통화내역의 전반에 걸친 정보를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라 폰북검색 모드 진입시 사용자에 의해 처음으로 입력되는 키버튼 조작을 감지하여 자동 및/또는 반자동으로 문자 또는 숫자 검색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메모리(10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무선전화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단축 다이얼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key pad)(102)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 버튼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키 입력부의 0~9의 숫자키는 단말기의 사용 모드에 따라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키버튼에 적어도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이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표시부(103)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 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03)는 엘씨디 모듈(LCD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씨디 모듈은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04)과, 상기 코덱(104)에 접속된 마이크 장치 및 스피커 장치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04)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105)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모뎀부(106)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부(106)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모뎀부(106)는 상기 RF모듈(105)과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음이 없는 '0'번 키버튼을 갖는 단말기의 폰북 검색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사용자의 최초 입력 키버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검색 모드 전환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미도시 되었으나,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될 반자동 검색 모드 역시 통합 검색모드로 진입하여 특정 키버튼 조작에 의한 간편한 모드 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동작하는 통합 폰북 검색 모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폰북 진입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검사하는 20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폰북 집입 버튼의 입력이 검지될 시, 203단계에서 하위메뉴항목들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1. 전화번호찾기
2. 최근수신번호
3. 최근발신번호...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후, 1번의 찾기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검사하는 205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만일 205단계에서 다른 항목이 선택되면 207단계로 진입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1번의 찾기 항목이 선택되었을시, 찾기 항목에 따른 하위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209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09단계는 예를 들면, 단말기 표시부상에,
1. 단축번호찾기
2. 통합찾기
3. 그룹으로찾기...등의 하위 메뉴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그후, 제어부는 2번의 통합찾기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검사하는 21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통합찾기 항목은 종래의 항목으로 분리되었던 '이름으로 찾기'와 '번호로찾기' 항 목을 통합한 항목으로써 문자와 숫자를 동시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일 통합찾기 항목이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213단계로 진입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211단계에서 통합찾기 항목이 선택되었을 시, 제어부는 단말기 표시부에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215단계를 수행한다.
그후, 217단계에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이 감지되는지 검사하며, 키조작이 감지되면, 키버튼들 중 '0'번키가 입력되었는지 검사하는 219단계를 수행한다. 이는 전화번호로 검색하기 위한 모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단계로써 국내 전화번호는 모두 '0'번으로 시작되기 때문에(예를 들면, 011-496-8733, 02-3453-3692, 031-851-8722.....) '0'번키가 최초로 입력되면 제어부는 221단계에서 번호검색모드로 전환된다.
만일 219단계에서 '0'번키가 아닌 다른 키 조작이 감지되면 입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231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단말기가 통합검색모드로 진입되었을 때, 최초 검색 모드가 문자검색모드로 세팅된 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그후, 233단계에서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이 끝나고 확인키가 입력되었는지 검사하고, 확인키가 입력되었으면, 235단계에서 이름으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폰북 리스트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237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219단계에서 '0번'키가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어부가 221단계의 번호검색모드로 자동으로 전환시켜준다. 그후, 상기 최초 조작되었던 '0'번을 포함한 전화번호를 단말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223단계를 수행한다. 그후, 225단계에서 번호 입력에 따른 확인키의 입력이 확인되면 전 화번호로 폰북을 검색하는 227단계를 수행하고, 그후, 229단계에서 표시부에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검색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초 '0'번키의 입력에 따른 번호검색모드의 자동전환에 적용되는 단말기의 키패드 배열을 하기와 같을 수 있다.
1 ㄱ 2 ㄴ 3 ㅏㅓ
4 ㄹ 5 ㅁ 6 ㅗㅜ
7 ㅅ 8 ㅇ 9 ㅣ
* 0 ㅡ #
즉, '0'번이 배열된 키패드에는 자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우리나라 문자특성에 의해 사용자가 최초로 입력하는 검색어가 자음이 없는 '0'번키를 조작하였다면 사용자는 숫자를 검색하기 위한 의도인바, 이를 착안하여 자동검색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국내 단말기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일부 단말기는 하기와 같이 '0'번키에 자음이 존재한다.
1 ㅣ 2 . 3 ㅡ
4 ㄱㅋ 5 ㄴㄹ 6 ㄷㅌ
7 ㅂㅍ 8 ㅅㅎ 9 ㅈㅊ
* 0 ㅇㅁ #
즉, '0'번의 키조작을 통하여 숫자검색모드로 자동 인식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는 상술한 도 2의 217단계후에 자음이나 모음이 없는 특정키 예를 들면 에스테르스크 키(*), 샵키(#)등의 입력을 감지하여 모드 변환을 반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키가 입력되었는지 검사하여 입력되었음이 검지되면 221단계의 번호검색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자동검색모드와 다른점은 최초 '0'번키의 입력이 검색모드전환과 번 호입력을 동시에 수행하는 반면, 반자동 검색모드에서는 '*'키를 조작하여 검색 모드를 숫자모드로 전환시키고 그후 검색어를 입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011-496-8733을 입력할 경우, 자동검색모드인 경우에는 키버튼을 0114968733의 순으로 조작하면 검색어 입력이 수행되지만, 반자동검색모드인 경우에는 '*'버튼을 조작하여 숫자검색모드로 전환시키고 그후 0114968733을 순차적으로 입력해야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폰북 검색 방법은 검색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입력되는 키조작에 의해 자동 및/또는 반자동으로 문자 또는 숫자검색모드로 전환되는 통합검색항목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좀더 편리하게 폰북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에 있어서,
    폰북검색모드에서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검색어가 문자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가 문자이면, 제1검색 모드에서 제2검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가 문자가 아니면, 상기 제1검색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색모드는 숫자검색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색모드는 문자검색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60556A 2004-07-30 2004-07-3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KR20060011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556A KR20060011630A (ko) 2004-07-30 2004-07-3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556A KR20060011630A (ko) 2004-07-30 2004-07-3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630A true KR20060011630A (ko) 2006-02-03

Family

ID=3712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556A KR20060011630A (ko) 2004-07-30 2004-07-30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16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834B1 (ko) * 2006-10-19 2008-07-28 (주)엠앤소프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통합 검색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834B1 (ko) * 2006-10-19 2008-07-28 (주)엠앤소프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통합 검색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0835B2 (en)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implified call initiation operation
KR10115620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
KR20020007852A (ko) 휴대폰의 문자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KR100288362B1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KR100353716B1 (ko)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KR20060011630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KR20030030616A (ko) 다이얼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
KR10070339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61785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3934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통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10018353A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이용한 기능 선택방법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KR100585787B1 (ko)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KR2006005660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발신 방법
KR1005713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KR1006382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KR100557066B1 (ko) 최소의 기능키만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 방법
KR200256980Y1 (ko) 터치스크린 사용 유무선전화기
KR100983234B1 (ko) 듀얼 엘시디 타입의 폴더 휴대폰에서 폴더 미개방 발신기능이 구비된 폴더형 발신장치에 의한 폴더 미개방 발신방법
KR20050054661A (ko) 초기 화면에서 전화 번호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