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787B1 -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787B1
KR100585787B1 KR1020040098806A KR20040098806A KR100585787B1 KR 100585787 B1 KR100585787 B1 KR 100585787B1 KR 1020040098806 A KR1020040098806 A KR 1020040098806A KR 20040098806 A KR20040098806 A KR 20040098806A KR 100585787 B1 KR100585787 B1 KR 10058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button
call
button
pressed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787B1/ko
Priority to CNA2005100806733A priority patent/CN178390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과정에서 단축버튼이 눌려서 전화를 연결하는 도중에 다른 단축버튼이 눌린 경우 이전의 호출을 끊고 다시 눌린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를 호출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호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방법에 있어서, 단축버튼이 눌리면 그 단축버튼에 연동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전화번호가 검색되면 단축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임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그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호 연결이 진행되는 중에 단축버튼 눌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호 연결 진행중에 단축버튼 눌림이 확인되면 이전에 눌린 단축버튼과 현재 눌린 단축버튼이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전 호출을 중단하고 현재 눌린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CALLING METHOD USING SHORTEN BUTTON}
도1은 종래의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에 따른 문제점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호출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약칭함)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폰북 기능이 있다.
폰북기능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휴대폰의 메모리에 저장시켜 놓았다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에서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그 검색된 전화번호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한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휴대폰은 '통화' 버튼을 누르면, 최근 통화한 전화번호목록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다시 통화 버튼을 누르면, 그 전화번호로 호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에도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통화 버튼을 누르면 그 전화번호로 호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폰북 기능은 저장된 전화번호가 많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요한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해 여러번 키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자주하는 전화번호를 단축버튼과 연동하도록 하는 방식도 제안되었다.
단축버튼을 이용하여 호출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단축버튼에 대해 연동할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이후, 사용자가 단축버튼을 누르면 단말기 제어부는 그 단축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그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호 연결을 진행하게 된다.
이후, 응답이 오면 호 연결이 성립되고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1의 동작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버튼의 눌림으로 호 연결이 진행되고 있는 중에 전화를 끊고 다른 단축버튼이 눌렸을 때 미처 처음에 연결되었던 전화를 끊지 못하여 호 연결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과정에서 사용자가 다른 단축버튼을 이 용한 호출을 진행시키려면 이전의 호출을 중단시킨 후 다시 단축버튼을 눌러 처음부터 호출을 진행시켜야 함은 물론 이전에 눌린 단축버튼에 따른 호 연결이 이루어지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과정에서 단축버튼이 눌려서 전화를 연결하는 도중에 다른 단축버튼이 눌린 경우 이전의 호출을 끊고 다시 눌린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를 호출하도록 창안한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호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방법에 있어서,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 연결 중에 단축버튼의 눌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단축버튼 눌림이 확인되면 이전에 눌린 버튼과 동일한 버튼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서로 다른 버튼으로 확인되면 이전의 호출을 중단하고 현재 눌린 버튼에 대응되는 번호로 호출을 진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호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방법에 있어서, 단축버튼이 눌리면 그 단축버튼에 연동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전화번호가 검색되면 단축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임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그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호 연결이 진행되는 중에 단축버튼 눌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호 연결 진행중에 단축버튼 눌림이 확인되면 이전에 눌린 단축버튼과 현재 눌린 단축버튼이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전 호출을 중단하고 현재 눌린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축버튼에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단축버튼이 통화버튼이라면 최근에 호출한 전화번호 리스트와 연동하고, 숫자키를 이용한 단축버튼이라면 각각의 단축버튼에 대해 각각의 전화번호가 연동하도록 저장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축버튼이 통화버튼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전화번호의 입력없이 통화버튼이 눌리면 단말기 화면에 최근에 호출한 전화번호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그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어 호 연결이 진행되게 된다.
이때, 호 연결이 진행되는 중에 사용자가 통화버튼이 눌리고 임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이전에 선택되어 호 연결이 진행되는 전화번호와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가 동일한지 비교한다.
이에 따라,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전에 진행중이던 호 연결을 중단하고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 연결을 진행하게 된다.
만일, 상기에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이전에 진행중이던 호 연결을 계속 진행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은 통화버튼을 단축버튼으로 인식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것이나, 각각의 숫자키에 연동하도록 각각의 전화번호를 저장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전화번호의 입력없이 키조합에 의한 단축버튼이 눌리면 그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 연결을 진행하게 된다.
이후, 호 연결이 진행되는 중에 사용자가 단축버튼을 누르면 이전에 선택되어 호 연결이 진행되는 전화번호와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가 동일한지 비교한다.
여기서, 전화번호 비교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단축버튼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전에 눌린 단축버튼과 현재 눌린 단축버튼이 동일한 버튼인지를 비교할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전에 진행중이던 호 연결을 중단하고 현재 눌린 단축버튼에 연동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 연결을 진행하게 된다.
만일, 상기에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이전에 진행중이던 호 연결을 계속 진행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하나의 단축버튼에 하나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단축버튼에 여러개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통화버튼을 단축버튼으로 인식한 경우와 동일한 과정으로 호 연결이 진행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에 대해 단축버튼을 지정한 경우 단축버튼이 여러번 눌려도 현재 눌린 단축버튼에 연동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 연결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의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 연결에 있어서 재차 단축버튼이 눌리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필요없이 단순 조작이 가능함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축버튼에 연동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호출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 방법에 있어서,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 연결 중에 단축버튼의 눌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단축버튼 눌림이 확인되면 이전에 눌린 버튼과 동일한 버튼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서로 다른 버튼으로 확인되면 이전의 호출을 중단하고 현재 눌린 버튼에 대응되는 번호로 호출을 진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축버튼 비교 단계는
    이전에 눌린 단축버튼에 연동하는 전화번호와 현재 눌린 단축버튼에 연동하는 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축버튼이 통화버튼인 경우 단축버튼이 눌릴 때마다 최근 호출한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하고 어떤 전화번호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KR1020040098806A 2004-11-29 2004-11-29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KR10058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806A KR100585787B1 (ko) 2004-11-29 2004-11-29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CNA2005100806733A CN1783909A (zh) 2004-11-29 2005-07-06 利用快捷键的呼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806A KR100585787B1 (ko) 2004-11-29 2004-11-29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787B1 true KR100585787B1 (ko) 2006-06-07

Family

ID=3677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806A KR100585787B1 (ko) 2004-11-29 2004-11-29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5787B1 (ko)
CN (1) CN178390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3909A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942B1 (ko) 국가번호 및 지역번호 다이얼 방법.
KR100480290B1 (ko) 휴대폰의 폰 북을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CN104580632B (zh) 一种一键拨号的实现方法及终端
WO1998030053A1 (en)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unit
KR100585787B1 (ko)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JP2004500766A (ja) 自動名前照合
JP5136907B2 (ja) 電話装置の着信表示制御方法
US20140198907A1 (en) Outward calling method for public telephone networks
KR10059568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음성 통화방법
US9473631B2 (en) Outward calling method for public telephone networks
KR100700289B1 (ko) 핸드폰의 전화 걸기 방법
KR1008571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연결방법
KR10096536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시간 표시 방법
KR100608762B1 (ko) 전화 번호 순차 검색에 의한 전화 연결 방법
KR200233075Y1 (ko) 휴대폰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4001804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화면 설정 방법
KR1005637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KR20000073412A (ko) 휴대용단말기에서의 음성자동다이얼방법
KR20010094478A (ko) 전화기의 다이얼링 방법
KR2004002545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번호 검색 및 발신 방법
KR1006382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KR2006009919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KR1009950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자의 다수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