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734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734B1
KR100563734B1 KR1020030058046A KR20030058046A KR100563734B1 KR 100563734 B1 KR100563734 B1 KR 100563734B1 KR 1020030058046 A KR1020030058046 A KR 1020030058046A KR 20030058046 A KR20030058046 A KR 20030058046A KR 100563734 B1 KR100563734 B1 KR 10056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tinuous
key
phone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268A (ko
Inventor
조항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7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할 다수의 상대방 번호를 미리 입력한 다음 어느 한 사람의 통화가 끝나면 연속으로 다음 사람에게 자동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사용자는 연속통화를 하기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들을 키입력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키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이 완료되었으면 소정의 첫번째 번호로 통화키를 누른 다음 통화를 마친 후에 첫번째 통화를 종료하고 연속으로 N번째 통화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화할 대상자의 누락오류도 예방하고, 단축번호, 폰북검색기능 등 폰의 기존 기능들의 장점을 활용하여 입력절차를 간소화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전화거는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하고, 상대방과의 통화 자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이동통신단말기, 연속통화, 그룹, 폰북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Method for relation calling of mobile phone}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통화할 다수의 상대방 번호를 미리 입력한 다음 어느 한 사람의 통화가 끝나면 연속으로 다음 사람에게 자동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전화망 시스템은 기지국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네트워크를 무선으로 형성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속해서 서로 다른 단말기와 접속하고자 할때, 보통 하나의 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되면, MAC(Medim Access Control) 계층 프레임의 베어러(Bearer)를 복구(Release)한 뒤, 접속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기의 번호를 신규번호로 입력한 후, MAC계층과 DLC(Data Link Control)계층 및 네트워크계층에 대한 재접속을 시도하여 새로운 통화를 하게 된다.
이때 동일한 기지국내의 접속시도자가 많을 경우, 한 단말기와의 통화가 끝난 후 다른 단말기와 접속을 시도하는 기간동안 다른 통화대기자에 의해 타임슬롯이 사용되므로 인하여 바로 재접속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른 통화대기자가 기존 통화자의 타임슬롯 사용이 끝나기만 기다리고 있다가 슬롯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즉시 접속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접속을 시도할 경우에는 처음 접속시와 같이 기존 타임슬롯 사용자들의 사용이 끝나기를 기다려야 할뿐만 아니라 대기하고 있는 다른 접속 시도자들과의 경쟁에서 이겨야만 추가접속이 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지정된 단축번호 핫키를 사용하거나 폰북을 검색하거나 직접 번호를 입력하거나 하여 한 사람씩 전화를 걸고 끊고, 다시 번호입력을 하여 걸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통화할 다수의 상대방 번호를 미리 입력한 다음 어느 한 사람의 통화가 끝나면 연속으로 다음 사람에게 자동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이 완료되었으면 소정의 첫번째 번호로 통화키를 누른 다음 통화를 마친 후에 첫번째 통화를 종료하고 연속으로 N번째 통화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은 연속통화를 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개인별로 입력하거나 또는 그룹별로 입력하며, 상기 N번째 통화는 개개의 번호를 선택하여 할 수도 있고 그룹으로 선택하여 할 수도 있다.
상기 두번째 통화에서 N번째 통화시에 전화번호 목록의 커서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연속통화를 위해 키 입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는 언제든지 추가하여 키 입력을 할 수 있으며, 단축번호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N번째 통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통화키를 눌러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통화키 선택과 관계없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통화를 할 수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연속 통화 제어 동작을 콘트롤하고, 소정의 연속 통화 제어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을 구비하며, 데이터 저장부(17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0)의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연속 통화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구비하고 있다.
오디오부(12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 송수신부(150)는 단말기의 송수신단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등이 포함된 RF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 받아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30)는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키 및 키 패드 상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로 출력하며, LCD 표시부(140)는 상기 키 입력부(130)에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0)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시간 등을 표시한다.
연속 통화 제어 레지스터(160)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통화할 다수의 상대방 번호 데이터를 참조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연속통화 여부 결정에 따라 어느 한 사람의 통화가 끝나면 연속으로 다음 사람에게 자동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 에서 본 발명의 동작이 시작되면 단말기의 LCD 표시부(140)가 연속통화를 하기위한 상대방의 다수개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대기화면(201)상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단말기의 대기화면(201)상태에서 사용자는 연속통화를 하기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들을 키입력부(130)를 통해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키 입력(202)한다.
상기 키 입력(202)은 첫번째 전화번호 숫자를 모두 입력한 다음 특정키(예를 들면 아래쪽 방향키)를 누르면 연속 통화할 전화번호 목록이 되면서 다수개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반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202)은 언제든지 추가하여 키 입력을 할 수 있으며, 그룹별로 입력할 수도 있고, 단축번호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속통화를 하기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모두 키 입력(202)완료 되었으면 소정의 첫번째 번호로 통화하기 위한 통화키를 누른다(203).
상기 소정의 첫번째 번호로 통화하기 위한 통화키를 누른(203) 다음 첫번째 번호로 통화가 성공되었는지를 판단(204)하여 첫번째 번호로 통화가 성공되었으면 통화 성공 표시가 LCD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 되며 소정의 통화(205)를 모두 마친 다음에 첫번째 통화를 종료(206)하고, 상기 판단(204)결과 첫번째 번호로 통화가 성공되지 않았으면 통화 실패 표시가 LCD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 된 다음 첫 번째 통화를 종료(206)한다.
상기 첫번째 통화는 개개의 번호를 선택하여 할 수도 있지만 그룹으로 선택하여 할 수도 있다.
상기 첫번째 통화를 종료(206)하면 단말기의 LCD 표시부(140)는 연속통화를 하기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들이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213)이 다시 디스플레이 되며, 상기 전화번호 목록(213)을 검색한 다음 두번째 상대방에게 전화를 건다.
상기 전화번호 목록(213)에서 커서는 자동으로 두번째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자동으로 옮겨져있다.
본 발명에서 일 실시 예로 상기 전화번호 목록(213)의 커서는 자동으로 두번째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옮겨지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는 수동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커서를 마음대로 옮긴 다음 해당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두번째 전화를 걸 수 있다.
상기 첫번째 통화도 개개의 번호를 선택하여 할 수도 있지만 그룹으로 선택하여 할 수도 있다.
상기 첫번째 통화가 종료(206)된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연속하여 두번째 상대방에게 통화를 하고자 하면 해당하는 커서에 위치한 전화번호로 키입력부(130)를 통해 통화키를 누른다(207).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첫번째 통화가 종료(206)된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연속하여 두번째 상대방에게 통화를 하고자 하면 상기와 같이 통화키 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다음 커서에 위치한 전화번호로 두번째 내지는 N번째 상대방과 통화를 한다.
상기 소정의 두번째 번호로 통화하기 위한 통화키를 누른(207) 다음 두번째 번호로 통화가 성공되었는지를 판단(208)하여 두번째 번호로 통화가 성공되었으면 통화(209)를 모두 마친 다음에 두번째 통화를 종료(210)하고, 상기 판단(208)결과 두번째 번호로 통화가 성공되지 않았으면 통화 실패 표시가 LCD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 된 다음 두번째 내지는 N번째 통화를 종료(210)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N번째 통화를 종료하면 단말기는 모든 동작을 종료하고 대기상태로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할 다수의 상대방 번호를 미리 입력한 다음 어느 한 사람의 통화가 끝나면 연속으로 다음 사람에게 자동 통화를 할 수 있도록해 줌으로써 통화할 대상자의 누락오류도 예방하고, 단축번호, 폰북검색기능 등 폰의 기존 기능들의 장점을 활용하여 입력절차를 간소화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전화거는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하고, 상대방과의 통화 자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수의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사용자는 연속통화를 하기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들을 키입력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키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이 완료된 전화번호들에 대해 연속하여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통화를 위해 키 입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는 언제든지 추가하여 키 입력을 할 수 있으며, 단축번호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은 연속통화를 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개인별로 입력하거나 또는 그룹별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N번째 통화는 개개의 번호를 선택하여 할 수도 있고 그룹으로 선택하여 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통화에서 N번째 통화시에 전화번호 목록의 커서는 자동 또는 수 동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N번째 통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통화키를 눌러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통화키 선택과 관계없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통화를 할 수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KR1020030058046A 2003-08-21 2003-08-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KR10056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046A KR100563734B1 (ko) 2003-08-21 2003-08-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046A KR100563734B1 (ko) 2003-08-21 2003-08-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268A KR20050020268A (ko) 2005-03-04
KR100563734B1 true KR100563734B1 (ko) 2006-03-28

Family

ID=3722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046A KR100563734B1 (ko) 2003-08-21 2003-08-2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961B1 (ko) * 2007-10-16 2008-06-24 (주)헤리트 호 연결 서비스를 위한 장치, 서버, 및 클라이언트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268A (ko) 200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24717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oice user interface
KR20030081834A (ko) 휴대폰의 폰 북을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US75159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lephone number search in a mobile terminal
KR1005637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 통화 방법
US20040224685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implified user interface
KR20030045893A (ko)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KR100724405B1 (ko) 폰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표시 방법
JPH08154273A (ja) 無線装置
KR100194467B1 (ko)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7157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JP3398041B2 (ja) 電話機
KR200600588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그룹통화를 위한 호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65278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자 고유번호 입력방법
KR100557066B1 (ko) 최소의 기능키만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 방법
JP2002237912A (ja) 公衆電話システム
JPH02159859A (ja) 自動車電話移動機の着信表示制御装置
KR10088311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 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50014279A (ko) 다자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585787B1 (ko)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KR100661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등록 및 호처리 방법
KR2006010448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연속 통화 방법
KR2006006886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KR2002006991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600360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설정 및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